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V 141

덤프버전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46-1980-117-01%2C_Aufkl%C3%A4rungsflugzeug_Blohm_-_Vo%C3%9F_BV_141.jpg

파일:external/www.aviastar.org/blohm_bv-141.gif

1. 개요
2. 특징
3. 대중 매체


Blohm & Voss BV 141



1. 개요[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의 블롬운트포스(Blohm & Voss)[1]사에서 개발된 항공기.

모든 항공기 역사상 가장 괴이한 디자인을 가진 항공기로 꼽힌다. 아돌프 갈란트세계에서 가장 추한 항공기.[2]


2. 특징[편집]


1937년 독일 항공성이 제시한 단거리 정찰기 사양에 기초해 브롬운트포스사에서 리하르트 포그트(Richard Vogt) 박사에 의해 디자인되어 탄생한 게 바로 이 물건. 단발기이지만, 한 쪽에는 엔진과 꼬리날개, 다른 한 쪽에는 승무원이 타는 곤돌라가 설치된 비대칭이라는 괴이한 모습으로, 곤돌라는 앞뒤 전체로 유리창을 달아놓아서 시야 확보에는 뛰어났고 한다. 또한 꼬리날개도 처음에는 좌우 대칭이었으나 그마저도 후방 사수의 시야 및 사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거되었다고 한다. 얼핏 봐도 비대칭이라 균형 잡기 힘든 것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엔진 출력을 이용하여 무게 배분도 균등하고 잘 날았다고 한다. 애초에 디자인을 이렇게 설계한 이유자체가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한 자이로스코프 현상을 상쇄하기 위한 디자인이었다.

1938년 2월 초도비행을 했는데, 초기형인 A형은 당시 Ju 52에도 사용되던 BMW 132N 엔진을 사용했는데 출력이 부족하여[3] 브롬운트포스사는 Ju 88에 탑재되는 엔진인 BMW 801로 교체해서 B형을 제작, 1941년 1월에 다시 비행한다.

동시기의 경쟁사였던 포케볼프사에서 개발한 Fw189 우후와 비교할 때 전체적인 성능은 BV 141이 다소 높았으나 결국 Fw189에게 패배한다. 이는 포케볼프사의 정치적 영향력이 큰 탓도 있었지만 이 기체가 쌍발이라 한쪽의 엔진이 피탄되더라도 생존률이 높다고 여겨진 점, 좀 더 범용성이 높다는 점 등이 좋은 평가를 받아서였기도 했다. 저 괴이한 디자인도 탈락에 한몫했을것이다.

이후 남아있던 기체들은 종전 후 연합군이 가져가서 실험기로 이용되나 현재 실물은 남아있지 않다.

또한 BV 141을 응용해 폭격기형인 BV 194의 제작 계획도 마련되었지만 이것은 실제 제작은 되지 못한 채 계획으로 그쳤다.


3. 대중 매체[편집]


KSPSimplePlanes에서도 직접 만들어볼수있는데 KSP기준으로 기본적인 파츠로 만들려면 날개에 탑재된 연료용량은 조종석을 결합한 곤돌라와 무게와 잘 배분한 뒤 무게중심을 가급적이면 앞쪽에서 살짝 가까운쪽으로 잡아줘야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다 불균등한 경우 이륙시 공중제비를 돌거나 비행시 곤돌라쪽으로 쳐진상태로 불안정한 비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작시 은근히 까다롭다.

워썬더에서도 유저미션으로 탑승해볼 수 있다. 엔진위치가 워낙 특이해서 출력을 조절할때마다 기체의 비행안정성이 달라지는 신기한 현상을 느껴볼 수 있다

IL-2 sturmovik 1946 에서도 유저모드로 탑승해볼 수 있는데, 특유의 엔진설계 때문에 이착륙이 진짜 더럽게 어렵다. 특히 이륙할때가 정말 헬게이트인데, 엔진이 동체 왼쪽에만 위치해있어 토크가 매우 심하게 좌측으로 쏠려서 이륙하려면 플랩을 착륙 위치까지 내려야 할 정도다.

특히 제트엔진이 장착된 버전도 있는데 여기선 엔진출력이 더욱 강력해져서 그런지 토크가 더더욱 심하다. 게다가 워썬더에서도 그렇지만 IL-2의 경우 비행 물리가 훨씬 더 사실적인 탓에 이착륙 도중에 출력을 조금만 잘못조절해도 기체가 비행 안정성을 잃고 땅바닥에 쳐박혀 폭발하는걸 볼 수 있다(...) 여러모로 예능용으로 탈만한 폐급 물건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09:06:33에 나무위키 BV 1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독일의 대표적인 조선업체이다. 세계 대전 당시 BV238같이 특이한 비행기들을 많이 제작하였고, 전함 비스마르크도 개발하였다. 현재는 티센크루프 그룹 산하에 있다.[2] 이보다 더더욱 괴이한 디자인을 가진 항공기가 같은곳에서 설계한 BV P.111 기종이다 허나 베이퍼웨어로 끝나버렸다.[3] 최대속도가 340km/h 밖에 안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