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Ar 196

덤프버전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1280px-Arado_Ar_196A-2_taxiing_1940.jpg

Arado Ar 196

1. 개요
2. 제원
3. 기종의 역사
3.1. 개발
3.2. 실전
4. 기타
4.1. 미디어 출연



1. 개요[편집]


아라도 Ar 196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루프트바페크릭스마리네에서 사용한 수상기이다.


2. 제원[편집]


Ar 196 A-2
전폭12.4m
전장11m
전고4.45m
익면적28.4㎡
엔진BMW 132K 9기통 공랭식 성형 엔진, 947마력
최대속도311km/h (고도 4,000m)
자체중량2,990kg
최대중량3,720kg
실용상승한도7,010m
무장MG15 기관총 1정
MG17 기관총 1정
MG FF 기관포 2정
50kg 폭탄 2발


3. 기종의 역사[편집]



3.1. 개발[편집]


1936년 아라도 사가 제작해 다음 해인 1937년 크릭스마리네의 표준 항공기로 선정되었다.


3.2. 실전[편집]


2차대전 중에는 순양함급 이상 함선의 함재기로 운용되었고, 연안 기지에서 초계 임무에 활용하기도 했다. 특히 통상파괴전에 집중한 아트미랄 그라프 슈페와 아트미랄 셰어이나 아드미랄 히퍼급 중순양함에겐 연합군의 선단을 찾아주는 귀중한 눈이 되었다. 아트미랄 그라프 슈페의 첫 전과 또한 영국 상선폭탄을 투하하여 정선시킨 Ar 196이 거뒀다.

이 외에도 비스마르크 추격전 당시 승조원들의 유서와 유품을 모은 뒤 Ar 196을 이용해 독일로 보내려고 했으나 캐터펄트 고장으로 실패했다. 결국 비스마르크 소속 공군 파견대도 최후까지 비스마르크에서 싸우다 정비병인 에른스트 카보드 상병 한 명을 제외하고 전부 전사했고, 탑재된 Ar 196 역시 비스마르크와 함께 가라앉았다.

교전 기록도 있는데, 1942년에는 덴마크 해에서 영국 잠수함 HMS 실(Seal)을 발견 후 폭뢰 공격을 가해 항행불능으로 만든 전적이 있다. 이후 실은 인근의 소해정에게 나포되었고 독일 해군 소속으로 운용되었다.

전쟁 후기에는 몇 기를 소련이 노획해 1955년까지 연안 초계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4. 기타[편집]


비인기 기종이지만 크릭스마리네 팬들에겐 나름 익숙한 항공기이다. 순양함~전함의 함재기로 탑재되어 있다 보니 사진이나 모형으로 한번 이상 보게 되는 기체기 때문. 다만 전쟁 초기 독일 수상함대가 증발한 통에 크게 활약하지 못한 비운의 기체다.

여담으로 헤르만 괴링의 꼬장 덕에 한동안 함재기조차 공군 파견 부대가 직접 운용했다. 이는 비단 Ar 196 뿐만이 아니라서 Fw 200등 해군이 쓰는 항공기는 다 그랬다.


4.1. 미디어 출연[편집]


월드 오브 워쉽의 독일군 순양함 및 전함 트리 함선 일부에서 정찰기로 운용할 수 있다.

워 썬더의 S.U.M.M.E.R 2020 이벤트로 A-3 사양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50kg 폭탄 2발이 장착되어 있으며[1] 인게임에서는 He51 수상기 사양과 더불어 독일의 정말 몇 안되는 소형 수상기로 해상통합전에서는 나름 괜찮은 성능을 보인다. 참고로 업데이트로 그라프 쉬페나 아드미럴 히퍼 등 대형함에서 발진하게 될 수도 있다는 루머가 있다. 사실이라면 2021년 만우절 떡밥이 정말 실현되는 셈.

그리고 winged lion 업데이트 이후 정말로 수상함에서 발진하는 수상기가 되었다. 고정 무장도 다른 수상기들보다 훨씬 좋은축에 속한다.

A-5 사양 기종도 존재하는데 스웨덴 트리의 프리미엄 항공기로 등장한다. 국적은 핀란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20:26:34에 나무위키 Ar 19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폭탄들은 제거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