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홋카이도 제5구

덤프버전 :

||
파일:shuinsen_Hokkaido5.svg
선거인 수434,051명 (2022)
상위 도도부현홋카이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와다 요시아키




1. 개요[편집]


홋카이도삿포로시 시로이시구 일부, 아츠베츠구, 이시카리 진흥국 산하 행정구역들의 대부분(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등)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와다 요시아키.


2. 상세[편집]


신치토세 공항이 이 선거구에 속한다.

홋카이도 내에서 자민당의 지지도가 매우 강했던 지역구다. 민주당이 압승한 45회 총선에서 비자민당 후보가 처음 당선되었으나, 선거법 위반으로 1년만에 의원직을 잃었다. 하지만 자민당 자체에 대한 높은 선호보다는 외무대신, 관방장관, 중의원의장등을 역임한 거물 마치무라 노부타카의 기반이 탄탄하기에 비자민당 후보가 이기기 힘들었다.

현직 의원인 와다 요시아키는 마치무라 노부타카의 둘째 사위로, 2014년까지 미쓰비시상사에서 20년간 근무하다 부장대리로 퇴직하고 마치무라 사무소에 들어가며 후계자가 되었다. 이듬해 마치무라가 임기 중 뇌경색으로 사망하자 지역구를 물려받았다. 신인인 데다 성도 마치무라가 아니라 친근감이 떨어져서인지 장인만큼 지지율이 탄탄하지는 못하다. 47회 총선 보궐 및 48회 총선 등 두 번의 선거를 모두 이겼으나 야당인 민진당, 입헌민주당 후보와 표차가 모두 5% 이내였다. 두 번의 선거 모두 이케다 마키 후보와 붙었는데 48회에서는 이케다 후보도 비례 부활로 당선될 정도여서 세습 지역구지만 지지도가 약하다. 원래도 홋카이도에서 자민당세가 전반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향후 선거 결과에 따라 경합 지역으로 재분류될 가능성도 높다.

49회 총선에서는 와다 의원이 비교적 여유있는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선거에서도 와다 의원이 큰 표차로 승리할 경우, 확실한 자민당 우세지역으로 다시 분류할 수 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13,282표1위


49.77%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오노 겐타로61,846표2위


27.1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우치 사토시44,885표3위


19.72%낙선
파일:덕주회.png이케나카 마리에7,576표4위

자유연합

3.33%낙선
유효표 수227,589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23,680표1위


45.9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바야시 지요미84,631표2위


31.4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우치 사토시35,006표3위


13.01%낙선
파일:자유당.gif오노 겐타로25,845표4위


9.60%낙선
유효표 수269,162표투표율
65.41%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29,035표1위


46.9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코바야시 치요미120,192표2위


43.73%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우치 사토시25,603표3위


9.32%낙선
유효표 수274,830표투표율
64.06%
선거인 수438,672인

마치무라 노부타카와 코바야시 치요미의 두번째 대결이다. 자민당이 상대적으로 약한 홋카이도인만큼 코바야시 치요미 후보는 비 자민당계 후보 최초로 선거구 당선을 노렸지만 한끝 차이로 낙선하고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중의원에 입성했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73,947표1위


54.1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바야시 지요미124,547표2위


38.8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마자키 다카히로22,521표3위


7.02%낙선
유효표 수321,015표투표율
73.18%
선거인 수444,986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바야시 지요미182,952표1위


53.8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51,448표2위
44.57%비례당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하타노 야스노리5,380표3위
1.58%낙선
유효표 수339,780표투표율
76.32%
선거인 수452,618인

선거 결과 마치무라 노부타카가 지역구에서 처음으로 낙선하게 되었다. 하지만 홋카이도의 자민당 후보들이 너무 큰 표차로 패배한 바람에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간신히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었다.

4수 끝에 지역구에서 당선된 코바야시 치요미 후보는 전국적인 민주당 바람에 힘입어 지역구 최초의 비 자민당계 후보라는 기록을 세우게 되었다. 그런데.....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25,636표1위
52.2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마에 시게유키94,135표2위
39.1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미야우치 사토시15,583표3위
6.48%낙선
가와무라 미치코2,697표4위
1.1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모리야마 요시노리2,325표5위
0.97%낙선
유효표 수240,376표투표율
53.48%
선거인 수454,271인

지역구에서 당선된 코바야시 치요미 의원이 선거본부의 공직선거법 위반 및 정치자금법 문제가 발각되어 2010년 6월에 의원을 사직했다.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당선된 마치무라 노부타카는 의원직 사직 후 보궐선거에 출마했고, 의석을 잃은 민주당은 마치무라 노부타카의 딸의 고교 동창인 나카마에 시게유키를 출마시켰다.

선거 결과 마치무라 노부타카 후보가 무난히 승리했다. 민주당 정권에 대한 지지도도 낮아진 시점이었고, 나카마에 시게유키는 귀책 사유가 자당에 있던데다 신인이라 기반을 다질 시간이 너무 부족했다.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지청 관내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28,435표1위
48.6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나카마에 시게유키69,075표2위
26.15%낙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니시다 유지41,025표3위
15.5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즈키 류지21,422표4위
8.11%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모리야마 요시노리4,200표5위
1.59%낙선
유효표 수264,787표투표율
60.18%
선거인 수455,555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마치무라 노부타카131,394표1위
[1]50.95%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가쓰베 겐지94,975표2위
36.8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스즈키 류지31,523표3위
12.22%낙선
유효표 수257,892표투표율
58.43%
선거인 수455,921인


4.9.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다 요시아키135,842표1위
[2]52.38%당선
이케다 마키123,517표2위
[3]47.62%낙선
유효표 수259,359표투표율
57.63%
선거인 수455,262인


4.10.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다 요시아키142,687표1위
[4]49.84%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이케다 마키135,948표2위
47.49%비례당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모리야마 요시노리7,632표3위
2.67%낙선
유효표 수286,267표투표율
62.55%
선거인 수466,620인

마치무라 노부타카 전 중의원 의장의 별세에 따라 2016년 4월 재보궐선거가 치러진 지 1년 6개월만에 두 후보가 다시 맞붙었다. 이번에도 근소한 차이로 마치무라 전 의장의 사위인 자민당 와다 요시아키 후보가 지역구에서 승리했고, 재선 의원이 되었다.

하지만 보궐선거와 달리, 총선거는 비례대표로 중복 입후보가 가능하다. 덕분에 입헌민주당 이케다 마키 후보는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 처음으로 국회에 입당했다. 참고로 재보궐선거때는 야권 연합공천으로 인해 무소속 후보로 출마했었다.


4.11.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홋카이도 제5구
삿포로시 아츠베츠구, 에베츠시, 치토세시, 에니와시,
키타히로시마시, 이시카리시, 이시카리 진흥국 관할구역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와다 요시아키139,950표1위
[5]50.60%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이케다 마키111,366표2위
[6]40.2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하시모토 미카16,758표3위
6.06%낙선
오쓰 신타로8,520표4위
3.08%낙선
유효표 수276,594표투표율
60.22%
선거인 수467,864인

두 현역 의원인 자유민주당 와다 요시아키와 입헌민주당 이케다 마키가 재대결한다. 이번 선거가 3번째 대결이며, 언론에서도 지난 2번의 대결처럼 박빙 승부가 펼처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본 공산당은 사회복지업에 종사했고 정당인이기도 한 하시모토 미카 후보를 지명했다. 무소속 오쓰 신타로 후보도 출마했다. 오쓰 후보는 경비원, 음료수업체 사원, 양돈업자등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다.

결국 이 지역구는 다른 홋카이도내 선거구와 달리, 야권단일화가 이뤄지지 않고 입헌민주당 후보와 공산당 후보가 각각 따로 출마했다. 예전에 공산당측이 두자릿수 득표도 받아봤을 정도로 나름 기반은 있는 지역이라 표분산을 막아야 하는 야권에게는 악재다. 물론 공산당 지지자들이 전략적으로 입헌민주당에 투표를 할 가능성도 있고 변수가 많아 결과를 속단하기는 이르다. 자민당 입장에서는 약세지역인 홋카이도에서 야권에 넘겨줄 의석을 한 석 줄일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호재다.

개표 결과 와다 요시아키 후보가 과반 득표에 성공하며 당선, 3선 의원이 되었다. 이케다 마키 의원은 득표율이 하락해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구제받지도 못하고 낙선했다. 공산당 후보와의 단일화가 실패했지만, 와다 의원이 과반 이상을 득표했고 오히려 지난 총선과 비교했을때 득표율이 상승했기에, 이케다 의원이 야권 표 분산으로 패배했다고 말하기도 어렵게 되었다.


4.12.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5구도 인구가 상한선에 근접하기에 관할 구역이 조정되었다. 3구에서 삿포로시 시로이시구를 넘겨받았고 이시카리시를 4구로 넘겼다.

자민당에서는 와다 요시아키 의원의 4선 도전이 예상된다.

입헌민주당에서는 이케다 마키 전 의원이 야권 단일 후보로 홋카이도지사 선거에 출마했지만 현직인 스즈키 나오미치 지사의 인기가 매우 높은 탓에 54%p차 대패를 당했다. 하지만 어차피 패배가 예상되었던 선거이고, 따라서 도지사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계속 지역구 지부장으로 재직 중이다. 차기 총선에 출마해 와다 의원과 재대결을 벌일 것으로 예상한다.

[1] 추천[2] , . 추천[3] , , , 추천[4] , 추천[5] 추천[6] 홋카이도 연합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