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A-64

덤프버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T-80,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T-60-Z, T-90, ZUT-37,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GAZ-67
모터사이클M-72
랜드리스 및 개조 차량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M4A2 (76)W, M4M, M4A2 (76) W HVSS,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СУ-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ЗСУ M15A1 CGMC, ЗСУ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파일:BA-64_main.jpg
БА-64



1. 개요[편집]


BA-64 주행 영상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군이 사용한 정찰 장갑차.


2. 제원[편집]


파일:external/www.koreanwaronline.com/170.jpg
파일:external/www.the-blueprints.com/ba-64b-1942-armored-car.gif
BA-64[1]
분류정찰용 장갑차
생산연도1942~1946
생산댓수9,110
전고1.9m
전폭1.74m
전장3.66m
승무원2명(운전수, 기관총 사수)
엔진GAZ-MM 4기통 트럭 엔진(50마력)
항속거리최대 500km[2]
속도최대 80km/h
무장DT 기관총(1,070발)[3]


3. 개발사[편집]


1941년 7월 17일 GAZ의 수석 설계자인 V. A. 그라체프가 설계 작업에 착수하였다. 초기 모델인 BA-64는 GAZ-64 표준차량과 1941년 9월 노획한 독일 국방군Sd.Kfz. 222 장갑차의 경사장갑 등을 분석하여 디자인했다. 이 장갑차는 개방된 지붕과 7.62 mm 덱탸료프 전차기관총 기관총을 탑재하고[4] 2명의 승무원이 탑승하여 운용했으며, 1942년 1월 9일 첫번째 프로토타입이 테스트되었다.

1942년 3월 14일에 소련 육군에 정식으로 채택되었지만 무거운 중량과 전폭 대비 높은 전고로 거친 지형에 전복될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개선한 BA-64B 장갑차가 1943년 도입되었으며, 1946년까지 생산되었다.

보병 제압용 경기관총을 주 무장으로 쓰며, 중앙부가 평평한 V자 하부를 채용해 경사장갑 효과에 따른 방어력 강화 및 방폭능력 확보를 시도한 흔적이 보인다.


4. 종류[편집]


BA-64
초기형.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생산됐다. GAZ-64 지프의 섀시를 이용해 생산됐다.
BA-64B
후기 양산형. 1943년부터 1946년까지 생산됨. GAZ-67 지프의 섀시를 이용해 생산됐다. 새 카뷰레터, 신형 공기 흡입기, 차체 양 옆에 운전수를 위한 권총 총구(pistol port)가 추가되었다.
BA-64D
화력지원형으로, 총탑에 DShK 중기관총을 장착했다. 군 상부에서 도입을 거절하여, 프로토타입 1대만 생산됨.
BA-64-126
총탑이 없는 지휘관 전용 차량. 최전선이나 전방 전선으로 갈 때 포격 및 매복 사격에 지휘관을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갑 택시 비스무리한 장갑차다. 무장은 없고, 3명이 탑승할 수 있다. 운전수의 전방 관측창이 삭제되고, 독일의 슈빔바겐 차량에서 뜯어온 유리창으로 교체됐다. 하지만, 컨셉 디자인 단계만 진행되고 실제 생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BA-64ZhD
철로 주행용 차량. 군은 도입을 취소하여, 두 대의 시제품만 생산되었다.
BA-64 PTRS
총탑에 DT 기관총을 제거하고 PTRS-41 대전차 소총을 장착한 대전차용 정찰 장갑차. 공장에서 생산한게 아닌, 전선에 있는 부대에서 자체적으로 개수한 모델이라 얼마나 이런 개량형이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BA-64Sh
BA-64 장갑차의 지휘형 버전. 차량 길이가 늘어났으나 너무 좁고 무전기 여러 대를 놓을 공간이 없어서 도입이 취소됐다.
BA-64Z
깊은 눈밭에서 달리기 위해 뒷바퀴가 무한궤도로 교체한 하프트랙 버전. 무한궤도 덕에 매우 느린 속도와 많은 연료 소비량으로 군대에 제식채택은 취소됨.
BA-64B SG-43
SG-43 기관총 장착형. 프로토타입 1대만 제작되고 끝남.
BA-64E
병력 수송형 비무장 장갑차. 후방에 문이 설치되었고, 운전수 포함 6명이 탑승할 수 있다. 소련군은 렌드리스로 받은 영국-미국제 병력수송 장갑차가 많이 있었고, 장갑차의 중요성을 낮게 봐서 제식채용은 하지 않았다. 9대의 시제품만 제작되었으나, 이 9대는 전선으로 보내져서 실전배치됐다.
BASh-64B
BA-64E의 지휘형 버전. 무전기가 추가 설치되었다. 군대에 제식채택이 되었으나, 몇 대가 생산되었는지는 불명.
BA-64KA
비무장형 병력수송용 장갑차. BA-64E에서 파생된 시제품. 차량 길이가 늘어났다.
BA-64E-37
대전차 및 화력지원용 장갑차. 37mm 대포를 장착했다. 1대의 시제품만 제작됨.
BA-69
GAZ-69 지프의 섀시를 이용해 만든 차량. 1대의 목업 시제품만 만들어지고 프로젝트는 취소되었다.


5. 실전[편집]



5.1. 제2차 세계 대전[편집]



5.1.1. 독소전쟁[편집]




5.2. 냉전[편집]



5.2.1. 6.25 전쟁[편집]


6.25 전쟁 당시에는 북한군의 장갑차로도 사용되었다. 북한은 철수하는 소련군으로부터 개전 전까지 54대의 BA-64B를 지원받아 각 사단의 정찰용, 제105전차여단 예하 제603경기계화연대(모터싸이클 연대)에 편제하였다.


6. 운용국[편집]


1950년대 초~중반부터 소련이 다른 공산국가에게 팔기 시작했다. 폴란드, 루마니아, 동독, 중국, 알바니아가 대표적이다. 1970년부터, 모든 공산국가들은 더 좋은 장비가 있으므로 BA-64는 쓸모가 없어져서 퇴역했다.

6.1. 유럽[편집]



6.1.1. 소련[편집]


파일:Verkhnyaya_Pyshma_Tank_Museum_2011_143.jpg
피스마 전차 박물관 소장 소련군 소속 BA-64
원조 사용국. 1957년 BRDM-1 장갑차가 등장하자 빠르게 퇴역했다.


6.1.2. 동독[편집]


BRDM-1(SPW-40) 정찰장갑차를 들여온 후 빠르게 퇴역했다. 다만 국경수비대, 향토방위 예비군에선 1970년대까지 사용했다.

6.2. 아시아[편집]



6.2.1. 북한[편집]


1949년에 소련으로부터 54대를 받았고, 한국 전쟁 당시 54대 모두 국군과 미군에게 노획 및 망실되었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소련으로부터 알 수 없는 수량을 추가 도입했고, 1960년대 말까지 현역으로 사용했다. 2013년 미국 보고서에선 치장물자로 아직 있다고 한다.

6.2.2. 대한민국[편집]


파일:e6c2aa22b126f6a5_large.jpg
대한민국 국군 노획 BA-64
북한군이 패주할 때 방치하고 간 것들을 대한민국 국군이 노획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7. 미디어[편집]



7.1. 영화/드라마[편집]



7.1.1. 포화속으로[편집]


파일:external/www.imfdb.org/71_NKPA_DP28_2.jpg
포화속으로에 등장한 조선인민군 소속 BA-64
766부대 소속의 2대가 포탑에 장착된 DP-28로 학도병들에게 총알세례를 퍼붓는다. 그러나 한대는 학도병이 고구마와 Mk.II 수류탄을 줄로 묶어 돌팔매질처럼 던져 그것이 포탑안으로 들어가 어리둥절하던 사수와 함께 무력화되면서 화염에 휩싸여 고철덩이가 되어 버리고, 나머지 한대는 한 학도병이 반합으로 만든 개조폭탄 대여섯개를 끌어안고 달려들어 자폭하는 바람에 별다른 빛을 발하진 못했다. 다만 실제로 저 차량에 저런 짓을 했으면 자폭한 인원이랑 인근 호위병력들만 죽고 차량엔 큰 피해가 없을 수도 있다. 비록 중앙부가 평평하지만 그 범위가 좁은 형태의 V자 하부를 가지고 있어 대폭발물 방호능력이 있을 가능성이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이런 형태의 V자 하부는 현대의 많은 방폭장갑차들이 쓰고 있다.


7.1.2. 태극기 휘날리며[편집]


파일:external/www.imfdb.org/TGK-Continuity02a.jpg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등장한 조선인민군 소속 BA-64
평양전투씬에서 잠시 등장한다.


7.1.3. 인천상륙작전[편집]


파일:external/f4874c7983b33861d7742c6311defb1491785049040a000a7df7e43e10bd32d7.jpg
인천상륙작전에서 등장한 조선인민군 소속 BA-64
류장춘을 납치하면서 도망치는 장학수 일행을 추적할 때 등장한다.


7.2. 게임[편집]



7.2.1. 도미네이션즈[편집]


원자력 시대의 두 번째 무장 차량인 무장 차량 Mk4으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무장 차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2. 히어로즈 & 제너럴[편집]


소련군 장갑차로 몰아볼 수 있다.


7.2.3. 스틸 디비전 2[편집]


소련군 2인 정찰병들의 탈것으로 나오는 정찰 장갑차이다. 사거리 750m의 기관총으로 대전차 무기가 없는 보병들을 멀리서 쪼아줄 수 있다. 대신 근접 허용시 수류탄에도 쉽게 파괴되고 인게임 최악의 대전차 무기인 독일의 대전차 소총 판처뷕세에도 죽는다. 물론 정찰차량이라 탐지력이 굉장히 좋아서 시가전이 아닌 한 보병에게 근접 기습을 허용할 일은 없다.

7.3. 만화[편집]




8. 모형[편집]



8.1. 프라모델[편집]




9. 둘러보기[편집]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기갑차량
전차경전차공신호 전차CN, 하고?, M5A1CN/?
중형전차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IS-2CN
화염방사전차OT-34CN
장갑차BA-64
자주포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M-72
노획 차량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질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파일:소련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소련군기갑차량
전차 시대별 세대 구분 1세대 전차 中전차Т-2597 "Чи-Ха"L/R, 47mm "Шин-Хо-То" Чи-Ха"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重전차МК-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中전차K-91, T-54, T-55, T-62(A/M), T-64
重전차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PT-76 «Плавун», PT-76B «Плавун», PT-85, T-100
미사일 전차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 전차T-64A
2세대 주 전차T-72
3세대 주 전차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T-62B, T-64(A/R), T-72A
2세대 MBT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MAZ-7310, ATS-59, GAZ-51, GAZ-63,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SU-M10L/R, SU-76I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T-26R, M24 채피L/R, Т-2595 "Ха-Го"L/R, MK-IIIL
기타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미군기갑차량
기타전차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경전차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차륜형 장갑차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소형M151, 험비, M1009 CUCV
트럭건 트럭, M602, M35, M37, M715, M809 5tR, M939 5tR, M977 HEMTT
자주포자주곡사포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4 (105)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자주박격포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폴란드군 (1989~현재)
Siły Zbrojne Rzeczypospolitej Polskiej
기타전차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MBT1세대T-55(A/L/AM1 · M2) MéridaM/R
2세대T-72A
3세대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3.5세대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K2PL}
경전차PT-76BR, PL-01, WPB 안데르스
장갑차차륜장갑차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궤도장갑차TOPASR, BWP-1(C/D), BWP-2(D)R, MT-LB,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BWP-2000, WPB 안데르스
차량소형{K-151},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트럭벤츠1017A · 우니모크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자주포자주곡사포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K9PL}
자주박격포TOPAS-2APR, {로소막-Rak}
대전차 자주포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23-4MP BiałaM, LSPZRA Sopel, PZA 루아르-(A/NG)
단거리 대공미사일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다연장로켓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호마르-K}, {호마르-A}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2, {M88A2 허큘리스}
교량차량{M1110 JAB}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경전차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M4A3 (76) W HVSSR, T-34-85C/R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M48(A1/A2C) 패튼R, M48(A3KR / A5K · K2 · KW) 패튼M
2세대Tiran-6X/R, T-72M1X/R, M60X/R
3세대K-1, K-1A1, T-80U
3.5세대K-1E1, {K-1E2}, K-1A2, {K-1A3}, K-2 흑표
장갑차차륜형M8 LACR,M20 유틸리티 카R, KM900R,F UR-416X/R, M706R, 바라쿠다, K806/808 백호, 블루샤크, RG-31 니알라 Mk.3L
궤도형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AAV-II}, K200(A1), K277, BMP-3, K-21({PIP}), AS-21 레드백X,
K533 · 534, K-77, K-10, K-56, KAFV
차량
소형K151 현마, K131, K111, 전역차륜차량, 샌드캣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K-100R
트럭닛산 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NONE, {K351},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A1), K800R, K911, K409 TEL, K501 TEL, K-91X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R, CCKWR, M1224 MaxxPro Dash MRAP,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자주포자주곡사포M107R, M110R, K-55(A1), K-9(A1/{A2/}{A3}), K105A1 풍익, 곡산 170mmX/R
자주박격포K242(A1), K281(A1), K532, KSM-120 비격
대전차 자주포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자주대공포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K-30 비호, K-30 SAM 비호복합, K-30W 천호
자주대공
미사일
K-31 천마
다연장로켓M270(A1) MLRS, K-136 구룡 I/II, K-239 천무
대포병 레이더AN/TPQ-36, 37, 아서-K, TPQ-74K 천경-II
공병 차량구난차량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경구난차량, KAAVR7A1
AEVKM9 ACE, M728 X/R/?, K-600 코뿔소
교량 차량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KM3 자주도하장비}
기타K-313, K-512, K-351 정비밴
대테러부대용 차량S5 장갑차, 렌코 베어캣
프로토타입중형표준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현대 조선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조선인민군 (1948~현재)
朝鮮人民軍
기타전차T-34-76 개량형WPRG, OT-34, T-34-85WPRG, OT-34-85
MBT1세대59식 전차, T-54, T-55
2세대T-62, 천마호(가, 나, 다, 92M , 98, 214M), T-72 우랄X
2.5세대폭풍호, 선군호
3세대M-2020추정
경전차공신호L/R, PT-76, PT-85M, 62식 전차, 63식 전차
장갑차차륜장갑차BTR-152, BTR-60PB, BTR-80A/Y, BRDM-2, M-1992 WAPC, M-2010 WAPC, M-2020 WAPC
궤도장갑차BTR-50P/PK, 63식, VTT-323, M-2010 준마
차량소형GAZ 보드닉, GAZ-69, UAZ-469/승리-415, BZ-2020SJ, 갱생-68/85, 신형 장갑 4륜구동차 2종
트럭ZiL-130, ZiL-131, ZiL-135, ZiL-151, ZiL-157, MAZ-7310, 우랄-4320, KrAZ-255, 로만, 승리-58WPRG, 승리-58가WPRG, 승리-61, HEMTT 유사 신형 중트럭, 2022년 등장 AGTM 탑재차량
자주포자주곡사포M1978 170mm 자주포 "곡산", M-1989 170mm 자주포 "주체", M1977 100mm, M1992 122mm, M-1975 · 1981 · 1991 122mm, M-1977 · 1992 130mm, M-1974 · 1985 152mm, 주체107년식 155mm 자행형곡사포
자주박격포M-1992 120mm
대전차 자주포SU-76MWPRG, SU-100WPRG, M-1974 85mm, M-1972 100mm, 신형 기동포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57-2, ZSU-23-4 쉴카, M-1985 37/57mm, M-1992 30mm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번개-3, 신형 저고도 대공체계
다연장로켓63식, 75식 MRL 여맹호, M1977 107/122mm, M-1977 · M1985 · M1993 122mm,
BM-11, BMD-20, BM-24, M-1989 · 1991, KN-09, KN-16, 신형 방사포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WPRG: 준군사조직인 로농적위군 (Worker-Peasant Red Guard)에서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R: 퇴역 차량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1세대59식 전차
2세대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99A식 전차
경전차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차륜장갑차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소형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자주곡사포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SU-76ML/R,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자주대공포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현대 루마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루마니아군 (1991~현재)
Forțele Armate Române
기타전차중형전차T-34-85CZR
MBT1세대T-55(AS/AM · AM2), TR-77, TR-580
2세대T-72MS, TR-85, TR-85(M1 · M1A) 비조눌M
3세대TR-125
3.5세대{M1A2 SEP v3}
장갑차차륜장갑차{TBT 8×8 아질리스}, 피라냐 V · IIIC, 사우르 1, TAB B33 짐브루, TAB-77(M/A),
TAB-71(M/A/AR), ABC-79M/TAB-C/TAB-79A(R), BRDM-2, BRDM-1R, BTR-152R, 쿠거, 허리케인, M1224 MaxxPro
궤도장갑차MLI-84/MLI-84M 주데룰M, MLVM-(M/AR), MT-LB, BTR-50(PK/PU)R
차량소형{L-ATV}, M-ATV, 험비, URO VAMTAC S3, 파나르 PVP, 다치아 더스터,
ARO-240 시리즈 · 드래곤 320, LSSV 타호, GAZ-69R
트럭DAC 665T · 443T · 887R · 11.154 · 12.135 · 15.240 · 16.220 · 31.310
로만 (16.310 · 21.310 · 26.360 · 26.410)DFAEG, 이베코 HMT 6×6, FMTV
자주포자주곡사포2S1 · 모델 89M/S, ATROM
자주박격포TAB-71ARR, TAB-79AR, {스피어}
대전차 자주포SU-76MR, SU-100S
대공 차량자주대공포ZSU-57-2R, 게파트
단거리 SAMTABC-79 CA-95, 9K33M3
다연장로켓M142 HIMARS, LAROM, APR-40 · APRA-40, APR-21R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2, {M88A2 허큘리스}
전투공병차량{M1150 ABV}
교량차량{M1110 JAB}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21:42:01에 나무위키 BA-6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윗 그림 2개는 BA-64B이다.[2] 차량에는 90L의 휘발유가 들어감.[3] 63발 드럼탄창 17개 적재[4] 동독군의 라이센스 생산형인 SK-1의 초기형은 MG34를 장착하기도 하였으나 양산형은 DT 기관총으로 무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