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천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시로 승격된 경기도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이천시 문서
이천시번 문단을
이천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伊川郡 / Ichŏn County

이천군
伊川郡 / Ichŏn County
국가북한
광복 당시 면적603.22㎢
광역시도강원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1읍 22리
인구57,563명
시간대UTC+9


1. 개요
2. 명칭
3. 역사
4. 교통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6.1. 구 이천군 지역
6.2. 구 안협현 지역
7. 기타
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 개요[편집]


북한 강원도 서북부에 있는 군(郡). 전 지역이 휴전선 이북에 있는 미수복지역이다.


2. 명칭[편집]


남한의 경기도 이천시와는 한글은 같지만, 한자 명칭과 그 유래는 다르다.[1] 이 때문에 순천처럼 경기도 이천시로 가야할 물건이 이곳으로 잘못 배송되는 일이 있다.#

伊는 원 발음이 '이'인 까닭에 문화어로도 '리천'이 아니라 '이천'이다. 따라서 '리천군'으로는 이 문서에 들어올 수 없으며, 오히려 문화어 기준으로 '리천'이 되는 곳은 우리가 잘 아는 경기도 이천시(川)이다.[2] 즉, 남한 기준으로는 둘 다 '이천'이고, 북한식으로는 이곳 이천은 그대로 이천, 남한 이천만 리천이 된다는 얘기.[3]

비슷한 예로 함경남도 영광군(榮光)은 '령광'이 아니고 전라남도 영광군(光)이 '령광'이다.


3. 역사[편집]


삼국시대고구려의 이진매현(伊珍買縣)이었다.

신라가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 지금의 이름인 이천현(伊川縣)으로 고쳤으며, 9주 5소경한주에 소속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10도 중 삭방도에 소속되었다가 이후 동주(철원)의 속현이 되었다. 동주의 속현이 된 것으로 보아 5도양계 중 교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 말 경기도에 포함되었으나 조선 초 행정구역 개편으로 강원도가 되었다.

광복 당시에는 군청을 이천면 향교리에 두고 11개 면(이천·낙양·동·방장·산내·서·안협·용포·웅탄·판교·학봉)으로 이루어졌다.[4] 북한이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판교면 등을 분리하여 판교군을 신설하였고, 지금의 이천군은 이천면·학봉면·서면(6개리)·산내면(6개리)·용포면(5개리)에 해당한다.


4. 교통[편집]


군의 북쪽에 국도는 3번 국도, 지방도는 463번 지방도, 이외 청년이천선 철도가 지나가며, 관내에 동점역·송정역·이천청년역·하안역·문동청년역이 있다.


5. 북한 기준 행정구역[편집]


1읍 22리로 구성되어 있다.

  • 이천읍 (伊川邑)
  • 개천리 (開川里)
  • 신당리 (新堂里)
  • 문동리 (文童里)
  • 산지리 (山旨里)
  • 무릉리 (武陵里)
  • 건설리 (建設里)
  • 회산리 (回山里)
  • 축동리 (軸洞里)
  • 산참리 (山站里)
  • 우미리 (友味里)
  • 룡정리 (龍亭里)
  • 신흥리 (新興里)
  • 학봉리 (鶴峰里)
  • 오현리 (筽峴里)
  • 사청리 (射廳里)
  • 은행정리 (銀杏亭里)
  • 심동리 (深洞里)
  • 장동리 (長洞里)
  • 송정리 (松亭里)
  • 상하리 (上下里)
  • 장재리 (長在里)
  • 성북리 (城北里)

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


파일:이천군 상징 하양.png
||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기.svg
군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미수복지역(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伊川郡
Icheon County
||
파일:이천군/이북5도2.jpg
군청 소재지이천면 향교리
광역자치단체강원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11 91
면적1,707.9㎢
인구82,599명[5]
인구밀도48.36명/㎢
명예읍·면장11석
홈페이지이북5도위원회 이천군 소개
이천군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이천군이 안협군을 흡수하면서 형성되었다.


6.1. 구 이천군 지역[편집]











6.2. 구 안협현 지역[편집]






7. 기타[편집]


북한 철원군과 함께 구글지도나 구글 어스에서 검색할 시 군역 전체(북한 행정구역 기준)가 표시되는 몇 안되는 북한의 행정구역이다. 다른 북한의 행정구역들은 대부분 중심 시가지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평양시조차 구글 지도로 검색하면 시가지 영역만 비춰주는 것을 고려하면 상당히 의외.

강원도를 흔히 서울의 동쪽에 있는 도로 인식하지만, 이천군은 대부분의 영역이 경복궁보다도 서쪽에 있다. 이북5도, 북한 행정구역 전부 다. 그리고 이천군의 최서단이 서울의 최서단보다 더 서쪽에 있다.

8.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편집]




[1] 경기도의 이천은 利川이고 강원도의 이천은 伊川이다.[2] 당시 강원도 이천군은 군청 소재지가 이천이었고, 경기도 이천군(이천시)은 군청소재지가 이천(1938년에 읍내면에서 승격되며 개칭)이었다는 차이도 있다.[3]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 때 기준으로 한국 한자음으로 된 지명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을 경우에도 강원도 이천군은 센(Isen)이 되고, 경기도 이천시는 센(Risen)으로 읽힌다.[4] 이 중 동면, 서면, 안협면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 안협현에 속했던 지역이다.[5] 1944년 호구조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