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덤프버전 :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jpg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000,#fff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편}}}''']]



AFI 선정 100대 영화 (2007년)
파일:미국영화연구소 로고.svg
[ 펼치기 · 접기 ]

1위시민 케인
2위대부
3위카사블랑카
4위레이징 불
5위사랑은 비를 타고
6위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7위아라비아의 로렌스
8위쉰들러 리스트
9위현기증
10위오즈의 마법사
11위시티 라이트
12위수색자
13위스타워즈
14위싸이코
15위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16위선셋 대로
17위졸업
18위제너럴
19위워터프론트
20위멋진 인생
21위차이나타운
22위뜨거운 것이 좋아
23위분노의 포도
24위E.T.
25위앵무새 죽이기
26위스미스씨 워싱턴에 가다
27위하이 눈
28위이브의 모든 것
29위이중 배상
30위지옥의 묵시록
31위몰타의 매
32위대부 2
33위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34위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35위애니 홀
36위콰이 강의 다리
37위우리 생애 최고의 해
38위시에라 마드레의 황금
39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40위사운드 오브 뮤직
41위킹콩
42위우리에게 내일은 없다
43위미드나잇 카우보이
44위필라델피아 스토리
45위셰인
46위어느 날 밤에 생긴 일
47위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48위이창
49위인톨러런스
5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51위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52위택시 드라이버
53위디어 헌터
54위M.A.S.H.
55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56위죠스
57위록키
58위황금광 시대
59위내슈빌
60위인 더 수프
61위설리반의 여행
62위청춘낙서
63위카바레
64위네트워크
65위아프리카의 여왕
66위레이더스
67위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68위용서받지 못한 자
69위투씨
70위시계태엽 오렌지
71위라이언 일병 구하기
72위쇼생크 탈출
73위내일을 향해 쏴라
74위양들의 침묵
75위밤의 열기 속에서
76위포레스트 검프
77위모두가 대통령의 사람들
78위모던 타임즈
79위와일드 번치
80위아파트 열쇠를 빌려드립니다
81위스파르타쿠스
82위선라이즈
83위타이타닉
84위이지 라이더
85위오페라의 밤
86위플래툰
87위12인의 성난 사람들
88위베이비 길들이기
89위식스 센스
90위스윙 타임
91위소피의 선택
92위좋은 친구들
93위프렌치 커넥션
94위펄프 픽션
95위마지막 영화관
96위똑바로 살아라
97위블레이드 러너
98위양키 두들 댄디
99위토이 스토리
100위벤허
같이 보기: 영화, 사랑 영화, 뮤지컬 영화, 영감을 주는 영화, 배우, 영화 음악, 명대사




엠파이어 매거진 선정 100대 영화
파일:empire 100 greatest movies.jpg
[ 펼치기 · 접기 ]

10위권 영화 목록
01위대부
02위제국의 역습
03위다크 나이트
04위쇼생크 탈출
05위펄프 픽션
06위좋은 친구들
07위레이더스
08위죠스
09위스타워즈
10위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역대 휴고상 시상식
파일:휴고상 로고.svg
최우수 드라마틱 프리젠테이션
제48회
(2001년)
제49회
(2002년)
제50회[1]
(2003년)
와호장룡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Conversations with Dead People"

역대 네뷸러상 시상식
파일:네뷸러상 로고.png
최우수 각본
제37회
(2001년)
제38회
(2002년)
제39회
(2003년)
와호장룡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판타지 영화상
제27회
(2000년)
제28회
(2001년)
제29회
(2002년)
프리퀀시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1] 2003년부터는 "장편" 부문과 "단편"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기 시작했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2001)
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파일:external/00ba504cd70f9aa15b035679fbc51b377e25c9974ce0fa73dc03fb4f1e1e5da7.jpg
원판 포스터
장르판타지, 모험, 액션
감독피터 잭슨
제작피터 잭슨
팀 샌더스
베리 오스본
프랜 월시
각본피터 잭슨
프랜 월시
출연일라이저 우드, 이안 맥켈런, 비고 모텐슨
음악하워드 쇼어
촬영앤드류 레스니
제공사파일:미국 국기.svg 뉴 라인 시네마
제작사파일:호주 국기.svg WingNut Films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원엔터테인먼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영화사 오원[확장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재개봉]
배급사파일:미국 국기.svg 뉴 라인 시네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시네마 서비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디스테이션[확장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재개봉]
스트리밍파일:wavve 로고.svg | 파일:왓챠 로고.svg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12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2년 1월 1일[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월 11일[확장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3월 11일 [재개봉]
상영 시간 178분
228분[확장판]
제작비 9,300만 달러[2]
북미 박스오피스 $313,364,114 (최종)
월드 박스오피스 $871,530,324 (최종)
대한민국 총 관객수 3,870,000명 (추정)[3]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PG-13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등장인물
5. 평가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피터 잭슨 감독이 연출을 맡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다.


2. 예고편[편집]







3. 등장인물[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사운드트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사운드트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편집]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the-lord-of-the-rings-the-fellowship-of-the-ring, 메타크리틱_critic=92, 메타크리틱_user=9.1,
로튼토마토=the_lord_of_the_rings_the_fellowship_of_the_ring, 로튼토마토_tomato=91, 로튼토마토_popcorn=95,
IMDb=tt0120737, IMDb_user=8.8,
IMDb_list=IMDb Top 250, IMDb_rank=9, ## IMDb_date=,
레터박스=the-lord-of-the-rings-the-fellowship-of-the-ring, 레터박스_user=4.3,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69, ## 레터박스_date=,
왓챠=mP5mPzd, 왓챠_user=4.1,
)]
3부작의 시작점을 훌륭하게 끊으며 당시 국내에서 387만 명의 관객을 끌어모으며 사상 최대의 판타지 붐을 이끌어낸 영화. 중견 배우부터 다소 알려지지 않은 무명배우까지 유명세에 기대지 않고 배우 본연의 이미지와 연기력을 통해 기용한 결과 주조연 모두가 캐릭터에 빙의한 듯한 멋진 연기를 펼쳤으며, 덕업일치 제작진의 온갖 노고가 들어간 CG 작업과 배경묘사는 영화의 배경인 가운데땅이 그저 가상의 공간이 아니라 어딘가에 진짜로 실존하는 세계라는 것 같은 핍진성을 부여한다. 하워드 쇼어의 서정적이고도 장엄한 OST는 각 종족과 인물의 테마별로 다르게 작곡되어 멜로디가 다양함에도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진성 톨키니스트인 감독 피터 잭슨은 이 모든 요소들에 박진감 넘치는 액션과 뉴질랜드의 장대한 자연경관이 녹아든 서사를 더하여 그야말로 대작을 만들어냈다.

개봉 후 2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다른 판타지 영화들과 결을 달리하는 걸작으로, 사실상 오늘날까지도 판타지 블록버스터 시리즈의 1편으로 내세우다 후속작은 고사하고 흥행에 실패한 영화들이 저지른 온갖 실수(대사로 때우는 세계관, 캐릭터의 몰입감 저하, 빈약한 스토리 연출)들을 이미 해결해낸 영화다. 이는 다른 영화들과 달리 원작이 원작인데다 애초에 제작사가 3부작을 염두에 두고 만든 작품인 만큼 이야기의 완성도적 측면에서 검증된 작품이기도 했지만, 영화 연출에 있어 세계관을 설명하기보다 보여준다는 시네마적 기법을 우선하여 관객들이 스스로 상상하고 납득할 수 있게 했기 때문이다. 그 예로 프롤로그부터가 남다른데, 원작을 접하지 않은 일반 관객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법한 절대반지의 탄생 배경과 그 사이에 얽힌 대전쟁을 갈라드리엘의 간결한 나레이션과 함께 보여주며 가운데땅의 세계관을 관객에게 소개한다. 이후에도 원정대원 중 여행 경험이 많은 간달프와 아라고른에게 가이드 역할을 맡김으로서 작품의 공간에 대한 묘사를 광활한 배경과 함께 자연스럽게 처리하며, 모험을 처음 겪는 프로도를 비롯한 호빗들에게 관객이 이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호빗들의 삶을 완벽하게 재현한 샤이어, 요정의 숨겨진 낙원처럼 묘사되는 깊은골로슬로리엔, 난쟁이들의 쇠락한 도시 모리아 등에 세밀한 미술적 묘사와 OST를 더하였는데, 여기에 투입된 제작진과 감독의 노고는 단순히 영화 연출에 필요한 배경묘사로 끝나는 정도가 아니라 가히 덕업일치를 이루고자 하는 장인정신의 수준이었다. 한편 절대반지 속에 깃든 불길에 휩싸인 사우론의 눈의 환영과 나즈굴의 괴성, 어둠 속의 골룸의 그림자 등 공포영화를 연상케 하는 요소들을 집어넣어, 하이 판타지 영화 속에서 악의 세력이 이 세계에서 얼마나 실존적으로 무시무시한 존재인가를 관객에게 각인시킨다. 발록과 오크, 트롤, 우르크하이 등의 괴물들 또한 싱겁게 리타이어당하는 빌런이 아니라 오늘날의 블록버스터 영화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는 강렬한 임팩트를 한 번씩 보여준다.

결정적으로 아홉 명이나 되는 작품의 주역인 반지 원정대의 묘사 또한 비중 배분과 각자의 캐릭터성 묘사가 훌륭하게 이루어졌으며, 이 역시 단순 소개가 아니라 캐릭터를 연구한 배우가 디테일을 더해 보여줌으로서 그 매력을 한층 부각시켰다. 네 명이나 되는 호빗도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꼬장꼬장하지만 다정한 마법사 간달프와 후줄근한 외모 속에 왕의 운명을 감춘 인간 아라고른, 아름답고 우아한 요정 레골라스, 호쾌한 개그 캐릭터인 난쟁이 김리 등은 이후 대부분의 판타지 배경 대중매체에서 하나의 시각적 클리셰가 될 정도.

특히 시종일관 내부의 적으로 묘사되어 관객들에게 호불호가 갈렸던 보로미르의 경우 확장판까지 보게 되면 오히려 1편의 최대 수혜자이기도 하다. 작중에서 인격과 전투력, 경험까지 완벽초인으로 묘사되는 아라고른과 달리 곤도르군을 통솔하는 대장일지언정 인간에 불과한 보로미르는 작중 다른 등장인물에 비해 심적 고뇌와 반지에 대한 욕망을 자주 표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반지의 강력한 영향력을 관객에게 실감케 하는 요소임과 동시에 원정대의 여정에 제동을 거는 내부의 적의 모습이기도 하다. 그러면서도 백성과 국가에 대한 절절한 애국심을 보여주며 이종족들 중에서 호빗들과 가장 친밀하게 지내기도 하는 등 인간미가 넘치고, 욕망을 뿌리치지 못한 실수를 만회하고자 호빗들을 지키다 장렬히 싸우다 전사함으로서 안타까움과 감동을 남겼다. 원작에서 2부 초반에 아라고른에게 발견되어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달리 영화판에서는 1편의 결말에서 다수의 우르크하이들과의 전투 끝에 전사하는 모습이 장렬하게 묘사된다. 또한 주인공 중 하나인 아라고른은 자신의 내적 고민[4]이었던 '왕의 귀환'을 보로미르의 죽음으로 비로소 결심하게 된다. 시리즈 전체에 감정적인 전환점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6. 기타[편집]


간달프가 빌보 집에서 대들보에 이마를 찧는 장면은 진짜로 대들보를 못 보고 고개 돌리다 찧은 것, 그러니까 NG컷이 쓰였다고 알려졌느나, 후에 이안 맥켈런의 인터뷰에 의하면 어느 정도는 계산된 움직임이라고 밝혔다.

우르크-하이들과의 전투 장면 중 아라고른러츠가 던진 칼을 쳐내는데, 사실 빗겨던져야 하는 걸 실수로 직통으로 던진건데 비고 모텐슨이 순발력을 발휘해 쳐 버린 거다. 심지어 이 때 단검은 스턴트맨들에게 쓴 플라스틱 모형이 아니라 진짜 단검이라서 잘못했으면 크게 다칠 뻔한 상황이었다. 스턴트맨들도 하질 못한 걸 비고 모텐슨이 한방에 해버린 것이다.


7. 둘러보기[편집]






피터 잭슨 감독 장편 연출 작품
(다큐멘터리 제외)
[ 펼치기 · 접기 ]

파일:Bad Taste Logo.png파일:Meet the Feebles Logo.png파일:Braindead logo.png
파일:Heavenly Creatures Logo.png파일:The Frighteners Logo.png파일:The Lord of the Rings The Fellowship of the Ring Logo.png
파일: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Logo.png파일:The Lord of the Rings The Return of the King Logo.png파일:King Kong 00s Logo.png
파일:The Lovely Bones Logo.png파일:The Hobbit An Unexpected Journey Logo.png파일:The Hobbit The Desolation of Smaug Logo.png
파일:The Hobbit The Battle of the Five Armies Logo.png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No. 1-25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라이온 킹나랏말싸미타짜: 원 아이드 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파일:OGT1.jpg
파일:OGT2.jpg
파일:OGT3.jpg
파일:OGT4.jpg
파일:OGT5.jpg
No. 1

2019. 7. 4.
No. 2

2019. 7. 19.
No. 3

2019. 7. 24.
No. 4

2019. 9. 11.
No. 5

2019. 9. 25.
조커말레피센트 2날씨의 아이겨울왕국 2포드 V 페라리
파일:OGT6.jpg
파일:OGT7.jpg
파일:OGT8-1.jpg
파일:OGT9.jpg
파일:OGT10.jpg
No. 6

2019. 10. 2.
No. 7

2019. 10. 17.
No. 8

2019. 10. 30.
No. 9

2019. 11. 21.
No. 10

2019. 12. 4.
캣츠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남산의 부장들버즈 오브 프레이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파일:OGT11.jpg
파일:OGT12.jpg
파일:OGT13.jpg
파일:OGT14.jpg
파일:OGT15.jpg
No. 11

2019. 12. 24.
No. 12

2020. 1. 8.
No. 13

2020. 1. 22.
No. 14

2020. 2. 5.
No. 15

2020. 2. 19.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반도다만 악에서 구하소서테넷뮬란
파일:OGT16.jpg
파일:OGT17.jpg
파일:OGT18.jpg
파일:OGT19.jpg
파일:OGT20.jpg
No. 16

2020. 6. 17.
No. 17

2020. 7. 15.
No. 18

2020. 8. 5.
No. 19

2020. 8. 26.
No. 20

2020. 9. 17.
원더우먼 1984소울톰과 제리미나리자산어보
파일:OGT21.jpg
파일:OGT22.jpg
파일:OGT23.jpg
파일:OGT24.jpg
파일:OGT25.jpg
No. 21

2020. 12. 23.
No. 22

2021. 1. 20.
No. 23

2021. 2. 24.
No. 24

2021. 3. 3.
No. 25

2021. 3. 31.
⠀[ No. 26-50 ]⠀
서복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크루엘라루카인 더 하이츠
파일:OGT26.jpg
파일:OGT27.jpg
파일:OGT28.jpg
파일:OGT29.jpg
파일:OGT30.jpg
No. 26

2021. 4. 15.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17.
No. 30

2021. 6. 30.
블랙 위도우정글 크루즈더 수어사이드 스쿼드프리 가이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OGT31.jpg
파일:OGT32.jpg
파일:OGT33.jpg
파일:OGT34.jpg
파일:OGT35.jpg
No. 31

2021. 7. 14.
No. 32

2021. 7. 28.
No. 33

2021. 8. 4.
No. 34

2021. 8. 11.
No. 35

2021. 9. 1.
007 노 타임 투 다이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고장난 론이터널스
파일:OGT36.jpg
파일:OGT37.jpg
파일:OGT38.jpg
파일:OGT39.jpg
파일:OGT40.jpg
No. 36

2021. 9. 29.
No. 37

2021. 10. 13.
No. 38

2021. 10. 20.
No. 39

2021. 10. 27.
No. 40

2021. 11. 10.
유체이탈자리슨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파일:OGT41.jpg
파일:OGT42.jpg
파일:OGT43.jpg
파일:OGT44.jpg
파일:OGT45.jpg
No. 41

2021. 11. 24.
No. 42

2021. 12. 9.
No. 43

2021. 12. 15.
No. 44

2021. 12. 22.
No. 45

2022. 1. 12.
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더 배트맨모비우스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OGT46.jpg
파일:OGT47.jpg
파일:OGT48.jpg
파일:OGT49.jpg
파일:OGT50-1.jpg
No. 46

2022. 1. 26.
No. 47

2022. 2. 9.
No. 48

2022. 3. 1.
No. 49

2022. 3. 30.
No. 50

2022. 4. 13.
⠀[ No. 51-75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버즈 라이트이어탑건: 매버릭
파일:OGT51.jpg
파일:OGT52.jpg
파일:OGT53.jpg
파일:OGT54.jpg
파일:OGT55.jpg
No. 51

2022. 5. 11.
No. 52

2022. 5. 18.
No. 53

2022. 6. 1.
No. 54

2022. 6. 15.
No. 55

2022. 6. 25.
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미니언즈 2비상선언헌트
파일:OGT56.jpg
파일:OGT57.jpg
파일:OGT58.jpg
파일:OGT59.jpg
파일:OGT60.jpg
No. 56

2022. 6. 29.
No. 57

2022. 7. 13.
No. 58

2022. 7. 20.
No. 59

2022. 8. 3.
No. 60

2022. 8. 10.
오펀: 천사의 탄생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블랙 아담원피스 필름 레드아바타: 물의 길
파일:OGT61.jpg
파일:OGT62.jpg
파일:OGT63.jpg
파일:OGT64.jpg
파일:OGT65.jpg
No. 61

2022. 10. 12.
No. 62

2022. 10. 15.
No. 63

2022. 10. 19.
No. 64

2022. 11. 30.
No. 65

2022. 12. 21.
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바빌론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대외비
파일:OGT66.jpg
파일:OGT67.jpg
파일:OGT68.jpg
파일:OGT69.jpg
파일:OG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18.
No. 68

2023. 2. 1.
No. 69

2023. 2. 15.
No. 70

2023. 3. 1.
스즈메의 문단속샤잠! 신들의 분노에어존 윅 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일:OGT71.jpg
파일:OGT72.jpg
파일:OGT73.jpg
파일:OGT74.jpg
파일:OGT75.jpg
No. 71

2023. 3. 8.
No. 72

2023. 3. 15.
No. 73

2023. 4. 5.
No. 74

2023. 4. 12.
No. 75

2023. 4. 26.

⠀[ No. 76-100 ]⠀

드림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슬픔의 삼각형인어공주범죄도시3
파일:OGT76.jpg
파일:OGT77.jpg
파일:OGT78.jpg
파일:OGT79.jpg
파일:OGT80.jpg
No. 76

2023. 4. 29.
No. 77

2023. 5. 3.
No. 78

2023. 5. 17.
No. 79

2023. 5. 24.
No. 80

2023. 5. 31.
플래시엘리멘탈보 이즈 어프레이드바비밀수
파일:OGT81.jpg
파일:OGT82.jpg
파일:OGT83.jpg
파일:OGT84.jpg
파일:OGT85.jpg
No. 81

2023. 6. 14.
No. 82

2023. 6. 21.
No. 83

2023. 7. 5.
No. 84

2023. 7. 19.
No. 85

2023. 7. 26.
콘크리트 유토피아오펜하이머베니스 유령 살인사건크리에이터화란
파일:OGT86.jpg
파일:OGT87.jpg
파일:OGT88.jpg
파일:OGT89.jpg
파일:OGT90.jpg
No. 86

2023. 8. 9.
No. 87

2023. 8. 15.
No. 88

2023. 9. 13.
No. 89

2023. 10. 4.
No. 90

2023. 10. 11.
블루 자이언트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더 마블스서울의 봄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OGT91.jpg
파일:OGT92.jpg
파일:OGT93.jpg
파일:OGT94.jpg
파일:OGT95.jpg
No. 91

2023. 10. 18.
No. 92

2023. 10. 25.
No. 93

2023. 11. 8.
No. 94

2023. 11. 22.
No. 95

2023. 12. 20.
노량: 죽음의 바다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
파일:OGT96.jpg
파일:OGT97.jpg
No. 96

2023. 12. 23.
No. 97

2023. 12. 27.

⠀[  Re.  ]⠀

라라랜드콜 미 바이 유어 네임위플래쉬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파일:OGTR1.jpg
파일:OGTR2.jpg
파일:OGTR3.jpg
파일:OGTR4-1.jpg
파일:OGTR4-2.jpg
Re. 1

2020. 3. 25.
Re. 2

2020. 6. 11.
Re. 3

2020. 10. 28.
Re. 4

2021. 3. 11.
Re. 4

2021. 3. 18.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러빙 빈센트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너의 이름은.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OGTR4-3.jpg
파일:OGTR5.jpg
파일:OGTR6-1.jpg
파일:OGTR7.jpg
파일:OGTR8-1.jpg
Re. 4

2021. 3. 18.
Re. 5

2021. 3. 17.
Re. 6

2021. 5. 5.
Re. 7

2021. 9. 9.
Re. 8

2021. 9. 15.
그래비티호빗 3부작화양연화중경삼림사랑은 비를 타고
파일:OGTR9.jpg
파일:OGTR10.jpg
파일:OGTR11.jpg
파일:OGTR12.jpg
파일:OGTR13.jpg
Re. 9

2021. 10. 6.
Re. 10

2021. 11. 18.
Re. 11

2022. 2. 24.
Re. 12

2022. 4. 20.
Re. 13

2022. 9. 21.
브이 포 벤데타타이타닉해피 투게더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샤이닝
파일:OGTR14.jpg
파일:OGTR15.jpg
파일:OGTR16.jpg
파일:OGTR17.jpg
파일:OGTR18.jpg
Re. 14

2022. 11. 2.
Re. 15

2023. 2. 8.
Re. 16

2023. 4. 1.
Re. 17

2023. 5. 27.
Re. 18

2023. 6. 28.
오즈의 마법사다크 나이트겨울왕국헤드윅
파일:OGTR19.jpg
파일:OGTR20.jpg
파일:OGTR21.jpg
파일:OGTR22.jpg
Re. 19

2023. 9. 9.
Re. 20

2023. 11. 15.
Re. 21

2023. 11. 30.
Re. 22

2023. 12. 6.

⠀[  Special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1:13:15에 나무위키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확장판] A B C D [재개봉] A B C [1] 2001년 12월 31일 유료 시사회 형태로 전야 개봉했으며 정식 개봉일은 2002년 1월 1일이다.[2] 한화로 약 1125억원[3] 당시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35,758명으로 표시되어 있었다.[4] 물론 영화판 한정이다. 소설에서 아라고른은 돌아갈 때를 기다리는 왕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