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NH90

덤프버전 :



파일:NH90_4.jpg
NHIndustries NATO Helicopter 90

1. 개요
2. 제원
3. 개발 경위
4. 통합법인의 생산업무분담과 시제기 개발
5. 문제점
6. 해결된 문제점
7. 파생형
7.1. NH90 TTH
7.1.1. NH90 SOF
7.2. NH90 NFH
7.2.1. NH90 Sea Lion
7.3. NH90 MITT
8. 운용
9.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NH90은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서유럽 4개국이 공동으로 개발한 다용도 헬리콥터이다.

NH90은 하나의 기본형에서 NATO 해군 호위함용 대잠 헬리콥터인 NFH(Nato Frigate Helicopter)형과 전술수송형 헬리콥터 TTH(Tactical Transport Helicopter)형으로 개발되었는데 유럽 통일기종이자 육해군 공용 헬리콥터로 상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대체로 미국UH-60과 용도와 기체 크기가 비슷하며 기본성능은 비슷하거나 약간 우월한 수준이다.[1] 최대이륙중량면에서 UH-60보다 조금 낫지만, c-130으로 수송가능해야 한다는 조건은 없기 때문에(게다가 C-160과 A400M의 화물칸은 C-130보다 훨씬 높다), 캐빈 용적이 크고 높이가 높고 후방 램프가 있어 탑승객들의 편의가 조금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2. 제원[편집]


NHIndustries NH90
개발사NHIndustries
제조사NHIndustries
첫 비행1995년 12월 18일
생산기간1995년~현재
생산댓수501대(2023년 6월 19일 기준)
배치기간2007년~현재
전장동체 : 16.13 m
날개 포함 : 19.56 m
전폭꼬리날개 포함 : 4.61 m
날개 포함 : 16.30 m
전고5.31 m
회전면적163 m²
공허중량6,400 kg
적재중량4,200 kg
연료적재중량2,035 kg
최대이륙중량10,600 kg
엔진Rolls-Royce Turbomeca RTM322-01/9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General Electric T700-T6E 터보샤프트 엔진 x2기
엔진출력Rolls-Royce RTM322-01/9
2,230 HP (x2 4,460 HP)
GE T700-T6E
2,115 HP (x2 4,230 HP)
순항속력260 km/h
최대속력300 km/h
항속거리982 km
2,500 kg의 화물 탑재 시
900 km
페리항속거리외부연료탱크 탑재 시
1,600 km
최대비행시간5시간
분당상승률11.2 m/s
실용상승한도6,000 m
수송능력승객 20명, 들것 환자 12명 및 또는 NATO 팔레트 2개
무장기관총도어 거치식 기관총 x2기[2]
미사일 (NFH형 기준)대잠어뢰[3]/대함 미사일 장착[4]
승무원2명+


3. 개발 경위[편집]


개발계획이 등장한 시기는 1983~1984년 경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5년에 NATO 5개 국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이 소련에 대항하는 공동작전의 효율성과 예산절감에 공감하면서 공동개발에 합의하였으나 1987년 영국이 탈퇴하였고 4개국만이 진행했다. 1990년 12월에 개발비 분담 등이 명시된 공동개발각서에 조인하면서 본격적으로 사업이 시작되었다.

1992년 2월에는 NAHEMA(NATO Helicopter Management Agency)가 설치되어 4개국을 대표하고 조율할 통합기관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4. 통합법인의 생산업무분담과 시제기 개발[편집]


NAHEMA 설치 이후 NH90 사업을 위한 4개국 통합 회사인 NH인더스트리(NHI)가 발족해서 4개 회사가 분업 지분은 이탈리아의 아구스타 28.2%, 프랑스의 유로콥터 41.6%, 독일의 유로콥터 23.7%, 네덜란드의 포커 6.5%로 구성되었다.[5] NHI는 개발과 생산 프로그램 관리, 마케팅과 판매 등 NH90에 대한 모든 것을 책임졌다.

사업의 주계약자는 NHI이지만 각 회사에서 분담하여 개발 및 생산한다.

  • 이탈리아 아구스타 - 메인 기어 박스, 유압 시스템, 자동 비행 조절 시스템, 공장 설비 관리 시스템, NFL(해군) 미사일 시스템 통합, GTV 지상 테스트용 비클, PT5 프로토타입 최종 조립 및 비행 테스트 부분이며 두번째 엔진(T700-T6E)에 대한 권한 부여

  • 프랑스 유로콥터 - 동체 앞부분 개발, 콕핏, 엔진, 로우터, 꼬리 기어 박스, 전자제어 시스템, 비행 조절 시스템 및 주요 항법 시스템으로 마지막 조립과 PT1, PT2, PT3(ProtoType을 의미) 비행 테스트

  • 독일 유로콥터 - 동체 중앙부와 후미부, 연료 시스템, 통신 시스템, 화상 및 컨트롤 유니트(버스(BUS) 컨트롤러), 일반 미사일 시스템, TTH(Tactical Transport Helicopter - 전술 수송 헬리콥터) 미사일 통합 시스템, PT4 최종 조립 및 비행 테스트

  • 네덜란드 포커 - 후미 구조물, 도어 및 부주/포좌, 랜딩 기어, 중앙 기어 박스, 풍동 테스트.

1993년부터 본격적인 헬리콥터 설계를 실시하여 최신기술의 적용으로 각종 항법장치의 디지털화, 동체에 복합소재 채용과 레이더에 대한 스텔스 설계, 기존 헬리콥터에 비해 40% 가량 줄어든 소음 감소 설계 등이 적용되었다.

프로토타입의 개발에 있어서도 주요 개발 국가인 프랑스와 이탈리아, 그리고 독일이 서로 나누어 개발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시제기인 PT1~3까지는 프랑스, PT4는 독일, PT5는 이탈리아가 만들기로 되어있었다. 첫번째 시제기인 PT1은 1995년 12월 18일에 처녀비행이 이루어졌는데, 롤스로이스-터보메카 합작의 RTM 322 엔진을 장착한 상태로 항속거리 및 기술실증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1997년 3월 13일에는 제너럴 일렉트릭 사에서 만든 T700-T6E1 엔진을 장착하여 시험용으로 운용되었다.

두번째 시제기인 PT2는 NH90에 적용되는 플라이-바이-와이어(FBW)와 에비오닉스 기술에 대한 실증용으로 개발되어 1997년 3월 19일에 시험비행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998년 11월 21일에 비행한 세번째 시제기인 PT3에 와서 FBW에 대한 최종 기술 실증이 이루어졌다. 참고로 PT1에서 부터 NH90의 함상 운용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는데, 1998년 7월 22일에 프랑스 해군의 라파예트급 호위함 쿠르베(Courbet)의 함미 갑판에서 이착륙하는 것으로 NH90의 함상 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T4는 1999년 5월 31일 에어버스 도이칠란트에서 NH90의 다목적 전술 수송형인 TTH의 시제기로 만들어져 운용되었다. 그리고 NFH의 시제기에 해당되는 PT5는 이탈리아의 아구스타사에서 만들어져 이탈리아 해군에서 실험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중에는 스웨덴의 요구에 따라 기체 캐빈의 크기를 늘리고 높이를 높인 HCV형의 시제기를 만들어 선보이기도 하였다. 그렇게 NH90의 기술실증은 어느 정도 마무리되었다.

이후 2000년 6월 4개국은 양산화에 합의하고 6월 30일 첫 양산분 298대를 발주하였다. 2001년에는 포르투갈과 스웨덴이 NH90의 공동개발에 지분을 투자하였다. 그렇게 주요개발국인 프랑스와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그리고 스웨덴과 포르투갈까지 2000년대 초반에 NH90의 개발과 도입에 참가하였고, 그 뒤에 호주와 스페인까지 합류하면서 NHI의 NH90 개발 및 인도를 시작하게 되었다.


5. 문제점[편집]


최초 개발시에는 워낙 제작사들의 이름값도 있고, 스펙도 좋은지라 큰 기대를 모았으나, 실제로는 베이퍼웨어였다. 2013년 중순 시점에서도 자잘한 문제를 고치지 못하고 기체 인도가 심각하게 지연되는 상황이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 스웨덴은 2001년에 NH90을 각각 TTT형 9기와 ASW형 9기, 총 18대를 주문했는데 2011년까지 6대 도착. 2019년 8월이 돼서야 18기 모두 도착하였다. 주로 대잠 임무 및 수송 임무를 위하여 도입하였고, UH-60M을 도입한 이유가 NH90을 대신하기 위함이라고 잘못 알려졌었는데 UH-60M의 경우에는 대외파병임무에서의 작전을 위해서였다.

  • 네덜란드는 해군과 공군을 위해 20대를 주문했는데, 2013년까지 7대를 받고, 아직도 13대가 남았다. 게다가 인도받은 해군형이 원래 설계보다 무게가 훨씬 나가서 네덜란드 해군 구축함에서 운용하기 힘들어졌는데 무게가 왜 늘어난 것인지조차 파악이 안 된다고 한다.

  • 이탈리아는 NH90 지분의 수십 %를 가지며 부품 자체생산을 하는 아구스타 공장이 있는 곳이고 2000년에 육군이 60대, 해군이 40대를 주문한 최대 주문 고객이다. 2013년까지 육군에 19대, 해군에 3대가 들어갔다. 인도율은 13년 동안 육군 30%, 해군 7.5%.

  • 뉴질랜드는 2006년에 8대를 주문했고, 2013년까지 3대 도착. 7년 동안 인도율 50% 미만.

  • 스페인은 2006년에 계약서를 작성한 뒤 2014년 첫 기체를 인도받았다.

게다가 현재까지 인도된 NH90은 원래 예상한 성능을 100% 발휘하는 것도 아닌, 초기형에 해당하는 기체들이다. 현재 계획은 생산과 업그레이드를 병행하는 것으로, 초기 생산형 기체들은 향후 개량사업을 따로 펼칠 예정이다. 그러나 2015년에 NHI 측에서 NH90 체계 개발의 최종완성을 선언하게 되었고, 2022년에 NH90에 대한 중기수명연장 및 개량 계획이 결정되면서 이러한 문제들도 점차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초 Bild의 보도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있다고 한다. 해당 보도에 의하면 독일 연방군에 인도된 NH90은 비록 초기형인 것을 감안해도 황당한 문제점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 좌석위에 앉는 인원의 몸무게와 군장 총합이 무게 110kg이 넘으면 탈 수 없다.

  • 내부공간 설계가 이상해서, 각종 장비와 군장을 그냥 헬리콥터 바닥에 놔둬야 하는데, 당연하다는듯이 고정도 안되고, 심지어 탑승실의 바닥이 너무 약해서 전투화에 손상된다.

  • 레펠을 이용한 특수부대 투입 등도 불가능하다.[6]

  • 병력이 타고 내리는 측면 도어 설계가 잘못되어, 여기에 기관총을 거치하면 타고 내리지를 못한다. NH90의 옆문은 슬라이드식으로 수리온의 원판인 쿠거 계열처럼 앞으로 밀어서 연다. 그래서 폰툰 겸 보조 연료 탱크를 장착하는데는 편하지만 도어 앞 전방동체에 공간이 있음에도 창에 도어건을 달지 못하고 폰툰 위 창에 달자니 하방시야가 제한된다. 수리온의 주요 개량 중 하나로 옆문을 뒤로 밀어 열고 조종석 뒤 창에 도어건을 거치하도록 한 것을 생각하자.

  • 후방 램프로 완전군장을 맨 장병들이 올라타고 내릴 경우 후방 램프가 파손될 정도로 후방도 약하다. 원래는 인원은 물론이고 특수부대용 소형 기동차량[7]과 전술수송용 규격화물까지 쉽게 싣고 내릴 수 있도록 의도해 만든 램프였다.

여기에 대해서 독일 육군은 프로토타입을 가지고 실험한 것이라서 나중에 달라질 수 있다고 했으나, 이후 보고에서도 엔진을 끈 뒤 한참이 지나도 엔진에서 어마어마한 열이 발생하여 컴프레스 블레이드 날이 휜다든가, 콤프레서 오일쿨러 팬이 고장난다든가, 윈드실드에 금이 가거나 탑승실 바닥이 망가지는 문제가 발견되었다. 해군형 역시 해상탐색 레이더를 비롯해 문제점이 있다.

네덜란드에서 도입한 NH90 중 해상에서 운용한 기체의 부식이 심각했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국에서는 이런 문제점들이 알려지기 이전에 단순 스펙 비교만으로 NH90을 도입하자는 밀리터리 매니아들의 의견이 있었는데, 어차피 값도 비싼 판이라 문제점들이 알려진 이후 도입 지지 의견이 쏙 들어갔다. 게다가 사실 재원표상 성능 역시 UH-60M형 등 최신 개량형과 비교하면 그렇게 압도적인 것도 아니고, 가격 경쟁력이 좋은 것도 아니었다. UH-60에 비해 캐빈 활용도가 높은 디자인[8]에 사람이 많이 탄다는 장점이 있으나 위에 나온 단점들때문에 그걸로 끝...이긴 하지만 아직 그렇게 생각하기에는 이르다.

2021년 12월 10일 호주 국방부에서 육군과 해군에서 운용 하는 MRH-90 타이판을 퇴역시키고 육군용은 UH-60 블랙 호크, 해군용으로는 MH-60 시호크로 전량 대체할것을 발표하였다.# 여기에는 상당한 유지비가 한몫 한 것으로 보이는데 시간당 유지비가 35000달러에서 50000달러로 증가했다고 한다. 참고로 5세대 전투기인 F-35의 시간당 유지비가 4만달러가 안된다.War-zone 기사 참고로 경쟁자인 블랙호크와 시호크의 시간당 유지비는 1/10도 안되는 각각 평균 3000달러, 5000달러 수준이다.#1,#2

2022년 6월 10일에 노르웨이 정부가 NH90을 환불 조치하고 계약을 해지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때 제시된 이유들을 보면 예정된 일자에 약속된 수량이 인도되지 않았단 것과, 목표 성능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으로, 소량을 운용하는 국가들에선 여전히 위의 문제점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NHI 측에서는 제기된 문제점에 대해서 부인하며, 이러한 계약 해지 결정은 법적 근거가 없다며 반발하는 중이다.


6. 해결된 문제점[편집]


2010년대 중반부터는 기존에 있던 NH90의 문제가 많이 줄어들어 그럭저럭 운용되고 있다. 위에서 말했던 네덜란드 왕립해군 소속 NH90 NFH같은 경우에는 방염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녹슨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이 문제는 NH 인더스트리에서 방염처리를 다시 해준 덕분에 지금은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정비 문제 같은 경우에는 NH 인더스트리 측에서 운용국 정비인원들을 교육시키고 자문을 담당한 덕분에 많이 해결된 편이다. 네덜란드 왕립 해군 같은 경우에는 정비인원들이 NH 인더스트리의 도움을 받아가면서 노하우를 축적했고, 실제로 모 항공잡지에 실려있는 네덜란드 해군 소속 대위의 인터뷰에 의하면 지금은 정비인원들이 NH 인더스트리 측의 도움 없이도 잘 해내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저조했던 부품 수급 문제는 2015년 부터 NH90 생산공정이 본격적으로 돌아가기 시작하면서 해결되기 시작했다. 핀란드군 소속의 NH90 TTH 같은 경우에는 도입 초기까지만 해도 부품 수급만 해도 7개월씩이나 걸리는데다 NH90 가동률이 19%에 불과하던 것이 2015년 부터 생산 공정이 돌아가기 시작하면서 부품 수급 시간도 단축되었고, 가동률이 50%로 상승하였다. 그리고 2014년에 NH 인더스트리에서 "NH90은 개발단계에서 벗어났다."라고 선언한 이후 생산률도 높아지면서 2014년 6월에 총 200대가 공급되었던 것이 2015년 10월 이후로는 생산률이 높아지면서 공급량이 총 250대로 늘어났다. NH90의 개발이 안정화 단계로 넘어가면서 NH90의 생산을 담당한 프랑스 남부의 공장에서 생산률과 기체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 결과 2015년 말에는 269대가 생산되었고, 2016년에는 300번째 기체[9]를 생산하였으며, 지금 기준(2020년)으로는 383대로 늘어나 기존에 지적되었던 NH90의 조악한 조달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현재(2020년 6월 25일 기준) NH90의 생산댓수는 415대로 2020년 3월 기준 생산량보다 32대 정도 늘어났다.

그리고 NH90에 대해 반드시 빼놓을 수 없는 이야기 중에는 스웨덴이 NH90 18기를 도입하려다가 도입이 늦어져 UH-60을 대신 도입했다는 것이 있는데,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애초에 스웨덴은 NH90과 UH-60을 각자 다른 목적으로 도입한것으로, NH90은 수송임무, 탐색/구조임무를 상정하여 도입한 것이고 UH-60은 대외파병작전 시에 운용할 것을 상정하고 도입한 것이다. 실제로 스웨덴 왕립군은 주문한 NH90 18대에 대한 주문을 취소시키지 않았고, 2020년까지 전부 도입할 것을 발표하였다. 거기다가 2015년 12월에 스웨덴 왕립군이 주문한 NH90 대잠전 임무형의 첫번째 기체를 수령받았고, 2019년 8월 21일에 스웨덴 왕립군이 주문한 HKP14E/F[10]18기 중 마지막 기체가 출고됨으로서 스웨덴의 NH90 도입 취소설은 사실상 논파된 것이나 다름 없게 되었다.[11]

거기다가 물주인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측에서 각각 특수전 헬기와 해상 작전 헬기를 NH90 계열로 선택하여 이를 개발하고, 배치하려고 하는 노력[12][13][14]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중간수명연장 시기에 맞춰 개조하려는 계획도 있는 만큼 운용국들은 아직까지 NH90에 대해 포기할 생각은 없다.

비록 NH90 도입 초기에 여러가지 문제가 많이 터지긴 했고, 헬기 자체가 도입되고 4년 뒤 부터 운용하다 보니 이러한 문제가 늦게 발견된 것은 맞으나 문제들이 주로 발생한 운용국인 독일, 네덜란드에서 크고 작은 문제들이 해결되면서 NH90 TTH/NFH에 대해서 나름 만족하면서 잘 운용하고 있다. 네덜란드 같은 경우에는 카리브해 지역에서 수색/구난 임무에 왕립해군 소속의 NH90을 투입했는데, 임무도 무사히 마쳤고, 그 성과도 상당해서 네덜란드 해군 헬기 조종사들 사이에서는 NH90의 성능에 대해 나름 만족하는 중이고, 독일 연방군 소속의 NH90 TTH 같은 경우에는 아프가니스탄 지역과 말리-니제르 지역에서 의무 후송 임무와 수송임무를 맡았는데, 엔진 문제로 불시착한것 빼고는 큰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임무 수행률도 100%에 달해 관계자들도 꽤나 만족하고 있다. 그 외에도 프랑스, 호주 측에서 운용하는 NH90 같은 경우도 대외 작전에서 나름 제 값을 하면서 도입 초기에 뒤집어 썼던 결함헬기라는 오명을 씻어내는 줄 알았지만, 2023년 9월 결국 호주군 4명이 숨지는 추락사고가 터지자 호주는 다시는 NH90을 띄우지 않기로 결정했다.[15][16]] 호주의 NH90 대체 사업이나 노르웨이의 초유의 환불 요구 같은 사건들을 보면 여전히 기체의 문제점은 상존하고 있으며 막대한 운영비를 들여 울며 겨자먹기로 가동하고 있기에 그나마 이전보다 정상 가동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일 뿐이라고 일축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7. 파생형[편집]



7.1. NH90 TTH[편집]


파일: NH90 TTH.jpg

Tactical Transport Helicopter

NH90의 기본 파생형이며, 전술수송 및 SAR 임무, MEDEVAC/CASEVAC 임무 등 다양한 임무에 사용되는 수송헬기이다. 독일•프랑스•이탈리아•벨기에•호주•스웨덴•스페인•뉴질랜드•핀란드•그리스 등에서 육군항공대/공군[17][18]/해군 항공대[19]에서 운용하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독일 연방군에서는 12대 정도의 NH90 TTH를 MEDEVAC 전용 헬기로 개조하여 2013년 부터 운용하고 있는데, 생명유지장치와 환자를 눕힐수 있는 침상 등 응급후송에 필요한 장비들을 갖추고 있어 아프가니스탄이나 말리 등 분쟁 지역에서 부상자 후송 임무에 투입되고 있다.

7.1.1. NH90 SOF[편집]


파일:NH90 SOF.jpg

Special Operation Forces (가칭)

NH90 제작에 참여했던 프랑스에서 NH90의 특수전 임무형으로 계획하고 개발 하는 파생형. NH90 개발 초기에 공개되었던 추가연료탱크와 후방 창문 기총좌[20]를 부착하였고, 파일럿의 전천후 작전 능력 확보를 향상시키기 위해 탈레스사의 TopOwl HMD 헬멧[21] 과 사프란 일렉트로닉&디펜스(Sapran Electronic&Defence)사의 Eurofl'eye 비행보조센서와 Euroflir 410 전자광학장비를 통합하였다.[22]

기존에 공군 특수전에서 쓰고 있던 EC725 카라칼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2025년까지 시제기 6기를 프랑스 공군 제 4 특수전헬기항공연대에 배치하여 시험할 예정이다. 현재 NHI에서는 NH90 SOF를 호주 국방군에도 홍보하였으며, 독일과 이탈리아 등 NH90을 운용하고 있는 국가에서도 크게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호주 같은 경우에는 기존에 특수전 임무용으로 운용하고 있는 블랙호크를 대체할 목적으로 NH90을 고려하고 있었고, 실제로 2019년 영국 런던에서 열린 국제 군용 헬리콥터 회의(IMHC)에서 호주군 장성인 제레미 킹 준장이 호주군에서 NH90 SOF의 개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한 바도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MRH-90(NH90의 호주 제식명) 2기를 특수전 임무부대에 시험배치하여 운용해보고 있어 프랑스와 함께 NH90 SOF형의 최초 고객이 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NH90 TFRA Standard 2.jpg
2020년 10월, 프랑스군 측에서 제 4 특수작전 항공연대에 공급하기 위한 NH90 특수작전임무형 10대에 대한 도입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NHI와 에어버스에서는 2025년까지 10대의 NH90 특수작전임무형을 프랑스군에게 공급하게 되었다.

7.2. NH90 NFH[편집]


파일:NH90 NFH.jpg

NATO Frigate Helicopter

NH90의 대잠/해상 작전 파생형. 동체 하부에 ENR(European Naval Radar)을 달고 있으며, 디핑소나 투하를 위해 후방 캐빈을 폐쇄시키고, 투하용 장비를 달아놓았다. 참고로 하부 레이더는 도입 국가의 요구에 따라 미국제 레이더[23]를 달 수 있다. 도입 국가는 네덜란드•프랑스•이탈리아•노르웨이•스웨덴•벨기에.[24]

7.2.1. NH90 Sea Lion[편집]


파일:NH90 NMRH.jpg

NMRH(Naval Multi-Role Helicopter)

2019년 부터 배치된 독일 연방해군의 해상수색구난헬기. 기존에 운용하던 SH-3G 씨 킹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해상수색구난 임무를 위해 하부에 ENR을 달고 있으며, 꼬리날개 끝 부분에도 탐색용 레이더를 달고 있다. 독일 연방해군에서 18기를 구입하여 SH-3G 씨 킹을 전량 대체할 예정이다.[25][26]

7.3. NH90 MITT[편집]


파일:NH90 MITT.jpg

Maritime Tactical Transport

해상작전을 위해 TTH를 기본으로 NFH의 특징들을 합친 형태. 해병대 강습 임무나 SAR 임무 등에 투입할 것을 상정하고 개발한 버전이다. NH90의 개발진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회사 아구스타 웨스트랜드에서 총대를 매고 개발하여 2017년 1월에 이탈리아 해군에 인도되었고, 현재까지 총 6대가 이탈리아 해군에 인도되어 운용하고 있다. 비록 경제 위기로 인해 도입수량이 대폭 감소[27]하였지만, 강습상륙함을 운용하고 있는 국가인 스페인 측에서도 해당 파생형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8. 운용[편집]


  • 호주 육군 / 해군 - MRH-90 Taipan (NH90 TTH) 총 47기 운용 중. 향후 UH-60 계열로 대체 예정.
  • 벨기에 항공구성군 / 해상구성군 - NH90 TTH, NH90 NFH 각 4기씩 총 8기 운용 중. NH90 TTH는 H145M으로 대체, NH90 NFH는 1기 추가 도입 예정.
  • 핀란드 육군 - NH90 TTH 총 20기 운용 중.
  • 프랑스 육군 / 해군 - NH90 TTH Caïman 34기, NH90 TNFH Caïman 27기, 총 61기 운용 중.
  • 독일 연방 육군 / 연방 해군 - NH90 TTH 47기, NH90 NMRH Sea Lion 18기, 총 65기 운용 중. 66기 (TTH 35기/NFH(Sea Tiger) 31기) 추가 도입 예정.
  • 네덜란드 해군 - NH90 TTH 12기, NH90 TNFH 8기, 총 20기 운용 중.
  • 노르웨이 공군 - NH90 TTH 총 14기 도입 예정. 총 6기 운용 중. 도입 중단 및 반납 예정
  • 그리스 육군 - NH90 TTH 총 34기 도입 예정. 총 12기 운용 중.
  • 이탈리아 육군 / 해군 - UH-90A (NH90 TTH) 60기[28] MH/SH-90A (NH90 MITT/NH90 NFH) 56기, 총 116기 도입 예정.
  • 뉴질랜드 공군 - NH90 TTH 총 8기 도입[29]
  • 오만 공군 - NH-90 TTH 버전을 총 20기 운용 중.
  • 카타르 공군 / 해군 - NH-90 TTH 16기, NH90 NFH 12기, 총 28기 도입 예정. 향후 TTH 6기, NFH 6기 씩 추가 도입 옵션 가능.
  • 스페인 육군 - HT-29 Caimán (NH-90 TTH) 총 45기 도입 예정.[30]
  • 스웨덴 방위군 항공대 - HKP14E (NH-90 TTT/SAR) 9기, HKP14F (NH-90 SAR/ASW) 9기, 총 18기를 도입.

9.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9.1. 게임[편집]



9.1.1. ARMA 3[편집]


AW101과 뒤섞은듯한 디자인으로 등장.


9.1.2. 콜 오브 듀티 시리즈[편집]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남아메리카 국가연방(South American Federation of Countries)의 주력 중형 수송 헬리콥터로 등장한다.


9.1.3. 엑스컴 시리즈[편집]




9.1.4. 퀀텀 브레이크[편집]


모나크 솔루션 소속으로 등장, 작중 요인 수송, 주인공 수색용으로 등장한다.


9.1.5. 프롬 더 씨[편집]


상점에 NH-90A로 등장한다.


9.1.6. 도미네이션즈[편집]


드론 시대의 전술 헬리콥터 중 선봉 전술 헬리콥터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전술 헬리콥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둘러보기[편집]



파일:에어버스 로고.svg
[ 에어버스 항공기 목록 ]

에어버스 민항기
협동체광동체
쌍발기A220B · A320 패밀리 (A318, A319, A320, A321) · A320neo 패밀리 (A319neo, A320neo, A321neo)A300 · A310 · A330 (neo) · A350 XWB (neo)
4발기-A340 · A380 (plus)
특수 화물기A300-600ST Beluga · Beluga XL
에어버스 디펜스 앤 스페이스 군용기
전투기유로파이터 타이푼 · FCAS
수송기CN-235 · C-295 · A400M
공중급유기A310 MRTT · A330 MRTT · KC-45
무인기유로드론 · 제피르 UAV · SIRTAP
에어버스 헬리콥터스 헬리콥터
민간용H125 · H130 · H135 · H145 · AS365 · H155 · H160 · H175 · H215 · H225
군용H125M · H145M/UH-72 · AS565 · H160M · H215M · H225M · 타이거 · NH90
ATR 민항기
ATR 42 · ATR 72
아에로스파시알 및 그 이전 민항기
Sud Aviation Caravelle · Concorde
B: 봉바르디에에서 개발 및 제작한 항공기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공격헬기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스핏파이어 LF.Mk. IX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1세대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미라주 2000
4.5세대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FCAS}
공격기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C-160R, C-119,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지원기조기경보기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신호정보 수집기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UCAVMQ-9, {유로드론}
훈련기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다목적기다쏘 팔콘 10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현대 독일 연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독일 연방군 (1955~현재)
Bundeswehr
회전익기 경헬기SA.319 알루에트-IIIR, SA.313 알루에트-IIR, Bo 105P/M, H145M
다목적 헬기UH-1D 휴이
수송헬기CH-53G/GS/GA/GE, NH90 TTH, {CH-47F}
공격헬기EC-665 타이거 UHT
대잠헬기Mk.88A 씨 링스, SH-3GR, NH90 NMRH
전투기1세대시호크 Mk.100/Mk.101/R, CL-13A Mk.5/6, F-86KR, G.91 R/3R, G.91 R/4R
2세대F-104GR
3세대MiG-21(M/MF/SMT/Bis)동/R, MiG-23(S/BN/UB/MF/ML)동/R, F-4F/F-4F ICE 팬텀 IIR
4세대 / 4.5세대MiG-29G/GT동/R, F-14G,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F-15GA, F/A-18E/F, EF-2000 유로파이터
5세대{F-35A}
6세대{FCAS}
수송기C-160R, C-130J, A400M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E-7}NAEW&CF
대잠초계기Br 1150 아틀란틱해/R, P-3C, {P-8}, {MAWS}
정찰기RF-4ER
신호정보수집기Br 1150M 아틀란틱해/R, {PEGASUS}
공중급유기A310 MRTTR, A330 MRTTMMF, {KC-130J}
전자전기HFB 320 ECMR, 파나비아 토네이도 ECR, {EF-2000 유로파이터 EK}, EA-18G
무인기UAVIAI 헤론L, RQ-4E 유로호크
UCAVEADS 바라쿠다, IAI 헤론 TPL, {유로드론}
훈련기프롭T-6R, 그롭 G120A
제트다쏘 & 도르니에 알파제트AR, T-38AR, T-38C, 파나비아 토네이도 IDS
특수목적기AS532 쿠거, A321L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독일연방해군 운용기
※ 윗첨자: 통일 이후 동독 공군으로부터 편입한 기체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현대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회전익기경헬기H-13(D-1/G-3) 수우 · AB 47(J/J-2)R
다목적 헬기AW101 멀린 Model 612 | 벨 412SP | 시킹 Mk.43(A/B) | 링스 Mk.86R | UH-1BR | H-19D-4 치카소해R
대잠헬기NH90 NFHR, {MH-60 시호크}
전투기프롭스핏파이어 LF.IXeR
1세대뱀파이어 (F.3/FB.52)R | F-86F 세이버R · F-86K 세이버 도그R | F-84(E/G) 썬더제트R · F-84F 썬더스트릭R
2세대CF-104 · F-104G 스타파이터R | F-5(A/B) 프리덤 파이터R
4세대F-16(A/B)R Block 1/5/15F-16(AM/BM) Block 20 MLU 파이팅 팰콘R
5세대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B-17G-BO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VIR
수송기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E/H) 허큘리스R | C-53D 스카이트루퍼R | C-47A 스카이트레인R | C-119G 플라잉 박스카R | AS.10 옥스포드 (I/II)R | Ju 52/3mR | C-60A 로드스타R
비행정HU-16B 알바트로스R | S.25 선덜랜드 Mk.VR | 카탈리나 (IB/IVA/IVB) · PBY-5AR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P-3(B/C/N) 오라이언R | P-8A 포세이돈
정찰기RF-5A (G)R | RF-104G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공중급유기A330 MRTTMMF
전자전기다쏘 팰컨 20ECMR
무인기SUAVRQ-20B 푸마 AE | RQ-12A 와스프 III Block IV | RQ-11 레이븐 | 인다고 3 | PD-100 블랙 호넷 나노
훈련기프롭MFI-15 사파리 | 사브 91(B/B-2) 사피르R | PT-26R | PT-19R | 하버드 (II/IIB) · SNJ-3/4R | 모스키토 T.IIIR
제트CF-104D · TF-104G 스타파이터R | T-33A 슈팅스타R | 뱀파이어 T.55R
정부전용기다쏘 팰컨 20C-5
다목적기DHC-6-(100/200) 트윈 오터R | DHC-3 오터R | L-19A 버드 도그R | L-18C 슈퍼 컵R | Fi 156R | C-64 노스만 Mk.(IV/VI)R | 앤슨 Mk.I | N-3PB 노매드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스웨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회전익기 경헬기HKP 9(A/B)육/공/R, HKP 6(A/B/C)육/해/공/R, HKP 5(B)육/R, HKP 2육/해/공/R
다목적 헬기HKP 16, HKP 15A, HKP 14, HKP 10(A/B/D), HKP 11R, HKP 3(A/B/C)육/공/R
수송헬기HKP 4AR, HKP 1R
대잠헬기HKP 15B, HKP 4(B/C/D)해/R, HKP 1해/R
전투기프롭J 21(A-1 · 2 · 3)R, J 22(A/B)R, J 23, J 26R, J 27, J 30R
1세대J 21R · A 21RBR, J 28(A/B/C)R, J 29(A/B/D/E/F) 툰난R, J 32(B/D/E/F) 란센R, J 33R, J 34R,
2세대J 35(A/B/D) 드라켄R
3세대J 35(F/J) 드라켄R
4세대 / 4.5세대AJ · AJS 37 비겐R, JAS 39(A/B/C/D) 그리펜 , {JAS 39(E/F) 그리펜NG}
5세대{FS2020}
공격기A 38, A 32A 란센R, B 17(A/B/C)R, B 24
폭격기A 36, Tp 52X/R, Tp 80X/R, B 18(A/B) · T 18BR
수송기Tp 100, Tp 88CX/R, Tp 86X, Tp 84(A/B/C/D) 허큘리스, Tp 55X/L/R, Tp 83R, Tp 82X/R, Tp 79R, Tp 46R, Tp 45(A)R
지원기조기경보기S 100B 아르고스, {사브 글로벌아이}
해상초계기SH 89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Fpl 53육/R, Flp 51(A/B)육/R, Tp 78R
정찰기S 102B, SF · SH 37R, Tp 85R, J S35ER, J 32CR, S 29CR, S 26R, S 22R, S 17(BL/BS)R, S 18AR
공중급유기Tp 84B Lufttankning
무인기SUAVUAV 05B 콜펜, UAV 04R · 05A 스발란, UAV 02 팔켄
UAVUAV 03 오르넨, UAV 01 우글라R
훈련기프롭Tp 54해/공, Sk 61R, Sk 50(A/B/C)R, Sk 16(A/B/C)R, Sk 25R MFI-15 사파리, MFI-17 서포터
제트Sk 38, Sk 60(A/B/C) · Sk 60(D/E)R, Sk 35CR, Sk 37(E)R
가상적기RB 06(A/B) 스트리커, RB 04R, RB 03R, RB 02R, RB 01R
비행정Tp 81R, Tp 47R, Tp 24R
특수목적기Tp 103, Tp 102D, Tp 102(A/C) Tp 100R, Tp 88(B)R, Tp 8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핀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 경헬기MD 500(D/E) · MD 500(C/M)육R | AB 206A 제트 레인저육R | Mi-1육R | SE.3130 알루에트-II육R
다목적 헬기NH90 TTH | Mi-8(P/PS/T)육R | Mi-4육R
전투기프롭발멧 피후리R | Bf 109 GR
1세대뱀파이어 FB.52R | 냇 F.1R
2세대MiG-21F-13/bisR | J 35BS 드라켄R
3세대J 35(FS/XS) 드라켄R
4세대F-18(C/D) 호넷
5세대{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Il-28R
정찰기전술리어젯-35A/S | MiG-21bis/TR | 냇 FR.1R | Il-28R "니키타"R | 펨브로크 C.53R | 포커 C.XR
전자C-295M SIGNT | 포커 F27-100 SIGINTR
수송기C-295M | PC-12NG | 포커 F27-400M 트룹쉽R | C-47A 스카이트레인R
다목적기PA-31-350 치프틴R · PA-31 나바호R | PA-28(R-200/RT-201) 애로우 II · 애로우 IVR | 세스나 402B 비즈니스라이너R | BN-2A 아일랜더R | DHC-2 비버 Mk.1R
무인기SUAV오비터-2B | DJI 매빅 프로 플래티넘
UAVADS-95 레인저
지원기연락기비치크래프트 D17SR | Fi 156K-1R
훈련기프롭G115E 튜터 | L-70 빈카R | L-90TP 레디고R | VL 툴리 (I~III)R | VL 비마R | VL 푸루R | Fw 44 J
제트호크 Mk.(51/51A/66) | Sk 35CS 드라켄R | MiG-21(U/UM/US)R | CM.170R 마지스테르R | MiG-15UTIR | 뱀파이어 T.55R
표적예인사브 91D 사피르R | 사브 B 17A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이탈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이탈리아 공군
Aeronautica Militare, AM
회전익기 경헬기TH-500B, OH-13HR
다목적 헬기HH-101A해/공, AW109A/E/Mk.II육/C, HH-139A/B, {AW169}, 벨 205, 벨 206, 벨 212, 벨 412SP/HP육/C, AB.47 G2R, A.105R, H-19A/DR, H-34R, S-51R, NH 500E
수송헬기CH-47C/F, NH-90, A.101GR, VH-3DR, S-61RR
공격헬기A129 CBT, {AW249}
대잠헬기벨 212 ASW, NH-90 NFH/TTH
전투기1세대CL13 Sabre Mk.4R, F-84F/GR, F-86KR, G.91R/PAN/YR,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 FB.5/FB.52/FB.52A/NF.10R, 드 해빌랜드 베놈 FB.50R, Aerfer Ariete, Aerfer Sagittario
2세대F-104G/S/S-ASA/S-ASA/MR
4세대
4.5세대
F-2000A, A-200A, F-16A/BL/R
5세대F-35A/B
6세대{GCAP}
공격기A-11B, AV-8B+
전자전기EA-200B, YEC-27J, 아에리탈리아 G.222 VSR, PD-808GER
수송기A319CJ, A340-500, C-27J, C-130H/J/J-30, Do 228, 피아지오 P.180해/공/C, 팰컨 50, 팰컨 900, 아에리탈리아 G.222 A/RM/SAA/TCMR, 브레다-피토니 BP.471R, 브레다-자파타 BZ.308R, CV-440-75/96R, C-119J/GR, DC-6R, G.212R, SM.102R 포커 F27-600L/R
다목적기알라파마 발도R, 암브로시니 S.1001R, Helio H-395R, LA-250R, MB.308R, U-166AR
비행정HU-16 알바트로스R, P.136R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G550 CAEW, {E-7}NAEW&CF
해상초계기P-72AS, P-1150AR, S2F-1R
신호정보수집기슈퍼 킹 에어 350
정찰기RT-33AR, RF-104GR, U-166BR
공중급유기{KC-46}, KC-767A, KC-130J, KC-707R
무인기SUAV스캔이글
UAVMQ-1C, MQ-9A, RQ-7, P.1HH 해머헤드, S-100
UCAV{유로드론}
훈련기프롭T-260A/B, T-2006A, 암브로시니 S.7R, 카프로니 트렌토 F-5R, G.46R, G.59R, G.80R, G.82R, M.416R, MB.323R, P.148R, P.149R, 템코 T-35R
제트A-11T, F-16B, F-35A, MB-339A/CD/RM/PAN, 피아지오 P.180, T-345, T-346, TF-2000A, 파나비아 토네이도EA-200A, TF-104GR, T-33AR
특수목적기VC-319AJ, CL-215-1A-10R, CV-440-75R, 걸프스트림 IIIR, DC-9-30R, VC-180AR, PD-808VIP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 윗첨자C: 카라비니에리에서 운용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현대 그리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
경헬기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AB 206B 제트레인저 II | SA.319B 알루에트 III | OH-13(H/S) 수우R
다목적 헬기
NH90 TTH GR | UH-1H 휴이 · AB 205A | AS332(A2/C1) 슈퍼 퓨마 | AW109(E/S) 트레커 | AB 212 | UH-19(B/D) 치카소R
공격헬기AH-64(A+/D) 아파치
수송헬기CH-47(D/DG/SD) 치누크
대잠헬기S-70B-6 에게안 호크 | AB 212ASW
전투기
프롭스핏파이어 Mk.(Vb/Vc/LF.IXc/HF.IX/XVI)R | Bf 109G-6C/R
1세대
F-86E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R | F-84G 썬더제트 · F-84F 썬더스트릭R
2세대
F-5(A/B) · N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G 스타파이터 | F-102A 델타 대거
3세대
F-4E PI2000 AUP 팬텀 IIM | 미라주 F1CGR
4(.5)세대
라팔(EG/DG) Standard F3-R | 미라주 2000(EGM/BGM) → 미라주 2000-5 Mk.2 | F-16(C/D) Block (52+/52M → 72) | F-16(C/D) Block (30/50) 파이팅 팰콘R
5세대
{F-35A 라이트닝 II}
공격기A-7(E/H) 콜세어 IIR | SB2C-5 헬다이버R
폭격기웰링턴 GR.XIIIR
정찰기
전술RF-4ER | RF-5AR | RF-104GR | RF-84F 썬더스트릭 | RT-33A 슈팅스타R
수송기
경량C-27J 스파르탄 | AS.10 옥스포드 Mk.(I/II)R | 웰링턴 C.XIVR
전술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B/H) 허큘리스 | N.2501D 노라트라R | C-47(A/B/D) 스카이트레인R
수상기HU-16 알바트로스R | Ar 196(A-3/A-5)C/R
다목적기킹 에어 360 | C-12C 휴론 | U-17(A/B) | 에어로 커맨더 680(F/FL)R | Do 28D-2 스카이서번트R | DHC-2 비버R | C-45F 익스퍼다이터R | 테일러크래프트 오스터 Mk.IIIR | PT-17 · PT-13 카뎃R | 아브로 앤슨 Mk.IIR
지원기
조기경보기
E-99 에리아이 | E-3A 센트리NAEW&CF | {E-7}NAEW&CF
전자전기C-130H (EW)M
해상초계기
P-3B 오라이언 | Ju 290A-5
의무후송기
킹 에어 350ER
연락기
L-21B · L-18(B/C) 슈퍼 컵R | L-17B 나비온R | L-5(B/C) 센티넬 | Fi 156C-1R
무인기
SUAV
클래스 1 - 극소형
RQ-20B 푸마 II
클래스 1 - 초소형
EMP-X6T | 아틀라스 204 | DJI 매트리스 300RTK
클래스 1 - 소형
{ADS 오비터 3}
UAV
클래스 2 - 전술형
{HAI 아르키타스} | E1-79 페가수스(I/II) | SAGEM 스퍼워 B
클래스 3 - MALE급
{사프란 페트롤러} | 헤론 TPL | 헤론L
UCAV
클래스 3 - MALE급
{HAI 그리파스}
훈련기
프롭T-6A 텍산 II | P2002JF 시에라 | T-41D 메스칼레로R | AT-6A · T-6(D/G) 텍산R | DH.82A 타이거 모스 II
제트M-346A 마스터 | T-2(C/E) 벅아이R | TA-7(C/H)R | TF-104GR | TF-102AR | T-37(B/C) 트윗R | T-33A 슈팅스타 · AT-33AN 실버스타R
헬기슈바이처 NH300C | 벨 47(G-3/G-5/J-2)R
VIP 탑승기ERJ-135 레거시 600 | 다쏘 팰컨 7X | 걸프스트림 G500 | AB 212VIP | G-159 걸프스트림 I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카타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카타르군(1971~현재)
القوات المسلحة القطرية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W139
수송헬기코만도 Mk.2C, NH90 TTH
공격헬기AH-64E
대잠헬기코만도 Mk.3, NH90 NFH
전투기2세대호커 헌터R
3세대미라주 F1R
4세대 / 4.5세대미라주 2000-5DAR, 라팔, F-15QA 아바빌, 유로파이터 타이푼
공격기알파 제트 E
수송기C-130J-30, C-17
공중급유기{KC-30A}
무인기UCAV바이락타르 TB2
훈련기프롭PC-21, PC-24, MFI-395 슈퍼 무샤크
제트호크 167, M-346
※ 윗첨자R: 퇴역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현대 벨기에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항공구성군 (2002~)
Luchtcomponent
Composante air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S-58CR, 시킹 Mk.48R, 알루에트 IIIR, NH90 NFH/TTH, A109BAi, {H145M}
전투기1세대F.4/F.8/NF.11R
4세대 / 4.5세대F-16A
5세대{F-35A}
전폭기F-84E/F/HR
폭격기미라주 5ARR
요격기CF-100 Mk.5R, F-104GR
수송기C-54R, C-130HR, A321-200R, 팔콘 20ER, ERJ145R, A400M, 팔콘 7X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E-7}NAEW&CF
정찰기미라주 5BRR
공중급유기A330 MRTTMMF
무인기B-헌터R, {스카이 가디언}
훈련기T-6R, T-33AR, TF-104GR, 알파 제트 BR, F-16B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도입 취소 기종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뉴질랜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경헬기AW109 LUH | 벨 47G-3B-(1/2) 수우R
다목적 헬기NH90 TTH | UH-1(D/H) 휴이R
대잠헬기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 SH-2F 시스프라이트R | 와스프 HAS.1R
전투기프롭P-51D 머스탱R | 템페스트 Mk.VR | FG-1D & F4U-1(D) 콜세어R | P-40(E/K/L/M/N) 키티호크R | 스핏파이어 LF.(IX/IXC/XVI/XVIE)R
1세대베놈 FB.1R | 뱀파이어 (FB.5/FB.52)R | 미티어 F.3R
공격기A-4(G/K) 스카이호크R | 스트라이크마스터 Mk.88R | TBF-1(C) 어벤저R
폭격기캔버라 (B.2/B(I).12)R | PV-1 벤추라 & PV-2 하푼R | 모스키토 (FB.6/FB.40)R | B-34 렉싱턴R | 허드슨 Mk.(III/IIIA/V/VI)R
정찰기전술M.57 에어로밴R
수송기경량DHC-3 오터R | DHC-2 비버R | C-60 로드스타R | DH.89(A/B) 도미니R | AS.65 콘술R | AS.10 옥스포드R
전술{C-130J-30 슈퍼 허큘리스} | B757-2K2(C) | C-130H 허큘리스 | B727-22QCR | DC-6R | HS. 780 앤도버 C.1R | HP.95 해이스팅스 C.3R | 브리스톨 프레이터 Mk.31MR | C-47(A/B)R
수상기선덜랜드 (Mk.III/MR.5)R | PB2B-1 · PBY-5 카탈리나R
다목적기슈퍼 킹에어 350 | 킹에어 200R | 리어윈 9000L KR 스포츠스터R | C-17L 스태거윙R | M.11A 휘트니 스트레이트R | P.10A 베가 걸R
무인기SUAV
클래스 1 - MAV
PD-100 블랙 호넷 나노 | RQ-11B 레이븐 | DJI 매빅 프로 | DJI 팬텀 4R
클래스 1 - 초소형
RQ-20 푸마 | 스카이캠 카후
지원기해상초계기P-8A 포세이돈 | P-3(B/K/K2) 오라이언R | 포커 F27-120 MPAR
연락기DH.90 모스 마이너R | DH.83 폭스 모스R | 오스터 T.7CR · J/5 오토카R | DH.80A 퍼스 모스R
훈련기프롭T-6C 텍산 II | CT/4(B/E) 에어트레이너R | 에어투어러 T.6R | 모스키토 (T.3/T.43)R | 하버드 Mk.(II/IIA/IIB/III)R | 앤슨 Mk.(I/XII)R | M.14A 매지스터R
제트MB-339CBR | TA-4(G/K)R | 캔버라 (T.4/T.13)R | 뱀파이어 (T.11/T.55)R | 미티어 T.7R
VIP 탑승기B757-2K2 | B727-22QCR | 세스나 412CR | 아브로 앤슨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11:58:07에 나무위키 NH9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심지어 UH-60의 최신 개량형들에 비하면 중량대비 추력비 등 일부 성능이 떨어지는 부분도 있다. 그런데, UH-60의 최신 개량형에 달릴 엔진은 과거라면 Mi-8급 중대형 헬리콥터에 달릴 출력을 내는 엔진이다.[2] M3M 50구경 중기관총/FN MAG/MG3/M134 미니건 등을 사용[3] Mk.46 경어뢰, MU90 어뢰[4] MBDA社제 마르테(MARTE) 대함미사일, 콩스버그社제 NSM 대함미사일 [5] 포커는 이후 도산하여 독일이 지분을 인수하였다.[6] 탐색구조용 호이스트는 장착 가능한데, 문제는 레펠은 호이스트로 하는게 아니다! 호이스트 줄로 레펠을 하려고 하면 와이어 풀고당기는 윈치가 망가져서 도로 당기지도 못하고 큰일 난다. 레펠용 로프는 보통 동체 캐빈 천장등에 연결고리를 달고 늘어뜨린 뒤, 헬리콥터 내부에서 투입될 대원이 로프에 자신의 안전고리를 연결하고 도어 문 틀이나 발판에 서서 내려온다. 이게 안된다는 이야기다.[7] 예를 들어 일본 육상자위대는 군용 오토바이를 운용하는데, 경사발판을 대고 UH-1J에 싣는다.[8] 북유럽판 수송용은 내부 공간 높이가 10센티 더 높아서, 중형기보다는 중대형기 면모를 보인다.[9] 이 기체는 스페인군에게 인도되었다.[10] E형은 지상작전용, F형은 대잠전 및 수색 구난형이다.[11] 현재 기준으로 스웨덴 왕립군에 배치된 NH90은 수송형(HKP14E) 9기, 대잠형(HKP14F) 9기이다.[12] 프랑스 같은 경우에는 EC725 대체용으로 NH90의 특수전 사양을 개발하고 있는데다, 독일 같은 경우에는 해군 측에서 구조 헬기로 운용하고 있는 씨 킹과 대잠헬기인 링스를 대체하기 위해 탐색 구조형인 NH90 Sea Lion과 대잠형인 NH90 Sea Tiger를 개발하고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그 중에서 NH90 Sea Lion 2대가 2019년에 독일 해군에 인도되었기에 당분간 NH90의 생산률은 높아지긴 할지언정 낮아질 일은 없을 것이다.[13] 이탈리아 같은 경우에는 상륙 기동헬기로 NH90을 채택하여 NH90 MITT(해상 전술수송형)을 개발, 이를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14] NH 인더스트리에서 발간한 2019년자 NH90 홍보책자에서 해상전술수송형과 특수전 임무형을 같이 홍보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각 국가에서 해당 버전을 요구할 경우에 만들수 있음을 밝힌바가 있다.[15] 중앙일보 - 호주軍 4명 숨진 끔찍 추락…'조별과제의 저주' 그 헬기 결국[16] [[https://www.minister.defence.gov.au/media-releases/2023-09-29/army-helicopter-fleet-update|]Australian Government Defence Ministers - Army helicopter fleet update][17] 벨기에는 공중 구성군에서 TTH를 운용, 뉴질랜드 역시 공군에서 운용하고 있으며, 스웨덴은 왕립공군에서 운용하고 있다.[18] 스페인 같은 경우에는 SAR 임무 수행용으로 2020년 3월 부터 NH90 TTH 개량형 NH90 GSPA를 도입하고 있다.[19] 호주는 육군 뿐만 아니라 해군에서도 NH90 TTH를 운용한다. 캔버라급 상륙함에 탑재해서 수송임무애 투입하는 중.[20] 공개된 당시에는 FN MAG를 달았지만, 최근에 공개된 호주 국방군 홍보용 NH90 SOF자료에서는 M134 미니건을 단 형태로 나왔다.[21] NH90을 운용하고 있는 이탈리아와 독일 측에서 도입한 야시경/HMD 겸용 헬멧. NH90 뿐만 아니라 유로콥터 타이거, AH-1Z 바이퍼 등에도 통합된 헬멧이다. 현재 미 해병대에서도 AH-1Z 바이퍼 조종사들이 쓰고 있다.[22] 참고로 Eurofl'eye 비행보조센서는 2022년부터 시작될 NH90 TTH 개량 사업에 통합될 예정이다.[23] 실제로 스웨덴 왕립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NH90 NFH는 AN/APS-143(v)3 Ocean Eye 레이더를 달고 있다.[24] 차후에 독일 해군도 Mk.99 씨 링스 대잠헬기의 대체용으로 NH90 NFH를 NH90 Sea Tiger라는 이름으로 도입할 예정이다.[25] 참고로 스페인에서는 해군이 대잠전 수행/SAR 임무 수행용으로 NH90 MSPT 도입을 결정하였다. 기존에 운용하던 SH-60 시호크SH-3 시킹을 대체할 예정.[26] 사실상 말이 SAR 헬기지 사실상 준 특수전용 헬기다. 기존의 시 킹이 Kampfschwimmer Kompanie의 다목적 헬기 취급 받았던 걸 생각하면 이번에 새로 도입한 H145M LUH와 함께 해군 특수부대의 발이 될 게 뻔하다[27] 10기를 도입할 예정.[28] 이탈리아 현지시각, 2022년 11월 25일자로 이탈리아 육군이 주문한 NH90은 60번째 기체를 마지막으로 도입 및 인도가 완료되었다.https://www.flightglobal.com/helicopters/italian-army-takes-final-nh90-helicopter/151208.article[29] 2011년부터 2013년까지 4기를, 2014년 8월까지 4기를 인도받아 총 8기를 운용하고 있다. 뉴질랜드 공군의 NH90은 2019년~2020년 호주 산불이 발생했을때 소화 작업 및 이재민 구난 임무를 위해 호주에 파견된 바가 있다.[30] 2016년까지 육항대에 22기를 공급하였고, 경제 문제로 잠시 도입을 중단하다가 예산을 다시 편성하여 2018년에 나머지 23기 도입을 결정하여 공군과 해군에 공급하기로 하였다. 공군 같은 경우에는 SAR 임무 수행을 위해 6기 정도의 NH90을 도입하기로 하였고, 2020년 2월 2일 부터 생산에 들어갔다. 해군 같은 경우에는 기존에 운용하던 SH-3 시킹과 SH-60 씨호크를 대체할 목적으로 2022년까지 도입할 것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