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

덤프버전 :


파일:위저딩 월드 로고.svg[[파일:위저딩 월드 로고 화이트.svg
[ 서적 ]

해리 포터 시리즈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20주년 마법사의 돌.jpg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파일:20주년 비밀의 방.jpg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파일:20주년 아즈카반의 죄수.jpg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

파일:20주년 불의 잔.jpg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파일:20주년 불사조 기사단.jpg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파일:20주년 혼혈 왕자.jpg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파일:20주년 죽음의 성물.jpg
죽음의 성물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파일: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대본).jpg
저주받은 아이
]]
||
신비한 동물사전 원작 시나리오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s-5.1|
파일:신비한 동물사전 원작 시나리오.jpg
신비한 동물사전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s-5.2|

파일: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원작 시나리오.jpg
그린델왈드의 범죄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s-5.3|

파일: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원작 시나리오.jpg
덤블도어의 비밀
]]
||
[[신비한 동물사전|
파일:신비한 동물 사전.jpg
신비한 동물사전
]][[퀴디치의 역사|

파일:퀴디치의 역사_개정판.jpg
퀴디치의 역사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

파일:음유시인 비들 이야기.jpg
음유시인 비들 이야기
]]||
[ 영화&연극 ]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
파일: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jpg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영화)|

파일: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영화).jpg
비밀의 방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영화)|

파일: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영화).jpg
아즈카반의 죄수
]][[해리 포터와 불의 잔(영화)|

파일:해리 포터와 불의 잔(영화).jpg
불의 잔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영화)|

파일: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영화).jpg
불사조 기사단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영화)|

파일: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영화).jpg
혼혈 왕자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1부|

파일: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영화) 1부.jpg
죽음의 성물 1부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파일: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영화) 2부.jpg
죽음의 성물 2부
]]
||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
[[신비한 동물사전(영화)|
파일:신비한 동물사전(영화).jpg
신비한 동물사전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파일: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영화).jpg
그린델왈드의 범죄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영화).jpg
덤블도어의 비밀
]]||
연극
[[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
파일:해리 포터와 저주받은 아이(연극).jpg
저주받은 아이
]]||
[ 게임 ]

포트키 게임즈
[[해리 포터: 호그와트 미스테리|
파일:호그와트 미스터리(게임).jpg
호그와트 미스테리
]][[해리 포터: 마법사 연합|

파일:해리 포터 마법사 연합(게임).jpg
마법사 연합
]][[포트키 게임즈|

파일:해리포터 퍼즐&스펠(게임).jpg
퍼즐과 마법
]][[해리포터: 깨어난 마법|

파일:해리 포터 깨어난 마법(게임).jpg
깨어난 마법
]][[호그와트 레거시|

파일:호그와트 레거시(게임).jpg
호그와트 레거시
]][[해리 포터: 퀴디치 챔피언스|

파일:해리 포터 퀴디치 챔피언스.jpg
퀴디치 챔피언스
]]
||

[ 기타 ]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2001)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1]
파일: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jpg
▲ 2001년 개봉 포스터
20주년 국내 재개봉 포스터 [ 펼치기 · 접기 ]
파일:sorcerer's stone 20th anniversary poster.jpg

감독크리스 콜럼버스
제작데이비드 헤이먼, 크리스 콜럼버스
각본스티브 클로브스
출연다니엘 래드클리프, 엠마 왓슨, 루퍼트 그린트
음악존 윌리엄스
장르판타지, 가족, 모험, 액션
제작사워너브라더스, 1492 픽처스, 헤이데이 필름
배급워너브라더스
개봉일파일:미국 국기.svg 2001년 11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년 12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10월 24일(4DX)[재개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9월 15일(20주년 기념)[재개봉]
촬영 기간2000년 9월 29일 ~ 2001년 3월 23일
상영 시간152분 (확장판: 159분)
제작비1억 2,500만달러
북미 박스 오피스$317,871,467
월드 박스 오피스$1,006,482,860
대한민국 총 관객수425만 명
발매VHS, DVD
홈페이지공식 사이트

1. 개요
2. 예고편
3. 특징
4. 평가
5. 흥행
6. 원작과의 차이점
8. 확장판
9. 기타
10. 둘러보기


파일:uczt6DgmuTzLYEwBpRVcJ1NMlVT.jpg
파일:harry-potter-and-the-sorcerers-stone_poster_goldposter_com_43.jpg
파일:sorcerer's stone 20th anniversary poster.jpg
영국 포스터북미 포스터[2]20주년 포스터


1. 개요[편집]




소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의 실사 영화.


2. 예고편[편집]







3. 특징[편집]


워너 브라더스해리 포터 소설의 영화 판권을 사들여서 해리 포터 시리즈 중 최초로 영화화된 작품.

영화화하기 전인 1999년 경부터 감독 경쟁이 치열[3]했고 나 홀로 집에를 감독한 크리스 콜럼버스가 메가폰을 잡았다. 원작 소설이 대히트를 치게 되면서 해리 포터 시리즈 중 최초의 영화화된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은 제작 단계부터 숱한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주인공 해리 포터를 맡을 아역 배우를 선발하는 오디션에서 무려 4만명이 몰려들었을 정도다.

비슷한 시기에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 1편인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가 개봉했기 때문에 두 영화의 대결에 많은 판타지 팬들이 관심을 가졌었다. 그 다음해인 2002년에도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이 같은 시기에 개봉했지만,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부터 영화 제작 텀이 늘어나면서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과의 만남이 성사되지 않았다.


4.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30688|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9.41 / 10
네티즌
9.37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없음 / 10
관람객
9.41 / 10
네티즌
9.37 / 10
]]
평점 9.41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8.8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8%





시리즈의 첫 편이라 제작 과정에서 부담이 상당했다. 스크린으로 재현된 호그와트와 소설 속의 설정들이 왜곡되어선 안 되었기 때문에,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은 집요할 정도로 조앤 롤링에게 해리 포터 시리즈에 대해 낱낱이 물었다고 한다. 영화에서 재현된 호그와트의 입학식이 영국식 사립학교와 유사한 점도 그렇게 계획된 것이고, 호그와트의 교복 디자인 또한 조앤 롤링의 말[4]을 듣고 제작된 것이다.

이렇게 설정을 배우에 맞췄거나,[5] 작품 외적 요인[6][7] 말고는 최대한 설정을 해치지 않고 원작의 인기를 얻어 적절하게 촬영하고 매끈한 작품을 뽑아내 시리즈를 안착시킨 것은 크리스의 공이 크다. 이 영화가 나오고 한참 뒤에 성공이 보장된 작품들을 가지고도 말아먹어서 시리즈의 존망을 위태롭게 한 저스티스 리그나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같은 경우가 있었음을 생각해보면, 1, 2편을 무사히 안착시키고 시리즈를 완결시킨 이후 외전작 신비한 동물사전 실사영화 시리즈까지 이어지게 만든 영향력엔 크리스의 공이 가장 크다. 크리스 콜럼버스는 3편 이후에도 감독을 맡아달라고 제의를 받았지만,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영국에서 촬영되어야 한다는 탓에 가족과 떨어진 기간이 길고 힘들어서 거절했다. 대신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까지는 제작자로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영화 속 호그와트 등은 놀라울 정도로 소설 속 세계를 완벽하게 재현하는데 성공했다. 영화를 본 조앤 롤링이 '크리스가 내 머릿속에 들어갔다 나온 것 같다'고 감탄했을 정도. 1편에서 등장한 그리핀도르 탑이나 금지된 숲, 기숙사들과 세부적인 학교 시설들의 디자인이 7편까지 그대로 쭉 이어졌다는 점을 보면 1편 때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이 얼마나 철저하게 재현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크리스 콜럼버스나 홀로 집에를 감독한 만큼 여기에서도 특기인 가족적이고 단란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이때까지는 원작이 동화에 더 가까웠기에 작품 전체적으로 어린이 영화 느낌이 강하다. 시리즈 중에서 분위기가 가장 밝다.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내용을 다뤄서 원작 소설 시리즈의 팬이 아니어도 영화를 보는 데 큰 지장은 없다.

시대가 시대인 만큼 제작 기술에 따라 간소화된 부분도 있다. 퀴디치의 경우 원작과 달리 '그리핀도르 vs 슬리데린' 한 경기만 나오는데, 당시의 기술로 이 장면을 제작하는데 무려 6개월이나 걸렸다. 특히 1편의 내용 중 상당수가 호그와트 소개에 할애되어 스토리가 조금 빈약하게 느껴졌다는 평도 있지만, 결과적으로 큰 호평을 받았고 흥행에도 성공했다.

이 때문에 극렬 원작빠까지는 아니더라도 원작을 중시하는 들은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 평가를 할 때 이 편과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이 원작에도 있는 몇몇 문제[8]를 그대로 갖고 왔더라도 원작파괴가 거의 없고, 원작과의 차이점들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평을 좋게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처음으로 영화화된데다가, 훌륭한 영상화로 호평받기는 했지만 몇몇 평론가는 원작을 거의 베끼다시피 하다보니 선술한 원작에 있던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왔기 때문에 마냥 극찬만 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이 영화는 루퍼트 그린트(론 위즐리), 엠마 왓슨(헤르미온느 그레인저), 제임스 펠프스(프레드 위즐리), 올리버 펠프스(조지 위즐리), 보니 라이트(지니 위즐리), 해리 멜링(더들리 더즐리) 같은 여러 신인 배우들을 발굴해 영국 영화배우계의 등용문이 되었다.


5. 흥행[편집]


연도별 월드와이드 박스오피스 1위 (2000년대)


역대 전 세계 10억 달러 돌파 영화
2019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10.74억 달러
2020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10.02억 달러
2021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9.21억 달러
2001년 연말에 개봉하여 전세계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미국과 영국에서도 그 해 흥행 1위에 올라 서구권에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특히 일본에서도 최대 히트 상품 중 하나에 올랐을 만큼 가히 엄청난 신드롬을 기록했다. 거기서만 약 2억 달러의 흥행수입, 약 1600만 관객을 동원한 바 있다.

2020년 중국 재개봉에 힘입어, 개봉 20여년만에 10억 달러 클럽에 가입했다.


5.1. 대한민국[편집]


2018년 10월 24일 CGV에서만 4DX로 재개봉했다.

파일:2f3fewfwefwef.png

2018년 10월 21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실시간 예매율에 따르면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이 단독 1위를 질주했다. CGV에서, 그것도 4DX로만 재개봉 하는데도 1위를 질주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창궐의 흥행을 방해하고 있다. 물론 실제 개봉하고 나면 창궐이 현장 표 판매로 해리포터를 앞서기야 하겠지만, 예매율에서 압도적으로 쳐발리는지라 해리 포터에 의한 창궐의 스크린 잠식은 피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해리포터 vs 창궐의 예매율 비중은 무려 3:1에 달하고 심지어 해리 포터와 창궐의 예매율 격차는 시간이 갈 수록 벌어지고 있다.

총 27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이후 개봉 20주년을 맞이하여 2021년 9월 15일 재개봉이 확정되었다. 그리고 전국 33만 관객을 기록하며 역대 재개봉 영화 흥행 4위이자 외화 부문 재개봉작 3위이다.


5.2. 일본[편집]


역대 일본 흥행수입 TOP 15
순위제작국가영화개봉년도분류최종수익
1위일본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2020년애니메이션404.3억 엔
2위일본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년애니메이션316.8억 엔
3위미국타이타닉1997년실사영화277.7억 엔
4위미국겨울왕국2013년애니메이션255.0억 엔
5위일본너의 이름은.2016년애니메이션251.7억 엔
6위일본원피스 필름 레드2022년애니메이션203.3억 엔
7위미국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2001년실사영화203.0억 엔
8위일본모노노케 히메1997년애니메이션201.8억 엔
9위일본하울의 움직이는 성2004년애니메이션196.0억 엔
10위일본춤추는 대수사선 THE MOVIE2 레인보우 브릿지를 봉쇄하라!2003년실사영화173.5억 엔
11위미국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2002년실사영화173.0억 엔
12위미국아바타2009년실사영화159.0억 엔
13위일본더 퍼스트 슬램덩크2022년애니메이션157.3억 엔
14위일본벼랑 위의 포뇨2008년애니메이션155.0억 엔
15위일본스즈메의 문단속2022년애니메이션148.6억 엔



5.3. 중국[편집]


중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0년 32주차2020년 33주차2020년 34주차
1917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800
중국 박스오피스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중국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5.4. 이탈리아[편집]


이탈리아 흥행 1위 영화
2021년 48주차2021년 49주차2021년 50주차
엔칸토: 마법의 세계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흥행 집계 기준


6. 원작과의 차이점[편집]


다른 개별 영화 문서도 그렇듯이 시리즈 공통 차이점은 포함하지 않는다.

원작과의 차이점들은 그리 많지 않은 편[9]이다.


































7. OST[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2.1.1번 문단을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확장판[편집]



확장판(Extended Version)은 개봉판에서 삭제된 장면을 이어붙인 것으로, 총 7분 가량이 추가되었다. 크리스 콜럼버스가 직접 편집한 일종의 감독판이다. 이 판본은 ABC 방송국에서 2004년에 최초로 방영되었고, DVD와 블루레이로도 출시되고 스트리밍으로도 서비스된다.

추가된 장면은 다음과 같다.



9. 기타[편집]




9.1. 20주년 기념 리유니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해리 포터 20주년: 리턴 투 호그와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둘러보기[편집]


크리스 콜럼버스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No. 1-25 ]⠀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라이온 킹나랏말싸미타짜: 원 아이드 잭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파일:OGT1.jpg
파일:OGT2.jpg
파일:OGT3.jpg
파일:OGT4.jpg
파일:OGT5.jpg
No. 1

2019. 7. 4.
No. 2

2019. 7. 19.
No. 3

2019. 7. 24.
No. 4

2019. 9. 11.
No. 5

2019. 9. 25.
조커말레피센트 2날씨의 아이겨울왕국 2포드 V 페라리
파일:OGT6.jpg
파일:OGT7.jpg
파일:OGT8-1.jpg
파일:OGT9.jpg
파일:OGT10.jpg
No. 6

2019. 10. 2.
No. 7

2019. 10. 17.
No. 8

2019. 10. 30.
No. 9

2019. 11. 21.
No. 10

2019. 12. 4.
캣츠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남산의 부장들버즈 오브 프레이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파일:OGT11.jpg
파일:OGT12.jpg
파일:OGT13.jpg
파일:OGT14.jpg
파일:OGT15.jpg
No. 11

2019. 12. 24.
No. 12

2020. 1. 8.
No. 13

2020. 1. 22.
No. 14

2020. 2. 5.
No. 15

2020. 2. 19.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반도다만 악에서 구하소서테넷뮬란
파일:OGT16.jpg
파일:OGT17.jpg
파일:OGT18.jpg
파일:OGT19.jpg
파일:OGT20.jpg
No. 16

2020. 6. 17.
No. 17

2020. 7. 15.
No. 18

2020. 8. 5.
No. 19

2020. 8. 26.
No. 20

2020. 9. 17.
원더우먼 1984소울톰과 제리미나리자산어보
파일:OGT21.jpg
파일:OGT22.jpg
파일:OGT23.jpg
파일:OGT24.jpg
파일:OGT25.jpg
No. 21

2020. 12. 23.
No. 22

2021. 1. 20.
No. 23

2021. 2. 24.
No. 24

2021. 3. 3.
No. 25

2021. 3. 31.
⠀[ No. 26-50 ]⠀
서복분노의 질주: 더 얼티메이트크루엘라루카인 더 하이츠
파일:OGT26.jpg
파일:OGT27.jpg
파일:OGT28.jpg
파일:OGT29.jpg
파일:OGT30.jpg
No. 26

2021. 4. 15.
No. 27

2021. 5. 19.
No. 28

2021. 5. 26.
No. 29

2021. 6. 17.
No. 30

2021. 6. 30.
블랙 위도우정글 크루즈더 수어사이드 스쿼드프리 가이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파일:OGT31.jpg
파일:OGT32.jpg
파일:OGT33.jpg
파일:OGT34.jpg
파일:OGT35.jpg
No. 31

2021. 7. 14.
No. 32

2021. 7. 28.
No. 33

2021. 8. 4.
No. 34

2021. 8. 11.
No. 35

2021. 9. 1.
007 노 타임 투 다이베놈 2: 렛 데어 비 카니지고장난 론이터널스
파일:OGT36.jpg
파일:OGT37.jpg
파일:OGT38.jpg
파일:OGT39.jpg
파일:OGT40.jpg
No. 36

2021. 9. 29.
No. 37

2021. 10. 13.
No. 38

2021. 10. 20.
No. 39

2021. 10. 27.
No. 40

2021. 11. 10.
유체이탈자리슨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파일:OGT41.jpg
파일:OGT42.jpg
파일:OGT43.jpg
파일:OGT44.jpg
파일:OGT45.jpg
No. 41

2021. 11. 24.
No. 42

2021. 12. 9.
No. 43

2021. 12. 15.
No. 44

2021. 12. 22.
No. 45

2022. 1. 12.
킹메이커나일 강의 죽음더 배트맨모비우스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파일:OGT46.jpg
파일:OGT47.jpg
파일:OGT48.jpg
파일:OGT49.jpg
파일:OGT50-1.jpg
No. 46

2022. 1. 26.
No. 47

2022. 2. 9.
No. 48

2022. 3. 1.
No. 49

2022. 3. 30.
No. 50

2022. 4. 13.
⠀[ No. 51-75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쥬라기 월드: 도미니언버즈 라이트이어탑건: 매버릭
파일:OGT51.jpg
파일:OGT52.jpg
파일:OGT53.jpg
파일:OGT54.jpg
파일:OGT55.jpg
No. 51

2022. 5. 11.
No. 52

2022. 5. 18.
No. 53

2022. 6. 1.
No. 54

2022. 6. 15.
No. 55

2022. 6. 25.
헤어질 결심토르: 러브 앤 썬더미니언즈 2비상선언헌트
파일:OGT56.jpg
파일:OGT57.jpg
파일:OGT58.jpg
파일:OGT59.jpg
파일:OGT60.jpg
No. 56

2022. 6. 29.
No. 57

2022. 7. 13.
No. 58

2022. 7. 20.
No. 59

2022. 8. 3.
No. 60

2022. 8. 10.
오펀: 천사의 탄생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블랙 아담원피스 필름 레드아바타: 물의 길
파일:OGT61.jpg
파일:OGT62.jpg
파일:OGT63.jpg
파일:OGT64.jpg
파일:OGT65.jpg
No. 61

2022. 10. 12.
No. 62

2022. 10. 15.
No. 63

2022. 10. 19.
No. 64

2022. 11. 30.
No. 65

2022. 12. 21.
더 퍼스트 슬램덩크교섭바빌론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대외비
파일:OGT66.jpg
파일:OGT67.jpg
파일:OGT68.jpg
파일:OGT69.jpg
파일:OGT70.jpg
No. 66

2023. 1. 4.
No. 67

2023. 1. 18.
No. 68

2023. 2. 1.
No. 69

2023. 2. 15.
No. 70

2023. 3. 1.
스즈메의 문단속샤잠! 신들의 분노에어존 윅 4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파일:OGT71.jpg
파일:OGT72.jpg
파일:OGT73.jpg
파일:OGT74.jpg
파일:OGT75.jpg
No. 71

2023. 3. 8.
No. 72

2023. 3. 15.
No. 73

2023. 4. 5.
No. 74

2023. 4. 12.
No. 75

2023. 4. 26.

⠀[ No. 76-100 ]⠀

드림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슬픔의 삼각형인어공주범죄도시3
파일:OGT76.jpg
파일:OGT77.jpg
파일:OGT78.jpg
파일:OGT79.jpg
파일:OGT80.jpg
No. 76

2023. 4. 29.
No. 77

2023. 5. 3.
No. 78

2023. 5. 17.
No. 79

2023. 5. 24.
No. 80

2023. 5. 31.
플래시엘리멘탈보 이즈 어프레이드바비밀수
파일:OGT81.jpg
파일:OGT82.jpg
파일:OGT83.jpg
파일:OGT84.jpg
파일:OGT85.jpg
No. 81

2023. 6. 14.
No. 82

2023. 6. 21.
No. 83

2023. 7. 5.
No. 84

2023. 7. 19.
No. 85

2023. 7. 26.
콘크리트 유토피아오펜하이머베니스 유령 살인사건크리에이터화란
파일:OGT86.jpg
파일:OGT87.jpg
파일:OGT88.jpg
파일:OGT89.jpg
파일:OGT90.jpg
No. 86

2023. 8. 9.
No. 87

2023. 8. 15.
No. 88

2023. 9. 13.
No. 89

2023. 10. 4.
No. 90

2023. 10. 11.
블루 자이언트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더 마블스서울의 봄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파일:OGT91.jpg
파일:OGT92.jpg
파일:OGT93.jpg
파일:OGT94.jpg
파일:OGT95.jpg
No. 91

2023. 10. 18.
No. 92

2023. 10. 25.
No. 93

2023. 11. 8.
No. 94

2023. 11. 22.
No. 95

2023. 12. 20.
노량: 죽음의 바다류이치 사카모토: 오퍼스
파일:OGT96.jpg
파일:OGT97.jpg
No. 96

2023. 12. 23.
No. 97

2023. 12. 27.

⠀[  Re.  ]⠀

라라랜드콜 미 바이 유어 네임위플래쉬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
파일:OGTR1.jpg
파일:OGTR2.jpg
파일:OGTR3.jpg
파일:OGTR4-1.jpg
파일:OGTR4-2.jpg
Re. 1

2020. 3. 25.
Re. 2

2020. 6. 11.
Re. 3

2020. 10. 28.
Re. 4

2021. 3. 11.
Re. 4

2021. 3. 18.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러빙 빈센트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너의 이름은.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파일:OGTR4-3.jpg
파일:OGTR5.jpg
파일:OGTR6-1.jpg
파일:OGTR7.jpg
파일:OGTR8-1.jpg
Re. 4

2021. 3. 18.
Re. 5

2021. 3. 17.
Re. 6

2021. 5. 5.
Re. 7

2021. 9. 9.
Re. 8

2021. 9. 15.
그래비티호빗 3부작화양연화중경삼림사랑은 비를 타고
파일:OGTR9.jpg
파일:OGTR10.jpg
파일:OGTR11.jpg
파일:OGTR12.jpg
파일:OGTR13.jpg
Re. 9

2021. 10. 6.
Re. 10

2021. 11. 18.
Re. 11

2022. 2. 24.
Re. 12

2022. 4. 20.
Re. 13

2022. 9. 21.
브이 포 벤데타타이타닉해피 투게더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샤이닝
파일:OGTR14.jpg
파일:OGTR15.jpg
파일:OGTR16.jpg
파일:OGTR17.jpg
파일:OGTR18.jpg
Re. 14

2022. 11. 2.
Re. 15

2023. 2. 8.
Re. 16

2023. 4. 1.
Re. 17

2023. 5. 27.
Re. 18

2023. 6. 28.
오즈의 마법사다크 나이트겨울왕국헤드윅
파일:OGTR19.jpg
파일:OGTR20.jpg
파일:OGTR21.jpg
파일:OGTR22.jpg
Re. 19

2023. 9. 9.
Re. 20

2023. 11. 15.
Re. 21

2023. 11. 30.
Re. 22

2023. 12. 6.

⠀[  Special  ]⠀


[1] 미국판 제목은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재개봉] A B [2] 스타워즈 시리즈의 포스터를 제작한 것으로 유명한 드루 스트루전이 제작했다.[3] 본래 크리스 콜럼버스 외에도 끝없는 이야기와 트로이로 유명한 볼프강 페테르젠 역시 유력한 감독 후보였지만, 이쪽은 스케줄 문제로 감독직을 거절했다.[4] 원래 교복은 마법사/마녀의 검은 로브와 비슷한 것이지만 영상화를 하다 보니 대중적인 것도 생각해야 해서 바꾼 것이다. 포터모어 그림은 원작이 반영되었다.[5] J. K. 롤링이 직접 캐스팅한 알란 릭맨의 나이에 맞춰서 해리 포터 아버지 세대 배우 캐스팅 나이가 상승하게 되었다.[6] 본래 해리 포터의 눈동자 색은 초록색이고 이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관통하는 아주 중요한 설정이지만 다니엘 래드클리프가 렌즈에 민감해서 어쩔 수 없이 몇몇 장면 빼고는 렌즈를 끼지 않고 촬영했다.[7] 해리 포터 시리즈는 원작빠가 많은 편이기 때문에 이런 전개와 관련이 없는 사소해 보이는 것으로도 불평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들도 최대한 원작에 가까운 1, 2편은 호평하고 각색이 많은 후반부 시리즈는 좋아하지 않는다.[8] 원작 1편은 판타지 소설보다는 동화에 가깝다 보니 해리 포터에 대한 편애가 너무 많아 집중에 방해되는 등 문제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9] 이 문단을 보면 양이 많은 듯하지만 주요 전개를 크게 바꾼 게 아닌, 자잘한 것들이다.[10] 그래서 해리가 더들리의 침실을 쓰게 되는 시점이 2편 초반부로 옮겨졌는데, 버넌의 말에 의하면 방학맞이 선물로 특별히 방을 꾸며줬다고 한다.[11] 6, 7편에서 비중 있는 장소로 나와서 이 점을 아쉬워하는 들이 있다.[12] 퀴리너스 퀴럴[13] 설정상 호그와트의 움직이는 계단실은 구조가 매우 복잡해 5학년생들부터 출입할 수 있는 곳이다. 우연히 금지된 복도로 들어간 것에 당위성을 더해준 장면.[14] 조부모인 플리몬트와 유페미아도 있었다.[15] 원작에서 론은 노버트에게 물려 병동 신세를 지고 있었다.[16] 위석 관련 언급이고 6편에서 떡밥이 회수된다.[17] 대표적으로 리키 콜드런 안에서의 목소리와 바로 다음 장면인 다이애건 앨리에서의 목소리가 다르다. 이는 다이애건 앨리 장면을 훨씬 나중에 찍었기 때문이다.[18]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의 경우 존 코너 역을 연기한 에드워드 펄롱이 촬영 당시에 변성기가 와서 목소리가 들쭉날쭉했는데, 감독 제임스 카메론은 에드워드의 목소리를 컴퓨터로 변조하여 톤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문서의 r19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3:02:52에 나무위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