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봉바르디에 리어젯 시리즈

덤프버전 :

파일:봉바르디에_로고.png
[ 봉바르디에 항공기 목록 ]

비즈니스 전용기
Challenger 시리즈 ‧ Global 시리즈Learjet 시리즈
기타 항공기
Short 330 ‧ Short 360CL-415
매각된 항공기
Q400C시리즈CRJ200 시리즈CRJ700 시리즈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항공기
단발기DHC-1 ‧ DHC-2 ‧ DHC-3
쌍발 민항기DHC-6DHC-8
쌍발 수송기DHC-4 ‧ DHC-5
4발기DHC-7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파일:Learjet_75_N446LJ_at_PRG_01.jpg
리어젯 시리즈 최신 기종 리어젯 75

공식 페이지

1. 개요
2. 세부 기종
2.1. 리어젯 23
2.2. 리어젯 24
2.3. 리어젯 25
2.4. 리어젯 28/29
2.5. 리어젯 31
2.6. 리어젯 35/36
2.7. 리어젯 40
2.8. 리어젯 45
2.9. 리어젯 55
2.10. 리어젯 60
2.11. 리어젯 70/75
2.12. 리어젯 85
3. 기타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미국의 발명가이자 사업가인 빌 리어가 창립한 스위스 아메리칸 항공 회사(Swiss American Aviation Corporation(SAAC))에서 개발한 소형 비즈니스 제트기 라인업. 비즈니스젯의 대명사로, 1990년 봉바르디에가 제조사를 인수한 이후로 현재까지 자회사 봉바르디에 리어젯에서 생산하고 있다.[1]

2021년부터 생산이 중단되어서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사라졌다.


2. 세부 기종[편집]



2.1. 리어젯 23[편집]


파일:external/www.bjtonline.com/learjet-23-w-learjet_webgn.jpg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inline_nsdigy1n9k1t90ue7_1280.jpg

리어젯 설계에 기반이 된 스위스 공격기 FFA P-16.
승무원 2명과 승객 4~6명이 탑승할 수 있는 소형 쌍발 비즈니스 제트로, 지금의 여러 리어젯 시리즈의 기반이 된 리어젯 최초의 모델.

미국의 발명가이자 사업가인 빌 리어는 스위스의 공격기 P-16에 관심을 가졌고, 이 공격기를 기반으로 여객형 모델을 계획하게 된다. 후에 그는 회사를 스위스에서 캔자스주의 위치타로 옮긴 뒤, 회사명을 리어젯 코퍼레이션으로 고치고 1962년 2월 7일 프로토타입 생산에 들어간다.

프로토타입 기체는 1963년 10월 7일 초도 비행에 들어갔다. 시험 도중 기체가 추락하는 사고도 있었으나 양산에 들어갔고 총 104대가 생산되었다.

엔진은 F-5에 사용되는 J85의 민수형 버전인 GE사의 CJ-610을 사용한다.


2.2. 리어젯 24[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NASA_DFRC_Lear_24_in_flight.jpg

리어젯 23의 개량형으로 엔진이 개량되었고 최대 이륙 중량의 증가, 최대 상승 고도 증가, 날개 끝 탱크에 보조 연료 탑재 등 여러 개선사항이 적용되었다.


2.3. 리어젯 25[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arjet_25_der_NASA.jpg

리어젯 24의 개량형으로, 동체 길이가 1.27m 가량 길어져서 승객 3명을 더 태울 수 있게 되었다. 후에 계속된 개량을 통해 엔진이 업그레이드 되어 51,000피트까지 상승할 수 있게 되었다.

위 사진처럼 23, 24, 25, 28 모델들이 NASA에서 많이 쓰이는데, VIP 수송용인지 실험용인지는 불명.

과거에 스페이스 셔틀의 활강 연습용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있다.


2.4. 리어젯 28/29[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arjet_28-29.jpg

파일:external/avia.pro/2109860.jpg

기존 리어젯 25 모델의 날개를 새로 디자인하여 날개 양 끝의 보조 연료탱크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윙렛을 장착한 모델.

리어젯 28은 8~10명[2]을 수송할 수 있고, 리어젯 29 모델은 동체 후부의 연료탱크 크기를 늘리고 좌석 수를 줄여서[3] 항속거리가 조금 더 길다.

윙렛이 생겨서 경제성이 아주 살짝(...) 좋아졌으나 구형 엔진을 그대로 사용하여 연료 소비량이 많은 데다가 소음이 컸다. 결국 28모델 5대, 29모델 4대(...) 라는 참담한 판매 실적을 보였고, 1982년 생산이 중단되었다.

남은 대부분의 항공기들은 NASA에서 활동하다가 전량 퇴역한 듯 하다.


2.5. 리어젯 31[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arjet_31A_N312CC_KBFL_070207.jpg


2.6. 리어젯 35/36[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arjet_35A_taxiing.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ates_Learjet_36A-Avcon_R-X_AN1392956.jpg

파일:external/a4a43f8945c3e8fdb4e6e185787ce2b26d5482d10e992d3753c90c0ea052c1e7.jpg

영화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에서 잠깐 등장한다.

파일:main_u-36a.jpg

일본 해상자위대에서 "U-36A"라는 이름으로 채용하여 함대훈련지원기(艦隊訓練支援機) 활용 중이다.

단, 원형 그대로 쓰지 않고 신메이와 공업에 의뢰하여 동체 하부에 HPS-103 기상 • 항법 레이더와 날개 아래에는 표적예항장치나 ECM 포드, 채프 포드용 파일런을 장착하며 주익 양쪽 끝에는 각기 적외선, 레이더 대함 미사일 모사 시커를 탑재하고, 시뮬레이터 오른쪽에는 평가 • 기록용 TV카메라 등 여러가지 장치를 집어 넣어 개조하였다.

그 외 아일랜드 및 핀란드 공군은 "전자전 정찰기"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원형 그대로 아닌 개조하여 쓴다.


2.7. 리어젯 40[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cnik_%281850232066%29.jpg


2.8. 리어젯 45[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arjet45-gama.jpg


2.9. 리어젯 55[편집]




2.10. 리어젯 60[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B-VNV_%288480105680%29.jpg


2.11. 리어젯 70/75[편집]


파일:external/www.ainonline.com/learjetfamily.jpg

맨 앞이 리어젯 75, 그 바로 뒤가 70이다. 맨 뒤에는 계획이 취소된 85.


2.12. 리어젯 85[편집]


파일:external/www.ainonline.com/lear85.jpg

계획이 취소되어 실제로는 볼 수 없다.


3. 기타[편집]


걸프스트림에서 생산하는 기종 G280이 10인승으로 리어젯과 비슷하다. 플래그쉽인 G650의 경우 19인승.

마이크로소프트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X(FSX)에서 CRJ700과 함께 사용 가능한 기종으로 등장한다.

굉장히 많은 수의 리어젯 초창기 모델들을 NASA에서 보유 중이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4세대F-16C/DU, F-15C/D/EU
4.5세대F-16CM/DMM, F-15EX
5세대F-22A, F-35A, F-23, F-32
6세대{PCA}
공격기AT-6B, A-10C, AC-130HR/UR/WR/J, F-117
폭격기B-52HM, B-1B, B-2A, {B-21}, {B-52J}
수송기전술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C-17A, C-5M
지원기조기경보기E-3B/C/G, E-8CR, {E-7}, E-10
정찰기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E-11A
계측통신정보기RC-135S
전자정찰기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RC-135V/W, RC-26B
기상관측기WC-130J
대기분석기WC-135C/W/R
관측지원기OB-135B
공중지휘기E-4
공중급유기KC-10A, KC-135R/T, {KC-46A}
회전익기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SUAVRQ-11B, RQ-20B
UAVRQ-4A/BU, RQ-170, RQ-180
UCAVMQ-1BR, MQ-9A/B, MQ-20
훈련기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F-117, {T-7A}
다목적기UV-18B, U-27, U-28
특수목적기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 C-37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윗첨자U: 업그레이드/업그레이드 예정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현대 스위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위스군 (1945~현재)
Schweizer Armee
회전익기 경헬기EC635P2+ | SE.3160 Alouette-IIIR | SE.3130 Alouette-IIR | SO.1221 DjinnR | OH-23 RavenR
다목적 헬기TH98(98, 98/18) Cougar | TH89(89, 89/06) Super Puma
전투기프롭P-51B MustangI, R | P-51(D/K) MustangR | M.S.406S MoraneR | D-3800 MoraneR | D-3801 MoraneR | D-3802(A) MoraneR | D-3803 MoraneR | Me 109 D-1 DavidR | Me 109 (E1/E-3) EmilR | Me 109 F-4 FritzI, R | Me 109 G-6 GustavR | Me 109 G-14 GustavI, R
1세대D.H.100 (F.1/FB.6) VampireR | D.H.113 NF.10 VampireX, R | D.H.112 (FB.1/FB.4) VenomR | N-20.10 Aiguillon
2세대헌터 F.Mk.58(A) Hunter R
3세대미라주 IIIS MIROR | F-5E Tiger II
4세대F/A-18(C/D) Hornet
5세대{F-35A Lightning II}
공격기P-16(.04/Mk.2/Mk.3)
정찰기전술DA42 Twin Star | 미라주 IIIRS MIROR | C-36R | C-35R | C.V-ER
수송기Ju 52R | C-45 ExpeditorR | D.H.98 PR.IV MosquitoI, R | Si 204R | M 18dR, DHC-6-300 Twin OtterST, 모델 350C Super King AirST
다목적기PC-6B2-(H2/H4) Turbo Porter
무인기SUAVKZD-85
UAVADS 15 | ADS-(95/90) RangerR | MQM-61 CardinalR
지원기연락기PA-18 Super CubR | Fi 156 StorchR | 모델 50 Twin BonanzaR | Do 27H-2R | Bf 108R
훈련기프롭PC-21 | PC-9R | PC-7 Turbo-Trainer | P-3R | P-2R | Harvard IIBR | Fw 44F StieglitzR | Bü 131R | Bü 133R | Bf 108 B-1 TyphoonR
제트F-5F Tiger II | BAe 호크 Mk.66 HawkR | 미라주 III(BS/DS) MIROR | D.H.115 T.55 VampireR | 헌터 T.Mk.68 Hunter R
표적예인F+W C-3605R
VIP 탑승기PC-24 | 다쏘 팰컨 900EX | 챌린저 604 | 세스나 560XL Citation Excel | EC635 VIP | 비치크래프트 1900R | 리어젯 35R | 다쏘 팰컨 50R | AS365 Dauphin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ST: Swisstopo에서 측량용도로 사용
※ 윗첨자I: 강제착륙시킨/귀순해온 항공기를 편제에 넣음
※ 윗첨자X: 실험용으로 사용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작은 글자: 해당 기체의 별명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현대 핀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회전익기 경헬기MD 500(D/E) · MD 500(C/M)육R | AB 206A 제트 레인저육R | Mi-1육R | SE.3130 알루에트-II육R
다목적 헬기NH90 TTH | Mi-8(P/PS/T)육R | Mi-4육R
전투기프롭발멧 피후리R | Bf 109 GR
1세대뱀파이어 FB.52R | 냇 F.1R
2세대MiG-21F-13/bisR | J 35BS 드라켄R
3세대J 35(FS/XS) 드라켄R
4세대F-18(C/D) 호넷
5세대{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Il-28R
정찰기전술리어젯-35A/S | MiG-21bis/TR | 냇 FR.1R | Il-28R "니키타"R | 펨브로크 C.53R | 포커 C.XR
전자C-295M SIGNT | 포커 F27-100 SIGINTR
수송기C-295M | PC-12NG | 포커 F27-400M 트룹쉽R | C-47A 스카이트레인R
다목적기PA-31-350 치프틴R · PA-31 나바호R | PA-28(R-200/RT-201) 애로우 II · 애로우 IVR | 세스나 402B 비즈니스라이너R | BN-2A 아일랜더R | DHC-2 비버 Mk.1R
무인기SUAV오비터-2B | DJI 매빅 프로 플래티넘
UAVADS-95 레인저
지원기연락기비치크래프트 D17SR | Fi 156K-1R
훈련기프롭G115E 튜터 | L-70 빈카R | L-90TP 레디고R | VL 툴리 (I~III)R | VL 비마R | VL 푸루R | Fw 44 J
제트호크 Mk.(51/51A/66) | Sk 35CS 드라켄R | MiG-21(U/UM/US)R | CM.170R 마지스테르R | MiG-15UTIR | 뱀파이어 T.55R
표적예인사브 91D 사피르R | 사브 B 17A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일본 자위대 (1954~현재)
日本 自衛隊
회전익기 경헬기TH-135, TH-480B, BK 117, OH-6(D/J)육/R, TH-55J육/R, H-13육/해/R
다목적 헬기EC225, S-61A해/R, OH-1, UH-60JA육/항, UH-1(BR/HR/J)/{UH-X}, H-19/S-55A/H-19C육/해/항/R
수송헬기MV-22, CH-47(J/JA)육/항, KV-107육/해/항/R, H-21B/V-44A항/육/R
공격헬기AH-1S, AH-64DJ
대잠헬기MCH-101, SH-60(J/K), MH-53E해/R, HSS-2(A/B)해/R
전투기1세대F-86(D/F)R
2세대F-104(J/DJ)R
3세대F-1R, F-4EJ/EJ 改R
4세대 / 4.5세대F-15(J/DJ, J 改/DJ 改), F-2(A/B)
5세대F-35A/{B}
6세대{GCAP}
수송기C-130(H/R), C-1A, C-2, YS-11, C-46DR
수상기/비행정US-2, US-1A해/R, HU-16해/R
무인기UAV보잉 스캔이글, {RQ-4}
지원기조기경보기E-767, E-2C/{D}
해상초계기P-1, P-3C, P-2J해/R, S2F-1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U-125A, U-4, U-36A, LR-2, LC-90R, LR-1육/R, LM-1육/R, 가와사키 KAL-2R
정찰기RF-86FR, RF-4(E/EJ)R, EP-2JR, EP-3
공중급유기KC-130R, KC-767J, {KC-46A}
전자전기EC-1, YS-11(EA/EB), {EC-2}
훈련기프롭후지 T-7, 후지 T-5, 후지 T-3R, KM-2육/해/항/R, 비치크래프트 B65R, T-34A(LM-1)R, T-6(D/F/G)R
제트T-33AR, 뱀파이어 T.55X/R, 후지 T-1(A/B)R, T-2R, T-4, T-400
특수목적기보잉 747-400R, 보잉 777-300ER, U-4, EC 225LP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 자위대: 해당 자위대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파일:브라질라운델.png 현대 브라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S550, H-36, AS565
수송헬기H-36, AS532
공격헬기AH-2 세이버R
대잠헬기Mk.21A 씨 링스, S-70B, H-36
전투기1세대글로스터 미티어R, P-80 슈팅스타R
2세대F-5R
3세대미라주 IIIR, F-5E/FM
4세대 / 4.5세대F-39 그리펜
공격기AF-1B, AMX 인터내셔널 AMX, A-29A 슈퍼 투카노
수송기C-130M, KC-390
지원기조기경보기E-99M
대잠초계기S-2E 트래커해/R, P-3CAM, P-95
정찰기R-99
공중급유기KC-130H, {KC-30}
무인기UAVIAI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훈련기프롭EMB 312 투카노, A-29B 슈퍼 투카노
제트AMX 인터내셔널 AMX, F-5F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2:52:52에 나무위키 봉바르디에 리어젯 시리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봉바르디에가 인수하기 전에도 사명이 굉장히 많이 바뀌었는데, 우선 리어젯의 첫 모델 판매가 시작되었을 때 리어젯 코퍼레이션으로 개명되었다가 공영 법인이 되면서 리어젯 인더스트리 Inc.가 되었고, 이후 게이츠 코퍼레이션이라는 회사와 합병되어 게이츠 리어젯 코퍼레이션이 된다. 그리고 나서 회사가 Integrated Acquisition Inc.라는 회사에 인수되어 사명이 Learjet Corporation 아까랑 띄어쓰기 하나 차이다 으로 변경되었고, 그 이후 봉바르디에가 인수하여 지금에 이르게 된 것이다.[2] 승무원 2명 포함.[3] 승무원 2명에 승객 4명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