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권태오(군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권태오 문서
권태오번 문단을
권태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수도군단 부대상징.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 초대
조문환 || 2대
문흥구 || 3대
차규헌 || 4대
박노영 || 5대
이광노 ||
|| 6대
최문규 || 7대
정진태 || 8대
임헌표 || 9대
정인균 || 10대
장석린 ||
|| 11대
박광영 || 12대
배문환 || 13대
김동신 || 14대
길형보 || 15대
김희상 ||
|| 16대
홍순호 || 17대
정수성 || 18대
이희원 || 19대
이성규 || 20대
박종달 ||
|| 21대
김기수 || 22대
임관빈 || 23대
김요환 || 24대
권태오 || 25대
이순진 ||
|| 26대
최병로 || 27대
김완태 || 28대
이창효 || 29대
최진규 || 30대
이정웅 ||
|| 31대
고창준 || 32대
박정택 || || || ||
||<-5><bgcolor=#24339c>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제2작전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height=50> (대수미상)
김형일 ||<width=20%> 박정희 ||<width=20%> 한신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최갑석 ||<width=2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임복진 ||
||<height=50> 안병호 || 조영길 || 정두근 || 오정석 || 권태오 ||
||<height=50> 임국선 || 안병태 || 박삼득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이재형 || 이석구 ||
||<height=5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정형희 ||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함희성 || 여운태 || ||
||<-5><bgcolor=#2e3192>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major general_white.png

제56대

파일:미합중국 육군소장기.svg
제임스 레코드
제57대

황원탁
제58대

이석복
제5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차기문
제60대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송영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김용기
제20대

장용구
제21대

제22대

권태오
제23대

제24대

장경욱
제25대

전인범
제26대

서형석
제27대

장광현
제28대

조영진
제29대

신상범
제30대

김종문
제31대

강인순
제32대

이기성
제33대

최인수
제34대

강인규

※ 초대~현임: 소장(58대: 중장)





파일: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심벌.svg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 펼치기 · 접기 ]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사무총장 (1981~1987)
초대
이범석
제2대
손재식
제3대
서정화
제4대
김창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총장 (1987~1998)
제4대
김창식
제5대
현경대
제6대
송한호
제7대
유경현
제8대
박상범
제9대
정호근

통일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국장 (1998~1999)
제10대
김명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1999~현재)
제11대
손진영
제12대
강동현
제13대
김희택
제14대
오세정
제15대
김대식
제16대
김병일
제17대
이상직
제18대
남성욱
제19대
박찬봉
제20대
배정호
제21대
권태오
제22대
황인성
제23대
이승환
제24대
배기찬
제25대
김창수
제26대
석동현




파일:육군 제51보병사단_부대마크.svg

대한민국 육군
제51보병사단장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제1대
조성욱 ||<width=20%> 제2대
김기성 ||<width=20%> 제3대
(미상) ||<width=20%> 제4대
임헌표 ||<width=20%> 제5대
송응섭 ||
|| 제6대
김동신 || 제7대
전상배 || 제8대
홍순호 || 제9대
박준근 || 제10대
이희원 ||
|| 제11대
문영환 || 제12대
조영래 || 제13대
권용원 || 제14대
명충식 || 제15대
권태오 ||
|| 제16대
배봉원 || 제17대
장광현 || 제18대
김일수 || 제19대
황인권 || 제20대
김인건 ||
|| 제21대
손대권 || 제22대
류승민 ||




{{{#fff 대한민국 제24대 수도군단장}}}
권태오
Kwon Taeoh
파일:권태오.png
출생1956년
경상북도 대구시
학력고등학교 졸업학력 검정고시
경북대학교 (사학 / 학사)[1]
트로이주립대학교 (경영학 / 석사)
경력중원대학교 초빙교수
북한민주화위원회 자문위원
성우회 정책자문 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
군사 경력
임관육군3사관학교 (13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76년 ~ 2014년
최종 계급중장
최종 보직국군의 날 행사단장 겸 제병지휘관
주요 보직한미연합사령부 작전처장
제51보병사단장
수도군단장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1. 개요
2. 생애
2.1. 유년기
2.2. 군 경력
3. 전역 후의 삶
4.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예비역 육군 장성으로 최종 계급은 중장이다.


2. 생애[편집]



2.1. 유년기[편집]


1956년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국민학교[2]를 졸업하고 가정 형편으로 ·고등학교에 진학하지는 못했지만 검정고시로 학력을 마쳤다[3]. 이후 육군3사관학교에서 2년간 군사 교육을 받고 수석으로 졸업하였으며, 보병 소위로 임관하였다[4].


2.2. 군 경력[편집]


소대장 직무를 마치고 군 위탁교육으로 경북대학교 사학과에서 문학사를 취득하였다. 당시 3사에서 생도 과정이지만 2년 과정의 군사 교육만 실시하여 학사 학위를 주지 않았고 위탁교육을 가서 학사학위를 수여받았다.

3사를 수석 졸업한 영향으로 교수요원으로 선발되었으나# 외부 여건으로 취소되었고 야전에서 활동하였다[5].

육사 출신이 득세하던 상황에서도 능력을 인정 받았으며 한미연합작전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능력자로 알려져 있다. 준장 때 육사 출신이 독점하는 요직한미연합군사령부 작전처장을 맡을 정도였다.

소장 시절에는 제51보병사단장, 국방부 동원기획관, 연합사 부참모장을 맡았다. 이후 중장으로 진급하여 수도군단장,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을 맡다가 퇴임 직전에는 소장급 보직인 국방부 6.25기념사업 및 국군의 날 행사단장 겸 국군의 날 행사단 제병지휘관을 맡았다. 이후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3. 전역 후의 삶[편집]


군 안보관련 단체에서 활동하며 북한민주화위원회 자문위원, 성우회 정책자문위원, 중원대학교 초빙교수의 직위를 맡았었다.

2016년에는 박근혜 정부의 부름을 받아 차관급 직위인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을 맡기도 하였으나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직을 내려놓게 된다.

2019년 자유한국당[6]으로부터 이동욱 전 월간조선 기자와 함께 5·18 진상규명조사위원으로 추천을 받았으나, 문재인 당시 대통령이 임명을 거부하였다#.

현재는 전국 검정고시 총동문회 감사를 맡고 있으며, 뉴스퀘스트에 '권태오 장군의 영점사격'이라는 이름의 군사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2022년 9월 2일에는 러우전쟁에서 배운다⑥ - 전시 지도자의 모습이라는 기고문을 내었다. 해당 기고문에서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서 존경받는 이유를 기술하였다.


4. 여담[편집]





[1] 권태오 장군이 3사를 다녔을 적에는 3사에서는 학사 학위를 수여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군 위탁으로 경북대학교에 진학하여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2] 1996년부터 초등학교[3] 3사 6기수 후배인 이창효 장군도 검정고시 출신이다. 이 장군도 본인과 마찬가지로 중장으로 예편하였다.[4] 3사 1기수 후배인 신동만은 반대로 수석으로 입학했다.[5] 1기수 후배인 신동만도 수석 입학의 영향으로 교수요원으로 선발되었으나 마찬가지로 외부 여건으로 취소되어 야전에서 근무했다.[6]국민의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