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덤프버전 :

||



파일:우진2829버스.jpg파일:대구2667버스.jpg
간선, 지선, 순환, 출근버스 도색급행버스, 좌석예비차 도색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Daegu Metropolitan City Bus
노선수123개[1]
정류소수3,525개[2]
업체수26개
차량수총량1,656대
정규1,570대
(일반 608대 / 저상 814대 / 좌석 148대)[3]
예비86대
(일반 59대 / 저상 0대 /좌석 27대)[4]
운행시간05:30 ~ 24:20
운임제도단일요금제, 환승할인제
운영제도준공영제, 총량제
홈페이지홈페이지
대구광역시 버스운송사업조합
대구광역시 버스노동조합

1. 개요
2. 종류 및 체계
2.1. 권역번호
3. 요금
3.1. 요금 연혁
3.2. 무료환승
3.3. 교통카드
3.3.1. 멘트
5. 연혁
6. 운영 상세
6.1. 노선
6.1.1. 마을버스
6.1.2. 폐선
6.3. 교외 노선
6.4. 통계
6.4.1. 연도별 이용 현황
6.4.2. 노선별 승하차량
6.4.3. 정류소별 승하차량
6.4.4. 노선별 총연장
6.4.5. 노선별 평균운행시간
6.4.6. 노선별 정류소수
6.4.7. 최극단
7. 공영차고지
7.1. 계획
8. 업체 목록
8.1. 현존하는 업체
8.2. 폐업 및 인수합병된 업체
8.3. 사명을 바꾼 업체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시내버스이며 각 버스회사의 배차권을 대구광역시가 가지는 준공영제로 운영 중이다.

2. 종류 및 체계[편집]


2006년 개편 때 버스를 4종으로 분류해 놓았다. 일부 좌석버스의 정류장을 줄여 급행화한 이름 그대로 급행간선을 만들고 나머지 좌석버스와 장거리 일반버스는 간선노선이 되었으며, 이후 대구광역시 순환도로를 따라 도는 순환노선을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단거리 일반버스 및 마을버스, 벽지노선은 지선노선이 되었다. 이후 2015년 개편으로 급행, 일반간선, 순환간선, 일반지선, 순환지선, 오지지선 7종으로 나눠놨다지만 도색이나 요금이 바뀐 것도 아니고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그냥 4종이라고 보는 것이 맞다.

급행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각 종별 상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2.1. 권역번호[편집]


파일:daegu-bus-number.png
0권역중구, 남구
1권역동구안심지구 제외 (8권역)
2권역서구, 북구 금호지구
3권역북구칠곡지구금호지구 제외 (7권역)
4권역수성구, 달성군 가창면시지지구 제외 (9권역)
5권역달서구 북부(성서), 달성군 북서부 지역성서지구 포함
6권역달서구 남부(월배), 달성군 남서부 지역
7권역북구 칠곡지구, 칠곡군 동명면 일부 지역(동명교통)금호지구 제외 (2권역)
8권역동구 안심지구, 경산시 북부 (하양읍, 진량읍), 영천시 금호읍
9권역수성구 시지지구, 경산시 남부 (동지역, 압량읍)
권역 미정군위군간선버스 없음

  • 간선버스, 출근맞춤버스 번호 부여 방식
첫째자리둘째자리셋째자리
출발지점 권역경유지점 권역도착지점 권역순환형 (-1)[A][5]
출근맞춤버스 (0)
적용예시
간선버스
523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5)를 출발해 서구 평리3동 서구청(2)을 경유하고 북구 검단동 성보교통 차고지(3)까지 운행하는 버스
출근맞춤버스
7250
북구 태전동 태전역(7)에서 북구 사수동 대구금호지구(2)를 거쳐 달서구 호림동 모다아울렛(5)까지 운행하는 출근 맞춤버스 (0)

  • 지선버스, 순환버스 번호 부여 방식
첫째자리둘째자리셋째자리
지선버스생활권명일련번호(-1)[A]
순환버스순환순환도로 차수반시계방향 : (-1)
적용예시
지선버스
칠곡1-1
북구 동호동 (칠곡지구)를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번 버스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1번 버스
순환버스
순환2(-1)
대구 2차 순환도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버스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는 -1번 버스
달성군 서남부 지역이 모두 6권역이다 보니 6권역의 면적이 크고 아름답다. 달성군 서남부 지역을 깊숙하게 들어가는 600번과 655번이 통과하는 권역은 2개 뿐이지만 운행거리는 왕복 100km를 근접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많은 노선이 진입하는 경산시는 남부가 9권역, 북부는 8권역으로 정해져 있다.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 이후 군위군 지역에 간선버스가 들어갈 것을 대비해 기존 권역번호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아니면 군위에서 그나마 생활권이 가까운 칠곡지구 권역인 7권역을 사용할 수도 있다.

3. 요금[편집]



||
구분현금교통카드
급행버스일반1,800원1,650원
청소년1,300원1,100원
어린이800원650원
75세 이상1,800원0원[2]
순환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
군위버스
DRT
경산버스
영천버스(일반·좌석)
일반1,400원1,250원
청소년1,000원850원
어린이500원400원
75세 이상1,400원0원[2]
[1] 2023년 7월 1일부터 시행한 요금체계이다.
[2] 동/읍/면 주민센터에서 발급한 전용카드를 사용해야 무료 혜택이 있다.


2019년 8월 13일부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대구 도시철도와 2009년 1월 17일부터 통합 요금제를 적용받는 경산시 시내버스, 영천시 시내버스와도 통합 요금제를 적용받는다.

2011년 7월 1일부터 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이 인상되었는데 대구광역시와 요금 체계가 같고 환승할 수 있는 경산시 시내버스도 똑같이 인상되었다. 성인 기준으로 교통카드 사용시 950원 → 1,100원, 현금 1,100원 → 1,200원으로 인상됐고 어린이 요금은 출산 장려의 일환으로 인상되지 않고 동결했다. 그런데 인상 첫 날, 환승 찍을 때마다 일반버스 기준으로 150원씩 요금이 더 빠져나가는 에러가 발생했다. 카드넷과 유페이먼트에서 나중에 환불 조치를 했다.

이 때에는 타 지자체에 비해 요금이 저렴한 편이었다. 성인 일반버스 교통카드 요금 기준으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서울특별시 시내버스[6]의 경우 1,200원으로 대구보다 100원 더 비쌌고, 천안시 시내버스의 경우 1,350원으로 대구보다 무려 250원 더 비쌌다. 또한 청소년 교통카드 요금 할인 폭이 일반의 약 30%로 다른 지자체(약 20~25%)에 비해 큰 편이다.

2016년 12월 30일에 도시철도 요금과 함께 성인 교통카드 기준으로 150원~200원 인상됐다. # 단, 이번에도 어린이 요금은 동결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구간요금이라고도 불리는 시계외요금2006년 10월 28일에 완전히 폐지했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로 경산시, 영천시, 고령군, 칠곡군, 구미시 등 시계외로 넘어가도 시계외요금이 붙지 않는다. 이는 같은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산시, 영천시 시내버스도 마찬가지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칠곡군 동명면(기성리), 가산면 다부리(대구예술대학교), 가산면 천평리, 고령군 다산면(상곡리, 노곡리, 호촌리, 평리리, 송곡리 일대), 성산면(득성리, 벌지리, 삼대리), 구미시 산동읍(경운대학교), 칠곡군 지천면(송정리 영진전문대학 칠곡캠퍼스, 연호리 추동교 및 칠곡농장) 등까지 가는 노선도 대구 버스라면 시계외요금이 없다.[7]

다만 타 지역 버스인 고령의 606번, 성주/칠곡의 250번 등은 대구 시계외를 벗어나면 시계외요금이 붙으며, 청도의 0번은 대구 시계내에서도 시계외요금이 붙는다.

대구광역시는 2020년 하반기 이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를 확대하길 희망하는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며 21년 검토 용역을 거쳐 24년 이내에 광역환승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대구시 인근 지자체는 칠곡군, 구미시, 김천시 등이 있으며 이 세 지자체는 이미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외에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등이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상 대구권에 속해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홍준표 대구시장의 공약사항에 따라 75세 이상 노인의 교통카드 요금이 무료화되었다. 무료 운임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동, 읍, 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카드 발급을 신청해 받아 반드시 그 카드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 교통카드로는 신분증으로 나이를 증명하더라도 기존의 성인 요금이 부과된다. 또한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기존 군위군 농어촌버스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와 동일한 요금체계를 따르고 교통카드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 준해 사용 가능하며, 시계외요금도 없다.

3.1. 요금 연혁[편집]


(괄호)는 토큰 / 교통카드 요금

구분일반버스좌석버스[8]
기간일반중, 고생초등생
1996년 4월 1일 ~ 1997년 8월 16일360270170800
1997년 8월 12일 ~ 1998년 2월 8일400290180850
1998년 2월 9일 ~ 2000년 5월 13일500 (490)350 (340)2001,000 (990)
2000년 5월 14일 ~ 2002년 11월 30일600 (580)420 (390)2501,200 (1100)
2002년 12월 1일 ~ 2004년 10월 20일700 (680)500 (470)2001,300 (1,200)
2004년 10월 21일 ~ 2006년 2월 18일900 (800)600 (550)2001,300 (1,200)
2006년 2월 18일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구분일반버스좌석버스 · 급행버스
기간일반청소년어린이일반청소년어린이
2006년 2월 19일 ~ 2006년 10월 27일1,100 (950)800 (670)500 (400)1,500 (1,300)1,100 (910)800 (650)
2006년 10월 28일 일반버스-좌석버스 요금 통합
구분일반버스급행버스
기간일반청소년어린이일반청소년어린이
2006년 10월 27일 ~ 2011년 6월 30일1,100 (950)800 (670)500 (400)1,500 (1,300)1,100 (910)800 (650)
2011년 7월 1일 ~ 2016년 12월 29일1,200 (1,100)900 (770)500 (400)1,600 (1,450)1,200 (1,010)800 (650)
2016년 12월 30일 ~ 2023년 6월 30일1,400 (1,250)1,000 (850)500 (400)1,800 (1,650)1,300 (1,100)800 (650)

노인 승객 무료화
구분일반버스급행버스
기간일반청소년어린이노인일반청소년어린이노인
2023년 7월 1일 ~ (현재)1,400 (1,250)1,000 (850)500 (400)1,400 (0)1,800 (1,650)1,300 (1,100)800 (650)1,800 (0)

과거에는 2년 정도 주기로 요금을 올렸다. 그래서 요금을 올릴 때마다 '시민이 봉이가?, 요금은 올라도 어째 서비스는 그대로냐?'하는 말들이 많이 나왔다. 그러다가 2006년 이후로는 요금 인상 주기가 5년 정도로 길어지면서 요금을 올려도 과거처럼 반발은 별로 없는 편이다.

3.2. 무료환승[편집]


환승 제도는 2006년 준공영제 도입 당시에 '교통카드 사용시 1시간 이내 무제한 환승'이었고[9], 2011년 2월 1일부로 교통카드 사용시 최초 하차 후 30분 이내 3번 환승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민원이 제기되어 최초 하차 후 30분[10] 내 무제한 환승으로 바뀌었다. 다만 광주광역시와 동일하게 최초 교통수단 하차 후 30분 이내이므로 하차 이후 제한시간이 갱신되지 않는다. 수도권과 같은 거리비례 요금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환승하지 않는다면 내릴때 하차태그를 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만, 노선 이용도 조사를 위해 환승을 안 하더라도 하차 태그를 해 달라고 따로 시청에서 공지가 뜨는 일은 있다. 이 환승기준 시간은 간선과 지선 특유의 긴 배차간격을 고려하여 50분 이상으로 늘리거나 방식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동일 노선(808대구대-808금호 등 가지노선도 무료환승 불가)의 경우 타지자체와 마찬가지로 무료환승 적용이 안 되며 A노선→B노선→A노선 처럼 중간에 다른 노선을 끼더라도 불가능하다. 그러나 순환형 노선에서 A번과 A-1번과의 환승은 가능한데. 예를 들어 순환2번과 순환2-1번 사이에는 환승이 가능하다. 또 도시철도의 경우 '1호선-버스-1호선'과 같은 경로는 무료 환승이 적용된다.

주의해야할 점은 일반→급행→급행으로 환승했을 경우이다. 이 경우 첫번째 일반버스에서 하차 후 두 번째 급행버스를 탔을 때 성인 기준으로 급행요금과 일반요금의 차액인 400원이 빠져나간다. 여기까지는 괜찮은데 문제는 세 번째 급행버스를 다시 환승했을 때에도 400원이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즉 이 경우 저 세 버스를 타는 데 드는 비용은 1,250원+400원+400원=2050원이다. 두 번째 급행버스를 탔을 때 차액이 빠져나갔다는 걸 단말기가 인식하지 못 하고 최초 탑승이 일반버스였기 때문에 일반버스에서 급행버스로 환승한 것으로 인식하여 요금이 이중으로 빠져나간다는 것이다. 무료환승제 도입 초기부터 있었던 문제점으로 그 때만 해도 기존 좌석버스 노선은 그대로 좌석간선으로서 좌석버스 요금을 받았기 때문에 사례가 많았다. 하지만 그 후 얼마 안 가서 통합요금제를 실시하면서 좌석요금을 받는 노선이 급격히 줄어서 이런 문제점이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던 듯하다. 반면 급행→급행→급행 순으로 환승한 경우에는 차액 차감 없이 요금을 1회만 지불하면 된다.[11]

하차시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면 하차 처리가 되지 않는다. 경고 멘트도 뜨지 않고[12] 바로 요금이 지불된다.[13] 원래는 앞문 하차기능도 있었는데, 같은 노선을 하차태그하지 않고 승차한 경우 승차 처리가 되지 않고 하차 처리[14]되는 버그 때문에 2012년 7월부로 앞문 단말기로는 무조건 승차만 되도록 바뀌었다. 물론 수도권, 부산, 대전 등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한 타 지역 버스에서는 여전히 이런 버그가 일어나기도 간혹 존재한다.[15] 단말기에는 차량번호가 입력되어 있지만 그 것을 활용하지 못 하고 앞문 하차를 막아버리므로써 유야무야 해결했다. 혼잡 등의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앞문으로 하차를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운전기사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하도록 조치할 수는 있다. 뒷문 승차는 이런 번거로운 절차 없이 승차 시 태그를 하면 탈 수는 있지만 차내 안전사고나 질서 혼란의 이유로 승차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앞문 하차 태그가 가능한 타 지역에서 온 승객들이 실수를 하면 기사들이 눈치를 채서 즉석에서 환불을 해주는 기사도 있으며, DGB유페이에 전화를 해서 이런 상황 때문에 요금이 더 나갔다고 얘기를 해주면 수요일에 일괄적으로 환불해주니 이용에 참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3.3. 교통카드[편집]


2015년 8월 현재 대구 시내버스에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선불은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주 교통카드), 티머니, 캐시비, 레일플러스, 한페이, 후불은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외환카드 포함), 씨티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2000년에 대경교통카드가 발행되면서 교통카드를 개시했으며, 2011년 초까지는 대경교통카드KB국민카드만 사용이 가능했다. 그 때에 비하면 엄청나게 괄목상대한 셈이다.

2014년 12월에 광주광역시 교통카드인 한페이한국철도공사레일플러스가 추가되었다. 레일플러스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 및 스토리웨이, NH농협은행우리은행 ATM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다만, 레일플러스는 충전처가 제한되어 있다는 게 단점이며, 레일머니 앱에서 NFC 충전시에는 수수료가 부과된다. 한페이대구광역시에서 세븐일레븐이마트24, 미니스톱, 롯데ATM에서만 충전할 수 있으며, 일부 세븐일레븐에서 판매 중인 5,000원짜리 하이패스형과 2,500원짜리 일반 카드형만 구할 수 있다.

2015년 4월 티머니팝카드가 대구에서 유통이 시작되어 지금은 GS25 편의점에서 잘 팔고 있다. 충전도 가능하며, 신한은행, 우리은행, KEB하나은행, 우체국, KB국민은행, 신협, 농협 ATM에서는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충전이 가능하다.

광주와 달리 신형 티머니는 2011년 중순부터 이미 호환 사용 중이며, 2016년 1월 30일에는 원패스의 수도권 호환이 개시되어[16] 양 지역에서 상호 호환이 가능하게 됐다.



3.3.1. 멘트[편집]


구분단말기 안내 멘트
승차일반감사합니다.
청소년안녕하세요.
어린이반갑습니다.
어르신사랑합니다.
환승환승입니다.
국가유공자고맙습니다.
외국인 관광용Thank you.
후속 차량 연계[17]
잔액부족잔액이 부족합니다.
잔액부족예고다음 승차 시 충전이 필요합니다.[18]
사용기간만료사용기간이 만료된 카드입니다.
하차하차입니다.
접촉 오류사용할 수 없는 카드입니다.
이중 접촉카드를 한 장만 대어주십시오.
재접촉이미 처리된 카드입니다.
접촉 요구카드를 대어주십시오.
타지역 카드타지역 카드입니다.

4. 특징 및 문제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특징 및 문제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연혁[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역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주요 개편
1998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2024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
1호선 개통 및 달성군 편입 대응2호선 개통 대응3호선 개통 대응대구권 광역철도 개통 및 군위군 편입 대응


6. 운영 상세[편집]



6.1. 노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순환2
순환2-1
순환3
순환3-1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72508140




6.1.1. 마을버스[편집]


아래 노선들은 시내버스 면허가 아니다.
파일:군위군 CI_White.svg
대구광역시 군위군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행복마을버스 1호행복마을버스 2호
군위-상곡군위-대북군위-신녕군위-둔덕군위-탑리, 백학군위-낙전
군위-달산군위-보현군위-산법군위-효령(매곡)군위-효령(화계)군위-효령(노행)
: 2024년 1월 1일 농어촌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 개통 예정
[ 개편 노선<2024년 1월 2일부터> 펼치기 · 접기 ]




6.1.2. 폐선[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출근
군위
폐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폐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차량[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차량#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교외 노선[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 경산, 영천간 시내버스
[ 펼치기 · 접기 ]
8권역
(경산)
급행5518-1708814818 · 818-1
80855·555
8권역
(영천)
군위-신녕
9권역309449509609649
719840909939980
849-1100 · 100-1399990991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군청색 : 영천시 시내버스. / 초록색 : 경산시 시내버스.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6.4. 통계[편집]



6.4.1. 연도별 이용 현황[편집]


승차 승객 합계
연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
35,37635,06033,07031,11230,82427,91925,32924,007
연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24,22326,18227,70528,53129,31929,43228,71129,027
연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
28,64126,41724,77323,82223,905[26]28,56920,5513,039[27]
연도2022년2023년2024년2025년2026년2027년2028년2029년
단위 : 만명[28]

수송분담률
연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퍼센트21.721.121.721.420.120.2
단위 : %


6.4.2. 노선별 승하차량[편집]


노선별 승하차량
순위노선명승하차량(천 명)
1726564
2401549
3527527
4937517
5503516
6814515
7425482
8724482
9623481
10706472
이하 생략


6.4.3. 정류소별 승하차량[편집]


정류소별 승하차량
순위정류소명승하차량(천 명)
1약령시건너(동성로입구)149
2경상감영공원앞127
3약령시앞114
4동대구역건너111
5동구청건너109
6아양교역(1번출구102
7반월당역(2번출구)100
8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앞97
92.28기념중앙공원앞95
10동대구역92
이하 생략


6.4.4. 노선별 총연장[편집]


노선 총연장
순위노선명총연장(km)
160096.59
2급행995.74
365594.17
4급행9-189.41
5급행884.8
693980.19
770879.42
884077.2
962374.7
10급행173.85
이하 생략


6.4.5. 노선별 평균운행시간[편집]


노선 평균운행시
순위노선명평균운행시간(분)
1동구2175
2달성1155
3북구2150
4달성2145
5323-1143
6323142
공동7524138
공동7503138
9600137
10칠곡3136
이하 생략


6.4.6. 노선별 정류소수[편집]


노선 총연장
순위노선명정류소수(개)
1칠곡299
공동210198
공동2101-198
공동235698
5동구297
6칠곡396
7북구294
공동8급행192
공동8팔공392
10팔공189
이하 생략


6.4.7. 최극단[편집]


최극단 노선, 정류소
방위노선명정류소위치
동쪽808(금호방면)808종점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냉천리
서쪽달성3(도동방면)도동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남쪽달성7신세월입구1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목단리
북쪽급행9군위군청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7. 공영차고지[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공영차고지 목록
시내버스
동호⛽⚡매곡§⛽대천관음⛽⚡H₂방천
대곡⛽⚡방촌봉무유곡범물⛽⚡
제2범물§연경지구§금호워터폴리스[1]대곡2지구
화물자동차
금호신서달성[2]태전[3]
§ : 입주 업체가 없는 시내버스차고지
⛽ : 천연가스 충전소
⚡: 전기 충전소
H₂: 수소 충전소
[ 개장 예정 날짜 접기·펼치기 ]
[각주]


현재 개장 중이거나 설계, 건설 중인 차고지는 각 항목 참조 바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2조(정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라 함은「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제2조제3호에 따른 차고지로서 대구광역시장이 대중교통 수단인 시내버스의 원활한 운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공영차고지를 말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제2조(사용허가기준) ① 대구광역시장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공영차고지 관리·운영 등에 관한 조례」 제3조에서 정한 운송사업자에 대하여 공영차고지 사용허가를 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순위에 의한다.
1. 업체대형화(통합) 실적이 우수한 운송사업자
2. 기·종점이 공영차고지와 가장 근거리에 있는 운송사업자
3. 기존의 차고지가 공공사업으로 수용된 운송사업자
4. 경영·서비스 평가결과가 우수한 운송사업자
5. 기존 차고지가 소음·공해 등 민원이 제기된 지역에 있는 운송사업자
6. 차고지가 부족하여 임대하여 사용하고 있는 운송사업자
7. 자기소유의 차고지를 확보하고 있으면서 공영차고지 입주를 희망하는 운송사업자
다수의 업체가 차고지 입주 신청을 한 경우, 위 순위에 따라 사용을 허가하게 된다. 우주교통이 1호, 신진자동차가 2호, 남도버스가 3호에 의해 입주된 사례다. 차고지 면적이 충분한 경우 2개 이상 업체가 입주할 수도 있다.


7.1. 계획[편집]


계획 중인 차고지는 총 6곳으로 아래와 같다.








8. 업체 목록[편집]



8.1. 현존하는 업체[편집]


노선 번호 옆에 있는 †는 2개 이상의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 ††는 경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경산버스, 대화교통공동 배차하는 노선이다. 실제 차고지가 대구광역시 시외(경산시, 칠곡군)에 있는 경상버스, 동명교통, 삼천리버스, 세진교통, 우창여객, 한일운수의 경우 면허지는 당연히 대구광역시 시내 관할지로 되어 있다.

상호명사무소 소재지운행노선
경북교통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52 (동호동)급행5†, 순환3†, 651†, 805, 814††, 937†, 수성3
경상버스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공단로 125 (일언리)323†, 323-1, 649†, 719†, 840††, 동구1
경신교통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서재로 350 (방천리)240†, 509††, 523†, 7250†, 달서1†, 북구4†, 서구1, 성서2
관음교통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로40길 18 (방촌동)306, 425†, 719†, 동구3
광남자동차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400 (봉무동)급행6†, 101(-1), 401†, 8140†, 북구2, 팔공1, 팔공2
남도버스대구광역시 달서구 한실로 10 (대곡동)653†, 706†, 달서4, 달서4-1†, 달서5†
달구벌버스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00 (동호동)156†, 300, 518†, 518-1, 8140†, 동구4, 동구7, 북구3
대덕교통대구광역시 동구 경안로 700 (동호동)650†, 708††, 836†, 동구1-1
대명교통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117 (대천동)609†, 650†, 726†, 836†, 달서3
대일버스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 2699 (만촌동)234, 503†, 524†, 651†
동명교통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동석4길 11 (금암리)급행3†, 급행7†, 급행9 , 급행9-1 , 724†, 726†, 730, 7250†, 북구4†, 칠곡2, 칠곡3, 칠곡4, 칠곡5, 팔공3†
삼천리버스경상북도 경산시 압량읍 부적길 107 (부적리)309, 349, 509††
성보교통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북로11길 97 (검단동)급행2†, 순환2(-1), 356†, 623†, 8140†, 북구1, 가창2
세왕교통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길 9 (삼산리)240†, 304, 405, 413, 449†, 8140†
세운버스대구광역시 달서구 달서대로 117 (대천동)급행6†, 급행8†, 156†, 618†, 달서5†, 달성1
세진교통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25-4 (대평동)급행1†, 급행5†, 순환3-1†, 403, 564†, 618†, 724†, 814††, 939††, 8140†, 수성3-1
세한여객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중앙대로2길 45 (유곡리)급행4†, 급행8†, 356†, 623†, 655†
신일여객대구광역시 동구 대림로2길 8 (괴전동)808, 동구2†, 동구6
신진자동차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14 (범물동)급행3†, 순환3†, 순환3-1†, 401†, 410, 수성1(-1)
신흥버스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 93 (갈산동)급행5†, 급행7†, 425†, 503†, 518†, 7250†, 달서1†, 서구1-1
영진교통대구광역시 북구 호국로176길 23 (동호동)급행2†, 503†, 523†, 653†, 동구8, 동구9, 팔공3†
우주교통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로 127 (관음동)204†, 527†, 706†, 750, 937†, 7250†, 칠곡1(-1), 칠곡6
우진교통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빈남로 414 (봉촌리)급행1†, 급행7†, 524†, 527†, 564†, 655†, 성서1(-1), 성서3
우창여객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87길 9 (대평동)618†, 649†, 651†, 708††, 849(-1), 980, 동구5, 수성2
한일운수경상북도 경산시 원효로 304 (평산동)449†, 609†, 840††, 909, 동구4-1
현대교통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테크노중앙대로2길 45 (유곡리)급행4†, 급행8†, 204†, 401†, 410-1, 524†, 600, 남구1(-1), 달서1†, 달서4-1†, 달성2, 달성3, 달성5, 달성6, 달성7, 수성4
군위교통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중앙길 12군위-상곡, 군위-대복, 군위-신녕, 군위-둔덕, 군위-탑리(백학), 군위-낙전, 군위-달산, 군위-보현, 군위-산법, 군위-효령(매곡), 군위-효령(화계), 군위-효령(노행)

8.2. 폐업 및 인수합병된 업체[편집]


#:폐업한 업체
@:인수합병된 업체
1990년대까지는 폐업이나 인수합병 사례가 전혀 없다가[29] 2000년대 들어서 인수합병 사례가 생겼다.








8.3. 사명을 바꾼 업체[편집]




9. 관련 문서[편집]




[1] 급행 11개 / 간선 61개(순환 4개 포함) / 지선 49개 / 출근버스 2개.[2] 2023년 7월 1일 기준[3] 2023년 7월 1일 기준[4] 2023년 7월 1일 기준[A] A B 순환형 노선인 경우 반시계방향 노선에 붙인다.[5] 순환형 노선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기존 노선에서 분리신설되었다는 이유로 518-1번이나 급행8-1번과 같이 예외의 경우도 존재한다.[6] 기본요금 기준[7] 성묘객을 위해 추석 한정으로 730번을 지천면(현대공원)까지 연장 운행하는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다.[8] 당시 좌석버스는 중고생이나 초등생 할인 없이 일반과 동일한 요금을 받았다.[9] 이 당시엔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처럼 하차 단말기가 없어 당연히 승차시각 기준이었다.[10] 실제로는 단말기 시간 오차 등을 감안해서인지 수도권, 부산권처럼 하차 후 33분까지는 환승이 가능한 듯 하다.[11] 비슷한 방식인 울산의 경우 좌석→좌석→좌석으로 환승해도 환승할 때마다 좌석요금과 일반요금의 차액인 830원이 빠져나간다.[12]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찍은 뒤 3분이 되기 전에 다시 교통카드를 찍을 경우 '이미 처리된 카드입니다'라는 멘트가 뜬다.[13] 울산도 마찬가지로 하차시 앞문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대면 요금이 다시 나간다. 다만 울산의 경우 뒷문이 없는 노선에 한하여 승차 단말기로 하차 처리를 할 수 있다.[14] 예를 들어, 750번을 승차 후 하차 태그 없이 하차한 뒤 다시 750번 버스를 타서 승차태그를 하면 하차로 인식해 버렸다.[15] 이럴 땐 승차 시 하차처리가 되면 기사가 다시 찍으라고 말한다.[16]수도권 전철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기에서의 충전은 불가하다.[17] 버스 고장 등의 이유로 뒷 차량에 승객을 보내야 할 때 앞차에서 단말기 조작을 통해 후속 차량으로 연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뒷차에서 하차할 때 정상적으로 태그되며 이 조작이 이행되지 않을 경우 승차처리 되어 요금이 이중으로 부과된다.[18] 이것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예시로 "감사합니다(어린이는 반갑습니다, 청소년은 안녕하세요). 다음 승차시 충전이 필요합니다." 이런 식으로 나온다. 다른 문안과는 다르게 이 문안만 구형 녹음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19] 동구 능성동 - 경산시 와촌면 음양리 시경계까지 운행. 401번도 한때 예비군훈련 시즌 한정으로 능성종점 회차 후 운행했으나 2018년에 훈련장 회차로 환원됐다.[20] 동구 덕곡동 -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시경계까지 운행[21] 극히 외곽지대만 잠깐 들어간다. 어쨌든 창녕군에서 설치한 버스정류장 시설물이 있다.[22] 서부정류장 8번 홈에서 출발한다.[23] 2021년 9월 10일부터 시외버스에서 농어촌버스로 전환[24] 서부정류장 1번 홈에서 출발한다.[25] 괄호친 노선은 대구가 아닌 칠곡군 동명면으로 들어오지만, 동명면이 사실상 대구 생활권이고 가깝다.[26] 2018년 9월의 승차 승객 수는 0명으로 나왔다.[27] 2월 기준[28] 현재 천명에서 만명으로 단위를 바꾸면서 끝자리를 반올림하였다.[29] 부산의 경우 1980년대부터, 서울도 1997년 외환 위기를 전후로 인수합병이 잦았다.[30] 관음동으로 완전히 이전하기 전까지는 본사차고지 전화번호는 월성1동 본차고지 전화번호를, 제2차고지(관음동)는 기존 동신여객 전화번호를 사용하였다.[31] 세진교통, 동광버스는 무냉방 시절 현대버스의 비중이 높았으며 냉방시절로 넘어오면서 대우버스의 비중이 높아졌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