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수자 권리

덤프버전 :


1. 개요
2. 관련 권리와 운동 및 개념
3. 정당
3.1. 국내
3.2. 해외
4. 같이 보기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 Minority rights

인권의 하위 개념으로, 인종, 민족, 계급, 종교, 언어 또는 성 소수자 등 차별 받는 소수 집단의 구성원이나 혹은 약자에 위치에 있는 개인의 권리를 주장하고 차별을 반대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수자 운동(Minority movement)은 이러한 권리를 옹호하는 사회 운동이다.

현대 학계에서는 소수자 권리, 즉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시민적 권리 보장 또한 자유민주주의 국가가 온당하게 보장해야 할 기본권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부정하는 입장 중 하나가 일반 정책적 결정에서 다수의 의견이 사회적 소수자들의 권리를 보호하는 기본적 정책 배려에서의 배제나 인권 침해로 이어지는 극단적 다수주의 또는 극단적인 포퓰리즘이다.[1]


2. 관련 권리와 운동 및 개념[편집]


  • 자폐 권리 (Autism rights) - 자폐 권리 운동
  • 성소수자 권리 (LGBT rights) - 성소수자 인권운동
  • 학생 권리 (Student rights) - 학생 운동
    • 68혁명[2]
    • 총학생회 - 대학 내에서 학생의 입장을 대변하는 기구이다.
  • 청(소)년 권리 (Youth rights)[3]
  • 아동 권리 (Children's rights)[4]
    • 유엔 아동 권리 위원회(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 노인 권리 (Elder rights)[5]
  • 장애인 권리 (Disability rights) - 장애인 인권운동 (Disability rights movement)
    • 탈시설 운동[6]
  • 페미니즘
  • 인종차별 반대운동, 소수인종 인권운동
    • 흑인민권운동
    • 소수민족 운동, 원주민 운동[7]
  • 빈민 운동
  • 다문화주의
  • 어퍼머티브 액션
  • 지역주의
  • 몸 긍정


3. 정당[편집]


진보주의의 연장선상에서 소수자 권리를 지향하는 정당[8]이 아닌 단순 소수자 정당[9]에 대해서는 "분류:소수자 정당" 문서를 참조하라.

3.1. 국내[편집]


  • 가자!평화인권당 - 소수자 권리를 포함한 인권을 주요 아젠다로 하는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이다.
  • 노동당
  • 녹색당
  • 미래당 - 소수자 권리 이외에도 환경주의, 평화주의 등의 의제에서 목소리를 내는 대한민국의 정당이다.

3.2. 해외[편집]


  • 50플러스(50+) - 네덜란드 연금수급자의 정당. 이념적으로는 중도주의와 연금수급자 정체성 정치로 분류된다.
  • 대부분의 녹색당 계열 정당들[10][11]
  • 덴크(DENK) - 네덜란드의 좌익 정당. 소수인종과 소수종교를 대변한다.
  • 레이와 신센구미
  • 유럽자유연맹(European Free Alliance)[12] 소속 정당들
  • 인민당(Flokkur Fólksins) - 아이슬란드의 장애인 인권과 노인 인권을 대변하는 사회주의 정당이다.
  • 인민민주당(대만)
  • 인민민주당(튀르키예)
  • 핀란드 스웨덴인당(Swedish People's Party of Finland) - 소수인종인 스웨덴인들을 대변하는 핀란드의 중도 자유주의 정당.

그 외 정당들에 대해서는 영어 위키피디아의 List of minority political parties, Category:Political parties of minorities 문서 참조. 다만 영어위키백과의 해당 분류들은 '소수민족' 집단에 한정되어 있으니 소수민족 외의 개별 소수자 정당 분류들도 추가로 보는 것도 추천한다. #[13]


4. 같이 보기[편집]




5. 둘러보기[편집]


파일:노란색 깃발.svg
자유주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사상적 기초
계몽주의공화주의세속주의평등주의인민주권
합리주의자연권표현의 자유자유무역민주주의
초기 자유주의
고전적 자유주의급진주의시민국민주의국민자유주의자유방임주의
지공주의공리주의종교적 자유주의자유주의 페미니즘
일반적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보수자유주의고전적 자유주의문화적 자유주의세속 자유주의
국민자유주의시민국민주의급진적 자유주의종교적 자유주의이슬람 자유주의
제3의 길신자유주의자유지상주의자유주의 신학자유 가톨릭주의
자유주의 페미니즘녹색 자유주의기술 자유주의입헌자유주의민주자유주의
진보주의신고전적 자유주의자유국제주의
지역별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제퍼슨주의파일:미국 국기.svg 잭슨주의파일:미국 국기.svg 뉴 내셔널리즘파일:미국 국기.svg 뉴 프리덤파일:미국 국기.svg 뉴딜 자유주의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자유주의파일:영국 국기.svg 휘그주의파일:영국 국기.svg 글래드스턴주의파일:영국 국기.svg 근력 자유주의파일:영국 국기.svg 새자유주의
파일:그리스 국기.svg 베니젤로스주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치니주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베를루스코니주의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수정 시오니즘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자유 시오니즘
파일:이란 국기.svg 개혁주의파일:멕시코 국기.svg 마곤주의파일:프랑스 국기.svg 오를레앙주의파일:호주 국기.svg 현대자유주의파일:브라질 국기.svg 룰라주의
파일:독일 국기.svg 질서자유주의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의 자유주의독일의 자유주의러시아의 자유주의몽골의 자유주의미국의 자유주의
영국의 자유주의인도의 자유주의일본의 자유주의중국의 자유주의캐나다의 자유주의
프랑스의 자유주의호주의 자유주의
문화, 지역별 현황
아메리카의 자유주의아시아의 자유주의아프리카의 자유주의오세아니아의 자유주의유럽의 자유주의
한반도의 자유주의
연관 이념
자유보수주의자유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자유지상주의반권위주의
근대주의개인주의친유럽주의세계시민주의탈국민주의
중도개혁주의재정보수주의자유민주주의자유주의 신학기독교 좌파
성해방급진적 중도반공주의반파시즘반군국주의
흑인 자유주의성소수자 자유주의경제적 자유주의시장 자유주의자유제국주의
법적 평등주의반교권주의해적 정치
기타
중도주의자유주의 엘리트뉴딜 정책차티스트 운동자유주의적 매파
라이시테자코뱅주의제한된 정부서프러제트정치적 올바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4:00:58에 나무위키 소수자 권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obert Ash; John W. Garver; Penelope Prime, eds. (2017). Popu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2] 소수인종, 여성, 성소수자 등 다양한 이들의 민권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으나 기본적인 토대는 학생권리 운동이다.[3] 학생운동과 겹치는 부분도 많으나 동의어는 아니다. 모든 학생이 청소년이 아니며, 모든 청소년이 학생도 아니다. 또한 아동권리와 동의어도 아니다. 아동 권리가 가정에서의 인권보장에 초점을 맞춘다면 청소년 권리는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인권보장과 학교 밖 청소년에 초점을 맞춘다[4] 의식주를 보장받을 권리, 방임이나 체벌 등 학대에서 자유로울 권리, 행동을 크게 제한받지 않을 권리 등이 있다.[5] 전통적 노인공경 개념 같은 특권으로써 권리가 아닌 소수자로써 노인 보호, 안전, 복지 제공 등[6] 일부 인권단체들을 중심으로 도입하고 있는 장애인 권리운동의 방식중 하나. 장애인 복지시설 그 자체를 장애인에 작용하는 굴레로 보고 모든 장애인들이 상부상조하며 자립하는 것을 추구한다.[7] 북미나 호주처럼 원주민이 소수자인 경우에서만 해당된다.[8] 녹색당, 레이와 신센구미, 불복하는 프랑스 등[9] ex. 장애인 정당, 성소수자 정당, 쿠르드족 민족주의 정당, 코소보의 세르비아인 이권 정당, 남아공의 아프리카너 정당 등[10] 허나 일부 과격 생태주의자들은 소수자 권리와 충돌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질 스타인 부류의 백신 음모론 추종자들은 주장면에서 자폐 권리 운동과 완벽하게 충돌한다.[11] 다만 보수정당인 멕시코친환경녹색당(Partido Verde Ecologista de México, PVEM)은 성소수자 혐오 성향을 띤다.[12] 유럽 의회의 정당으로 유럽 각국 소수민족의 권리를 대변한다.[13] 리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소수자 권리를 지향하는 정당들이 꼭 중도좌파나 좌익으로(혹은 신좌파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의외로 사민당, 보수당, 국민전선, 공산당 같은 일반적인 대중정당들과 마찬가지로 극좌, 중도 리버럴, 중도좌파 심지어 중도우파나 극우까지 매우 성향이 다양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