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덤프버전 :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하계 올림픽개인가라데 · 근대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개인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스케이팅
단체아이스하키 (·)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선수권대회(World Championship)가 있는 경우만 기재함





ISU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파일:ISU 쇼트트랙.jpg
최초 개최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섐페인(1976)
최근 개최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울특별시(2023)
차기 개최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로테르담(2024)

1. 개요
2. 역사
3. 대회 진행
4. 종합 순위
5. 대한민국
6. 역대 종합 우승자
6.1. 여자부
6.1.1. 메달 집계
6.2. 남자부
6.2.1. 메달 집계
7. 기록
7.1. 최다 우승자
7.2. 최다 연패자
7.3. 전관왕
7.4. 포디움 스윕[1]
7.5. 메달 집계
8. 역대 대회



1. 개요[편집]


ISU에서 주관하는 세계 규모의 쇼트트랙 대회이자 동계올림픽을 제외한 ISU 주관 국제 대회 중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보는 이에 따라선 올림픽보다도 더 높이 치기도 한다.[2]

매년 3월에 개최하며 개최지는 매번 변한다. 정식 명칭은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지만 일반적으로 '세계선수권'으로 불리며 줄여서 '세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역사[편집]


쇼트트랙은 1967년 ISU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지만 한동안 정식으로 국제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1976년, 미국 섐페인에서 최초로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고 이후로도 매년 한 번씩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1981년 프랑스 뫼동에서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이라는 이름으로 정식 개최되었다. 동시에 1976년부터 1980년까지 개최된 5번의 대회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으로 인정받았다.


3. 대회 진행[편집]


일자경기중계
1일차모든 종목 예선
혼성 2000m 계주 준준결승
여자 3000m 계주 준준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준결승
ISU YouTube
2일차1500m, 500m 패자부활전ISU YouTube
1500m, 500m 본선
여자 3000m 계주 준결승
남자 5000m 계주 준결승
SBS Sports
3일차1000m 패자부활전ISU YouTube
1000m 본선
혼성 2000m 계주 준결승, 결승
여자 3000m 계주 결승
남자 5000m 계주 결승
SBS Sports

3000m 슈퍼파이널과 종합 우승 제도가 존재하던 2022 세계선수권까지는 혼성 2000m 계주가 시행되지 않았다. 또한 계주 참가 국가가 8팀으로 제한되어 계주 준준결승이 시행되지 않았으며 슈퍼파이널은 1000m 본선 이후 시행되었다.

현재 세계선수권 계주 종목에는 12팀이 참여하며 남녀 계주는 최대 5명까지, 혼성 계주는 성별당 3명씩 최대 6명까지 출전이 가능하다.


4. 종합 순위[편집]


파일:쇼트트랙세선종합순위산출방식.png
2022 세계선수권 기준 종합순위 산정 방식
개인 종목 순위에 따라 포인트를 매겨 종합 랭킹을 산출한다. 각 종목의 1위부터 8위까지 각각 34, 21, 13, 8, 5, 3, 2, 1점이 부여되며[3] 500m, 1000m, 1500m 세 종목의 포인트 합산 상위 8명이 3000m 슈퍼파이널에 진출한다.[4] 3000m 슈퍼파이널에는 중간 레이스 포인트가 존재하는데 1000m 지점과 2000m 지점을 가장 먼저 통과한 선수에게 레이스 포인트 5점이 부여된다. 이후 결승선에 들어온 순서대로 1위부터 8위까지 포인트를 지급하고 거기에 중간 레이스 포인트를 더해서 슈퍼파이널의 최종 순위를 매긴다.[5] 모든 종목이 끝나면 네 종목의 포인트를 합산하여 종합 순위를 가리고 종합 랭킹 1위가 종합 우승을 차지한다. 만약 동점자가 있다면 슈퍼파이널 순위가 높은 선수가 우선시 된다.

2022 세계선수권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5. 대한민국[편집]


세계선수권을 개최한 이래,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선수들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초창기에는 미국, 캐나다와 일본 선수들이 강세를 보였지만 90년대 이후 한국이 초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종합 우승횟수도 가장 많다. 지금까지 남자18 번, 여자16번(공동우승 포함)의 종합 우승을 했다. 세계선수권은 특히 한국 선수들에게 중요한 대회인데 이 대회에서 종합 3위 안에 든 상위 1명의 선수는 다음 시즌 국가대표에 자동으로 선발되기 때문이다. 2021년 세계선수권 대회코로나의 여파로 불참했다.


6. 역대 종합 우승자[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24회1999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1회1976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셀레스트 클라패티25회2000 셰필드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2회1977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다 웹스터26회2001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3회1978 솔리헐파일:미국 국기.svg 새라 닥터27회2002 몬트리올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회1979 퀘백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28회2003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5회1980 밀라노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29회2004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
6회1981 뫼동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30회2005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7회1982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31회2006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8회1983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2회2007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
9회1984 피터버러파일:일본 국기.svg 키노시타 마리코33회2008 강릉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0회1985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4회2009 빈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1회1986 샤모니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35회2010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승희
12회1987 몬트리올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36회2011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해리
13회1988 세인트루이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7회2012 상하이파일:중국 국기.svg 리젠러우
14회1989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8회2013 데브레첸파일:중국 국기.svg 왕멍
15회1990 암스테르담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39회2014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석희
16회1991 시드니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0회2015 모스크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7회1992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41회2016 서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18회199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2회2017 로테르담파일:영국 국기.svg 엘리스 크리스티
19회1994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43회2018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20회1995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4회2019 소피아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1회1996 헤이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45회2020 서울취소COVID-19
22회1997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46회2021 도르드레흐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
23회1998 빈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47회2022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민정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48회2023 서울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50회2025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잔드라 벨제부르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1500m파일: 국기.svg
49회2024
로테르담
500m파일: 국기.svg 51회2026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24회1999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1회1976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25회2000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2회1977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26회2001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3회1978 솔리헐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린치27회2002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회1979 퀘백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28회2003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5회1980 밀라노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29회2004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6회1981 뫼동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누아 바릴30회2005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7회1982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31회2006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8회1983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32회2007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9회1984 피터버러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33회2008 강릉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10회1985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34회2009 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1회1986 샤모니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35회2010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2회1987 몬트리올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6회2011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13회1988 세인트루이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판데르벨데37회2012 상하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윤기
14회1989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38회2013 데브레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다운
15회1990 암스테르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39회2014 몬트리올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16회1991 시드니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40회2015 모스크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17회1992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41회2016 서울파일:중국 국기.svg 한톈위
18회199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2회2017 로테르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19회1994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3회2018 몬트리올파일:캐나다 국기.svg 샤를 아믈랭
20회1995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44회2019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21회1996 헤이그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5회2020 서울취소COVID-19
22회1997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46회2021 도르드레흐트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23회1998 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7회2022 몬트리올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48회2023 서울500m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1500m파일: 국기.svg
49회2024
로테르담
500m파일: 국기.svg 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6.1. 여자부[편집]


역대 세계선수권 여자부 종합 순위
197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6파일:미국 국기.svg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셀레스트 클라패티파일:캐나다 국기.svg 캐시 보그트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하트리치
1977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렌다 웹스터파일:캐나다 국기.svg 캐시 보그트파일:미국 국기.svg 밸리 레이맨
1978파일:영국 국기.svg 솔리헐파일:미국 국기.svg 새라 닥터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파일:미국 국기.svg 패티 라이맨
1979파일:캐나다 국기.svg 퀘벡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캐나다 국기.svg 캐시 턴불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

198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8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카파일:캐나다 국기.svg 캐시 턴불
1981파일:프랑스 국기.svg 뫼동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카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즈 베갱
1982파일:캐나다 국기.svg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즈 배겡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
1983파일:일본 국기.svg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카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
파일:일본 국기.svg 카토 미요시
1984파일:영국 국기.svg 피터버러파일:일본 국기.svg 키노시타 마리코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
198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
1986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모니파일:미국 국기.svg 보니 블레어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
-
1987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아 랑베르파일:일본 국기.svg 키노시타 마리코
1988파일:미국 국기.svg 세인트루이스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다 유미코파일:일본 국기.svg 시시이 에이코
1989파일:영국 국기.svg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캐나다 국기.svg 마리즈 페로파일:중국 국기.svg 궈홍루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9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암스테르담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조엘 판 쿠스트벨트파일:캐나다 국기.svg 이든 도나텔리
1991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파일:중국 국기.svg 장옌메이
1992파일:미국 국기.svg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파일:중국 국기.svg 리옌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다 노부쿠
1993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파일:중국 국기.svg 장옌메이
1994파일:영국 국기.svg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나탈리 랑베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소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량희
1995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파일:중국 국기.svg 왕춘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윤미
1996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이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혜경파일:캐나다 국기.svg 이자벨라 차리스트
1997파일:일본 국기.svg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원혜경
199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이경
파일:중국 국기.svg 왕춘루
-
1999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중국 국기.svg 양양(S)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문정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2000파일:영국 국기.svg 셰필드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상미파일:중국 국기.svg 양양(S)
200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중국 국기.svg 왕춘루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
2002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기현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라다노바
2003파일:폴란드 국기.svg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지
2004파일:스웨덴 국기.svg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파일:중국 국기.svg 왕멍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변천사
2005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은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윤미
2006파일:미국 국기.svg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파일:중국 국기.svg 왕멍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리나 로베르제
200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선유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은주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리나 로베르제
200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릉파일:중국 국기.svg 왕멍파일:중국 국기.svg 저우양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신영
2009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왕멍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정파일:중국 국기.svg 저우양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6.1.1.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세계선수권 여자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514130122
2파일:중국 국기.svg 중국483226106
3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283837103
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961126
5파일:미국 국기.svg 미국751325
6파일:일본 국기.svg 일본6131130
7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81324
8파일:영국 국기.svg 영국34411
9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269
10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0224
11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0112
12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0101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0101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0101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101
16파일:호주 국기.svg 호주0011


6.2. 남자부[편집]


역대 세계선수권 남자부 종합 순위
197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76파일:미국 국기.svg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파일:프랑스 국기.svg 앙드레 샤브르리
1977파일:프랑스 국기.svg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파일:미국 국기.svg 크레이그 크레슬러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
1978파일:영국 국기.svg 솔리헐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린치파일:영국 국기.svg 해리 스프래그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
1979파일:캐나다 국기.svg 퀘벡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바릴파일:미국 국기.svg 닉 토메츠

198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8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밀라노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파일:프랑스 국기.svg 마르크 벨라
1981파일:프랑스 국기.svg 뫼동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누아 바릴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파일:호주 국기.svg 마이클 리치먼드
1982파일:캐나다 국기.svg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
1983파일:일본 국기.svg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들리슬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
1984파일:영국 국기.svg 피터버러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1985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
1986파일:프랑스 국기.svg 샤모니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파일:캐나다 국기.svg 로베르 뒤브뢰유
1987파일:캐나다 국기.svg 몬트리올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찰스 펠트호번
1988파일:미국 국기.svg 세인트루이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판데르벨데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리처드 수이텐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
1989파일:영국 국기.svg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래키

1990년대
[ 펼치기 · 접기 ]

연도개최지금메달은메달동메달
1990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암스테르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파일:일본 국기.svg 아카사카 유이치
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
-
1991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
1992파일:미국 국기.svg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모지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
1993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앙 가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
1994파일:영국 국기.svg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캐나다 국기.svg 프레드릭 블랙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
1995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재근
1996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이그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오라치오 파고네
1997파일:일본 국기.svg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일본 국기.svg 테라오 시츠로
1998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1999파일:불가리아 국기.svg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파일:일본 국기.svg 테라오 시츠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비오 카르타

2000년대
[ 펼치기 · 접기 ]
2010년대
[ 펼치기 · 접기 ]
2020년대
[ 펼치기 · 접기 ]




6.2.1.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세계선수권 남자부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583736132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74830115
3파일:중국 국기.svg 중국16151849
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010626
5파일:미국 국기.svg 미국9111737
6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88420
7파일:일본 국기.svg 일본761124
8파일:영국 국기.svg 영국46515
9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249
10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71221
11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529
12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102
13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0134
14파일:RSU.png RSU0123
15파일:독일 국기.svg 독일0112
16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066


7. 기록[편집]



7.1. 최다 우승자[편집]


선수우승우승 연도
남자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6회2003, 2004, 2005, 2006, 2007, 2014
여자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6회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7.2. 최다 연패자[편집]


선수우승우승 연도
남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5회2003, 2004, 2005, 2006, 2007
여자파일:중국 국기.svg 양양(A)6회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7.3. 전관왕[편집]


선수연도
남자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199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2002
여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실비 데이글198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쉬자너 스휠팅2021


7.4. 포디움 스윕[6][편집]


국가연도
남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982, 198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992
여자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198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005


7.5. 메달 집계[편집]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세계선수권 메달 순위
순위국가총합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097867254
2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688667218
3파일:중국 국기.svg 중국674744155
4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19161752
5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6163062
6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3192254
7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89421
8파일:영국 국기.svg 영국710926
9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5142544
10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4613
11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5310
12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1269
13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102
14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0167
15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0155
16파일:RSU.png RSU0123
17파일:독일 국기.svg 독일0112
18파일:소련 국기.svg 소련0101
19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0101


8. 역대 대회[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8:48:03에 나무위키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종합 1, 2, 3위[2] 만에 하나 동계올림픽이 폐지되기라도 하면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쇼트트랙 대회 지위를 얻게 된다.[3] 결승에서 페널티를 받으면 그 선수는 파이널B에서 1위를 한 선수와 똑같은 포인트를 받는다.[4] 8위와 동점자가 있으면 함께 진출한다.[5] 스피드 스케이팅의 매스스타트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1위부터 8위까지 각각 34, 21, 13, 8, 5, 3, 2, 1점이 부여되는데, 예를 들어 한 선수가 1000m와 2000m 지점의 레이스 포인트를 모두 획득하고 8위로 골인했다면 5+5+1=11점으로 최종 순위는 4위가 된다. 이론적으로는 레이스 포인트를 모두 획득하고 3위로 골인한다면 5+5+13=23점으로 2위까지 올라갈 수도 있다. 1위와 2위는 13점 차이가 나기 때문에 1위는 바뀌지 않는다.[6] 종합 1, 2, 3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