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찬용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앰비션, 엠비션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조용필의 음반에 대한 내용은 Ambition 문서
Ambition번 문단을
Ambition# 부분을
, 한국의 힙합 레이블에 대한 내용은 AMBITION MUSIK 문서
AMBITION MUSIK번 문단을
#s-번 문단을
AMBITION MUSIK#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국내해외
파일:트위치 로고 블랙.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Vee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Karos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rrumieshannon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amhyan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Yeji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oenmo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LLUSION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QTCinderella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Emily Ghoul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Halpern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Pathra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Raynday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AvaGG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Tiffae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Luxxbunny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NickiTaylor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Yourprincess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Natsumiii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국 국기.svg Nufo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Nemesis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로고(흰색).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io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ooya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Jihyeon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파일:미국 국기.svg Snitchery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Duy Còm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강찬용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구분시즌대회우승팀선수
파일:LoL Champions logo1.png2012스프링파일:600px-MiG_Frost_logo.pngFantasyStar · Helios · Ambition · Jack Sparrow · Lustboy
서머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Shy · Templar · Rapidstar · Woong · MadLife
2013윈터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MakNooN · Watch · SSONG · PraY · Cain
스프링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Dade · imp · Mata
서머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2014윈터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Acorn · Spirit · Dade · Deft · Heart
서머파일:attachment/Kt_rolster_arrows.pngSsumday · KaKAO · Rookie · Arrow · Hachani
파일:LCK Old logo.png2015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 Piccaboo
서머MaRin · Bengi · Tom · Faker · Easyhoon · Bang · Wolf
2016스프링Duke · Blank · Bengi · Faker · Bang · Wolf
서머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Smeb · Peanut · Kuro · Cry · PraY · GorillA
2017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Huni · Profit · Peanut · Blank · Faker · Sky · Bang · Wolf
서머파일:LongZhu Gaming 로고.pngKhan · Rascal · Cuzz · Bdd · Justice · PraY · Lucy · GorilIA · Zzus
파일:LCK_Logo_2018.png2018스프링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Khan · Peanut · Cuzz · Bdd · PraY · GorilIA
서머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Smeb · Kingen · Score · Rush · Ucal · PawN · Deft · Mata · Mia
2019스프링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Teddy · Leo · Mata · Effort
서머Khan · Crazy · Clid · Haru · Faker · Gori · Teddy · Leo · Effort · Mata
2020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Canna · Roach · Cuzz · Ellim · Faker · Gori · Teddy · Gumayusi · Effort · Kuri
서머파일:DAMWON.pngNuguri · Flame · Canyon · ShowMaker · Ghost · Nuclear · BeryL · Hoit
파일:LCK 로고.svg2021스프링파일:DWG KIA 엠블럼.svgKhan · Canyon · ShowMaker · RangJun · Ghost · BeryL
서머Khan · Canyon · Malrang · ShowMaker · Ghost · Rahel · BeryL
2022스프링파일:T1 LoL 로고.svgZeus · Oner · Faker · Gumayusi · Keria · Asper
서머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Doran · Peanut · YoungJae · Chovy · Ruler · Lehends
2023스프링Doran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서머Doran · Museong · Peanut · Chovy · Peyz · Delight




파일:LCK 로고 흰색.svg 1000킬 달성 선수 일람
[ 펼치기 · 접기 ]

이름
ID
당시 소속 팀현 소속 팀포지션달성일자최종 기록
이상혁
Faker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MID.png2016.07.11-
김종인
PraY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ROX_Tigers_logo.png은퇴파일:LCK_BOT.png2016.07.211685킬
배준식
Ba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은퇴파일:LCK_BOT.png2017.03.021679킬
고동빈
Score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은퇴파일:LCK_JGL.png2017.03.051509킬
이서행
Kuro
파일:Afreeca Freecs logo.png은퇴파일:LCK_MID.png2017.06.081556킬
송경호
Smeb
파일:kt 롤스터 로고(2009-2021).svg은퇴파일:LCK_TOP.png2018.03.011340킬
강찬용
Ambition
파일:Gen.G 로고.svg은퇴파일:LCK_JGL.png2018.07.261009킬
권상윤
Sangyoon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은퇴파일:LCK_BOT.png2019.02.131191킬
김혁규
Deft
파일:600px-Kingzone_DragonXlogo_square.png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BOT.png2019.03.21-
박진성
Teddy
파일:T1 LoL 로고.svg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파일:LCK_BOT.png2020.02.26-
박재혁
Ruler
파일:Gen.G 로고.svg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LCK_BOT.png2020.04.012152킬
곽보성
Bdd
파일:Gen.G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LCK_MID.png2020.04.08-
장용준
Ghost
파일:DWG KIA 엠블럼.svg은퇴파일:LCK_BOT.png2021.02.201487킬
한왕호
Peanut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JGL.png2021.06.24-
정지훈
Chovy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MID.png2021.07.01-
송용준
Fly
파일:Afreeca_Freecs.png은퇴파일:LCK_MID.png2021.07.291041킬
허수
ShowMaker
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LCK_MID.png2021.08.28-
김기인
Kiin
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TOP.png2022.03.05-
김하람
Aimin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LCK_BOT.png2022.07.06-
김광희
Rascal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파일:LCK_TOP.png2022.07.29-
서대길
deokdam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파일:FPX 로고 2021.svg파일:LCK_BOT.png2023.03.04-
김건부
Canyon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LCK_JGL.png2023.03.10-
문우찬
Cuzz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광동 프릭스 로고.svg파일:LCK_JGL.png2023.06.30-
박도현
Viper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BOT.png2023.07.09-
이민형
Gumayusi
파일:T1 LoL 로고.svg파일:LCK_BOT.png2023.08.02-
최현준
Doran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LCK_TOP.png2023.08.03-
ID
: 현 LCK 소속

ID
: 은퇴/무소속/현 타 리그 소속

☆ : 1500킬 달성 선수
★ : 2000킬 달성 선수




파일:LCK 로고 흰색.svg 펜타킬 달성 선수
[ 펼치기 · 접기 ]

2012 시즌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2013 시즌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2014 시즌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2015 시즌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2016 시즌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2017 시즌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2018 시즌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2019 시즌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2020 시즌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2021 시즌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2022 시즌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2023 시즌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



||
[ 펼치기 · 접기 ]

대회명우승팀포지션별 선수감독 및 코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Sub_icon.png
SUB
파일:Coach_icon.png
COACH
IEM Season V
- LoL Invitational
파일:11270481_1596078760651428_8852551750357089228_o.png파일:스페인 국기.svg
xPeke
파일:벨기에 국기.svg
WetDreaM
파일:폴란드 국기.svg
Shushei
파일:독일 국기.svg
LamiaZealot
파일:독일 국기.svg
Mellisan
파일:핀란드 국기.svg
CyanideFI
-
IEM Season VI
- Cologne
파일:CLG Blue Logo.png파일:캐나다 국기.svg
HotshotGG
파일:미국 국기.svg
Saintvicious
파일:미국 국기.svg
Salce
파일:캐나다 국기.svg
bigfatlp
파일:캐나다 국기.svg
Elementz
--
IEM Season VI
- Guangzhou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YMS
파일:중국 국기.svg
YJTM
파일:중국 국기.svg
Misaya
파일:중국 국기.svg
Weixiao
파일:중국 국기.svg
if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파일:중국 국기.svg
Joker
IEM Season VI
- New Yor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Fnaticlogo.png파일:폴란드 국기.svg
Shushei
파일:핀란드 국기.svg
CyanideFI
파일:스페인 국기.svg
xPeke
파일:독일 국기.svg
LamiaZealot
파일:독일 국기.svg
Mellisan
--
IEM Season VI
- Kiev
파일:/image/347/2014/08/05/2014080501450758543_20140805014612_1_99_20140805015102.jpg파일:러시아 국기.svg
Darien
파일:러시아 국기.svg
Diamondprox
파일:러시아 국기.svg
Alex Ich
파일:러시아 국기.svg
Genj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GoSu Pepper
-파일:러시아 국기.svg
Groove
IEM Season VI
- Sao Paulo
파일:NoobDaNetLogo.jpg파일:브라질 국기.svg
GuTinho
파일:브라질 국기.svg
Luukz
파일:브라질 국기.svg
Kuroshi
파일:브라질 국기.svg
brTT
파일:브라질 국기.svg
Dynus
--
IEM Season VI
- World Championship
파일:/image/347/2014/08/05/2014080501450758543_20140805014612_1_99_20140805015102.jpg파일:러시아 국기.svg
Darien
파일:러시아 국기.svg
Diamondprox
파일:러시아 국기.svg
Alex Ich
파일:러시아 국기.svg
Genj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GoSu Pepper
-파일:러시아 국기.svg
Groove
IEM Season VII
- Singapore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Mymlogo.png파일:폴란드 국기.svg
Kubon
파일:폴란드 국기.svg
Mokatte
파일:폴란드 국기.svg
Czaru
파일:폴란드 국기.svg
Makler
파일:폴란드 국기.svg
Libik
--
IEM Season VII
- Cologne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eapere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0R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ighTIL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Uand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tarLas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IEM Season VII
- Katowice
파일:attachment/gambit.png파일:러시아 국기.svg
Darien
파일:러시아 국기.svg
Diamondprox
파일:러시아 국기.svg
Alex Ich
파일:러시아 국기.svg
Genj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Edward
-파일:러시아 국기.svg
Groove
IEM Season VII
- Sao Paulo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Mlogo.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ila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idKi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arag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ash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irai
IEM Season VII
- World Championship
파일:CJ Entus BLAZ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eli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pt Jac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stbo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OnAi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zman
IEM Season VIII
- Shanghai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파일:중국 국기.svg
CaoMei
파일:중국 국기.svg
Troll
파일:중국 국기.svg
Misaya
파일:중국 국기.svg
Wx
파일:중국 국기.svg
JuanM
-파일:중국 국기.svg
Sky
파일:중국 국기.svg
Aaron
IEM Season VIII
- Cologne
파일:attachment/gambit.png파일:러시아 국기.svg
Darien
파일:러시아 국기.svg
Diamond
파일:러시아 국기.svg
Alex Ich
파일:러시아 국기.svg
Genja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Edward
-파일:러시아 국기.svg
Groove
IEM Season VIII
- Singapore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파일:중국 국기.svg
PDD
파일:중국 국기.svg
illuSioN
파일:중국 국기.svg
Zzitai
파일:중국 국기.svg
Kid
파일:중국 국기.svg
Lovecryboy
-파일:중국 국기.svg
KenZhu
IEM Season VIII
- Sao Paulo
파일:MilleniumOldlogo_square.webp파일:독일 국기.svg
kev1n
파일:스페인 국기.svg
Araneae
파일:독일 국기.svg
Kerp
파일:폴란드 국기.svg
Creaton
파일:스웨덴 국기.svg
Jree
-파일:프랑스 국기.svg
Dreamz
IEM Season VIII
- World Championship
파일:attachment/Kt_rolster_bullets.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eopar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InSe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cor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af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IFA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ZanDar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icaL
IEM Season IX
- Shenzhen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파일:중국 국기.svg
CaoMe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N1nja
파일:중국 국기.svg
We1Xiao
파일:중국 국기.svg
conan
-파일:중국 국기.svg
Sk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Hiro
IEM Season IX
- San Jose
파일:Cloud9 아이콘.svg파일:미국 국기.svg
Balls
파일:미국 국기.svg
Meteos
파일:미국 국기.svg
Hai
파일:미국 국기.svg
Sneaky
파일:미국 국기.svg
Lemonnation
-파일:중국 국기.svg
Charlie
IEM Season IX
- Cologne
파일:attachment/gambit.png파일:프랑스 국기.svg
Cabochard
파일:러시아 국기.svg
Diamondprox
파일:폴란드 국기.svg
niQ
파일:덴마크 국기.svg
P1noy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Edward
-파일:러시아 국기.svg
Groove
IEM Season IX
- Taipei
파일:Flash_wolves_logo.png파일:대만 국기.svg
Steak
파일:대만 국기.svg
Karsa
파일:대만 국기.svg
Maple
파일:대만 국기.svg
NL
파일:대만 국기.svg
SwordArt
-파일:대만 국기.svg
WarHorse
파일:대만 국기.svg
Fluidwind
IEM Season IX
- World Championship
파일:TSM_Logo.png파일:미국 국기.svg
Dyrus
파일:덴마크 국기.svg
Santorin
파일:덴마크 국기.svg
Bjergsen
파일:캐나다 국기.svg
WildTurtl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stbo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codoco
IEM Season X
- San Jose
파일:external/gambit-gaming.com/20150525131203-7110.png파일:프랑스 국기.svg
sOAZ
파일:독일 국기.svg
Amazing
파일:독일 국기.svg
PowerOfEvil
파일:덴마크 국기.svg
Niels
파일:스페인 국기.svg
mithy
-파일:스페인 국기.svg
xPeke
IEM Season X
- Cologne
파일:ESCEVER.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az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re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then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oke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ey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ar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ho
IEM Season X
- World Championship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uk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lan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ak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B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olf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Cart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kOm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PoohManDu
IEM Season XI
- Oakland
파일:Unicorns_Of_Love_Logo.png파일:헝가리 국기.svg
Vizicsacsi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ove
파일:독일 국기.svg
Exile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Veritas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Hylissang
-파일:독일 국기.svg
Sheepy
IEM Season XI - Gyeonggi파일:Samsung_Galaxy.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uV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row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Rule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oreJJ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titc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dgar




||
[ 펼치기 · 접기 ]

시즌대회우승팀선수
2012스프링거품게임단LongPanda · inSec · Mima · Pecko · Kish
서머파일:Team MVP.pngHomme · DanDy · Mima · imp · SmallBrain
2013윈터GSGCheonju · Solo · Easy · Clear · ManDu
스프링파일:130px-NaJin_Swordlogo_square.pngChop · Watch · SSONG · PraY · Cain
서머파일:external/i1.wp.com/Najin_Black_Sword_logo.pngExpession · Watch · SSONG · Nagne · PraY · Cain
2014윈터파일:CJ Entus BLAZE.pngFlame · DayDream · Ambition · BaeMe · Emperor · Cpt Jack · Lustboy
스프링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CJ_Entus_Frostlogo_square.pngShy · Swift · CoCo · Space · MadLife
서머파일:attachment/Sktt1_k.pngImpact · Bengi · Faker · Piglet · PoohManDu
리그 구조 개편으로 NLB 폐지, 2부 리그 CK 신설




||
[ 펼치기 · 접기 ]

연도대회우승팀포지션별 선수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2010그랜드 파이널파일:CLG Blue Logo.png파일:캐나다 국기.svg
HotshotGG
파일:캐나다 국기.svg
bigfatlp
파일:미국 국기.svg
Kobe
파일:미국 국기.svg
Chauster
파일:캐나다 국기.svg
Elementz
2011그랜드 파이널Chicks Dig Elo파일:미국 국기.svg
Dyrus
파일:미국 국기.svg
Saintvicious
파일:미국 국기.svg
Reginald
파일:미국 국기.svg
Chauster
파일:미국 국기.svg
Xpecial
2013그랜드 파이널파일:CJ Entus BLAZE.png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lam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ayDrea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Ambiti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Empero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Lustboy









前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Gen.G Esports 콘텐츠 크리에이터
Ambition
[1]
강찬용 (Kang Chan-yong)
출생1992년 10월 27일 (31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면목초등학교 (졸업)
면목중학교[2] (졸업)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 (전학)[3]
면목고등학교[4] (졸업)
한성대학교 (정보통신공학 / 중퇴[5])
중앙대학교 체육대학 (스포츠과학[6] / 중퇴)
가족배우자 맹솔지[7]
아들 강해인(2022년 12월 12일생)[8]
반려묘 프림 & 쿠키 & 사억[9]
포지션정글[10][11]
ID보던가 #[12][13]
성난빠따#
강찬밥 #
04군필프로지망 #[14][15]
팬덤빠따단
병역전시근로역 (소집 장기대기[16])
소속CJ Entus[17][18]
(2011.11 ~ 2015.11.30)

Gen.G Esports[19]
(2015.11.30 ~ 2018.11.16)
MCNGen.G Esports
(2019.12.03 ~ )
관련 링크
플랫폼파일:유튜브 아이콘.svg[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22]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파일:아프리카TV 아이콘.svg 파일:트게더 아이콘.svg
SN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상세
3. 플레이 스타일
4.1. 대회 경력
4.2. 수상 경력
6. 앰비션의 팬들
8. 별명
9. 여담



1. 개요[편집]


Reaching the peak takes more than skill. Only those with the ambition to RISE above all others will know its height.

실력만으로는 정상의 자리에 오를 수 없습니다. 그 누구보다 높이 날아오르려는 야망(Ambition 을 가진 자만이

영원한 전설로 기억될 것입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 공식 테마곡 RISE 뮤직비디오의 공식 소개글


대한민국의 前 아발론 온라인,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 現 인터넷 방송인. 선수 시절 포지션은 미드, 정글러.

2. 상세[편집]


아발론 온라인[23]과 북미 롤에서는 세기말[24]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기 때문에 세기말이라 불리기도 한다. 아발론 및 롤 초창기 시절에는 천상계 정글러로 더 알려져 있었으나[25] 프로게이머 데뷔를 미드로 시작했고, 한때는 LCK를 대표하는 최고의 미드이자 세계에서도 순위안에 꼽혔던 인물이었다.

또한 포지션 변경 직전까지도 경쟁력을 지녔던 미드 라이너였기에 포지션 변경과 관련하여 여러 많은 논란이 일었으나 결국 정글러로 포지션을 변경하는 데에 성공하면서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게 되었다.[26] 2015 케스파컵 및 시즌 종료 직후 자신의 첫 팀 및 포지션에서 끝내 얻지 못했던 롤드컵 진출과 우승이라는 영예를 위해 오랜 기간 같이 활동한 팀과 팀원들을 떠나 2015년 11월 30일부로 CJ 엔투스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자신을 필요로 하며 자신의 플레이를 따라줄 삼성 갤럭시로 이적[27]하여 마침내 꿈에 그리던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였고, 그 다음 해에는 우승과 함께 소환사의 컵까지 모두 쟁취하면서 자신의 오랜 숙원과 이루고자 했던 모든 목표를 실현하는 데에 성공한다. 2017 롤드컵 우승으로 앰비션은 2022년 데프트의 우승 전까지 역대 최고령 우승자(만 25세)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e스포츠는 에이징 커브가 만 23~24세부터 온다는 것이 정설일 정도로 선수 수명이 짧고 어린 나이에서 오는 피지컬이 매우 중요한 종목임을 생각하면 이 기록이 얼마나 대단한지는 더 말할 필요가 없다.

또한 CJ 엔투스 블레이즈의, 나아가 그 시절의 선수들 태반이 더 이상 프로 생활을 이어가지 않고 코치나 전력 분석가, 해설자의 길을 각자 걷거나 LCK를 떠나 타 지역 리그로 이적하면서 선수로 활동한 것에 반해 2015 시즌 당시 앰비션은 포지션을 성공적으로 변경하면서 일부 자신에 대한 불신을 잠식시켰고 통합 이후 CJ의 운영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비록 이후 삼성으로 이적을 선언했지만 오랫동안 리그에 살아남아 같은 1세대 프로게이머이면서 KT 소속으로 활동하던 스코어와 함께 은퇴 이전까지 오직 LCK에서만 개근 기록을 이어갔고 그러면서 자신의 프로게이머로서의 최고 전성기를 찍음과 동시에 2017 롤드컵에서는 강렬한 불꽃을 태우면서 자신을 발판으로 전설이 된 페이커를 포지션과 팀을 변경한 끝에 잡아냄에 따라서 롤드컵 우승이라는 엄청난 결과물을 얻어냈고 이후 프로게이머 인생의 종지부를 찍었다는 점 또한 소개하는 데에 빼놓을 수 없을 이야기이다.

앰비션과 동세대로 분류되는 1세대 게이머 샤이매드라이프는 형제팀인 CJ 엔투스 프로스트 소속으로 시즌2 월드 챔피언십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이후 단일팀 체제에서 서로 같이 활동하면서 CJ의 몰락을 최대한 지체시키게 한 공신이지만 앰비션이 떠난 2016 시즌부터 샤이는 개인 건강상의 문제로 출전이 줄었고, 매드라이프는 스프링에서는 분투했지만 서머에서 팀의 부진을 막지 못한 채 결국 강등하면서 다른 팀으로 이적했다. 거기에 블레이즈 시절 매번 천적 관계를 형성해왔던 전례가 있고, 또한 동일한 시기(2015 시즌)부터 정글로 포지션을 변경했던 KT의 스코어의 경우가 꾸준히 앰비션과 비교되는 선수였다. 그러나 2016, 2017 롤드컵 선발전에서 오히려 그간의 천적관계를 모조리 청산했고, 2017 롤드컵을 기점으로 유일하게 결승에서 페이커를 꺾고 최고의 커리어를 손에 넣게 된 앰비션에 대한 고평가 사례들도 있었다는 사실을 통해서 말이다.[28]

특히 앰비션이 삼성으로 이적했음에도 당시까지는 연도별 정규시즌 데이터를 기준으로 KT가 삼성에게 가히 천적 관계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전과 비슷한 악연이 이어지는 듯 했지만 결국 2016, 2017 롤드컵 선발전 최종전에서 스코어를 떨어뜨리고 각각 롤드컵 준우승,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차지했다. 또한 우승을 이루어낸 2017 롤드컵 주제가였던 'Legends Never Die', 2018 롤드컵에서는 비록 그룹 스테이지 탈락의 쓴맛을 봤으나 그래도 앰비션 본인의 헌정곡이라고 볼 수 있는 'RISE'라는 본인을 상징하는 주제가가 있다. 그리고 역대 0세대를 비롯한 1세대 프로게이머들 중에서도 가장 많은 걸 이룬 선수로[29] 이러한 그간의 족적들을 통해 LCK 및 전 세계의 리그 오브 레전드 역사에서 전설로 남기에 부족함이 없는 선수라고 할 수 있다.

2018년 스토브리그를 기준으로 FA로 젠지를 나온 후[30] 팀을 구한다고 했으나 해외에서만 오퍼가 왔다. 2부 리그라도 국내에 남기를 원했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2018년 12월 24일 개인방송에서 은퇴를 선언, 현재는 유튜브를 비롯하여 트위치 스트리머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31]

2019년 12월 3일 스트리머 소속으로 젠지에 복귀했다. #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모든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점은, 무난하게만 갔을 때 앰비션은 최상위권 정글러란 것입니다.

이현우

기본적으로 앰비션은 포지션과 관계 없이 기본에 입각한 플레이에 바탕을 둔 압도적인 성장력으로 상대를 찍어 누르는 플레이를 보여준다. 미드 라이너 시절에도 퍼블션이라는 별명이 생길만큼 퍼블을 따여도, 또 상대가 아무리 앰비션을 말려놔도 CS 수급이 10명 중 1위였을 정도로 뛰어난 복구 능력을 자랑했으며, 정글로 플레이를 할 때에도 대부분 상대보다 레벨이 높은 모습을 보여준다. 챔프폭도 상당히 넓은 편으로 이미 초기 미드 시절부터 국대 라이즈라 불리던 나진 화이트 실드의 과 더불어 라이즈를 잘 사용하는 프로게이머였고, 2013 서머에서 KTB와의 8강전 맞상대였던 에게 패하기 전까지는 운영형 미드의 정석인 트위스티드 페이트로 전승을 유지했었던 만큼 정교한 스플릿 운영 능력으로도 악명이 높았고[32] 2013 롤스타전 때 전 세계에 제이스샤이와 함께 선보이며 세계구급 대세픽으로 끌어올린 것도 그였다. 정글 전향 이후로도 다른 팀의 정글러들에겐 거의 보기 힘든, 라인 클리어를 직접 맡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이는 정글러가 스플릿 라인을 서게 될 경우 상대가 오브젝트를 먹기 쉽다는 점 때문인데, 정글러들이 습관적으로 아군 정글에서 사는 것과 비교해서 앰비션은 필요한 경우 직접 라인 컨트롤을 하면서도 오브젝트 컨트롤을 동시에 한다는 것이 그의 뛰어난 운영 능력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앰비션을 소개할 때 많은 표현이 있지만, 2017 롤드컵 시즌 도중 이현우 해설로부터 운영의 마술사라는 별칭을 받았다. 이 칭호 자체는 그가 삼성에서 얼마나 중요한 위치에 있는지를 의미하는 칭찬이면서 과거 미드 라이너로 활동했을 때부터의 특징이라고 표현해도 부족함이 없다. 그리고 실제 LCK식 운영의 뼈대라 할 수 있는 라인 스왑 메타, 1-3-1, 1-4 스플릿 날개 운영을 창시한 팀이 앰비션 중심의 CJ 엔투스 블레이즈였기도 하다.

특히 앰비션의 가장 큰 장점은 항상 근거에 기반한 확신에 차고 주도적인 플레이를 펼쳤다는 것인데, 이것은 팀적인 차원에서 굉장히 좋은 점이다. 특히 삼성같이 팀원들이 앰비션을 잘 따르는 팀에서 이러한 장점이 가장 빛을 발한다. 플레이의 결과와는 별개로 팀 전체가 하나의 목표 의식을 가지고 움직이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앰비션이 정글러로 전향하면서 이러한 이유가 있는 플레이는 탁월한 교전 개시 능력이라는 또 다른 장점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고, 실제로 자신의 헌정 스킨으로 남은 자르반 4세를 비롯하여 세주아니, 자크 같은 하드 이니시에이터 챔피언들을 주력으로 밀고 있으며 다른 프로게이머들도 앰비션의 이니시는 이상하게 피하기 어렵다고 인정할 정도였다.

그리고 이는 앰비션 본인이 오랜 경험으로 한타각을 굉장히 잘 재기 때문에 더욱 돋보이는 장점이기도 하다. 또한 사람들에게 사실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로는 엘리스, 리 신, 그레이브즈, 카직스, 리메이크 이전의 누누와 윌럼프[33], 렉사이와 같은 챔피언도 잘 사용하여 챔프 폭도 매우 다채로운 편이었다.

오더 능력 또한 탁월하다. 블레이즈 시절부터 앰비션의 오더 능력은 정평이 나 있었는데, LCK 초대 우승을 이끈 래퍼드의 탈퇴 이후에도 블레이즈는 운영적인 면에서 리그 최고 수준이었고, 이는 CJ 통합 팀으로도 이어졌다. 이러한 탁월한 오더 능력은 삼성 이적 이후에도 이어졌는데, 앰비션이 오기 전과 후의 삼성을 비교해 보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운영 능력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CJ의 코치였던 손대영은 앰비션이 미드 라이너로써 경쟁력이 떨어졌다고 느꼈을 때 게임을 파악하는 능력이 아깝다고 여기고 정글러로 전향을 추천했고, 이에 앰비션도 고심 끝에 응했다고 한다.

오더 능력에 관한 또 다른 예시로는 바로 CJ의 몰락 및 체계가 잡히기 시작한 삼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예전에는 SKT를 상대로도 운영 싸움에서 밀리지 않던 CJ가 앰비션이 나간 뒤 바론을 먹어야 할지 낚시를 해야 할지 라인을 밀어야 할지 계속 우물쭈물하다가 유리한 경기를 자주 내주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특히 과거 앰비션이 있던 15 CJ는 당시 폭발적인 경기력으로 전 세계를 집어삼켰던 SKT의 리그 내 유일한 대항마나 다름없었다. 다른 경쟁자인 kt나 ROX, 전성기의 진에어는 스프링을 제외하면 SKT에게 여지없이 박살났으며, 나머지 팀들은 말할 것도 없었다. 그러나 유독 CJ만큼은 찐득한 운영으로 단단하게 버티며 SKT를 궁지로 몰아넣더니 기어이 서머에는 SKT의 전승 우승을 저지하는 위엄을 보여주기도 했다.

특히 삼성은 이전부터 개개인의 기량은 뛰어남에도 전형적인 솔랭전사 팀이라는 평가를 들었으나, 앰비션의 중심을 잡아주는 오더와 플레이로 강등권에서 허덕이던 팀이 롤드컵 결승을 두 번이나 가게 되었다. 공개되었던 LCK 팀 보이스에서는 이기고 있던 경기가 비벼지자 큐베코어장전마저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앰비션이 "급하게 생각할 거 없어. 어차피 상대가 별로 할 게 없어." 라고 말해주자마자 낚시 조심해야하니 시야를 먹자는 바로 안정된 모습을 보여주지만 앰비션 오더 시절의 CJ 엔투스 블레이즈, CJ 통합팀, 신 삼성 모두 지나치게 수비적이고 장기전을 선호한다는 한계점을 노출했는데, 이는 성장을 중요하게 여기고 한타 및 소수 교전보다 오브젝트 운영 싸움에 치중하는 앰비션표 오더의 한계이기도 하다. 약팀을 상대로는 잘 잡아내지만 강팀 상대로는 약팀을 때려잡는 것 같은 강한 모습은 LCK에서 보기 힘들었고 오히려 롤드컵에서 더 많이 나왔다.

그러나 이러한 팀 운영 면에서의 한계점은 신 삼성이 롤드컵 선발전에서 반전을 만들고 롤드컵에서 호성적을 거두며 상당 부분 극복이 됐다고 볼 수 있다. 큐베의 포텐이 터지고 코어장전이 합류한 이후의 삼성은 과거의 블레이즈, CJ 단일 팀과는 달리 초반부터 몰아치는 속도전도 가능한 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 삼성에서 앰비션의 비중은 절대적이었을 정도. 메타와 맞지 않거나 본인이 부진했던 일부 시즌과 몇 경기를 제외하고는 앰비션은 늘 주전을 꿰차고 삼성의 플레이를 야전 사령관마냥 지휘했다. 이는 앰비션 부재 시 하위권 팀 저리가라 할 정도로 초반 설계를 빼면 뒤로 갈수록 맛이 가는 삼성의 운영이 그가 투입되자마자 놀랍도록 정교해지고 안정되는 수많은 경기 사례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CJ 시절부터 2017 시즌에 소환사의 컵을 삼성에서 들어올린 이후까지도, 게임을 풀어가는 성향은 크지만 불확실한 이득보단 작더라도 확실한 이득을 선호한다는 점이다. 갱킹보다는 성장형 스타일의 모든 근간은 여기에 두고 있다. 동시에 그렇게 자신이 계획한 일정한 기준치 이상의 이득을 얻었을 때 또는 갱킹에서도 얻을 거란 계산이 나올 때에 공세적으로 전환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에서 그의 모든 장단점들이 나오는데, 동시에 그가 고평가와 저평가를 오가는 이유기도 하다. 플레이 스타일 근간이 확실한 이득을 적립한 뒤, 뻥튀기를 하는 스타일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성장형 정글러로 탱템을 올려도 데미지가 나오며 + CC 범벅 스킬 구성으로 한타에서 활약하는 챔피언이 주류일 때 최고의 폼이 나온다. 실제로 2017 스프링에 그가 출전 기회를 많이 잡지 못한 것이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지만 2017 서머부터 롤드컵까지 그가 주로 사용한 세주아니나 자크, 그라가스는 이에 대부분 부합되며 그야말로 최고의 기회가 왔을 때 기회를 잡은 셈. 동시에 이렇게 철저하게 계산을 둔 플레이를 하기에, 상대의 계산을 벗어난 플레이에 크게 말리는 편이다.[34]

여기서 앰비션의 두번째 장점이 있는데, 자신의 실수로 경기 패배에 크게 기여했을 시,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자신의 실수에 대해 다음 경기에서 변명이나 고집없이 칼같이 피드백을 한다는 점이다.[35] 어쩌면 블레이즈 시절 3연 제드 등을 겪고 쌓인 관록의 결과일지도 모른다.[36] 아무나 관록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아집이 강해지기도 쉽다는 것을 감안하면[37] 앰비션 개인을 칭찬할 만한 셈.

실제로, 2017 롤드컵 그룹 스테이지 최악의 정글러 3인방에 선정되었으나 8강 롱주전은 세주아니로 저렙 단계에서부터 기여했고, 그 후 4강 WE전 4세트 자신이 즐겨 쓰던 정글챔이 모두 밴 되자 리 신을 잡고 폭망한 교훈을 삼아, 결승에선 그동안 자르반 4세 비선호자란 이미지를 역이용하여, 역대급 명장면을 보여주며 2세트를 하드 캐리하며 결승전 MOM으로 선정되는 기염을 토했다. 바로 이런 장점 때문에, 굉장히 하는게 뻔하고 라이너 부담만 지우는 정글러란 수식이 매년 붙지만 꾸준히 상위권 정글러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어쨌든 공격성과 안정성의 조화도 좋고, 초창기에 데뷔한 프로게이머라는것이 무색해질 정도로 메카닉 역시 신인들에 비해 밀리지 않은데다 운영 능력까지 갖췄지만, 진정한 단점이 있다면 초반의 투박한 개인 운영과 그에 따른 극초반의 불안정성. 이는 미드 시절부터 이어져 내려 오던 것으로, 초반에 무리하게 라인을 밀거나, 정글을 맡을 때도 무리한 카정이나 시야 장악으로 퍼블을 따이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 덕분에 퍼블션이라는 별명도 있을 정도였고, 이러한 성향은 정글 전환 이후에도 이어진다. CJ 시절에도 다소 무리한 카정으로 뜬금포로 끊기는 경우가 있었고, 삼성에서도 LCK에서는 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만 이러한 성향은 확실한 단점이라기보다는, 운영적으로 이득을 취하려는 과감한 움직임이기도 하며, 이로 인해 경기를 쉽게 풀어갈때도 많기에 이 역시 양날의 검 정도로 보는 편이 맞다.[38]

정글 전향 이후 생긴 단점으로는, 큐베가 버티면서 룰러를 키우는 젠지의 팀적인 전략으로 인한 탑 방치 성향이 대표직이다. 고로 이는 곧 현역 시절 바텀보다 탑이 영향력이 강한 메타에서 젠지와 앰비션의 고질적 문제점으로도 꼽혔었다. 본인도 탑 보조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지 개인 방송에서도 탑갱 혐오를 드러내기도. 그리고 큐베는 개인방송에서 피넛이 누구와는 다르게 탑을 잘 봐준다며 좋아했다[39][40] 묘하게도 CJ 시절 형제팀 프로스트의 정글러였던 클템도 탑갱을 안 가는 편이었다. 샤이: 클템형 탑갱 절대 안와!

왕귀형 정글러이다 보니 후반 기여도가 큰 탱커를 대부분 선호하고, 굳이 탱커가 아니라도 퓨어 딜러 챔피언은 다소 기피하는 성향이 있으나 유독 카직스만큼은 상당한 숙련도를 가지고 있다. 미드 시절 첫 LCK 미드 라이너 펜타 킬을 기록했던 챔피언이고, 정글 전향 이후에도 카직스가 나온 경기들은 대부분 성적이 좋은 편. 심지어 향로 메타여서 리신조차 발을 못 붙일 정도로 정글에 탱커들이 득실거리던 2017 롤드컵에서도 때에 따라 카직스를 꺼내서 좋은 플레이를 펼친 적이 있다. 분명 카직스라는 챔피언의 특성상 망하면 그대로 0인분을 하는 경기가 수도 없이 나오지만 앰비션은 커즈, 스코어와 더불어 카직스를 잘 다루는 소수의 정글러 중 하나이기도 했다.

앰비션의 성장 지향형 스타일과 맞물려 나타나는 독특한 운영이 있는데 바로 정글러의 스플릿 푸쉬이다. 보통 프로 레벨에서 스플릿 푸쉬는 텔레포트를 드는 탑이나 미드 라이너가 빠른 성장, 합류를 가정하고 도맡는 경우가 많다. 정글러는 최대한 라인 미니언을 안 먹는 게 정석이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앰비션은 정글러임에도 불구하고 라인 CS를 다 먹으면서 스플릿을 하는 경우가 많다.[41]

이러한 점에서 삼성은 다른 팀보다 스플릿 푸쉬 구도에서 상대 예상과 다르게 이득을 보는 경우가 많다. 고로 이는 앰비션만의 고유한 운영 능력이라 보아도 좋을 듯. 사실 둘 다 오더 능력이 뛰어나서 팀의 사령관 역할을 맡고 초식과 자신의 성장을 선호한단 점에서 비슷하다. 피지컬이 아주 뛰어난 편이 아니란 것도. 다만 특화된 부분 자체는 약간 다른게 클템은 육식 정글러를 거의 쓰지않는데 비해 앰비션은 때에 따라 과감하게 육식 정글러를 뽑아서 상대와 대등하게 맞서거나 아예 잡아먹기까지 는 등 클템에 비해 챔프폭이나 피지컬이 우세하고, 앰비션은 철저한 기본에 입각한 '특정 틀 내에서의 운영'에 한정되어 있지만 클템은 기존 관념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매우 거시적인 시야로 판을 보고 운영을 짜는데 있어 탁월했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무엇보다 프로게이머를 은퇴 후 팀게임을 할때도 이부분은 돋보이는데 강찬밥이라고 불리는 현재조차 팀게임에서는 전프로, 같이한 스트리머, 아마추어 할것없이 모두 '팀게임에서 앰비션의 오더는 무언가 다르다.'고 할정도로 아직까지도 팀게임 오더 능력은 죽지 않았다는것을 보여주고있다.[42]


4. 선수 경력[편집]


강찬용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강찬용/선수 경력
파일:LCK 로고.svg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2016년2017년2018년
||


4.1. 대회 경력[편집]




4.2. 수상 경력[편집]


우승 기록
Azubu the Champions Spring 2012 우승[44]
리그 출범MiG BlazeAzubu Frost
MLG 2012 Summer Season Arena 우승
Team SoloMidAzubu BlazeTeam Curse
MLG 2012 Fall Season Championship 우승
Team CurseAzubu Blazekt Rolster Bullets
IEM Season VII World Championship 우승
Moscow 5CJ Entus Blazekt Rolster Bullets
리그 오브 레전드 올스타전 2013 우승
올스타전 출범한국 대표 팀SK telecom T1 K
WCG 2013 리그 오브 레전드 금메달
CDE(2011)CJ Entus Blaze대회 폐지
ZOTAC NLB Winter 2013-2014 우승
NaJin Black SwordCJ Entus BlazeCJ Entus Frost
IEM Season XI Gyeonggi 우승
Unicorns of LoveSamsung Galaxy대회 폐지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 우승
SK telecom T1Samsung GalaxyInvictus Gaming
준우승 기록
IEM Season VII Katowice 준우승
대회 출범CJ Entus Blaze대회 폐지
OLYMPUS the Champions Spring 2013 준우승
Azubu FrostCJ Entus Blazekt Rolster Bullets
NAVER 2015 LoL KeSPA Cup 준우승
LoL 케스파컵 출범CJ EntusKONGDOO MONSTER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 준우승
KOO TigersSamsung GalaxySK telecom T1
2017 리프트 라이벌즈 준우승
대회 출범LCK[45]LCK[46]

e-스포츠 명예의 전당
e-스포츠 명예의 전당 히어로즈
e-스포츠 명예의 전당 아너스


5. 인터넷 방송[편집]


파일:앰비션_.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강찬용/인터넷 방송#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앰비션은 2018 롤드컵을 끝으로 실종되었고 강찬밥이라는 사람이 앰비션을 사칭해서 방송한다는 게 정설이다.


6. 앰비션의 팬들[편집]


앰비션은 1세대 프로게이머이자, 원조 한체미로서 선수들이나 유명 스트리머 중에서도 팬들이 있다.

마타와 데프트는 앰비션을 매우 좋아한다고 콕 집어서 말했다. 마타 방송기록 마타 페이스북

앰비션 피셜 데프트가 과거 솔로랭크 게임할 때 상대로 페이커가 계속 잡혀 연패하던 와중, 앰비션이 데프트와 같은 팀에 잡혔고 페이커를 솔킬내며 승리한 이후로 앰비션을 미절앰[47]이라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48] 2022년 11월 10일 방송에서 앰비션이 밝힌 바로는 선수 생활을 접기 전에 데프트에게서 같이 게임 해보고 싶다는 연락이 왔으나 앰비션과 당시 팀의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불발된 듯하다.

앰비션을 존경한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인터뷰

CJ 엔투스 때부터 존경했던 선수이고 자기가 가고자 하는 방향에 성공적인 사례가 있다 보니[49] 앰비션을 롤모델로 삼았다고 한다. 인터뷰 앰비션 본인도 이것을 알고 있어서 2019 롤드컵에서 FunPlus Phoenix의 우승 이후 이를 언급하기도.클립

롤 모델은 아니지만 많이 배웠다고 한다. 인터뷰[50][51]

트위치 방송중 본인이 지금까지 상대해본 프로 정글러중 최고로 앰비션을 뽑으며 2017 롤드컵때 삼성 갤럭시와 스크림을 하고 나서 그의 실력에 엄청난 존경심이 생겼다고 한다. 해당 클립 번역[52]
앰비션의 실력이 대단하다고 하였으며, 결혼하고도 세계 최고의 정글러를 유지하는 모습에 대단하게 느꼈다 한다. 2019 시즌에 자르반을 15번 픽을 했는데 모두 삼성 갤럭시 자르반 스킨을 사용하였다.

미드절대자앰비션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며, 카사딘을 시작한 계기가 솔랭에서 메자이 20스택을 쌓은 앰비션을 보고 따라했음을 밝혔으며 17 삼성의 결승전 자르반 슈퍼 플레이를 LoL 대회 슈퍼 플레이 중 역대 최고라고 평가하였다.


7. [편집]


파일:external/upload2.inven.co.kr/i12054939853.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강찬용/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별명[편집]


별명앰빠따, 앰호성[53], 퍼블션[54], 사랑꾼, 매지션, 운영의 마술사 해리 빠따, 비션이형, 블레이즈의 마지막 불꽃, 럭키 클템
강찬밥, 강떡밥, 밑밥, 다딱밥, 광탈밥, 마그넷, 강자석, 밥니언, 밥딜리버리, 다이아 질뻐기, 밥소리 장인, 앰요환[55], 다이아의 왕, 자석자석딱


9. 여담[편집]







그리고 정말로 올스타전 우승까지 압도적인 모습만을 보여줬다. 올스타로 뽑힌 다섯 명 모두 날아다녔기에 특정인을 하나 지명해 캐리했다고 하긴 애매하지만 다섯명 모두 상대를 찍어눌렀으며 특히 앰비션은 샤이 선수와 더불어 세계적으로 제이스는 밸런스 조절이 필요한 OP 챔피언이라는걸 널리 알렸다.[63] 개인적으론 자신의 발언이 지나치게 패기가 넘쳤기에 우승 못하면 어떻게 하지 하며 걱정이 많았다지만, 경기에서의 모습은 그 이상을 보여줬다.





















































파일:앰무에.jp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11:53:40에 나무위키 강찬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글로 '비션'이라 쓰는 사람들도 있지만, 외래어 표기법으로나 본인의 표기법으로나 '비션'으로 쓰는 것이 옳다.[2] 10월 31일 자 방송에서 선생님 썰을 풀며 언급[3] 11월 23일 업로드된 앰하이 영상에서 수도공고 진학 후 전학했다고 밝힘.[4] 같은 팀 동료였던 큐베와 같은 학교이다. 4살 차이라서 서로 재학 시기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학교에서 만난 적은 없으나 알고 보니 선후배 관계였다고 언급했다. 앰비션의 아버지가 길에서 큐베를 알아보고 인사를 했다고도 한다. 면목 초중고 선후배 사이.[5] 적성검사 전형을 보고 차석으로 들어갔으며 F학점으로 인해 학사경고 2번 맞고 휴학했다고 방송에서 언급했다.[6] 2015년부터 생긴 e스포츠 전형으로 입학. e스포츠학과 신설이 아닌 체육대학의 신입생 선발 전형으로 e스포츠가 생겼다. 같은 과에 샤이 선수도 입학했다.[7] LCK 1대 버프걸로 LCK 버프걸 활동 종료 후 트위치에 입사해 마케팅 부서에서 일하고 있으며 스패너도 겸하고 있다. 닉네임은 맹여왕, 맹바론. 롤 아이디도 Lady Baron이다. 스패너를 맡고 있어서 그 영향으로 LCK 공식채널에 비해 채팅창이 훨씬 깨끗한 편.[8] 태명은 자르반 5세로, 2022년 8월 9일 방송에서 4~5개월 정도 되었다고 밝혔다. 이름의 유래는 배우 정해인으로 슬기로운 감빵생활을 보고 작명했다고 한다.[9] 사억이라는 이름은 이전 집에서 이사를 하기 위해 집을 보러 맹여왕님과 같이 다니던 중 어떤 집을 보고 얼마쯤 할까?하고 물어봤는데 4억정도 하지 않을까?라는 답을 들었고, 이에 4억이 뉘집 개 이름이냐?라고 했는데 그 말에서 유래가 되어 사억이가 되었다.[10] 정글 → 미드(2012 LCK 스프링 ~ 2014 LCK 서머) → 정글(2015 LCK 스프링 ~ Worlds 2018)[11] CJ 엔투스 블레이즈 입단 당시 클템의 말에 의하면 정글러였다고 한다. 하지만 헬리오스와 포지션이 겹치기도 했고 앰비션 자신의 선택에 의해 2014년까지는 미드로 활동했다.[12] 2021 시즌에 주로 쓰던 계정이었으나 2022 시즌에 이 계정으로 다이아 3까지 강등되자 강찬밥으로 갈아탔다. 앰비션 대신에 강자석이 방송을 켰을(?) 때나 강찬밥 계정으로 그마까지 도달한 이후에는 가끔 질뻐기즈 멤버들과 듀오를 할 때 이 계정을 사용한다.[13] maengsdog(부인 맹솔지의 이름을 따 지었었다.) -> 부쉬속에숨어 -> 맹솔지 -> 고배달 -> [14] 앰비션 본인은 부계정이라고 주장하지만 사실은 쌩배 아이디이다.[15] 당연하지만 04도 군필도 프로지망도 아니다... (사실 전시근로역도 군필이 맞긴 하다)[16] 사회복무요원 소집 장기대기로 인한 면제. 어떤 이유로 사회복무요원 판정을 받았는지는 밝히지 않았다.[17] CJ ENTUS BLAZE 단일팀 이전
(2011.11 ~ 2014.12)
[18] CJ의 전신인 MiG Fire, MiG Blaze, Azubu Blaze 기간 포함[19] 팀명 변경: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amsung GalaxyKSV Esports, 2017년 12월 1일 → Gen.G Esports, 2018년 5월 3일[20] 메인 채널인 앰비션 유튜브. 주로 편집영상, 롤하이, 앰하이 영상이 올라온다.[21] 서브 채널 강찬밥 유튜브. 주로 풀게임 영상이 올라온다.[22] 다시보기 채널.[23] '세기말풍운'이라는 닉네임으로 레이저 아발론리그에서 DMC 팀 소속으로 우승을 차지했었다.링크[24] 북미 롤에서는 '세기말' 을 영문 변환한 tprlakf로 활동을 했었다.[25] 위의 아발론 온라인 시절에서도 정글러와는 그 성질이 조금 다르지만 '립'을 도는 선수였다.[26] 물론 오랜 기간 활동한 선수로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는 보기 드문 성공한 포지션 변경자이다. 그간 앰비션을 포함하여 포지션을 변경 이후 큰 평가를 받거나 성공을 거둔 선수는 전 세계를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서포터에서 탑으로 이동한 임팩트, 탑에서 바텀으로 포지션을 변경한 건웅, 탑에서 바텀으로 그 이후에는 정글러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성공적인 커리어를 기록했던 스코어, 바텀 라이너에서 서포터로 포지션을 변경한 옐로우스타, 매드라이프, 코어장전, 크리스프, 베릴. 서포터에서 바텀으로 포변한 더블리프트, 2011년까지는 탑과 미드를 바꿔가면서 플레이하다가 이후 미드 라이너로 정착하고 말년에는 바텀 라이너로도 이동했었던 엑스페케, 바텀과 미드 포지션을 2번이나 바꾼 캡스, LCS 이적 전까지 팀에 캡스가 새로 합류한 이후 미드와 바텀 포지션을 2번이나 바꿔본 퍽즈, 2021 시즌을 기점으로 미드와 탑 포지션을 한번씩 바꿨고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던 샤오후, 2018년 서머에는 잠시 탑에서 바텀으로 외도를 했고 2021 서머 시즌부터 탑에서 정글로 포변한 후 우승은 아니지만 팀을 롤드컵으로 이끈 브위포 밖에 없다. 더불어 두 포지션에서 모두 괄목할 만한 성적을 낸 것은 앞에서 거론된 선수들 중에서도 일부이며, 포지션 변경 후 롤드컵(월즈) 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둔 선수는 앰비션 본인을 포함하여 임팩트, 코어장전, 크리스프, 베릴까지 단 다섯 명뿐이다.[27] 영상 8분 47초경 참고.[28] 다만 커리어에서는 앰비션이 압도적이나 정글러로의 포지션 변경 이후 선수로서의 역량에 대한 평가는 스코어 역시 높다.[29] 앰비션과 비견될 만한 기록을 가진 선수로는 엑스페케가 가장 대표적이다. 다만 둘 다 롤드컵 우승 기록이 있어서 비교되더라도 엑스페케가 우승했던 시즌 1 롤드컵은 북미와 유럽팀 위주로만 참가했던 대회였다는 점에서 지금보다는 규모가 매우 작았다.[30] 당시 젠지에서 은퇴식과 함께 스트리머를 권유했다고 했으나 본인이 선수로서 더 뛰고 싶은 마음이 있었기에 거절했다고 한다.[31] 해외에서 집을 구해준다는 좋은 조건도 왔으나 아내의 직장이 국내에 있기 때문에 거절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앰비션은 만 25세 이상 + 병역 미필자에 해당해 국외여행 및 체제 시 허가를 받아야 한다.[32] 시즌 2의 트페는 필밴 사기 챔피언으로 유명하기는 했지만(KTB와의 대전에서도 트페 너프 후였다.) 전승이라는 기록은 그래도 꿀을 빨았다고 폄하할 이유는 되지 못한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트페는 약한 라인전 때문에 다루기 어렵기로 유명한 챔피언이었다.[33] 12전 11승 1패. 승률 91.7%다. 앰비션이 공식전에 기용한 정글 챔피언 중 가장 높은 승률을 자랑한다. 여담으로 저 1패가 나온 경기는 바로 미드 상륙 작전.[34] 그래서인지 2019 MSI에서 해외팀들의 빠른 속도전에 말리는 SKT를 보고는 당황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어쩌면 젠지의 2018 롤드컵에서의 부진은 이런 앰비션의 오더를 기반으로 확립한 팀 컬러 및 운영 방침이 당시 메타와 상극이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지금도 그렇지만 특히 당시에는 자잘한 이득을 모아서 굴리는 플레이보다 위험 부담을 짊어지고 한탕을 크게 노리는 플레이가 더욱 권장되었으니.[35] 그의 오랜 경력상으로나 이미지로 보나 굉장히 낯선 모습이며, 실제로 김동준 해설도 이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실제로 인터뷰에서도 본인의 장점을 이것으로 꼽기도 했다.[36] 그리핀과 SKT의 결승에서도 이러한 픽을 꼬집었는데, 2017 서머에서 1세트 브라움 - 세주아니 조합에 당하고도 그 픽을 2세트 그대로 삼성에게 내주며 패배했던 SKT를 예로 들었다.[37] 마린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역대 최고의 선수를 꼽으라면 빠지지 않는 게 15 마린이지만, 짧은 전성기 이후 개인 기량이 하락세에 들어선 데다가 함정 카드로 악명높던 AD 케넨을 꾸준히 픽하고 AD 케넨이 재평가되자 뜬금 AP 케넨을, AP 케넨 버프 이후 다시 AD 케넨을 하는 등 이해하기 힘든 모습을 보이며 평가를 깎아 먹었다. 코치 전향 이후 보여준 게임 이해도를 보면 본인의 고집이 맞다.[38] 삼성의 전력이 단단해지면서, 앰비션의 초반 움직임도 보다 안정적으로 변했다.[39] 다만 이것은 은퇴 이후 본인이 탑 갱킹보다 바텀이나 미드 갱킹의 효율이 더 좋아서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지는 탑이 자연스레 버려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작 코어장전은 바텀도 안 왔다고 증언하긴 했다 ???: 그럼 어딜 간거야? 사실 룰러의 캐리력과 코어장전의 운영 및 시야 장악에 의존하는 경향이 컸던 당시 삼성/젠지의 전술상 이는 어쩔 수 없는 문제기도 했다. 반대로 말하자면 큐베가 먹은 만큼 캐리를 못했다라는 해석도 나오긴 하지만.[40] 농담이라고 생각하지만, 2019 시즌 이전 큐베의 폼엔 큰 문제는 없었다. 2016 시즌의 큐베는 아직도 깨지지 않은 역대 롤드컵 최대 솔킬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불리한 판을 몇번이고 혼자 뒤집어냈다. 2017 시즌은 메타 자체가 향로로 대변되는 희대의 원딜 게임 양상을 보여서 그렇지, 큐베 개인의 폼엔 의문의 여지가 없었다. 리그에서의 폼이 불안했다고 하기에도, 삼성 - 젠지가 스프링에서 폼이 떨어졌던건 팀의 문제에 가깝고, 2016 서머 폼은 양호했으며, 2017 서머는 큐베의 리그 커리어 하이로 평가된다. 2018 서머 역시 제몫은 해냈다. 몇번이고 본인이 말했듯이 연습 때 이상하게 탑으로 가면 게임이 잘 풀리지 않았다라는 쪽이 신빙성이 높다. 물론 큐베란 선수 자체가 폼이 한창 좋을땐 혼자 냅둬도 알아서 잘했기 때문일 가능성도 크다.[41] 선수 시절 클템은 라인 CS 배분을 많이 받기도 했거니와 시그니쳐 픽인 정글 쉔을 할 경우 혼자서 억제기까지 스플릿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42] 당장 이를 증명하는 것이 몰락전RCK. RCK에서는 팀게임 오더로는 안꿀리는 프레이가 있음에도 메인 오더를 맡았고 불리했던 3경기를 과감한 오더와 이니시로 전황을 대등하게 만들고 역전까지 해냈으며 몰락전은 소우릎의 도박성 플레이를 오더로 상쇄시키는 뇌대리 플레이와 그 자아 강한 따효니까지 컨트롤하면서(...) 트위치 팀의 1일차 상금 독식을 이끌었다.그리고 따효니는 몰락전 이후 앰비션을 보고 느꼈는지 다음 자낳대에서 진정한 각성을 하기 시작한다. 결국 참다 못한 아프리카 팀이 포지션 스왑이라는 초강수로 겨우 대등하게 상대했을 정도.[43] 블레이즈의 미드라이너였던 앰비션은 롤챔스 초대 우승자이다.[44] LCK 초대 우승자[45] 2017 SKT, kt, SSG, MVP[46] 2018 KZ, AFs, KT, SKT[47] 대자 비션의 줄임말. 여담으로 도파가 시즌 3에 자신의 닉네임으로 사용해서 유명해졌다.[48] 심지어 데프트의 친구목록에는 친구추가된 앰비션의 계정이 있으며 절대자라는 이름의 카테고리로도 따로 분류해놓았다.[49] 결혼하고 롤드컵 우승.[50] 이 인터뷰 이후 타잔은 우리 잔이가 되었다.[51] 또 19년 롤드컵 당시, 타잔이 앰비션에게 상담을 요청하기도 했다고 한다.[52] 그러나 이 클립을 본 앰비션은 그 당시 브록사의 소속팀을 기억해 내려 했지만 끝내 기억하지 못했다. 참고로 2017 롤드컵에서 브록사의 소속팀은 프나틱.[53] 묘하게 이호성과 닮았다고 해서 쓰였던 별명이지만 지금은 쓰이지 않는다. 게다가 앰비션 본인도 살인마랑 엮는 게 기분 나쁘다고 언급한 바 있어 쓰지 않는 것이 좋다.[54] 미드라이너 시절 경기 초반에 앰비션에게서 퍼블이 발생하는 상황이 매우 많았다. 13시즌 때는 퍼블 발생률 1위를 자랑한다. 물론 당하는 쪽 [55] 스타크래프트 플레이 당시 붙은 별명[56] 페이커가 2000킬 근처일 때 앰비션이 개인 방송에서 말하길, 자신은 페이커한테 처음으로 죽어 본 사람이라며 유일무이한 기록이라고 뿌듯해 했다. 그런데 페이커 할머니의 인터뷰에서 강찬용 이름 석자가 나오자마자 "앰비션이라고 하시지..."라고 못내 아쉬워한건 덤.[57] 페이커가 쵸비를 킬하면서 2500킬을 달성하자 자신은 첫킬 제물이라며 더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58] 이 솔킬은 당시에도 여러 이유로 화제가 되었다. 미드에서 소위 '절대자‘로 군림하고 있던 앰비션의 명성, 혜성처럼 나타나 똥챔 신드라로 한국 솔랭을 씹어먹던 고전파에 대한 기대감, 신생팀 SKK의 첫 상대가 명가 CJB, 그리고 앰비션의 방심과 페이커의 동물적인 감각이 어우러진 솔킬까지.[59] 1세대 롤 선수들은 대부분이 롤갤 출신이었고, 당시의 디씨에는 운지라는 단어가 그저 떨어진다는 뜻으로 굉장히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던 때라 이 점은 감안할 만하다.[60] 사실 그 이전까지는 이 사건이 잊히고 있던 분위기였으나, 전날 앰비션이 그리핀 사건에 대해 소신 발언을 하면서 앰비션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수면위로 다시 올라왔다.[61] 정확히 얘기하자면 따로 얘기를 마음먹고 한 해명 방송은 아니고, 본래 그전날 소신 발언에 대한 이야기를 추가로 하려던 과정에서 롤갤 개념글을 보고 한 즉석 해명이었다.[62] 지금은 당연한 소리가 되었지만 당시만 해도 롤에서의 LCK의 위상이 지금과는 천차만별이었다. 강찬용 역시 일전에 엑스페케에게 그야말로 탈탈 털렸던 적이 있었다. 그래서 당시 저 발언은 롤팬들을 상당히 놀라게 하는 패기 있는 발언이었다.[63] 카직스로도 날아다녔지만 카직스야 원래 해외에서도 유명한 OP였고 반면 제이스는 글로벌로 범위를 넓히면 그리 메이저한 픽은 아니었다. 이 대회 이후 리 신과 함께 해외에서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64] 북미에서는 와일드터틀 제이슨 트란이 있다. 챌린저 1위를 압도적인 포인트로 했으며 나머지 부계정들도 챌린저이다.[65] 심지어 2014 스프링은 카카오와 애로우를 영입한 KTA가 SKK를 잡고 보급형 루키 드립이 터진 이후였다.[66] '따라잡았다'라는 구체적인 기준이 뭔지는 알 수 없지만, 공식전에서 미드 라이너로서 페이커와의 만남이 거의 없었던 점을 감안하면 솔로랭크나 스크림에서의 이야기인 듯하다. 실제로 손대영 코치는 '스크림에서 프로스트는 삼성 화이트와 많이 비벼봤고 블레이즈는 SKT T1 K와 많이 비비는 팀이었다'라고 언급. 또 실제로 SKT T1 K가 2014 시즌에 실제로 부진도 했었다.[67] LCK, NLB, IEM, 롤스타전, WCG.[68] 소드에게는 3, 4위전에서도 일격을 당한 경험이 있다.[69] 상성 상 어렵겠다는 예측은 많았지만 그래도 0:3을 예상한 사람은 없었다.[70] 다만 앰비션이 절정이었던 시기가 스프링 2라운드 ~ 서머 1라운드로 딱 어중간했기에 개개의 경기를 일일이 찾아보기보다 커리어를 따지는 서양의 라이트팬(?)을 상대로는 딱히 반론하기도 어렵다. 스프링 1라운드에 나름 한국에서는 괜찮았다지만 IEM에서 스피릿에게 박살이 났고, 어쨌든, 경기내용을 봐도 잿불거인 메타를 제외하면 오더 플레이어가 아닌 순수 정글러 앰비션이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오히려 2016시즌에는 벵기와 달리 캐리형 정글 메타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면서 개인 기량도 같이 탄력을 받는 중.[71] 이 때 플레임도 덩달아서 잭패에게 본인을 형이라고 부르라고 했다.[72] 그냥 가까이 와서 밥먹자, 연습하자 이렇게만 얘기를 했다고.[73] 2019년 1월 9일 방송에서 드디어 듀오를 했다![74] 2017년 7월 30일 트위치 방송에서 자신도 그 사실을 알고있다고 언급하였다.[75] 심지어 후원을 통해 말을 걸어도 대답을 잘 하지 않았다. 하지만 아내와 자야라칸듀오를 돌릴때부터 말이 많아지더니 아예 스트리머로 전향한 이후부터는 전부 읽어주고 과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76] 도네이션도 잘 읽어주고 채팅도 신경 많이쓰며 말도 정말 많아졌다. [77] 당시 스코어는 플옵에서 블랭크를 상대로 두 수는 위에 있는 듯한 플레이를 보여주고 리버스 스윕의 주역이 되었다. 그 경기를 해설하던 이런 정글 캐리 게임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고 극찬을 듣고, 전용준 캐스터에게 '위대하다'는 말로 수식된 최초의 정글러였다. 결승전에서도 석패했지만 락스의 정글이었던 피넛보다 오히려 평가가 좋았다. 그래서 서머 시즌 최고의 정글러로 평가되는, 명실상부 KT의 에이스였다.[78] 각각 야스오(퍽즈), 베인(우지), 라이즈(페이커)의 모습을 하며 나왔다.[79] 큐베마저도 피드백 할 때는 무서운 형이라고 인정했다.[80] 근자에 앰비션의 제자인 이초홍의 방송에 출연한 헤르메스가 앰비션과의 관계에 대해 묘한 언급을 흘렸던 바 있다.[81] 의외로 프로시절엔 14승 7패의 준수한 성적을 기록하였다.[82] 참고로 그 전에 진행한 스크림에서 피들스틱을 테스트하려 뽑았는데 크라운이 미드 진을 뽑더니 서로 상욕을 하며 각자의 픽을 디스했다.[83] 주력픽이긴 하지만 피들스틱이 특히 방플에 취약해서 시즌 11 후반부터는 거의 쓰지 않는다.[84] 앰비션은 30밥이다.[85] VIP좌석으로 준다고 했다.[86] 공익 판정은 2017년도에 받았다고 한다. 왜 상근이 아니라 공익을 받았나 의문이 들 수 있지만 예상을 해보자면 결혼전에 신체 검사를 받고 여타 프로게이머들과 마찬가지로 몸 상태가 좋지 못해서 공익 판정을 받고 시간이 흘러 장기대기로 면제를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87] 이터널리턴이 한참 유행하던 얼리 액세스 시절에도 꾸준히 롤만을 방송해서 아예 플레이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주류였다.[88] 크라운은 스타 프로게이머를 먼저 하다가 롤로 전향했다.[89] 이 대결 이후 스낳대 개최 전에 발표한 트위치 스타 티어표에서 앰비션이 김정민보다 위에 있는 사태가 일어났다.(...) 심지어 김정민이 주종족인 테란으로 앰비션과의 테테전을 못이겨서 프로토스로 종족을 바꿔 상대했다![90] 당시 해당 게임에서의 최고 육성 단계 및 최고 리그 등급이다. 다만 해당 게임의 리그 체계는 다른 게임과는 다소 다르기에, 리그 등급이 전설인 점이 유저 실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