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장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초대
이형근 ||<width=20%> 2대
원용덕 ||<width=20%> 3대
정일권 ||<width=20%> 4대
송호성 ||<width=20%> 5대
김백일 ||
||<rowbgcolor=#dcffed,#003318>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bgcolor=#dcffed,#003318> 11대
박병권 ||<bgcolor=#dcffed,#003318> 12대
장창국 ||<bgcolor=#dcffed,#003318>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bgcolor=#dcffed,#003318>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bgcolor=#dcffed,#003318>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bgcolor=#dcffed,#003318>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bgcolor=#dcffed,#003318>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5><bgcolor=#008940>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 중장 ||
||<-5><bgcolor=#00894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장
陸軍士官學校長
Superintendent of Korea Military Academy
파일: kma2023.jpg
현직권영호 (제59대)
취임일2022년 12월
임관육군사관학교 45기

1. 개요
2. 상세
3. 역대 육군사관학교장


사관학교설치법 제5조(교장과 공무원의 임명)
① 사관학교에 교장 외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필요한 공무원과 군인, 군무원(이하 “공무원”이라 한다)을 둔다.
② 교장은 각군의 장성급(將星級) 장교 중에서 각군 참모총장의 제청으로 국방부장관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1. 개요[편집]


육군사관학교지휘관으로 중장이 보임된다.[1]


2. 상세[편집]


대한민국 육군에서 현재까지 오직 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된 유일한 보직이다.[2] 보통 군단장을 끝낸 중장이 오는 2차 보직에 속한다.

중장 보직 중 명예와 대외적 위상은 높지만 진급 가능성은 낮은 한직이고, 대개 이 자리에서 전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육사가 비전투부대이자 교육기관이기에 필연적인 현상이다. 대장 진급 가능성이 큰 중장은 2차 보직으로 합참 작전본부장을 받고[3]이 외에도 육군참모차장[4], 지상작전사령부 참모장[5] 등 현행 작전 및 정책의 중책을 맡는다. 이 세 직책 외의 육군 중장은 사실상 진급 가능성이 매우 떨어진다.[6][7]그래도 군단장까지 해 보고서 모교의 학교장으로 군생활의 마무리를 지을 수 있는 명예로운 직위이기에, 아예 존재감도 할 일도 없는 한직인 야전군 부사령관보다는 낫다.


3. 역대 육군사관학교장[편집]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rowbgcolor=#dcffed,#003318> 초대
이형근 ||<width=20%> 2대
원용덕 ||<width=20%> 3대
정일권 ||<width=20%> 4대
송호성 ||<width=20%> 5대
김백일 ||
||<rowbgcolor=#dcffed,#003318> 6대
최덕신 || 7대
김홍일 || 8대
이준식 || 9대
안춘생 || 10대
김종오 ||
||<bgcolor=#dcffed,#003318> 11대
박병권 ||<bgcolor=#dcffed,#003318> 12대
장창국 ||<bgcolor=#dcffed,#003318> 13대
백남권 || 14대
이한림 || 15대
강영훈 ||
|| 16대
김용배 ||<bgcolor=#dcffed,#003318> 17대
박중윤 || 18대
정래혁 ||<bgcolor=#dcffed,#003318> 19대
이세호 || 20대
김희덕 ||
|| 21대
심흥선 || 22대
최세인 || 23대
최우근 || 24대
정승화 || 25대
백석주 ||
|| 26대
차규헌 || 27대
김복동 || 28대
최연식 || 29대
황인수 || 30대
지일환 ||
|| 31대
최문규 || 32대
장준익 || 33대
민병돈 || 34대
이필섭 || 35대
임인조 ||
|| 36대
김정헌 || 37대
장성 || 38대
김정남 || 39대
장창규 || 40대
한승의 ||
|| 41대
오남영 || 42대
박준근 || 43대
김충배 || 44대
김선홍 || 45대
임충빈 ||
|| 46대
김현석 || 47대
정승조 || 48대
이봉원 || 49대
박종선 || 50대
박남수 ||
||<bgcolor=#dcffed,#003318> 51대
고성균 || 52대
양종수 || 53대
최병로 || 54대
김완태 || 55대
정진경 ||
|| 56대
김정수 || 57대
강창구 ||<bgcolor=#dcffed,#003318> 58대
전성대 || 59대
권영호 ||
||<-5><bgcolor=#008940> ※ 초대~13대, 17대, 19대, 51대, 58대 : 대령, 준장, 소장 / 14대~현임 : 중장 ||
||<-5><bgcolor=#008940>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대 육군사관학교장
대수이름당시계급임관임기비고
초대이형근참령군영 1기1946년 5월 1일 ~ 1946년 9월 6일합동참모의장, 육군참모총장
2대원용덕참령군영 1기1946년 9월 6일 ~ 1947년 1월 23일
3대정일권소령군영 1기1947년 1월 23일 ~1947년 5월 1일육군참모총장
4대송호성준장육사 2기1947년 5월 1일 ~ 1947년 10월 11일
5대김백일소령군영 1기1947년 10월 11일 ~ 1948년 7월 29일
6대최덕신중령육사 3기1948년 7월 29일 ~ 1949년 1월 15일前 외무부장관
후에 월북
7대김홍일준장육사 특7기1949년 1월 15일 ~ 1950년 6월 10일
8대이준식준장육사 8기1950년 6월 10일 ~ 1950년 7월 8일
9대안춘생준장육사 8기1951년 10월 30일 ~ 1952년 11월 10일
10대김종오소장군영 1기1952년 11월 10일 ~ 1954년 3월 12일육군참모총장, 합동참모의장
11대박병권소장군영 1기1954년 3월 12일 ~ 1955년 6월 1일
12대장창국소장군영 1기1955년 6월 1일 ~ 1956년 10월 8일
13대백남권소장군영 1기1956년 10월 8일 ~ 1957년 7월 31일
14대이한림중장군영 1기1957년 7월 31일 ~ 1960년 10월 10일
15대강영훈중장군영 1기1960년 10월 10일 ~ 1961년 5월 22일
16대김용배중장군영 1기1961년 5월 22일 ~ 1962년 5월 28일
17대박중윤소장1962년 5월 28일 ~ 1964년 8월 10일
18대정래혁중장군영 1기1964년 8월 10일 ~ 1966년 12월 28일국방부장관
19대이세호소장육사 2기1966년 12월 28일 ~ 1967년 8월 29일육군참모총장
20대김희덕중장1967년 8월 29일 ~ 1969년 5월 3일
21대심흥선중장육사 2기1969년 5월 3일 ~ 1970년 7월 27일
22대최세인중장육사 2기1970년 7월 27일 ~ 1972년 6월 5일前 제1야전군사령관
23대최우근중장육사 3기1972년 6월 5일 ~ 1975년 9월 15일
24대정승화중장육사 5기1975년 9월 15일 ~ 1977년 12월 25일육군참모총장
25대백석주중장육사 8기1977년 12월 26일 ~ 1979년 12월 20일
26대차규헌중장육사 8기1979년 12월 21일 ~ 1980년 7월 18일前 제2야전군사령관
27대김복동중장육사 11기1980년 7월 18일 ~ 1982년 1월 15일
28대최연식중장육사 11기1982년 1월 15일 ~ 1982년 11월 30일
29대황인수중장육사 12기1982년 11월 30일 ~ 1985년 2월 25일
30대지일환중장육사 13기1985년 2월 25일 ~ 1986년 1월 16일
31대최문규중장육사 13기1986년 1월 16일 ~ 1987년 6월 23일
32대장준익중장육사 14기1987년 6월 23일 ~ 1988년 7월 1일
33대민병돈중장육사 15기1988년 7월 2일 ~ 1989년 4월 10일
34대이필섭중장육사 16기1989년 4월 10일 ~ 1990년 1월 16일
35대임인조중장1990년 1월 17일 ~ 1991년 12월 16일
36대김정헌중장육사 18기1991년 12월 17일 ~ 1993년 11월 1일
37대장성중장1993년 11월 2일 ~ 1994년 4월 18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38대김정남중장1994년 4월 19일 ~ 1995년 4월 18일
39대장창규중장1995년 4월 19일 ~ 1997년 4월 25일
40대한승의중장1997년 4월 25일 ~ 1998년 11월 15일
41대오남영중장1998년 11월 15일 ~ 2001년 5월 2일
42대박준근중장2001년 5월 2일 ~ 2003년 4월 22일
43대김충배중장육사 26기2003년 4월 22일~ 2004년 10월 26일
44대김선홍중장2004년 10월 26일 ~ 2006년 11월 30일
45대임충빈중장육사 29기2006년 12월 5일 ~ 2008년 3월 19일육군참모총장
46대김현석중장육사 30기2008년 3월 20일 ~ 2009년 4월 23일제2군단
47대정승조중장육사 32기2009년 4월 24일 ~ 2009년 9월 16일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
48대이봉원중장육사 33기2009년 ~ 2011년육군군수사령관
49대박종선중장육사 34기2011년 ~ 2012년 11월 6일육군인사사령관
50대박남수중장육사 35기2012년 11월 7일 ~2013년 6월 17일수도방위사령관
51대고성균소장[8]육사 38기2013년 6월 17일 ~ 2014년 4월 27일육군훈련소장
52대양종수중장육사 37기2014년 4월 27일 ~ 2015년 11월 3일제2군단
53대최병로중장육사 38기2015년 11월 3일 ~ 2017년 9월 28일수도군단
54대김완태중장육사 39기2017년 9월 28일 ~ 2018년 6월 4일수도군단
55대정진경중장육사 42기2018년 6월 4일 ~ 2020년 12월 8일
56대김정수중장육사 43기2020년 12월 8일 ~ 2021년 12월 16일육군특수전사령관
57대강창구중장육사 44기2021년 12월 16일 ~ 2022년 6월 17일제8군단
58대전성대소장육사 47기2022년 6월 17일 ~ 2022년 12월 7일육군동원전력사령관
59대권영호중장육사 45기2022년 12월 7일 ~現 학교장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0:32:41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2022년 6월 인사에서 중장 부족으로 인해 소장이 보임되기도 했다.[2] 대한민국에서 가장 위상이 높은 사관학교인 만큼 육군사관학교 출신 장교가 교장으로 부임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 육군참모총장, 육군특수전사령관육군사관학교 출신만 임명되던 보직이었으나 학군 23기인 남영신 대장이 이 두 보직을 역임해 전례를 깼다. 육군3사관학교장도 육사 교장과 같은 이유로 3사 출신 인물이 주로 보임되지만 가끔 타 출신(주로 육군사관학교 출신)이 3사 교장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3] 물론 작전본부장의 대장 진급 가능성이 상당히 크다고는 해도 100% 진급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박근혜 정부 - 문재인 정부에서 작전본부장을 지냈던 신원식(육 37), 김용현(육 38), 안영호(육 42)는 대장 진급에 실패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3군의 작전을 총괄하는 보직인 만큼 중요성이 상당히 크며, 두 정부에서 작전본부장을 지냈던 신현돈(육 35), 박선우(육 35), 엄기학(육 37), 서욱(육 41), 박정환(육 44), 전동진(육 45)는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대장 진급 확률은 66.6%[4] 박근혜 - 문재인 정부에서 박찬주(육 37), 최병혁(육 41), 김승겸(육 42), 안병석(육 45)가 대장 진급에 성공했다. 하지만 황인무(육 35), 김유근(육 36), 정연봉(육 38), 구홍모(육 40), 박주경(육 42), 황대일(육 43) 6명이 대장 진급을 이루지 못 하고 중장에서 전역했으니 대장 진급 확률이 50% 미만이기는 하다.[5] 다만 이 쪽도 두 개의 야전군을 합쳐놓았기 때문에 중책이지만 대장 진급과는 거리가 먼 자리에 가깝다. 대장 진급은 제2작전사령관을 지낸 김정수(육 42) 장군 1명 밖에 하지 못 했고, 이정기(육 41), 최진규(학사 9), 김현종(육 44)는 대장 진급을 하지 못 하고 중장에서 전역했다.[6] 해/공군은 사정이 약간 다른데, 중장 자리가 5개밖에 없어서 참모차장, 교육사령관과 함께 사관학교장이 중장 1차 보직이고, 3개 보직 중 하나를 역임한 후 중장 2차 보직인 작전사령관이나 합참 본부장 및 차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요직에 있는 중장 및 대장 중 누군가가 사고를 쳤을 때 보직이 변경되는 사람이 교육사령관과 사관학교장이다. 이쪽은 소장으로 보임되는 경우가 한직으로 본다.[7] 박근혜 - 문재인 정부 시기의 진급 양상을 보면 합참차장 2명(김현집(육 36), 박정환(육 44)), 합참 군사지원본부장 1명(신현돈(육 35), 합참 전략기획본부장 2명(임호영(육 38), 김용우(육 39)), 육군항공작전사령관 2명(이순진(3사 14), 김영식(육 37)), 군사안보지원사령관 1명(남영신(학 23)), 1군 부사령관 1명(장준규(육 36)), 3군 부사령관 1명(박종진(3사 17)), 2군단장 1명(김운용(육 40)), 3군단장 2명(김병주(육 41), 신희현(학 27)), 8군단장 2명(박한기(학 21), 황인권(3사 20)), 국방비서관 1명(안준석(육 43))이다. 정권교체로 인한 인사적체 해소라는 특수한 상황이 2번 있었기 때문에 중장 1차 보직인 군단장에서 바로 대장 진급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볼 수 있었다. 확실한 것은 한직인 부사령관이나 중장 1차 보직인 군단장에서 대장 진급하는 것은 상당히 이례적인 경우이며, 정권교체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나 볼 수 있다. 항공작전사령관이 항공병과장(소장) 보직으로 바뀌었으며, 국방비서관이 다시 소장으로 환원된 지금은, 다른 보직들과 달리 합참 작전본부장, 육군참모차장의 진급 가능성이 더 큰 양상을 볼 수 있다. 합참차장은 육군이 맡으면 한직에 가깝고, 합참 내의 군사지원본부장이나 전략기획본부장은 보통 해/공군의 몫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육군 몫으로 배정되는 사례도 적다. 또한 방첩사령관은 임기제 중장의 몫이기 때문에 하나회 청산 이후로 대장 진급한 사례가 단 2명에 불과하다.[8] 전임자인 박남수 중장이 사관학교장 재임시절 육사 4학년 생도가 후배 생도를 성폭행한 사건이 발생하여 예편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조정환 육군참모총장의 발탁으로 인해 육군훈련소장에서 급하게 전보되었다. 그래서 이례적으로 소장 계급으로 육군사관학교장이 되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