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켄 로치

덤프버전 :

분류

켄 로치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펼치기 · 접기 ]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잉마르 베리만마르셀 카르네존 포드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빌리 와일더알레산드로 블라세티루이스 부뉴엘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장뤽 고다르세르게이 유트케비치알렉산더 클루게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사티야지트 레이킹 비더세자르 자바티니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존 휴스턴페데리코 펠리니타비아니 형제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로베르 브레송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얀초 미클로시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잔느 모로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파올로 빌라조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로만 폴란스키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알 파치노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우디 앨런모니카 비티마틴 스코세이지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주세페 드 산티스조프레도 롬바르도알랭 레네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더스틴 호프먼미셸 모르강제라르 드파르디유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워렌 비티소피아 로렌안제이 바이다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에릭 로메르디노 리시디노 드 로렌티스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미야자키 하야오스테파니아 산드렐리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르만노 올미존 라세터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앤드루 스탠튼리 언크리치오우삼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윌리엄 프리드킨델마 스쿤메이커프레더릭 와이즈먼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예지 스콜리모프스키제인 폰다로버트 레드포드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줄리 앤드류스페드로 알모도바르허안화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제이미 리 커티스카트린 드뇌브폴 슈레이더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황금종려상
제58회
(2005년)
제59회
(2006년)
제60회
(2007년)
장피에르 다르덴, 뤼크 다르덴
(더 차일드)
켄 로치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크리스티안 문지우
(4개월, 3주... 그리고 2일)
제68회
(2015년)
제69회
(2016년)
제70회
(2017년)
자크 오디아르
(디판)
켄 로치
(나, 다니엘 블레이크)
루벤 외스틀룬드
(더 스퀘어)
심사위원상
제42회
(1989년)
제43회
(1990년)
제44회
(1991년)
드니 아르캉
(몬트리올 예수)
켄 로치
(숨겨진 계략)
라스 폰 트리에 / 마룬 배그다디
(유로파) / (아웃 오프 라이프)
제45회
(1992년)
제46회
(1993년)
제47회
(1994년)
빅토르 에리세 / 바탈리 카네프스키
(햇빛 속의 모과나무) / (눈오는 날의 왈츠)
켄 로치 / 허우샤오셴
(레이닝 스톤) / (희몽인생)
파트리스 셰로
(여왕 마고)
제64회
(2011년)
제65회
(2012년)
제66회
(2013년)
마이웬
(경찰들)
켄 로치
(앤젤스 셰어 : 천사를 위한 위스키)
고레에다 히로카즈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
켄 로치
Ken Loach
파일:Ken_Loach_Cannes_2014.jpg
본명케네스 찰스 로치
Kenneth Charles Loach
출생1936년 6월 17일 (87세)
영국 잉글랜드 워릭셔 너니턴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가족레슬리 애쉬튼(1962~)
자녀 5명[1]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직업영화감독, 각본가
종교무종교
소속

(1962년 ~ 1994년, 2015년 ~ 2021년)
좌파통합(2012년 ~ 2015년)[2]
존중당[3](2004년 ~ 2012년)
파일:sixteen films.jpg
링크파일:sixteen films.jp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활동
3. 필모그래피
4. 같이 보기
5. 여담
6. 소속 정당



1. 개요[편집]


영국영화 감독. 칸 영화제가 선호하는 감독 중 한명으로, 역대 최대인 14회나 초청받았다.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2번, 심사위원상을 3번 수상했다.

노동계급이나 아일랜드 문제에 관심이 많다. 1960년대부터 감독 생활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마가렛 대처 정권에 의해 검열의 희생양이 된다. 이 때문인지 대처 사후에 로치는 "아예 장례식도 민영화(privatisation)해야 한다. 그것이 대처도 원하던 일이었을 것."이라며 비꼬는 말을 했다.

고집하는 연출 방향성이 딱히 있는 건 아니고, 건조하고 무던한 느낌으로 연출한다. 주제 면에서는 일관적으로 좌파적 시각을 견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블루칼라의 시인이라고 불린다. 직접적으로는 '키친 싱크 사실주의'라 불리는 영국식 사실주의의 적자다.

스타보다는 신인을 기용하는 편이어서, 마이크 리와 더불어 영국 배우들의 등용문이 된 감독이기도 하다. 로버트 칼라일, 에이드리언 브로디, 킬리언 머피, 피터 뮬란 등이 로치의 영화를 통해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영국 영화계는 엘리트주의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노동계급 출신 배우는 캐스팅 기회도 제대로 잡기 힘들 정도인데, 로치는 이 부분에서 개방적이다. 앞에서 거론한 에이드리언 브로디는 서민층 이민자 집안 출신이고, 로버트 칼라일은 도장공인 아버지와 지낸 노동자-편부 집안 출신이다.

<지미스 홀>을 발표한 뒤 은퇴했지만, 세상 돌아가는 게 신통치 않았는지 <나, 다니엘 블레이크>로 복귀했다.

역사란 향수가 아니다. 역사는 왜 우리가 지금의 모습인지, 우리가 누구인지, 왜 우리가 현재의 상황에 있는지를 말해주는 것이다. 역사가 향수에 불과하다고 말하는 것은 권력을 가진 부르주아들에게 적합한 말이다. 그렇게 되면, 그들이 계속 권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역사는 우리가 지금 처한 상황을 설명해주며 따라서 역사를 탐구하여 민중들에게 그들의 역사를 되돌려 주는 것은 감독으로서 갖는 책임 중 하나인 것이다. 왜냐하면 역사야말로 미래를 여는 열쇠이기 때문이다. 만일, 당신이 민중의 과거에 대한 생각을 조절할 수 있다면 당신은 그들의 현재를 재조정할 수 있고 현재를 조정하게 되면 결국 그들의 미래를 바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과거에 대한 민중의 생각을 조정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것이다.

-

ㅡ1997년 9월 <키노> 켄 로치, 싸우는 작가주의에 대하여 인터뷰 기사 중에서


2021년, 영국 노동당에서 출당 당했다.(#) 키어 스타머 지도부의 우경화와 관련된 것이라고 시끌시끌하다.


2. 활동[편집]


1969년에 개봉한 <케스>는 로치의 초기 걸작으로 손꼽힌다. 영국 요크셔의 탄광촌을 배경으로 삼아 매를 키우는 소년의 이야기를 그려낸 작품으로, 원작 소설을 쓴 배리 하인즈가 직접 참여한 각본이 매우 뛰어나다. 이 영화가 카를로바리 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한 것을 기점으로 로치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게 된다.

1993년, 딸의 첫 영성체 예복을 마련하려는 가난한 아버지의 이야기인 <레이닝 스톤>이 개봉했다. 이 작품으로 로치는 두 번째 칸 영화제/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1995년, 스페인 내전을 다룬 랜드 앤 프리덤이 개봉했다. 칸 영화제 국제 비평가상을 수상했다.
파일:landandfreedom.jpg

1998년 영국내 계층간의 부조리에 관한 영화 <내 이름은 조>는 칸 경쟁부문에 초청되었고, 피터 뮬란칸 영화제/남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2000년에는 과감하게 미국으로 건너가 이민자들의 열악한 노동 환경을 신랄하게 비판한 <빵과 장미>는 에이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았다.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으로, 부산국제영화제 월드시네마 부문에서 초청 상영되었다.

2006년,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1916년 4월에 발생한 무장봉기를 다룬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이 개봉했다.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의 만장일치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87위에도 선정됐다.
파일: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국내 메인 포스터.jpg

2007년 <자유로운 세계>는 계약직 사원이던 싱글맘 앤지가 부당해고를 당한 후 불법 이주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직업소개소를 운영하며 겪게 되는 가파른 삶의 여정을 그린 켄 로치표 리얼 드라마로, 베니스 영화제 각본상을 수상했다.

2012년 그동안 어둡고 가라앉은 영화를 주로 만들었던 켄 로치 감독이 오랜만에 들고 온 코미디 영화 <엔젤스 셰어>로 칸영화제에 주목을 받았다. 뛰어난 연출로 영화제 스크린 데일리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고, 세번째 칸 영화제/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2014년, 베를린 영화제에서 명예황금곰상을 수상했다.

2016년 영화계 은퇴후 평생 목수로 일한 노인 다니엘 블레이크를 통해 영국 복지제도의 허점을 이야기한 작품으로 2년 만에 복귀했다.나, 다니엘 블레이크칸 영화제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2회 수상했다.[4] 이때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지금 위험한 지점에 있다. 우리는 희망의 메시지를 제공해야 한다.'는 수상소감을 남겼다.
파일:external/9dfde32323d5d753444534ba48f8d110404179db70111f95d96da08328a08a48.jpg




3. 필모그래피[편집]


연도제목연출각본제작비고
1967불쌍한 암소
Poor Cow
OO
1969케스
Kes
OO카를로바리 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 수상,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235위,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1971가족생활
Family Life
O
1979블랙 잭
Black Jack
OO제32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1980사냥터지기
The Gamekeeper
OO
1981외모와 미소
Looks and Smiles
O제34회 칸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1981~1983리더십의 문제들
Questions of Leadership
OO다큐멘터리
1984당신은 어느 편인가?
Which Side Are You On?
OO다큐멘터리
1986파더랜드
Fatherland
O제4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1990숨겨진 계략
Hidden Agenda
O제43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1991하층민들
Riff-Raff
O제44회 칸 영화제 국제비평가상 수상
1993레이닝 스톤
Raining Stones
O제46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1994레이디버드 레이디버드
Ladybird Ladybird
O제4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
1995랜드 앤 프리덤
Land and Freedom
O제48회 칸 영화제 국제비평가상 수상
1996칼라 송
Carla's Song
O제53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1998내 이름은 조
My Name Is Joe
O제51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00빵과 장미
Bread and Roses
O제53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01네비게이터
The Navigators
O제58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02달콤한 열여섯
Sweet Sixteen
O제55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02'2001년 9월 11일' 中영국
United Kingdom
OO단편, 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2004다정한 입맞춤
Ae Fond Kiss...
O제5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05티켓
Tickets
O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2006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The Wind that Shakes the Barley
O제59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더 가디언 선정 21세기 100대 영화 87위
2007'그들 각자의 영화관' 中해피 엔딩
Happy Ending
O단편, 옴니버스 영화 참여작
2007자유로운 세계
It's a Free World...
OO제6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각본상 수상작
2009룩킹 포 에릭
Looking for Eric
O제62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10루트 아이리쉬
Route Irish
O제63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12앤젤스 셰어 : 천사를 위한 위스키
The Angels' Share
O제65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
20131945년의 시대정신
The Spirit of '45
OO다큐멘터리
2014지미스 홀
Jimmy's Hall
O제67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16나, 다니엘 블레이크
I, Daniel Blake
O제69회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수상
2019미안해요, 리키
Sorry We Missed You[5]
O제72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2023나의 올드 오크
The Old Oak
O제76회 칸 영화제 경쟁부문 초청


4. 같이 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90위 영화 목록
90위〈에덴〉 (2014)
89위〈이기적인 거인〉 (2013)
88위고모라〉 (2008)
87위보리밭을 흔드는 바람〉 (2006) 켄 로치
86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코엔 형제
85위버닝 (2018) 이창동
84위〈열대병〉 (2005)
83위아들의 방〉 (2001) 난니 모레티
82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2012)
81위〈피쉬 탱크〉 (2009)
80위레퀴엠〉(2000)
79위〈페르세폴리스〉 (2007)
78위오션스 일레븐〉 (2001)
77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003)
76위〈텐〉 (2002)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75위〈필로미나의 기적〉 (2013) 스티븐 프리어스
74위예언자〉 (2009)
73위〈레이디 수잔〉(2016)
72위바시르와 왈츠를〉 (2006)
71위〈카르페나움〉 (2018)
70위〈앵커맨 〉 (2004)
69위패딩턴 2〉 (2017)
68위〈미스터 터너〉 (2014) 마이크 리
67위송곳니〉 (2009)
66위브로크백 마운틴〉 (2005) 이안
65위행복한 라짜로〉 (2018)
64위인크레더블〉 (2004)
63위케빈에 대하여〉 (2011)
62위〈행복을 기다리며〉 (2002)
61위〈The Souvenir〉 (2019)
60위19곰 테드〉(2012)
59위〈와시푸르의 갱〉 (2012)
58위〈폭풍의 언덕〉 (2011)
57위〈흔적없는 삶〉 (2018)
56위〈쇼를 사랑한 남자〉 (2013)
55위〈러시아 방주〉 (2002) 알렉산더 소쿠로프
54위소셜 네트워크〉 (2010) 데이비드 핀처
53위〈화염의 바다〉(2016)
52위아모레스 페로스〉 (2000)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51위와호장룡〉 (2000) 이안
50위비포 선셋〉 (2004) 리처드 링클레이터
49위〈24시간 파티를 하는 사람들〉
48위〈하우스 오브 미스〉
47위〈Magaret〉 (2011)
46위귀향〉 (2006) 페드로 알모도바르
45위〈13th〉 (2016)
44위토니 에드만〉 (2016)
43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2016) 마틴 스콜세지
42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2007)
41위아가씨 (2016) 박찬욱
40위〈unreiated〉(2007)
39위〈믹의 지름길〉 (2010)
38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2011) 누비 세일란
37위도그빌〉 (2003) 라스 폰 트리에
36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2011)
35위〈45년후〉 (2015)
34위〈더 차일드〉 (2002) 다르덴 형제
33위〈로열 테넌바움〉
32위그래비티〉 (2013) 알폰소 쿠아론
31위아노말리사〉 (2015) 필립 카우프만
30위리바이어던
29위〈네브라스카〉
28위트리 오브 라이프〉(2011) 테렌스 멜릭
27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6위하나 그리고 둘〉 (2008) 에드워드 양
25위겟 아웃〉 (2017)
24위〈Lda〉 (2013)
23위〈보랏〉 (2006)
22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001)
21위하얀 리본〉 (2009) 미카엘 하네케
20위로마〉2018
19위링컨
18위시리어스 맨
17위그레이트 뷰티
16위액트 오브 킬링
15위어느 가족〉 (2018) 고레에다 히로카즈
14위〈백인의 것〉
13위파 프롬 헤븐
12위사울의 아들
1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001) 데이비드 린치
10위팀 아메리카: 세계 경찰
09위자마
08위문라이트
07위시네도키, 뉴욕
06위히든〉 (2005) 미카엘 하네케
05위화양연화
04위언더 더 스킨
03위보이후드
02위노예 12년
01위데어 윌 비 블러드



||
[ 펼치기 · 접기 ]

선정 영화 목록
1위현기증알프레드 히치콕
2위시민 케인
3위동경이야기오즈 야스지로
4위게임의 규칙장 르느와르
5위선라이즈
6위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스탠리 큐브릭
7위수색자존 포드
8위〈카메라를 든 사나이〉
9위〈잔 다르크의 수난〉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10위〈8과 1/2〉 페데리코 펠리니
11위전함 포템킨
12위〈라탈랑트〉
13위〈내 멋대로 해라〉 장 뤽 고다르
14위지옥의 묵시록프란시스 코폴라
15위만춘오즈 야스지로
16위〈당나귀 발타자르〉 로베르 브레송
17위7인의 사무라이구로사와 아키라
17위페르소나〉잉마르 베리만
19위거울안드레이 타르콥스키
20위사랑은 비를 타고
21위정사 (1960)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22위대부〉 (1972)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22위경멸〉 (1963)
24위라쇼몽〉 (1950) 오즈 야스지로
25위오데트〉 (1955)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26위화양연화〉 (2000) 왕가위
27위안드레이 루블료프〉 (1966)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28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001) 데이비드 린치
29위스토커〉 (1979)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30위〈쇼아〉 (1985)
31위택시드라이버〉 (1976) 마틴 스콜세지
32위대부2〉 (1974) 프란시스 코폴라
33위자전거 도둑〉 (1948) 비토리오 데 시카
34위사이코〉 (1960) 알프레드 히치콕
36위사탄탱고〉 (1960) 벨라 타르
메트로폴리스〉 (1927) 프리츠 랑
〈잔느 딜망〉 (1960)
39위달콤한 인생〉 (1960) 페데리코 펠리니
41위〈이탈리아 여행〉 (1954) 로베르토 로셀리니
43위〈클로즈업〉 (1989)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53위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1959) 알프레드 히치콕
53위이창〉 (1954) 알프레드 히치콕
53위레이징 불〉 (1980) 마틴 스코세이지
59위배리 린든〉 (1975) 스탠리 큐브릭
63위산딸기〉 (1957) 잉마르 베리만
69위블레이드 러너〉 (1982) 리들리 스콧
69위블루 벨벳〉 (1986) 데이비드 린치
73위〈태양은 외로워〉 (1962)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73위내쉬빌〉 (1975) 로버트 알트만
84위고령가 소년 살인사건〉 (1991) 에드워드 양
84위〈화니와 알렉산더〉 (1982) 잉마르 베리만
93위하나 그리고 둘〉 (1993) 에드워드 양
93위안달루시아의 개〉 (1929) 루이스 부뉴엘
93위〈제7의 봉인〉 (1957) 잉마르 베리만
102위유랑극단〉 (1975) 테오 앙겔로풀로스
110위〈잊혀진 사람들〉 (1950) 루이스 부뉴엘
110위〈바리디아나〉 (1961) 루이스 부뉴엘
110위〈황금시대〉 (1930) 루이스 부뉴엘
110위여행자〉 (1975)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17위비정성시〉 (1989) 허우샤오셴
117위닥터 스트레인지러브〉 (1964) 스탠리 큐브릭
127위세 가지 색: 블루〉 (1993)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144위욕망〉 (1966)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44위중경삼림〉 (1994) 왕가위
154위솔라리스〉 (1972) 안드레이 타르콥스키
154위샤이닝〉 (1980) 스탠리 큐브릭
154위히든〉 (2005) 미카엘 하네케
154위〈외침과 속삭임〉 (1974) 잉마르 베리만
171위좋은 친구들〉 (2005) 마틴 스콜세지
17위오명〉 (1954) 알프레드 히치콕
183위〈용문객잔〉 (1967) 호금전
183위이레이져 헤드〉 (1977) 데이비드 린치
183위무방비도시〉 (1940) 로베르토 로셀리니
202위비디오드롬〉 (1983) 데이빗 크로넨버그
202위〈전화의 저편〉 (1946) 로베르토 로셀리니
202위〈독일 영년〉 (1948) 로베르토 로셀리니
235위세 가지 색: 레드〉 (1994)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235위베로니카의 이중생활〉 (1991)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235위〈케스 Kes〉 (1969) 켄 로치
235위멜랑콜리아〉 (2011) 라스 폰 트리에





5. 여담[편집]







6.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1962 - 1994입당

무소속

1994 - 2004노선 차이로 탈당
존중당2004 - 2012입당

무소속

2012탈당
좌파통합2012 - 2015입당

무소속

2015탈당


2015 - 2021복당
노선 차이로 제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15:14:21에 나무위키 켄 로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짐 로치 포함[2] Left Unity[3] Respect Party[4] 황금종려상을 2회 수상한 인물은 미카엘 하네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이마무라 쇼헤이 등 7명뿐이다.[5] 부재중이시네요/안 계시네요 정도로 쓰이는 영어 관용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