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허안화

덤프버전 :

허안화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

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펼치기 · 접기 ]

1970년1971년1972년
오슨 웰스잉마르 베리만마르셀 카르네존 포드찰리 채플린
1972년1982년
아나톨리 골로브냐빌리 와일더알레산드로 블라세티루이스 부뉴엘프랭크 카프라
1982년
조지 큐커장뤽 고다르세르게이 유트케비치알렉산더 클루게구로사와 아키라
1982년1983년
마이클 파웰사티야지트 레이킹 비더세자르 자바티니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1985년1986년1987년
마노엘 드 올리베이라존 휴스턴페데리코 펠리니타비아니 형제루이지 코멘치니
1988년1989년1990년1991년
요리스 이벤스로베르 브레송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얀초 미클로시마리오 모니첼리
1991년1992년1993년
지안 마리아 볼론테잔느 모로프랜시스 포드 코폴라파올로 빌라조스티븐 스필버그
1993년1994년
로버트 드 니로로만 폴란스키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알 파치노수소 체키 다미코
1994년1995년
켄 로치우디 앨런모니카 비티마틴 스코세이지알베르토 소르디
1995년1996년
엔니오 모리코네주세페 드 산티스조프레도 롬바르도알랭 레네로버트 올트먼
1996년1997년
비토리오 가스만더스틴 호프먼미셸 모르강제라르 드파르디유스탠리 큐브릭
1997년1998년1999년
알리다 발리워렌 비티소피아 로렌안제이 바이다제리 루이스
2000년2001년2002년2003년
클린트 이스트우드에릭 로메르디노 리시디노 드 로렌티스오마 샤리프
2004년2005년2006년
스탠리 도넌마노엘 드 올리베이라미야자키 하야오스테파니아 산드렐리데이비드 린치
2007년2008년2009년
팀 버튼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에르만노 올미존 라세터브래드 버드
2009년2010년2011년
피트 닥터앤드루 스탠튼리 언크리치오우삼마르코 벨로키오
2012년2013년2014년2015년
프란체스코 로시윌리엄 프리드킨델마 스쿤메이커프레더릭 와이즈먼베르트랑 타베르니에
2016년2017년2018년
장폴 벨몽도예지 스콜리모프스키제인 폰다로버트 레드포드데이비드 크로넨버그
2018년2019년2020년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줄리 앤드류스페드로 알모도바르허안화틸다 스윈튼
2021년2022년2023년
로베르토 베니니제이미 리 커티스카트린 드뇌브폴 슈레이더양조위
2023년
릴리아나 카바니




역대 홍콩 금상장 시상식
파일:Hong_Kong_Film_Award_Trophy.png
감독상
제1회
(1982년)
제2회
(1983년)
제3회
(1984년)
팡위핑
(부자정)
허안화
(망향)
팡위핑
(반변인)
제14회
(1995년)
제15회
(1996년)
제16회
(1997년)
왕가위
(중경삼림)
허안화
(여인사십)
천커신
(첨밀밀)
제27회
(2008년)
제28회
(2009년)
제29회
(2010년)
천커신
(명장(영화)
허안화
(천수위의 낮과 밤)
진덕삼
(8인: 최후의 결사단)
제30회
(2011년)
제31회
(2012년)
제32회
(2013년)
서극
(적인걸)
허안화
(심플라이프)
렁록만
(콜드 워)
제33회
(2014년)
제34회
(2015년)
제35회
(2016년)
왕가위
(일대종사)
허안화
(황금시대)
서극
(타이거 마운틴)
제36회
(2017년)
제37회
(2018년)
제38회
(2019년)
비키 웡
(트리비사)
허안화
(그날은 오리라)
장문강
무쌍

역대 대만 금마장 시상식
파일:금마장 로고.svg
감독상
제35회
(1998년)
제36회
(1999년)
제37회
(2000년)
진충
(슈슈)
허안화
(천언만어)
두기봉
(미션)
제47회
(2010년)
제48회
(2011년)
제49회
(2012년)
청몽홍
(네 번째 초상화)
허안화
(심플 라이프)
두기봉
(탈명금: 사라진 천만 달러의 행방)
제50회
(2013년)
제51회
(2014년)
제52회
(2015년)
차이밍량
(떠돌이 개)
허안화
(황금시대)
허우샤오셴
(자객 섭은낭)


이름허안화(許鞍華, 간체: 许鞍华)
영문명Ann Hui
출생1947년 5월 23일, 중국, 랴오닝 성, 안산시(중국)
국적중국(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직업감독,극작가,프로듀서,배우
종교불교
1. 개요
2. 생애 및 활동
3. 필모그래피
3.1. 연출작
3.2. 출연작



1. 개요[편집]


홍콩 영화계를 대표하는 여성 감독이자 홍콩 뉴웨이브 영화의 대표적 감독 중 한 명이다. 감독 뿐 아니라 제작자, 극작가, 배우로서도 활약하고 있다.

한국에서 홍콩 영화무협 영화나 느와르 액션 영화가 주 장르라는 인식이 있지만, 허안화 감독의 영화는 사회 문제를 성찰하는 내용인 경우가 많다. 물론 무협 영화(서검은구록)와 액션 영화(양자경의 스턴트 우먼)를 연출하기도 했지만, 가부장제 속에서 고민하거나 고통받는 여성에 관한 작품(여인사십, 반생연)이나 화려한 홍콩의 이면에 존재하는 빈곤층 및 이주민을 다룬 작품(천언만어)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또 그런 장르에서 국제 영화계의 극찬을 받았다. 이런 업적을 기려 베니스 국제 영화제 평생공로상을 받기도 했다.


2. 생애 및 활동[편집]


1947년 중국 요령성의 안산[1]에서 중국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5살 때 홍콩으로 건너가서 성장했으며, 홍콩대학에서 비교문학으로 학위를 취득하고 영국의 런던 필름 스쿨에서 공부했다.

영국에서 홍콩으로 돌아온 후 처음에는 주로 TV 및 라디오 방송계에서 경력을 쌓다가,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영화 감독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3. 필모그래피[편집]



3.1. 연출작[편집]


1976 - 소셜 워커: 아시
1978 - 사자산하: 베트남에서 온 손님, 사자산하: 육교, 사자산하: 길
1979 - 풍겁
1980 - 당도정
1981 - 호월적고사, 애살
1982 - 망향
1984 - 경성지연
1987 - 서검은구록, 향향공주
1988 - 금야성광찬란
1990 - 장만옥의 객도추한
1991 - 화룡만가
1994 - 여인사십[2]
1996 - 양자경의 스턴트 우먼
1997 - 반생연, 홍콩의 추억: 시간은 흘러가고
1998 - 천언만어
2000 - 강호고급, 여인나화아
2001 - 유령인간
2002 - 남인사십, 유령인간 2 - 귀미인간
2003 - 옥관음
2006 - 이모의 포스터모던 라이프
2008 - 더 웨이 위 알
2009 - 밤과 안개
2010 - 상상하하
2011 - 심플 라이프
2012 - 뷰티풀 2012
2014 - 황금시대
2017 - 그날은 오리라
2020 - 호호박전영, 사랑 뒤의 사랑, 칠중주: 홍콩 이야기[3]


3.2. 출연작[편집]


1981 - 애살
1983 - 오복성
1994 - 여인사십
1996 - 낭만풍폭
1997 - 하류
2000 - 강호고급, 여인나화아
2001 - 지구천장
2002 - 일문계보표
2007 - 희왕지왕
2010 - 상상하하, 세월신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07:15:30에 나무위키 허안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정상회담의 출연자 장위안이 태어나고 자란 곳이기도 함.[2] 홍콩영화 최초로 아마데미 영화상 외국어영화부문 후보에 올라 화제가 되었음.[3] 7명의 홍콩 거장의 영화를 모은 옴니버스 영화인데 여기에서 2번째 영화인 '교장 선생님'을 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