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객 섭은낭

덤프버전 :

'자객 섭은낭' 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2016년 BBC는 177명의 국제 영화 평론가들을 대상으로 사상 최고의 21세기 영화 100편을 선정했다.
1위멀홀랜드 드라이브
2위화양연화
3위데어 윌 비 블러드
4위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5위보이후드
6위이터널 선샤인
7위트리 오브 라이프
8위하나 그리고 둘
9위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10위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1위인사이드 르윈
12위조디악
13위칠드런 오브 맨
14위액트 오브 킬링
15위4개월, 3주... 그리고 2일
16위홀리 모터스
17위판의 미로
18위하얀 리본
19위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20위시네도키, 뉴욕
21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2위사랑도 통역이 되나요?
23위히든
24위마스터
25위메멘토
26위25시
27위소셜 네트워크
28위그녀에게
29위월-E
30위올드보이
31위마가렛
32위타인의 삶
33위다크 나이트
34위사울의 아들
35위와호장룡
36위팀북투
37위엉클 분미
38위시티 오브 갓
39위뉴 월드
40위브로크백 마운틴
41위인사이드 아웃
42위아무르
43위멜랑콜리아
44위노예 12년
45위가장 따뜻한 색, 블루
46위사랑을 카피하다
47위리바이어던
48위브루클린
49위언어와의 작별
50위자객 섭은낭
51위인셉션
52위열대병
53위물랑 루즈
54위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나톨리아
55위이다
56위베크마이스터 하모니즈
57위제로 다크 서티
58위물라데
59위폭력의 역사
60위징후와 세기
61위언더 더 스킨
62위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63위토리노의 말
64위그레이트 뷰티
65위피쉬 탱크
66위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봄
67위허트 로커
68위로얄 테넌바움
69위캐롤
70위우리가 들려줄 이야기
71위타부
72위오직 사랑하는 이들만이 살아남는다
73위비포 선셋
74위스프링 브레이커스
75위인히어런트 바이스
76위도그빌
77위잠수종과 나비
78위더 울프 오브 월 스트리트
79위올모스트 페이머스
80위리턴
81위셰임
82위시리어스 맨
83위A.I.
84위그녀
85위예언자
86위파 프롬 헤븐
87위아멜리에
88위스포트라이트
89위머리 없는 여인
90위피아니스트
91위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92위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93위라따뚜이
94위렛미인
95위문라이즈 킹덤
96위니모를 찾아서
97위백인의 것
98위
99위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
100위카를로스
레퀴엠
토니 에드만
같이 보기: 미국 영화, 21세기 영화, 코미디 영화, 비영어권 영화, 21세기 TV 시리즈



--
역대 대만 금마장 시상식
파일:금마장 로고.svg
최우수장편영화상
제51회
(2014년)
제52회
(2015년)
제53회
(2016년)
추나자객 섭은낭8월


자객 섭은낭 (2015)
刺客聶隱娘, The Assassin
파일:5650a16abc2aafee1c3b3af6738bf98d3dfb83dd.jpg
장르
감독
각본
주천문, 종아성, 사해맹
원작
배형(裴鉶) - <전기>(傳奇) 中 '섭은랑'
기획
마크 리 빙빙
촬영
제작
허우샤오셴, 료경송
출연
편집
료경송
미술
황 원잉
의상
음악
임강
제작사
파일:대만 국기.svg 중영고분유한공사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화면비
1.37 : 1
1.85 : 1[1]
상영 시간
106분
제작비
1,500만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11,991,669
북미 박스오피스
$632,542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5,747명
국내 스트리밍
상영 등급

1. 개요
2. 마케팅
2.1. 포스터
2.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5년 제작된 대만의 무협 드라마 영화. 대만을 대표하는 영화 감독 허우샤오셴이 연출과 제작을 맡고, 역시 대만의 스타 여배우 서기가 주연을 맡았다. 국내외의 호평 속에 제68회 칸 영화제 감독상을 비롯한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중국 당나라 시대의 작가 배형(裴鉶)이 쓴 고전 소설집 <배형전기>(裴鉶傳奇)에 수록된 동명의 단편이 원작이다. 허우샤오셴 감독이 이후 치매를 앓아 더 이상 작품 만드는게 불가능해 그의 마지막 영화가 되었다.


2. 마케팅[편집]



2.1. 포스터[편집]


파일:자객 섭은낭 티저 포스터1.jpg
파일:자객 섭은낭 티저 포스터2.jpg
티저 포스터 1티저 포스터 2


2.2. 예고편[편집]


▲ 30초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검보다 강한 사랑… 차마 끊어낼 수 없던 운명의 대결이 시작된다!
고위관료의 딸로 태어났지만, 정혼자였던 전계안과의 이별 후 부패한 관리를 살해하는 암살자로 키워진 섭은낭.

어느 날, 스승으로부터 위박 지역의 절도사이자 자신이 과거 사랑했던 전계안을 암살하라는 명을 받는다.
자객의 정도와 사랑, 일생일대의 선택 기로 앞에서 은낭은 흔들리게 되는데...


4. 등장인물[편집]


파일:자객 섭은낭 인물 관계도.jpg

파일:자객 섭은낭 캐릭터 포스터1.jpg
섭은랑 (서기 扮)

파일:자객 섭은낭 캐릭터 포스터2.jpg
전계안 (장첸 扮)

파일:자객 섭은낭 캐릭터 포스터3.jpg
마경 소년 (츠마부키 사토시 扮)

  • 호희 (사흔영 扮)
  • 전원씨 (扮)
  • 공공아 (扮)
  • 정정아 (扮)
  • 가성공주 (扮)
  • 가신공주 (扮)
  • 섭봉 (扮)
  • 섭전 (扮)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7352|
기자·평론가
8.28 / 10
관람객
7.98 / 10
네티즌
6.70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8.28 / 10
관람객
7.98 / 10
네티즌
6.70 / 10
]]
평점 7.9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6.5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70%





MRQE
평점 없음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없음





The Assassin's thrilling visuals mark a fresh highlight for director Hsiao-hsien Hou, even if its glacial pace may keep some viewers at arm's length.

<자객 섭은낭>의 황홀한 비주얼은 허우샤오셴 감독을 향한 신선한 인상을 남긴다. 비록 특유의 몹시 느릿한 페이스가 일부 관객들에게는 다소 거리감을 줄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 로튼 토마토 총평


무협을 제거한 무협

중화권 감독들은 각자의 세계관과 양식으로, 무협의 어떤 경지를 표하고자 하는 욕망을 품고 있다. 이 고수들의 '칼'은 그래서 품새도 방향도 사뭇 다르다. 허우샤오셴 감독의 선택은 뜻밖이다. 기술은 완벽하나 인륜으로 인해 사람을 죽이지 못하는, 이토록 치명적 약점을 지닌 자객이 바로 그의 무협 영화를 완성하는 주인공이다. 허우샤오셴의 관심은 살수가 아닌 살수로 키워질 수밖에 없었던 시대, 저항하지 못했던 한 인간에 가닿는다. 그리하여 이 뜻밖의 선택은 허우샤오셴의 세계로 치환된다. '무협'의 형식을 불러와 그 안에서 가능한 한 무협을 제거하는 아이러니한 시도를 통해 허우샤오셴은 또 한 번 자신의 경지를 넘어선다.

- 이화정 (★★★★☆)


무협의 도, 인간의 길

무협 영화의 양식화된 액션에 익숙하다면, [자객 섭은낭]이 조금 낯설 수도 있겠다. 이 영화는 전형적인 '장르 영화'라기보다는, 허우샤오셴 감독의 장르적 확장이다. 그가 30년 넘게 견지했던 리얼리즘의 시선은 변함없고, 감독은 여전히 '인간'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아름답다.

- 김형석 (★★★★)


무(武)를 내려놓고 협(俠)을 취하다

때론 보이지 않기에 더 선명해지는 것들이 있다. 허우샤오셴은 액션을 내려놓고, 서사를 베어내고, 번잡한 말을 줄인 끝에 '협(俠)'의 정서를 붙들어 맨다. 익숙한 서사의 '사이'에 머무는 시선이 끝내 향하는 곳은 결국 인간 섭은낭이 꾹꾹 눌러 담은 마음, 약한 것을 지키고 싶은 측은지심. 그래서 협(俠)이다. 무섭도록 고요하고 정제된 이미지 밑으로 몰아치는 감정의 격랑, 그 심상이 투영된 모든 장면이 의미가 된다. 동시에 의미를 찾지 못해도 상관없다. 글자의 뜻이 아니라 붓끝, 획의 움직임 그 자체에 혼이 깃든 최상의 서예다. 감히, 아름답다.

- 송경원 (★★★★)


이미지와 도(道)를 한획에 그리는 스크린의 서예(書藝)

여기서의 액션은 무공이라기보다 사상으로서의 무협이랄까요. 서예가 그 자체가 비주얼 아트이기도 하지만, 그 안에 의미도 있잖아요.

이 영화는 동양의 서예 같으며, 이 섭은낭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동작들, 출현과 사라짐 같은 것들이 이미지로서도 황홀하지만, 백성을 대하는 태도나 힘을 가진 자가 세계에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를 다 포함하고 있어서 그림이자 글씨를 아트로 써내는 서예 같구나 그런 생각을 했던 그런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숏과 숏 사이에 허공 같은 게 있어요. 바로바로 붙지 않고요. 장면과 장면 사이에도 은근히 비약이 있는 거죠. 우리가 추측을 해야 하고 영화 자체가 경공술을 하고 있는 느낌이 드는데, 그렇게 보이는 것들 사이에 틈이 있는데, 그 간격을 채우는 것들이 음향인 것 같아요. 이 영화의 음악도 너무 휼륭하죠. 그 음악을 듣고 마지막 장면까지 일어날 수가 없어요.

- 김혜리 (★★★★★) (1화 부분)


마음을 어떻게 담을 것인가. 아름다움을 어떻게 품을 것인가.

- 이동진 (★★★★)


동중정, 도 닦는 무협

- 박평식 (★★★☆)


칼을 놓고 칼을 들다

- 이용철 (★★★☆)


액션 이전에 사람이 있다

- 장영엽 (★★★★☆)


앞서지 않는, 끝없이 뒤따르는 정중동(靜中動)으로의 마중

- 정지혜 (★★★★)


대체적으로 호평. 다만 일반적인 무협영화라기보다는, 호금전의 오마쥬가 느껴지는 허우샤오셴식 무협 영화라는 평이 많다. 전반적으로 컷이 정적이고 호흡이 느린 편.

원래 허우 샤오셴이 액션과 거리가 먼 작풍으로 유명했던지라 제작 당시 꽤나 의외라는 평이 많았다.[2] 사실 액션도 많이 나오진 않는다. 전작과 공백 기간이 매우 긴 편인데, 허우 샤오셴이 공백기간 동안 영화제 일에 관여한 데다 투자를 제대로 받지 못해서였다고 한다. 각본 작업도 상당히 느리게 진전된 듯. 서기가 더 나이들기 전에 만들어야겠다 싶어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3] 결국 중국 자본과[4] ASUS에게서 제작비를 지원받아 완성.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11,991,669)(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632,542미정
중국미정$9,400,000미정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명-명미집계-원-원
1주차20XX-XX-XX. 1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일차(목)-명-위-원
20XX-XX-XX. 3일차(금)-명-위-원
20XX-XX-XX. 4일차(토)-명-위-원
20XX-XX-XX. 5일차(일)-명-위-원
20XX-XX-XX. 6일차(월)-명-위-원
20XX-XX-XX. 7일차(화)-명-위-원
2주차20XX-XX-XX. 8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9일차(목)-명-위-원
20XX-XX-XX. 10일차(금)-명-위-원
20XX-XX-XX. 11일차(토)-명-위-원
20XX-XX-XX. 12일차(일)-명-위-원
20XX-XX-XX. 13일차(월)-명-위-원
20XX-XX-XX. 14일차(화)-명-위-원
3주차20XX-XX-XX. 15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16일차(목)-명-위-원
20XX-XX-XX. 17일차(금)-명-위-원
20XX-XX-XX. 18일차(토)-명-위-원
20XX-XX-XX. 19일차(일)-명-위-원
20XX-XX-XX. 20일차(월)-명-위-원
20XX-XX-XX. 21일차(화)-명-위-원
4주차20XX-XX-XX. 22일차(수)-명-명-위-원-원
20XX-XX-XX. 23일차(목)-명-위-원
20XX-XX-XX. 24일차(금)-명-위-원
20XX-XX-XX. 25일차(토)-명-위-원
20XX-XX-XX. 26일차(일)-명-위-원
20XX-XX-XX. 27일차(월)-명-위-원
20XX-XX-XX. 28일차(화)-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5]

한국에선 2015년 부산국제영화제를 통해 처음 일반 관객에 공개됐고, 이듬해 2월 정식 개봉했지만 의미있는 흥행 기록을 남기진 못했다. 현지에서도 흥행은 그저 그런 편.


7.2. 북미[편집]




7.3. 중국[편집]




7.4. 일본[편집]




7.5. 영국[편집]




7.6. 기타 국가[편집]




8.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흥행은 다소 아쉬웠던 대신, 세계 여러 영화제에서 노미네이트 및 수상을 휩쓸었다. 2015년 칸 영화제 감독상과 음악상 수상과 더불어, 2015년 금마장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비롯해 5관왕, 제10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Asian Film Award)에서 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촬영상 등 무려 8관왕을 달성했다. 허우샤오셴 감독과 오랜 시간 함께 해 온 리판빙 촬영감독은 이번 영화를 통해 각종 영화 시상식에서 촬영상을 싹쓸이했다.

영국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2015년 영화 베스트 1위, 씨네21선정 2016년 올해의 외국영화 1위, BBC 선정 '21세기 위대한 영화 100편' 50위로도 뽑혔다.


9. 기타[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1. 외부 링크[편집]




12.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7:13:14에 나무위키 자객 섭은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부분 1.37 : 1 화면으로 진행되고 중간중간 1.85 : 1 화면비로 전환된다.[2] 이 작품이 허우샤오셴의 첫 액션 영화였다.[3] 서기가 1976년생이라 영화가 만들어질 당시에 40대에 가까워진 상황이었다.[4] 영화 촬영의 대부분이 중국 후베이 성에서 이뤄졌다.[5] ~ 20XX/XX/XX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