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휴 게이츠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존 스미스로버트 할리로버트 벤슨윌리엄 윈덤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리처드 언슬로로버트 월폴제임스 스탠호프존 애이슬래비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존 프래트로버트 월폴새뮤얼 샌디스헨리 펠럼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윌리엄 리헨리 빌슨리그조지 리텔턴헨리 빌슨리그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윌리엄 머리헨리 빌슨리그윌리엄 배링턴프랜시스 데시우드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조지 그렌빌윌리엄 도데스웰찰스 타운젠드프레더릭 노스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존 캐번디시소 윌리엄 피트존 캐번디시소 윌리엄 피트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헨리 애딩턴소 윌리엄 피트에드워드 로헨리 페티피츠모리스
제33대제34대제35대제36대
스펜서 퍼시벌니콜라스 밴시터트F. J. 로빈슨조지 캐닝
제37대제38대제39대제40대
찰스 애버트존 찰스 해리스헨리 골번존 스펜서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토머스 덴먼로버트 필토머스 스프링 라이스프랜시스 베링
제45대제46대제47대제48대
헨리 골번찰스 우드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제49대제50대제51대제52대
조지 콘월 루이스벤저민 디즈레일리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벤저민 디즈레일리
제53대제54대제55대제56대
조지 워드 헌트로버트 로우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스태퍼드 노스코트
제57대제58대제59대제60대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휴 칠더스마이클 힉스 비치윌리엄 하코트
제61대제62대제63대제64대
랜돌프 처칠조지 고셴윌리엄 하코트마이클 힉스 비치
제65대제66대제67대제68대
찰스 리치오스틴 체임벌린허버트 헨리 애스퀴스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제69대제70대제71대제72대
레지널드 맥케나앤드루 보너 로오스틴 체임벌린로버트 혼
제73대제74대제75대제76대
스탠리 볼드윈네빌 체임벌린필립 스노우덴윈스턴 처칠
제77대제78대제79대제80대
필립 스노우덴네빌 체임벌린존 시먼킹슬리 우드
제81대제82대제83대제84대
존 앤더슨휴 달튼스태퍼드 크립스휴 게이츠컬
제85대제86대제87대제88대
랩 벌터해럴드 맥밀런피터 소니크로프트데릭 히스코트어모리
제89대제90대제91대제92대
셀윈 로이드레지널드 모들링제임스 캘러헌로이 젠킨스
제93대제94대제95대제96대
이언 매클라우드앤서니 바버데니스 힐리제프리 하우
제97대제98대제99대제100대
나이젤 로슨존 메이저노먼 라몬트케네스 클라크
제101대제102대제103대제104대
고든 브라운앨리스터 달링조지 오스번필립 해먼드
제105대제106대제107대제108대
사지드 자비드리시 수낙나딤 자하위쿼지 콰텡
제109대
제러미 헌트




[ 펼치기 · 접기 ]

제1대제2대제3대제4대제2대*
키어 하디아서 핸더슨조지 반스램지 맥도널드아서 핸더슨
제5대제6대제4대*제2대**제7대
윌리엄 애덤슨존 클라인즈램지 맥도널드아서 핸더슨조지 랜스베리
제8대임시제9대임시제10대
클레멘트 애틀리허버트 모리슨휴 게이츠컬조지 브라운해럴드 윌슨
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대행
제임스 캘러헌마이클 풋닐 키녹존 스미스마거릿 베케트
제15대제16대대행제17대대행
토니 블레어고든 브라운해리엇 하먼에드 밀리밴드해리엇 하먼
제18대제19대
제러미 코빈키어 스타머
*표시는 대수를 건너뛰어 중임한 횟수를 의미한다.

보수당 대표 · 노동당 대표 · 자유민주당 대표 · 스코틀랜드 국민당 대표



휴 게이츠컬
Hugh Gaitskell[1]
파일:Hugh_Todd_Naylor_Gaitskell.jpg
본명휴 토드 네일러 게이츠컬
Hugh Todd Naylor Gaitskell
출생1906년 4월 9일
잉글랜드 런던 켄싱턴
사망1963년 1월 18일 (향년 56세)
잉글랜드 런던 말리번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가족가족관계
학력옥스퍼드 대학교 뉴 컬리지 (PPE / 학사) (1924년 – 1927년)
직업정치인, 경제학자
종교종교
정당

1. 개요
2. 생애
2.1. 어린 시절
2.2. 내각에서
2.3. 야당 당수로서
2.4. 급작스러운 사망
3. 선거 이력
4. 정치 성향
5.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영국의 정치인, 사회주의 경제학자.[2] 노동당 당수직을 역임하였다.

클레멘트 애틀리가 정계를 은퇴한 이후 1955년 전당대회에서 노동당의 당수로 선출되어, 1963년 사망할때까지 약 8년간 직위를 맡았다.


2. 생애[편집]



2.1. 어린 시절[편집]


1906년 4월 9일 영국 런던 켄싱턴 지역에서 인도 공무원인 아서 게이츠컬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유복한 중산층 집안이었기에 부족함 없는 삶을 살았다. 아버지는 일찍 돌아가셨으며 어머니는 다른 남자와 재혼하여 어린 휴 게이츠컬은 기숙 학교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장성한 이후에는 윈체스터 대학교의 경제학과에 진학했으며 1924년부터는 옥스퍼드 대학교에 다녔다. 그곳에서 게이츠컬은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로 정의내리며 1926년 노동자 파업을 지지하였다. 또한 노동자들을 위해 경제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1930년대 오스트리아에서 유학하던 게이츠컬은 엥겔베르트 돌푸스 정권이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을 탄압하는 것을 목격하고 충격을 받았으며, 이후 무엇보다도 중요한것은 민주주의임을 깨닫고 정통 마르크스주의를 버린 이후 사회민주주의자가 되었다.


2.2. 내각에서[편집]


1935년 그는 채텀 지역구의 노동당 서민원 의원으로 출마하나 낙선한다. 이후 1938년, 국립 경제 사회 연구 연구소의 소장으로 임명되면서 잠시 경제학자로서 일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치러진 1945년 서민원 의원 선거에서 게이츠컬은 리즈 사우스 지역구에 출마해 61%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승리했다.[3]


2.3. 야당 당수로서[편집]



2.4. 급작스러운 사망[편집]


수에즈 사태와 경제사정 악화 등으로 인하여 보수당 심판 여론이 높아지자, 1964년 영국 서민원 의원 선거에서 노동당의 승리가 점쳐지며 차기 총리로 유력하였다. 그러나 선거를 불과 1년 앞두고 독감이 악화되어 급사하였다.[4] 그의 죽음은 영국 정계에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전도유망했던 56세의 장성했던 정치인이 고작 독감에 걸려 숨지자, 영국의 보수 정치인들과 노동당에 반대하던 귀족들은 그 배후에 소련이 있다고 의심했다. 게이츠컬 당수가 1963년 소련에서 니키타 흐루쇼프 서기장을 만난 이후 급작스럽게 독감 증세가 악화되어, 합병증이 발병하여 숨졌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소련이 게이츠컬 당수를 독살하고 소련의 스파이인 해럴드 윌슨을 그 자리에 앉힌 것이 아니냐는 음모론이 나돌았다.

그러나 MI5의 지속적인 조사 끝에 게이츠컬의 사망은 단순한 합병증의 악화로 인한 것일 뿐이며 해럴드 윌슨 혹은 소련 KGB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5] 그의 사후, 게이츠컬의 지역구였던 리즈에서 "휴 게이츠컬 초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78년에는 웨스트 미들랜드의 샌드웰 지역에 있는 공공주택 사업의 이름이 "게이츠컬 공공주택 사업"으로 정해지기도 하였다. 그의 시신은 헴프스테드에 안장되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당락비고
19351935년 영국 총선채텀

13,315 (40.9%)낙선(2위)
19451945년 영국 총선리즈 사우스17,899 (61.03%)당선(1위)초선
19501950년 영국 총선29,795 (61.11%)재선
19511951년 영국 총선30,712 (65.06%)3선
19551955년 영국 총선25,833 (65.15%)4선
19591959년 영국 총선24,442 (58.6%)5선


4. 정치 성향[편집]




5. 대중매체에서[편집]


  • 더 크라운의 시즌 3 1화 "Olding"에서 간접적으로 등장한다. 엘리자베스 2세필립 마운트배튼해럴드 윌슨을 KGB의 스파이로 여기며, 상대적으로 반소파였던 게이츠컬이 암살되었다고 의심하면서 이름이 언급된다. 그러나 후반부에서 영국 정보국장이 직접 "게이츠컬 당수는 합병증이 악화되어 숨진 것일 뿐이다"라고 음모론을 일축한다. 오히려 스파이는 버킹엄 궁전 내부에 있었던 것으로 드러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3:37:55에 나무위키 휴 게이츠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어로는 "휴 게이츠킬" 또는 "휴 게이츠켈"이라고 읽기도 한다.[2] 후임인 해럴드 윌슨도 게이츠컬과 마찬가지로 경제학자, 통계학자였다.[3] 본래 그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경제학 교수직을 제의받았으나, 수학을 잘 하지 못했던 게이츠컬은 수학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한 학문인 경제학을 연구하기보다는 정치인이 되는 것을 더 선호했다.[4] 이로인해 1963년 영국 노동당 지도부 선거가 열린다.[5] KGB에서도 암살할 이유가 없었던 것이, 게이츠컬의 사후, 윌슨이 당수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 이는 드물었다. 실제로 전당대회에서 윌슨은 당초 유력했던 후보들을 극적으로 역전한 끝에 간신히 당수로 선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