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덤프버전 :



FIFA U-20 월드컵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2007™
FIFA U-20 World Cup Canada 2007™
Coupe du Monde de Football des Moins de 20 ans 2007
파일:2007 FIFA U-20 월드컵 캐나다 로고.svg
대회기간 2007년 6월 30일 ~ 2007년 7월 22일
개최국 캐나다
본선 진출팀 24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준우승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3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4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골든 볼 세르히오 아궤로
골든 부츠 세르히오 아궤로
이전·이후 대회
2005년
네덜란드
2007년
캐나다
2009년
이집트
1. 개요
2. 24개국 본선 진출국
3. 경기장
4. 참가팀 정보
5. 조편성
6. 결과
6.1. 조별리그
6.1.1. A조
6.1.2. B조
6.1.3. C조
6.1.4. D조
6.1.5. E조
6.1.6. F조
6.1.7. 조 3위 간 경쟁
6.2. 16강
6.3. 8강
6.4. 4강
6.5. 3, 4위전
6.6. 결승
7.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2007년 FIFA U-20 월드컵은 2007년 6월 30일부터 7월 22일까지 캐나다의 6개 경기장(6개 도시)에서 치러졌다. 또 'FIFA U-20 월드컵'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최초의 대회이기도 하다.

꽤나 많은 첫 참가국이 나온 대회로 이변이 많았던 대회다. 체코가 결승까지 진출했으며 오스트리아, 칠레가 4강, 멕시코가 아르헨티나에게 8강에서 패하기 전까지 4전 전승으로 강력한 모습을 보여줬다. 반면 브라질이 조별리그에서 사상 최초로 2패나 당하면서 조 3위로 힘겹게 16강에 올라갔고 16강에서 스페인을 만나 광탈해버렸다. 콩고 공화국, 감비아, 요르단, 북한 등 국제 축구 무대에서 생소한 국가들이 본선에 많이 진출했으며 호주가 AFC로 옮겨간 틈을 뉴질랜드가 차지하며 OFC 1위로 사상 처음 본선에 진출한 대회기도 하다.

이러한 이변도 아르헨티나만큼은 빗겨갔다. 아르헨티나는 2005년 메시에 이어 2007년 세르히오 아궤로앙헬 디마리아를 앞세워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2005년보다 더 안정적으로 우승했으며, 아르헨티나가 상대팀에게 리드를 허용한건 결승전 선제골을 내주고 동점골을 바로 넣기 전까지의 단 2분 뿐이었다. 결국 1패도 내주지 않고 우승했다.

우리에게는 눈은 즐거웠던 대회로 기억된다.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이 훌륭한 티키타카 축구를 구사하며 경기력 측면에서 매우 높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이다. 브라질, 폴란드, 미국과의 또 다시 어려운 대진을 받아들었지만 이 세 경기에서 모두 속칭 아름다운 축구를 구사해 2무 1패로 탈락한 것과는 별개로 축구팬들의 박수를 받았다. 또한 당시 대표팀은 처음으로 프로팀 소속 선수가 학원 축구 소속 선수보다 많은 선수 구성의 대표팀이었고, 이 때문에 축구계에 선수들의 조기 프로 진출을 더 원활하게 해야 한다는 아젠다가 떠오르기도 했다. 대표팀 선수들의 면면도 화려해서 기성용, 박주호, 이청용, 김진현 등 향후 대표팀 주축이 되는 선수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고, 최철순, 신광훈, 조수혁 같이 현재까지도 K리그 팀에서 활약하는 베테랑 선수들도 많았다. 이 대회는 2023년 현재까지 중 마지막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대회로 남아있다. 이후 단 한 번의 지역예선 탈락을 제외하면 모든 대회에서 조별리그를 통과했다.

또한 북한은 이 대회에서 사상 처음으로 단독으로 본선에 출전했다. 박남철, 김금일, 전광익, 리준일 등 3년 뒤 2010 남아공 월드컵 본선진출의 주역들이 대거 이 대회에서 배출되었고, 실제 아시아 대회에서도 우승을 하면서 올라온 상태라 이변을 예측하는 시선들이 꽤 있었다. 하지만 조 편성이 최악이었는데 대회 우승팀 아르헨티나, 준우승팀 체코(...)와 같이 한 조에 묶여 잘 해봐야 3위 간 경쟁을 노려야 하는 상황이었다. 거기에 첫 경기에서 반드시 잡았어야 하는 파나마와 0-0으로 비겨버리며 16강은 요원해졌고, 체코와 2-2 예상밖의 선전으로 무승부를 거뒀지만 조 3위간 승점에서 밀리며 16강행이 좌절되었다.


2. 24개국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2006 UEFA U-19 챔피언십
폴란드[1]
우승6장12회2005우승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준우승3회19878강
파일:체코 국기.svg체코3위5회[2]20038강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4위3회1983조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5위7회1999우승[2회]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6위4회19833위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007 OFC U-20 챔피언십
뉴질랜드
우승1장첫 진출--
아프리카
(CAF)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콩고공화국2007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
콩고공화국
우승4장첫 진출--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준우승7회2005준우승
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3위첫 진출--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4위2회1999조별
아시아
(AFC)
파일:북한 국기.svg북한2006 AFC 유스 챔피언십
인도
우승4장첫 진출--
파일:일본 국기.svg일본준우승8회2005준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위10회20054위
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4위첫 진출--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007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
파라과이
우승4장15회2005우승[4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준우승11회2005우승[5회]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3위9회1999준우승
파일:칠레 국기.svg칠레4위5회20054위
북중미
(CONCACAF)
파일:미국 국기.svg미국2007 CONCACAF U-20 토너먼트
캐나다[3]
1위4장11회20054위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위11회2003준우승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3위6회200116강
파일:파나마 국기.svg파나마4위3회2005조별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개최국[4]1장8회20058강

3. 경기장[편집]



4. 참가팀 정보[편집]



5. 조편성[편집]



6. 결과[편집]



6.1. 조별리그[편집]



6.1.1. A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칠레321060+67
오스트리아312021+15
콩고 공화국311134-14
캐나다300306-60

7월 1일캐나다 0 : 3 칠레
7월 2일콩고 공화국 1 : 1 오스트리아
7월 5일오스트리아 1 : 0 캐나다
7월 5일칠레 3 : 0 콩고 공화국
7월 8일캐나다 0 : 2 콩고 공화국
7월 8일칠레 0 : 0 오스트리아


6.1.2. B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스페인321085+37
잠비아311143+14
우루과이311134-14
요르단301236-31

7월 1일요르단 1 : 1 잠비아
7월 1일스페인 2 : 2 우루과이
7월 4일우루과이 1 : 0 요르단
7월 4일잠비아 1 : 2 스페인
7월 7일스페인 4 : 2 요르단
7월 7일우루과이 0 : 2 잠비아


6.1.3. C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멕시코330072+59
감비아320134-16
포르투갈31024403
뉴질랜드300315-40

7월 2일포르투갈 2 : 0 뉴질랜드
7월 2일감비아 0 : 3 멕시코
7월 5일뉴질랜드 0 : 1 감비아
7월 5일멕시코 2 : 1 포르투갈
7월 8일포르투갈 1 : 2 감비아
7월 8일뉴질랜드 1 : 2 멕시코


6.1.4. D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미국321093+67
폴란드311137-44
브라질310245-13
대한민국302145-12

6월 30일폴란드 1 : 0 브라질
6월 30일대한민국 1 : 1 미국
7월 3일미국 6 : 1 폴란드
7월 3일브라질 3 : 2 대한민국
7월 6일브라질 1 : 2 미국
7월 6일폴란드 1 : 1 대한민국







6.1.5. E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아르헨티나321070+77
체코312043+15
북한302123-12
파나마301218-71

6월 30일북한 0 : 0 파나마
6월 30일아르헨티나 0 : 0 체코
7월 3일체코 2 : 2 북한
7월 3일파나마 0 : 6 아르헨티나
7월 6일체코 2 : 1 파나마
7월 6일아르헨티나 1 : 0 북한


6.1.6. F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일본321041+37
나이지리아321030+37
코스타리카310223-13
스코틀랜드300327-50

7월 1일일본 3 : 1 스코틀랜드
7월 1일나이지리아 1 : 0 코스타리카
7월 4일코스타리카 0 : 1 일본
7월 4일스코틀랜드 0 : 2 나이지리아
7월 7일일본 0 : 0 나이지리아
7월 7일스코틀랜드 1 : 2 코스타리카


6.1.7. 조 3위 간 경쟁[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결과
우루과이311134-1416강 진출
콩고 공화국311134-1416강 진출
포르투갈3102440316강 진출
브라질310245-1316강 진출
코스타리카310223-13조별리그 탈락
북한302123-12조별리그 탈락


6.2. 16강[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7월 11일오스트리아2:1감비아
7월 11일미국2:1 (연장전)우루과이
7월 11일스페인4:2 (연장전)브라질
7월 11일일본2:2 (승부차기 3:4)체코
7월 12일잠비아1:2나이지리아
7월 12일아르헨티나3:1폴란드
7월 12일멕시코3:0콩고 공화국
7월 12일칠레1:0포르투갈


6.3. 8강[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7월 14일오스트리아2:1 (연장전)미국
7월 14일스페인1:1 (승부차기 3:4)체코
7월 15일칠레4:0 (연장전)나이지리아
7월 15일아르헨티나1:0멕시코


6.4. 4강[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7월 18일오스트리아0:2체코
7월 19일칠레0:3아르헨티나


6.5. 3, 4위전[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7월 22일오스트리아0:1칠레


6.6. 결승[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7월 22일체코1:2아르헨티나


7. 최종 순위[편집]


2007 FIFA U-20 월드컵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여섯 번째 우승
  • 아르헨티나가 6번째 우승을 기록하며 대회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를 끝으로 지금까지 아르헨티나는 FIFA U-20 월드컵 우승컵과 도통 인연이 없으며, 거기에 조별리그 탈락과 지역예선 탈락을 밥먹듯이 반복하는 침체기를 맞이했다. 그래도 FIFA U-20 월드컵 최다 우승팀의 지위는 여전히 유지 중이다.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7610162+1419우승
2파일:체코 국기.svg 체코7241107+310준우승
3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7511123+9163위
4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7322660114위
5파일:칠레 국기.svg 칠레5401103+7128강
6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5320138+5118강
7파일:미국 국기.svg 미국5311126+6108강
8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532061+5118강
9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22063+3816강
10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420246-2616강
11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4112550416강
1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411256-1416강
13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공화국411237-4416강
14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4112410-6416강
15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410345-1316강
16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410369-3316강
17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310223-131라운드
1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02145-121라운드
19파일:북한 국기.svg 북한302123-121라운드
20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301236-311라운드
21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301218-711라운드
22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300315-401라운드
23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300327-501라운드
24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00306-601라운드



[1] 대회 기준으로 19세, 즉 본선 대회에 20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2] A B 체코 분리 후로는 3회[4회] [5회] [3] 이 대회는 따로 우승국을 가리지 않고 4장의 진출권 주인만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순위는 조별리그 성적으로 임의로 매겨진 것이다.[4] 북중미 대회에서는 예선라운드 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