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3 FIFA U-20 월드컵 튀르키예

덤프버전 :



FIFA U-20 월드컵
FIFA U-20 월드컵 튀르키예 2013™
FIFA U-20 World Cup Turkey 2013™
파일:2013 FIFA U-20 월드컵 터키 로고.svg
대회기간 2013년 6월 21일 ~ 2013년 7월 13일
개최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본선 진출팀 24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준우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3위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4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골든 볼 폴 포그바
골든 부츠 에베네제르 아시푸르
이전·이후 대회
2011년
콜롬비아
2013년
튀르키예
2015년
뉴질랜드

1. 개요
2. 본선 진출국
3. 개최지
4. 조편성
5. 참가팀 정보
6. 조별리그[24강]
6.1. A조
6.2. B조
6.3. C조
6.4. D조
6.5. E조
6.6. F조
6.7. 조 3위 간 경쟁
7. 16강
8. 8강
9. 준결승
10. 3, 4위전
11. 결승
12. 최종 성적



1. 개요[편집]




2013년 FIFA U-20 월드컵튀르키예의 7개 경기장(7개 도시)에서 치러졌다.

프랑스가 사상 첫 우승을 거뒀다. 이 대회에서 폴 포그바가 골든볼을 수상하며 세계 최고 유망주로써 완벽하게 검증을 마쳤고, 알퐁스 아레올라, 퀴르트 주마, 사뮈엘 움티티, 루카 디뉴 등 향후 프랑스 대표팀의 주전급으로 성장하는 선수들이 이 대회에서 활약했다. 이로써 프랑스는 FIFA 주관 남자 축구 대회 5개를 모두 제패해본 첫 번째 국가가 되었다.[1][2]

또한 우루과이도 호세 히메네스, 디에고 락살트 등으로 짜여진 수비진을 바탕으로 1997년 대회 이후 16년만에 결승에 올라 선전했다. 사상 최초로 아르헨티나와 브라질 두 강자가 나란히 본선 진출에 실패한 이번 대회에서 남미 국가로는 유일하게 8강에 올라 스페인과 이라크를 누르고 결승전에 진출해 남미의 자존심을 세웠다.

아시아 팀이 상당히 선전한 대회이기도 하다. 중동의 이라크가 대회 4강에 오르며 놀라운 성과를 거뒀고, 대한민국, 우즈베키스탄이 8강에 오르는 등 아시아 팀이 세 팀이나 8강에 올라간 대회였다. 특히 이라크와 대한민국은 8강전에서 맞붙어 명 경기를 만들어냈다.[3] 대한민국 입장으로써는 이라크를 1년 전 아시아 대회 결승에서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었기 때문에 아쉬움이 더했고, 1983년 이후 30년만에 다시 한번 대회 4강 진출을 이룰 찬스를 놓쳤다.

하지만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원래의 에이스 문창진의 부상으로 인한 명단제외, 그리고 권창훈이 부상 직후로 폼이 올라오지 못한 상황에서 새로운 유망주 류승우가 등장한 것이 최대 소득이었다. 류승우는 조별리그 1차전 쿠바전 결승골과 2차전 포르투갈전 원더골로 일약 유럽 클럽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끌어모았고, 도르트문트, 레알 마드리드 등이 그를 노린다는 기사까지 나올만큼 엄청난 관심이었다. 결국 대회 이후 류승우는 K리그 제주 유나이티드에 입단 후 완전이적 조건을 포함한 임대 형식으로 독일의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진출한다.


2.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2012 UEFA U-19
챔피언십 에스토니아[4]
우승6장15회2011우승
파일:그리스 국기.svg그리스준우승첫 진출--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3위5회20114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4위10회20113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5위9회2011우승[2회]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로아티아6위3회201116강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개최국[5]1장3회200516강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013 OFC U-20
챔피언십 피지
우승1장3회2011조별
아프리카
(CAF)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2013 아프리카 U-20
챔피언십 알제리
우승4장8회20113위
파일:가나 국기.svg가나준우승6회2009우승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위10회2011준우승
파일:말리 국기.svg말리4위5회20113위
아시아
(AF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012 AFC U-19
챔피언십 아랍에미리트
우승4장13회20114위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준우승4회20018강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3위3회2009조별
파일:호주 국기.svg호주4위15회20114위
남미
(CONMEBOL)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2013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 아르헨티나
우승4장8회20113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준우승9회20094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3위12회2011준우승
파일:칠레 국기.svg칠레4위6회20074위
북중미
(CONCACAF)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013 CONCACAF U-20
챔피언십 멕시코
우승4장13회2011준우승
파일:미국 국기.svg미국준우승13회20094위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3위첫 진출--
파일:쿠바 국기.svg쿠바4위첫 진출--


3. 개최지[편집]


이스탄불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부르사아타투르크 스타디움
안탈리아아크데니즈 대학 스타디움
트라브존후세인 아브니 아케르 스타디움
가지안테프카밀 오카크 스타디움
카이세리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리제예니 세히르 스타디움


4. 조편성[편집]


1번 시드2번 시드3번 시드4번 시드
A조스페인가나미국프랑스
B조대한민국나이지리아쿠바포르투갈
C조콜롬비아호주엘살바도르터키
D조멕시코말리파라과이그리스
E조이집트이라크칠레잉글랜드
F조뉴질랜드우즈베키스탄우루과이크로아티아

이전 대회와 달리 톱시드 배정을 전력 차이를 고려한 우승후보급 팀이 아니라, 각 대륙 예선을 1위로 통과한 팀에게 톱시드를 부여했다. 그에 따라 대한민국 대표팀이 톱시드를 부여받은 대회이다.

또 이 대회는 전통의 강호인 아르헨티나브라질이 남미 지역예선에서 동반 탈락한 대회이다.


5. 참가팀 정보[편집]




6. 조별리그[24강][편집]


  • 유럽과 남미를 뺀 유일한 아프리카 나라로 2009년 대회를 우승한 가나는 일찌감치 2패를 당해 16강 직행은 좌절됐다. 다만 마지막 상대인 미국을 크게 이겨 조 3위에 오르면서 16강에 올라가더니만 아프리카 나라에서 유일하게 4강에 진출했으나 프랑스에게 1-2로 패해 결승은 좌절됐다. 2011년 대회에서도 한국은 1승 2패를 거두고도 올라갔다.다만 다른 조 3위가 1승 1무 1패를 거두는 경우가 많거나 골득실에 앞서면 탈락한다. 2001년 대회에서 1승 2패로 3위를 거둔 이라크가 이런 점에서 밀려서 탈락한 경우. 그 이라크는 2013년 대회에선 2승 1무, 조 1위로 쉽게(?) 16강에 올라갔다.

  • 한국도 조 3위로 16강에 진출하게 되었다. E, F조 경기와 상관없이 다른 3위팀들이 모두 1승 2패이기 때문에 1승 1무 1패를 거둔 한국이 3위에게 주어지는 16강 한자리를 일찌감치 확보했기 때문이다.


6.1. A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스페인330072+59
프랑스311154+14
가나31025503
미국301239-61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1프랑스3:1가나
6/21미국1:4스페인
6/24프랑스1:1미국
6/24스페인1:0가나
6/27스페인2:1프랑스
6/27가나4:1미국


6.2. B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포르투갈3210104+67
나이지리아320163+36
대한민국31114404
쿠바3003110-90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1쿠바1:2대한민국
6/21나이지리아2:3포르투갈
6/24쿠바0:3나이지리아
6/24포르투갈2:2대한민국
6/27대한민국0:1나이지리아
6/27포르투갈5:0쿠바


6.3. C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콜롬비아321051+47
터키320152+36
엘살바도르310227-53
호주301235-21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2콜롬비아1:1호주
6/22터키3:0엘살바도르
6/25호주1:2엘살바도르
6/25터키0:1콜롬비아
6/28호주1:2터키
6/28엘살바도르0:3콜롬비아


6.4. D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그리스312032+15
파라과이312032+15
멕시코310254+13
말리302125-32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2멕시코1:2그리스
6/22파라과이1:1말리
6/25멕시코0:1파라과이
6/25말리0:0그리스
6/28그리스1:1파라과이
6/28말리1:4멕시코
  • 그리스와 파라과이는 승점, 골득실, 다득점, 상대전적까지 모두 동률이 되었다. 페어플레이 점수를 따지지 않는 이번 대회 규칙상, 두 팀의 순위를 가리기 위해 동전 던지기 방식이 적용되었고, 결과에 따라 그리스가 1위, 파라과이가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6.5. E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이라크321064+27
칠레31114404
이집트31024403
잉글랜드302135-22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3칠레2:1이집트
6/23잉글랜드2:2이라크
6/26칠레1:1잉글랜드
6/26이라크2:1이집트
6/29이라크2:1칠레
6/29이집트2:0잉글랜드


6.6. F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크로아티아321042+27
우루과이320161+56
우즈베키스탄311145-14
뉴질랜드300317-60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6/23뉴질랜드0:3우즈베키스탄
6/23우루과이0:1크로아티아
6/26뉴질랜드0:2우루과이
6/26크로아티아1:1우즈베키스탄
6/29우즈베키스탄0:4우루과이
6/29크로아티아2:1뉴질랜드


6.7. 조 3위 간 경쟁[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결과
대한민국3111440416강 진출
우즈베키스탄311145-1416강 진출
멕시코310254+1316강 진출
가나3102550316강 진출
이집트31024403조별리그 탈락
엘살바도르310227-53조별리그 탈락


7. 16강[편집]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7/2스페인2:1멕시코
7/2그리스1:3우즈베키스탄
7/2나이지리아1:2우루과이
7/2프랑스4:1터키
7/3포르투갈2:3가나
7/3크로아티아0:2칠레
7/3콜롬비아1:1 (승부차기 7:8)대한민국
7/3이라크0:0 (연장 1:0)파라과이

  • 대회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 국가들이 3팀이나 8강에 오르는 이변을 낳았다. 우즈베키스탄은 그리스를 3:1, 이라크는 파라과이를 1:0, 한국은 콜롬비아를 승부차기에서 8:7로 이겼다.


8. 8강[편집]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7/6프랑스4:0우즈베키스탄
7/6우루과이0:0 (연장 1:0)스페인
7/7이라크3:3 (승부차기 5:4)대한민국
7/7가나2:2 (연장 4:3)칠레

  • 한국과 이라크의 8강전이 벌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3:3으로 승부차기 끝에 3번째 이라크전 대결은 한국이 승부차기 끝에 4:5로 울어야 했다. 그런데 경기가 끝난 뒤 이라크 선수들이 나이를 속였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2021년에 가서야, 이 대회에 참가한 바 있는 이라크 선수단이 여권에 실수로 실제 나이를 기재하며 출전이 정지되어 나이를 속였음이 사실로 밝혀졌다.


9. 준결승[편집]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7/10프랑스2:1가나
7/10이라크1:1 (승부차기 6:7)우루과이

  • 한국을 이기고 처음으로 이 대회 4강에 올라간 이라크는 4강전인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 종료 몇 분을 남겨두고 동점골을 허용했고, 승부차기까지 가서 6:7로 패하고 만다.


10. 3, 4위전[편집]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7/13가나3:0이라크


11. 결승[편집]


경기홈팀경기결과원정팀
7/13프랑스0:0 (승부차기 4:1)우루과이

  • 이라크를 승부차기로 이기고 처음으로 U-20 월드컵 결승에 올라간 우루과이도 결국 결승에서 프랑스에게 승부차기로 4:1로 패하면서 준우승으로 만족해야 했다.
  • 프랑스가 최초로 우승을 차지했다.


12. 최종 성적[편집]



2013 FIFA U-20 월드컵 우승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첫 번째 우승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7421156+914우승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7421103+714준우승
3파일:가나 국기.svg 가나74031612+4123위
4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733111110124위
5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540194+5128강
6파일:칠레 국기.svg 칠레521298+178강
7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5212710-378강
8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513188068강
9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422062+4816강
10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4211127+5716강
11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4211440716강
12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20275+2616강
13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4202660616강
14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4121330516강
15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412145-1516강
16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4103660316강
17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10244031라운드
18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310227-531라운드
19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302135-221라운드
20파일:말리 국기.svg 말리302125-321라운드
21파일:호주 국기.svg 호주301235-211라운드
22파일:미국 국기.svg 미국301239-611라운드
23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300317-601라운드
24파일:쿠바 국기.svg 쿠바3003110-901라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03:55:43에 나무위키 2013 FIFA U-20 월드컵 튀르키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4강] A B [1] FIFA 월드컵 - 1998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2001년, 2003년
올림픽 축구 - 1984년
FIFA U-20 월드컵 - 2013년
FIFA U-17 월드컵 - 2001년
[2] A B 이 중 올림픽 축구는 FIFA와 IOC의 공동 주관 대회다.[3] 전후반 2-2로 우열을 가리지 못했고 연장 막판 이라크가 골을 넣으며 승리를 거두나 싶던 순간에 대한민국의 정현철이 버저비터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차기까지 승부를 끌고 갔다. 결국 승부차기에서 5-4로 이라크가 승리하며 사상 첫 4강 진출에 성공했다.[4] 대회 기준으로 19세, 즉 본선 대회에 20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5] 유럽 대회에서는 예선라운드 탈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