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95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카타르

덤프버전 :



FIFA U-20 월드컵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카타르 1995™
FIFA/Coca-Cola World Youth Championship Qatar 1995™
1995 بطولة العالم للشباب تحت 20 سنة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95_FIFA_World_Youth_Championship.png
대회기간 1995년 4월 13일 ~ 1995년 4월 28일
개최국 카타르
본선 진출팀 16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준우승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3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4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골든 볼 카이우 히베이루
골든 부츠 호세바 에체베리아
이전·이후 대회
1993년
호주
1995년
카타르
1997년
말레이시아

1. 개요
2. 본선 진출국
3. 조 편성
4. 참가팀 정보
5. 경기 결과
5.1. 조별 리그
5.1.1. A조
5.1.2. B조
5.1.3. C조
5.1.4. D조
5.2. 8강
5.3. 4강
5.4. 3,4위전
5.5. 결승
6. 최종 순위



1. 개요[편집]


199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95년 4월 13일 부터 4월 28일까지 카타르에서 치러졌다.

원래 나이지리아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나이지리아에 급성 뇌수막염이 유행하는 바람에 나이지리아 정부측에서 대회 개최를 포기했고, FIFA가 대체 개최국으로 카타르를 선정하게 되었다. 16개국 진출 체제로 치러지는 마지막 대회다.

모든 경기가 수도인 도하에서만 치러졌고, 경기장도 3개만 사용하는 대회였다. 이동거리가 매우 짧은 대회로 기록되었다.

유럽의 티켓이 1장 줄어든 대신 개최국에게 대륙별 티켓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고유의 1장의 티켓이 부여되었다. 기존에는 개최국이 소속 대륙 연맹의 티켓 1장을 잠식하는 방식이었지만, 이 대회부터 개최국은 소속 대륙 연맹의 티켓과는 별도로 1장의 티켓을 받는다. 따라서 아시아, 아프리카, 북중미는 2장, 남미는 3장, 오세아니아 1장, 유럽 5장에 개최국 1장으로 티켓 배분이 재조정되었다. 자연스럽게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완전 폐지되었다. 차기 대회부터 본선 24개국으로 진출국이 늘어나서도 이 원칙 자체는 바뀌지 않고 현재까지 계속 유지되고 있다.

또한 지금의 기준에서는 매우 이상한 조 편성이 등장한 대회인데, 카타르가 개최국으로써 자동적으로 A조에 배정된 뒤 A조에 같은 아시아 국가인 시리아가 배정되어 브라질, 러시아와 함께 A조에서 경기를 치뤘다. 카타르를 개최국으로만 따로 분류하고 대륙 안배 원칙에서 제외한 다소 특이한 원칙이 사용된 대회다. 이 대회 이후 약 28년동안 FIFA 주관 대회에서 유사한 사례가 등장하지 않다가 2023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이러한 경우가 다시 발생하게 된다.

본선 진출 팀은 16개 팀이며,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개최국이다.


2. 본선 진출국[편집]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유럽
(UEF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1994 UEFA U-18 챔피언십
스페인[1]
우승5장5회1993우승[2회]
파일:독일 국기.svg독일준우승4회[2]1993우승
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3위7회1991준우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4위2회19838강
파일:러시아 국기.svg러시아5위8회[3]1993우승
오세아니아
(OFC)
파일:호주 국기.svg호주1994 OFC U-20 챔피언십
피지
우승1장7회19934위
아프리카
(CAF)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1995 아프리카 유스 챔피언십
나이지리아
우승2장3회1993조별
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준우승첫 진출--
아시아
(AFC)
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1994 AFC 유스 챔피언십
인도네시아
우승2장3회19918강
파일:일본 국기.svg일본준우승2회1979조별
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개최국1장2회1981준우승
남미
(CONMEBOL)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1994 남아메리카 U-20 챔피언십
볼리비아
우승3장9회1993우승[3회]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준우승5회1991우승
파일:칠레 국기.svg칠레3위2회19874위
북중미
(CONCACAF)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1994 CONCACAF U-20 토너먼트
온두라스
우승2장2회1977조별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준우승2회1989조별

3. 조 편성[편집]



4. 참가팀 정보[편집]



5. 경기 결과[편집]




5.1. 조별 리그[편집]




5.1.1. A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브라질321080+87
러시아312031+25
시리아310218-73
카타르301214-31

4월 13일카타르 1 : 1 러시아
4월 14일시리아 0 : 6 브라질
4월 16일카타르 0 : 1 시리아
4월 17일러시아 0 : 0 브라질
4월 19일카타르 0 : 2 브라질
4월 19일러시아 2 : 0 시리아


5.1.2. B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스페인3300135+89
일본311154+14
칠레302169-32
부룬디301228-61

4월 13일부룬디 1 : 5 스페인
4월 14일칠레 2 : 2 일본
4월 16일부룬디 1 : 1 칠레
4월 17일스페인 2 : 1 일본
4월 19일부룬디 0 : 2 일본
4월 19일스페인 6 : 3 칠레


5.1.3. C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포르투갈330072+59
아르헨티나320153+26
네덜란드310275+23
온두라스3003514-90

4월 13일네덜란드 0 : 1 아르헨티나
4월 14일온두라스 2 : 3 포르투갈
4월 16일네덜란드 7 : 1 온두라스
4월 17일아르헨티나 0 : 1 포르투갈
4월 20일네덜란드 0 : 3 포르투갈
4월 20일아르헨티나 4 : 2 온두라스

  • 네덜란드와 온두라스 전에서는 80분 경에 온두라스 선수들이 6명을 남기고 모두 경기를 팽개치고 숙소로 가버리자 경기는 그대로 종료되고 네덜란드의 몰수승으로 처리되었다. 물론 점수는 3-0보다 더 큰 점수차이기 때문에 그대로 유지된 것으로 인정했다.


5.1.4. D조[편집]


경기수득실차승점
카메룬321074+37
호주311154+14
코스타리카310236-33
독일302134-12

4월 13일호주 2 : 0 코스타리카
4월 14일카메룬 1 : 1 독일
4월 16일호주 2 : 3 카메룬
4월 17일코스타리카 1 : 1 독일
4월 20일호주 1 : 1 독일
4월 20일코스타리카 1 : 3 카메룬


5.2. 8강[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4월 23일브라질2:1일본
4월 23일스페인4:1러시아
4월 23일포르투갈1:0 (연장전)호주
4월 23일카메룬0:2아르헨티나


5.3. 4강[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4월 25일브라질1:0포르투갈
4월 25일스페인0:3아르헨티나


5.4. 3,4위전[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4월 28일포르투갈3:2스페인


5.5. 결승[편집]


날짜홈팀경기결과원정팀
4월 28일브라질0:2아르헨티나


6. 최종 순위[편집]


1995 FIFA U-20 월드컵 우승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두번째 우승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6501123+915우승
2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6411113+813준우승
3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6501126+6153위
4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64021912+7124위
5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421176+178강
6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412145-158강
7파일:호주 국기.svg 호주411266048강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411266048강
9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310275+231라운드
10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310236-331라운드
11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310218-731라운드
12파일:독일 국기.svg 독일302134-121라운드
13파일:칠레 국기.svg 칠레302169-321라운드
14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301214-311라운드
15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301228-611라운드
16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온두라스3003514-901라운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2:14:18에 나무위키 1995 FIFA 월드 유스 챔피언십 카타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대회 기준으로 18세, 즉 본선 대회에 19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2회] [2] 독일 통일 이후 2회[3] A B 러시아 단독기준 2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