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U-20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김은중호/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문서
김은중호/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번 문단을
김은중호/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 경기
에콰도르전 (16강전) · 나이지리아전 (8강전) · 이탈리아전 (준결승전) · 이스라엘전 (3위 결정전)




2023 FIFA 아르헨티나 U-20 월드컵
FIFA U-20 World Cup Argentina 2023™
Copa Mundial de Fútbol Sub-20 de 2023
파일: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로고.svg
대회 기간
2023년 5월 20일 ~ 2023년 6월 11일[1]
개최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3]
본선 진출팀
24개국
대회 결과
우승
우루과이
(1번째 우승)
파일:우루과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준우승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3위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4위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수상
골든볼
ta-hash-start=w-268c6a071cd67a53d7b1b21ce595c64c[[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사레 카사데이
골든부트
ta-hash-start=w-268c6a071cd67a53d7b1b21ce595c64c[[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사레 카사데이
골든글러브
ta-hash-start=w-268c6a071cd67a53d7b1b21ce595c64c[[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세바스티아노 데스플란체
이전·이후 대회
2019년
폴란드
2023년
아르헨티나
2025년
칠레

1. 개요
2. 상세
3. 공식 주제가
6. 본선 진출 팀
8. 경기장
9. 대회 일정
10. 심판진
11. 공식 후원
11.1. FIFA 공식 파트너
11.2. 내셔널 서포터
12. 중계 방송
13.1. 편성 결과
14. 조별 리그[24강]
14.1. 조 3위간 성적 순위
14.2. FIFA 규정 대진표
15. 결선 토너먼트
15.1. 16강
15.2. 준준결승
15.3. 준결승
15.4. 3위 결정전
15.5. 결승
16. 우승
17. 순위표
18. 수상
20. 여담



1. 개요[편집]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인트로

2023년 5월 20일부터 6월 11일까지 개최된 23번째 FIFA U-20 월드컵.


2. 상세[편집]


코로나19 범유행 여파로 인하여 2021년 인도네시아 대회가 취소되고, 대신 그 다음 대회(이 대회)를 인도네시아가 개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유럽 지역예선을 통과해 본선 진출권을 확보한 팀 가운데 이스라엘이 포함되자[4], 인도네시아에서 이스라엘 대표팀의 입국을 불허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그 결과 2023년 3월 30일 FIFA에서 공식적으로 인도네시아의 개최권을 박탈하고, 새 유치 국가를 선정하기로 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5] 이후 4월 18일(한국시각)에 최종적으로 아르헨티나가 개최국으로 다시 선정되었다. 이로써 2001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개최 이후 22년만에 아르헨티나에서 U-20 월드컵이 다시 열리게 되었다. 그 이스라엘이 이 대회에서 펼친 활약을 생각하면 묘한 일.

지난 대회 우승국이었던 우크라이나2022 UEFA U-19 챔피언십에서 탈락함에 따라 이 대회 본선 진출에 실패하면서 타이틀 방어 기회를 일찌감치 놓쳐버렸다. 이로써 디펜딩 챔피언 징크스는 7회째 이어지게 되었다.

2003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부터 출전이 가능하다.


3. 공식 주제가[편집]



Glorious - Official Song of the FIFA U-20 World Cup Argentina 2023™

Glorious - 공식 뮤직 비디오

인도네시아 개최 예정 당시 준비된 음악이 아르헨티나로 개최지가 변경된 후에도 그대로 공식 주제가로 사용되었다.


4. 유치 과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유치 과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지역 예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 예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본선 진출 팀[편집]


지역 예선을 통과한 본선 진출 팀은 23개 팀이며, 개최국을 합해 24개국이 본선에 진출했다. 본선 진출 팀은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개최국이다.
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UEF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2022 UEFA U-19
챔피언십 슬로바키아
[6]
우승5장12회2017우승[EN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준우승1회첫 진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3위8회2019우승[FR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4위8회20193위[ITA]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5위[7]2회200316강[SVK]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OFC)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2022 OFC U-19
챔피언십 타히티
우승2장7회201916강[NZL]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준우승2회2015조별[FIJ]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CAF)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2023 아프리카 U-20
네이션스컵 이집트
우승4장4회20194위[SEN]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준우승2회200716강[GAM]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3위13회2019준우승[NGA]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4위3회1985조별[TUN]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AFC)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2023 AFC U-20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우승4장5회20158강[UZB]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준우승5회20134위[IRQ]
대한민국4강16회2019준우승[KOR]
일본4강11회2019준우승[JPN]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CONMEBOL)
브라질2023 남미 U-20
챔피언십 콜롬비아
우승4장19회2015우승[BRA]
우루과이준우승16회2019준우승[URU]
콜롬비아3위11회20193위[COL]
에콰도르4위5회20193위[ECU]
아르헨티나개최국[8]1장17회2019우승[ARG]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
(CONCACAF)
미국2022 CONCACAF U-20
챔피언십 온두라스
우승4장17회20194위[USA]
도미니카공화국준우승1회첫 진출
온두라스4강9회2019조별[HON]
과테말라4강2회201116강[GUA]

7. 참가팀 정보[편집]





8. 경기장[편집]




9. 대회 일정[편집]


대회 일정

10. 심판진[편집]


심판진 명단


11. 공식 후원[편집]



11.1. FIFA 공식 파트너[편집]



11.2. 내셔널 서포터[편집]


내셔널 서포터는 대회의 개최국 로컬(local, 지역 한정) 스폰서를 의미하며, 해당 대회에 한해 마케팅 권리를 보유한다.

12. 중계 방송[편집]



  • 대한민국 경기는 지상파 3사가 생중계하며, 개막전과 일본의 경기 등이 케이블 방송을 통해 중계되었다. 온라인 중계권은 직전 대회에 이어 아프리카TV가 중계권을 확보했다. 새벽 6시에 중계할 경우 MBC와 SBS는 아침뉴스인 MBC 뉴스투데이, SBS 모닝와이드는 8시 전후로 옮겨서 30분간만 방송하게 된다.
  • 개최지가 대회 직전에 인도네시아에서 아르헨티나로 이전된 까닭에, 대한민국 시각으로 대부분의 경기가 새벽과 아침에 열리게 되어 시청률이 매우 저조했다.
  • TV 중계진은 2022 월드컵 카타르 당시와 유사하며 지상파에서만 대한민국 경기를 중계하는 한편 나머지 경기는 케이블 채널로 넘기는 방식도 카타르 월드컵 때와 동일하다. 지상파 중계진은 카타르 월드컵에서 시청률 1위를 수성했던 김성주의 MBC를 제외하고는 SBS의 김윤상, KBS의 남현종 등 카타르 월드컵 당시의 2진 중계진을 전면에 내세워 분위기 전환을 꾀했다.
  • KBS와 MBC의 오프닝 타이틀은 FIFA에서 제작한 오프닝을 사용하지만 SBS는 종전 U-20 월드컵처럼 일반 SBS 스포츠 타이틀을 쓰고 광고 후 FIFA 제작 오프닝을 사용한다.
  • 스코어보드 자막 디자인은 기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의 양식을 적용하여 아르헨티나 상징색에 맞게 그러데이션을 적용하였다. 카타르 월드컵 당시에는 MBC, SBS가 시간 표시를 우측에 두었지만 아르헨티나 U-20 월드컵은 FIFA 양식에 맞게 좌측으로 두었다.[9]

  • 중계진
    • KBS 2TV: 캐스터: 남현종, 김종현 / 해설: 이영표
    • MBC: 캐스터: 김성주, 김나진 / 해설: 안정환, 서형욱
    • SBS: 캐스터: 김윤상 / 해설: 장지현, 현영민
    • SBS Sports[A]: 캐스터: 이재형[SBS], 조민호 / 해설: 이황재[SBS], 김동완, 이주현
    • MBC SPORTS+: 캐스터: 신승대, 손우주 / 해설: 이상윤
    • KBS N SPORTS: 캐스터: 김기웅, 신승준, 강준형 / 해설: 박찬하[KBS2]

13. 조 추첨[편집]




13.1. 편성 결과[편집]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F조에 배정되었으며, 순서대로 프랑스온두라스, 감비아를 상대하게 되었다.

14. 조별 리그[24강][편집]




1위
(진출)
2위
(진출)
3위
(상위 4팀 진출)
4위
(탈락)
A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3승 / 9점)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승 1무 1패 / 4점)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1승 1무 1패 / 4점)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3패 / 0점)
B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3승 / 9점)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2승 1패 / 6점)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승 2패 / 3점)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패 / 0점)
C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2승 1무 / 7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1승 1무 1패 / 4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1승 2패 / 3점)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2무 1패 / 2점)
D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2승 1패 / 6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승 1패 / 6점)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2승 1패 / 6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3패 / 0점)
E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승 1무 / 7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2승 1패 / 6점)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1승 2패 / 3점)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무 2패 / 1점)
F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2승 1무 / 7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승 2무 / 5점)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1승 2패 / 3점)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

(1무 2패 / 1점)

순위 작성 순서는 승점, 골 득실, 다득점, 승자승, 페어플레이 점수 순이다.

24강 조별리그 최고 이변으로는 우승 후보인 프랑스가 조별 탈락(17위)한 것과 최약체로 뽑히던 감비아가 조 1위로 16강에 진출한 것이 꼽힌다. 즉 대한민국이 속한 F조는 그야말로 이변의 중심에 위치한 조로 예상보다도 더 어려운 조였다.

참고로, 2포트에 배정된 국가[10]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살아남아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반면에 1포트는 프랑스, 세네갈이 탈락했고, 3포트는 나이지리아와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11]는 모두 탈락의 수모를 겪었다. 오히려 4포트가 도미니카 공화국, 과테말라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12]가 모두 살아남는 저력을 보여주었다.

14.1. 조 3위간 성적 순위[편집]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D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320143+16
A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311137-44
B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슬로바키아310254+13
E파일: 튀니지 국기.svg튀니지310232+13
F파일: 프랑스 국기.svg프랑스31025503
C파일:일본 국기.svg일본310234-13

3위를 기록한 6팀은 승점, 득실차, 다득점, 페어플레이 점수순으로 순위가 결정되며, 이 중에 4팀은 16강에 진출하지만, 승점이 제일 낮고, 득실차가 낮은 두 팀은 조 4위와 마찬가지로 탈락한다.

보통 승점 4점을 따도 탈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대회는 유달리 1승 2패만 거두고도 3위를 차지한 팀들이 많이 나왔다. 그 결과 슬로바키아와 튀니지가 1승 2패만으로도 16강 막차를 타게 되었다. 반면 일본과 프랑스는 1승 2패로 탈락을 맛봐야 했다.

향방을 가른 것은 승점 자판기의 존재 여부였다. 슬로바키아는 피지, 튀니지는 이라크라는 승점 자판기를 상대로 많은 득점을 올린 덕분에 다른 1승 2패 팀들보다 골득실에서 우위를 점할 수가 있었다. 반면 일본과 프랑스는 조에 승점 자판기라 불릴 팀이 없어 골득실에서 한두 끗 차이로 밀려나게 되었다. 물론 슬로바키아와 튀니지도 본인들 조에 속한 강호들을 상대로 대패를 당하지 않고 1점차로만 패하며 골득실 관리를 잘 한 점도 한몫했다.

14.2. FIFA 규정 대진표[편집]


다음 아래 항목의 내용은 조 3위 진출 팀의 조합에 따른 FIFA 규정 대진표이다.

조 3위 추가 진출A1 상대B1 상대C1 상대D1 상대
A B C DC3D3A3B3
A B C EC3A3B3E3
A B C FC3A3B3F3
A B D ED3A3B3E3
A B D FD3A3B3F3
A B E FE3A3B3F3
A C D EC3D3A3E3
A C D FC3D3A3F3
A C E FC3A3F3E3
A D E FD3A3F3E3
B C D EC3D3B3E3
B C D FC3D3B3F3
B C E FE3C3B3F3
B D E FE3D3B3F3
C D E FC3D3F3E3

15. 결선 토너먼트[편집]




||<|2>

||<|4>

||<|6>

||
||
||<|2>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3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2
||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4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5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1
||<|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3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2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3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0
||<|2><color=#78a7ca> 3위 결정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1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2
||

15.1. 16강[편집]





15.2. 준준결승[편집]





15.3. 준결승[편집]





15.4. 3위 결정전[편집]





15.5. 결승[편집]





16. 우승[편집]


파일:FIFA U-20 월드컵 트로피.png 2023 FIFA U-20 월드컵 우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1번째 우승)


17. 순위표[편집]


최종 순위
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비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7601123+918우승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7502138+515준우승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7412106+4133위
4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732210100114위
5파일:미국 국기.svg미국5401102+8128강
6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5311117+410
7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5302167+99
8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530264+29
9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4301103+7916강
10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421154+17
11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421143+17
12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4202135+86
13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41125504
14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4112311-84
15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410346-23
16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슬로바키아410369-33
17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31025503조별리그
18파일:일본 국기.svg일본310234-13
19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302123-12
20파일:온두라스 국기.svg온두라스301247-31
21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301207-71
22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300306-60
23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3003111-100
24파일:피지 국기.svg피지3003016-160


18. 수상[편집]






19. 팀별 결산[편집]





20. 여담[편집]















[1] 한국시간 5월 21일 ~ 6월 12일[2] 원래 이 대회 개최국은 인도네시아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이스라엘 대표팀 입국을 반대하는 움직임 및 안전 보장과 관련된 정치·외교적인 문제로 인해 개최 1개월 전에 개최권이 박탈되었으며, 이후에 아르헨티나가 대타로 개최권을 얻게 되었다. #[3] 사실 아르헨티나 또한 이전 인도네시아처럼 지역 예선에서 탈락한 상태였으나, 급작스럽게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하는 행운을 누리게 됐다.[24강] A B [4] 인도네시아는 국교가 공식적으로 없으며 종교의 자유도 보장되는 국가이지만(좀 특이하게 종교의 자유는 없다), 세계 최대 무슬림 보유국이기도 하고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스라엘과의 수교를 강경히 거부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국민은 인도네시아 입국 시 인도네시아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무사히 입국한다고 하더라도 무슬림이 다수인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이스라엘 선수단들을 반갑게 여기지 않을 것이 뻔하다.[5] 단, 일정은 기존의 일정으로 진행한다고 밝혔다.[6] 대회 기준으로 19세, 즉 본선 대회에 20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ENG] 2017[FRA] 2013[ITA] 2017[7] 오스트리아와의 플레이오프 경기 에서 1-0으로 승리.[SVK] 2003[NZL] 2015, 2017, 2019[FIJ] 2015[SEN] 2015[GAM] 2007[NGA] 1989, 2005[TUN] 1977, 1985[UZB] 2013, 2015[IRQ] 2013[KOR] 2019[JPN] 1999[BRA] 1983, 1985, 1993, 2003, 2011[URU] 1997, 2013[COL] 2003[ECU] 2019[8] 남미 대회 1차 본선 조별리그 탈락했으나, 개최국 자격으로 진출.[ARG] 1979, 1995, 1997, 2001, 2005, 2007[USA] 1989[HON] 1977, 1995, 1999, 2005, 2009, 2015, 2017, 2019[GUA] 2011[9] 아무래도 2022 카타르 월드컵과는 다르게 FIFA 공식 영문 점수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보니 어쩔수 없이 FIFA 양식에 맞게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A] 개막전 중계 유튜브, SBS홈페이지[SBS] A B 조별리그 감비아전부터 대한민국 경기 중계[KBS2] 3위 결정전 중계[10] 잉글랜드, 대한민국, 뉴질랜드, 브라질, 에콰도르, 콜롬비아[11] 일본, 이라크, 온두라스, 피지[12] 감비아, 슬로바키아, 튀니지, 이스라엘[13] 에콰도르의 저스틴 쿠에로와 동률이었으나 출전시간이 더 적었기에 수상했다.[14] 인도에서 열렸던 남녀 U17 대회는 예외.[15] 미국 4-0 뉴질랜드, 브라질 4-1 튀니지, 콜롬비아 5-1 슬로바키아[16] 이로 인해 무패탈락 팀이 생기지 않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