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머라이어 캐리

덤프버전 :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기한@)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데뷔 앨범에 대한 내용은 Mariah Carey(음반) 문서
Mariah Carey(음반)번 문단을
Mariah Carey(음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머라이어 캐리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이름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멤버(개인자격)
입성 연도2020년 출처 참조

||
[ 펼치기 · 접기 ]

이름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2015년 8월 5일
위치6270 Hollywood Blvd.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펼치기 · 접기 ]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밥 딜런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프린스엘비스 프레슬리제임스 브라운스티비 원더
11위12위13위14위15위
밥 말리데이비드 보위더 후너바나비치 보이스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돈나핑크 플로이드U2마빈 게이
21위22위23위24위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더 클래시AC/DC벨벳 언더그라운드척 베리
26위27위28위29위30위
닐 영아레사 프랭클린엘튼 존라디오헤드에어로스미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존 레논블랙 사바스건즈 앤 로지스티나 터너조니 캐시
36위37위38위39위40위
폴 매카트니플리트우드 맥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킹크스폴리스
41위42위43위44위45위
밴 헤일런메탈리카레이 찰스조니 미첼알 그린
46위47위48위49위50위
라몬즈JAY-Z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팔리아멘트-펑카델릭샤데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빌리 조엘비욘세리틀 리처드퍼블릭 에너미피터 가브리엘
56위57위58위59위60위
키스스투지스칩 트릭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휘트니 휴스턴
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림제네시스노토리어스 B.I.G.토킹 헤즈도어즈
66위67위68위69위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콜드플레이오티스 레딩투팍 샤커데프 레파드
71위72위73위74위75위
R.E.M.재니스 조플린밴 모리슨더 큐어러시
76위77위78위79위80위
Run-D.M.C.레너드 스키너드주다스 프리스트에미넴메리 제이 블라이즈
81위82위83위84위85위
ABBA스틸리 댄어스 윈드 & 파이어커티스 메이필드더 밴드
86위87위88위89위90위
N.W.A.조지 마이클비 지스비스티 보이즈엘비스 코스텔로
91위92위93위94위95위
그린 데이LL Cool J펄 잼머라이어 캐리아웃캐스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저니프리텐더스디페시 모드홀 앤 오츠앨리샤 키스
출처
같이 보기: 하드 록 아티스트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23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2013년 9월 18일 MTV의 David Thomas가 팝 음악 사상 가장 위대한 디바 10명을 선정했다. 선정 대상이 '디바'인 만큼 여성 가수들만이 선정되었다. 해당 리스트에서는 '디바'의 기준으로 목소리, 상업적 성공, 유명도 3가지를 제시한다.
1위2위3위4위5위
휘트니 휴스턴머라이어 캐리다이애나 로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
6위7위8위9위10위
마돈나비욘세비요크도나 서머크리스티나 아길레라
자세한 내용은 출처 참조.








세계 음악가 음악 판매량
List of best-selling music artists
[ 2억 이상 판매한 음악가 ]
순수 음반 판매량이 아닌, 뮤직비디오 스트리밍, 싱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정규, EP, 컴필레이션 앨범 등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포함된 국가별 앨범 인증단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1] 출처는 위키백과이다. 위키백과 자료 설명 글에 "글로벌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는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없습니다."라고 언급되었다.[2]
판매량 정보는 앨범의 순수 판매량을 보고 싶으면 순 앨범 판매량정리하는 차트마스터를 참고하면 된다. 대부분의 팝스타 팬들이 참고하는 사이트이다. 앨범 판매량 순위보기[3]

비틀즈엘비스 프레슬리마이클 잭슨마돈나엘튼 존
최대 600,000,000장[4]500,000,000장최대 400,000,000장[5]최대 300,000,000장[6]최대 300,000,000장[7]
레드 제플린리아나핑크 플로이드에미넴머라이어 캐리
최대 300,000,000장[8]250,000,000장최대 250,000,000장[9]220,000,000장최대 220,000,000장[10]
테일러 스위프트휘트니 휴스턴이글스롤링 스톤스
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200,000,000장
셀린 디옹AC/DC
최대 200,000,000장[11]최대 200,000,000장[12]

[1] 그러나 미국은 인증은 소속사에서 수동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는 더 정확성을 잃게 된다.[2] #[3] 다만 여기도 모든 국가 판매량을 계산한 것은 아니고 주요 큰 국가만 계산되기 때문에 순수 판매량이 꽤 축소된 경향이 있다. 아티스트 모두 실제는 더 팔았을 것이라고 추측된다.[4] 최소 500,000,000장 – [5] 최소 350,000,000장 – [6] 최소 275,000,000장 – [7] 최소 250,000,000장 – [8] 최소 200,000,000장 – [9] 최소 200,000,000장 – [10] 최소 200,000,000장 – [11] 최소 175,000,000장 – [12] 최소 150,000,000장 –
[ 1억 5천만 이상 판매한 음악가 ]

드레이크가스 브룩스카니예 웨스트빌리 조엘저스틴 비버
170,000,000장170,000,000장160,000,000장160,000,000장150,000,000장
에드 시런브루노 마스브루스 스프링스틴U2에어로스미스
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
필 콜린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ABBA프랭크 시나트라
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150,000,000장
[ 각주 ]
[각주]

1억 5천만 미만부터는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같이보기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02년 등재
엔리코 카루소, 오페라 <팔리아치> 중 "Vesti la giubba" (1907)
오리지널 딕시랜드 재즈 밴드, "Tiger Rag" (1918)
베시 스미스, "Down Hearted Blues" (1923)
조지 거슈윈, 랩소디 인 블루 (1924)
케이트 스미스, "God Bless America" (1938년 11월 11일)
빌리 홀리데이, "Strange Fruit" (1939)
빙 크로스비, "White Christmas" (1942)
우디 거스리, "This Land is Your Land" (1944)
찰리 파커, 마일스 데이비스, 디지 길레스피 등, "Ko Ko" (1945)
레스 폴, 메리 포드, "How High the Moon" (1951)
레이 찰스, "What'd I Say" (1959)
아레사 프랭클린, "Respect" (1967)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The Message" (1982)
2003년 등재
레드 벨리, "Goodnight, Irene" (1933)
척 베리, "Roll Over Beethoven" (1956)
오티스 레딩, "I've Been Loving You Too Long (To Stop Now)" (1965)
2004년 등재
마 레이니, "See See Rider Blues" (1924)
프레드 아스테어, 아델 아스테어, 조지 거슈윈, "Fasinating Rhythm" (1926)
지미 로저스, "Blue Yodel No.1 (T for Texas)" (1927)
글렌 밀러 오케스트라, "In the Mood" (1939)
디지 길레스피 빅 밴드, 차노 포소, "Manteca" (1947)
행크 윌리엄스, "Lovesick Blues" (1949)
머디 워터스, "I'm Your Hoochie Coochie Man" (1954)
2005년 등재
노라 베이스, "Over There" (1917)
카운트 베이시, "One O'Clock Jump" (1937)
냇 킹 콜, "Straighten Up and Fly Right" (1943)
패츠 도미노, "Blueberry Hill" (1956)
버디 홀리 앤 더 크리켓츠, "That'll Be the Day" (1957)
제리 리 루이스, "Whole Lotta Shakin' Goin' On" (1957)
마사 앤 더 반델라스, "Dancing in the Street" (1964)
에드윈 호킨스 싱어즈, "Oh Happy Day" (1967)
질스콧 헤론,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 (1970)
2006년 등재
칼 퍼킨스, "Blue Suede Shoes" (1955)
로네츠, "Be My Baby” (1963)
샘 쿡, "A Change Is Gonna Come” (1964)
롤링 스톤즈,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2007년 등재
로사 폰셀, 오페라 <노르마>(빈첸조 벨리니) 중 "Casta Diva" (1928년 12월 31일, 1929년 1월 30일)
아트 테이텀, "Sweet Lorraine" (1940)
로이 오비슨, "Oh, Pretty Woman" (1964)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The Tracks of My Tears" (1965)
2008년 등재
앤드루스 시스터즈, "Bei Mir Bist Du Schoen" (1938)
존 리 후커, "Boogie Chillen'" (1948)
에타 제임스, "At Last" (1961)
조지 존스, "He Stopped Loving Her Today" (1980)
2009년 등재
클리프 에드워즈, "When You Wish Upon a Star" (1940)
리틀 리처드, "Tutti Frutti" (1955)
하울링 울프, "Smokestack Lightning" (1956)
맥스 매튜스 등, "Daisy Bell (Bicycle Built for Two)” (1961)
로레타 린, "Coal Miner's Daughter" (1970)
R.E.M., "Radio Free Europe" (1981)
투팍 샤커, "Dear Mama" (1995)

201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2010년 등재
에드워드 미커, "Take Me Out to the Ball Game" (1908)
Sons of the Pioneers, "Tumbling Tumbleweeds" (1934)
태미 와이넷, "Stand By Your Man" (1968)
알 그린, "Let's Stay Together" (1971)
2011년 등재
보 디들리, "Bo Diddley" (1955)
부커 티 앤 더 엠지스, "Green Onions" (1962)
돌리 파튼, "Coat of Many Colors" (1971)
도나 서머, "I Feel Love" (1977)
슈거힐 갱, "Rapper's Delight" (1979)
2012년 등재
지미 데이비스, "You Are My Sunshine" (1940)
밴 클라이번,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주곡 1번 (1958년 4월 11일)
처비 체커, "The Twist" (1960)
2013년 등재
조지 W. 존슨, "The Laughing Song" (1896년경)
빙 크로스비/루디 밸리, "Brother, Can You Spare a Dime?" (1932)
엘모어 제임스, "Dust My Broom" (1951)
에벌리 브라더스, "Cathy's Clown" (1960)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Fortunate Son" (1969)
제프 버클리, "Hallelujah" (1994)
2014년 등재
블라인드 레몬 제퍼슨, "That Black Snake Moan"/"Matchbox Blues" (1928)
제리 멀리건 콰르텟, 쳇 베이커, "My Funny Valentine" (1954)
벤 E. 킹, "Stand by Me" (1961)
라이처스 브라더스, "You've Lost That Lovin' Feelin'" (1964)
2015년 등재
블라인드 윌리 맥텔, "Statesboro Blues" (1928)
줄리 런던, "Cry Me A River" (1955)
루이 암스트롱/바비 다린, "Mack The Knife" (1956/1959)
슈프림즈, "Where Did Our Love Go" (1964)
임프레션스, "People Get Ready" (1965)
빌리 조엘, "Piano Man" (1973)
글로리아 게이너, "I Will Survive" (1978)
2016년 등재
주디 갈란드, "Over the Rainbow" (1939)
빅 마마 손튼, "Hound Dog" (1952)
윌슨 피켓, "In the Midnight Hour" (1965)
멀 해거드, "Mama Tried" (1968)
주디 콜린스, "Amazing Grace" (1970)
돈 맥클린, "American Pie" (1971)
시스터 슬레지, "We Are Family" (1979)
2017년 등재
잉크 스파츠, "If I Didn't Care" (1939)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 "(We're Gonna) Rock Around The Clock" (1954)
토니 베넷,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 (1962)
템테이션스, "My Girl" (1964)
케니 로저스, "The Gambler" (1978)
Chic, "Le Freak" (1978)
케니 로긴스, "Footloose" (1984)
글로리아 에스테판 앤 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Rhythm Is Gonna Get You" (1987)
2018년 등재
캡 캘러웨이, "Minnie the Moocher" (1931)
리치 발렌스, "La Bamba" (1958)
니나 시몬, "Mississippi Goddam" (1964)
닐 다이아몬드, "Sweet Caroline" (1969)
2019년 등재
글렌 캠벨, "Wichita Lineman" (1968)
빌리지 피플, "YMCA" (1978)
휘트니 휴스턴, "I Will Always Love You" (1992)

2020년대 등재 노래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1960년~1999년)|{{{#b69858 Grammy Awards for Best New Artist
(1960~1999)}}}]]'''
[ 펼치기 · 접기 ]

19601961196219631964
바비 다린밥 뉴하트피터 네로로버트 굴렛스윙글 싱어즈
19651966196719681969
비틀즈톰 존스-바비 젠트리호세 펠리치아노
19701971197219731974
크로스비, 스티븐 스틸스 앤 내쉬카펜터즈칼리 사이먼아메리카베트 미들러
19751976197719781979
마빈 햄리시나탈리 콜스타랜드 보컬 밴드데비 분테이스트 오브 허니
19801981198219831984
리키 리 존스크리스토퍼 크로스시나 이스턴맨 앳 워크컬처 클럽
19851986198719881989
신디 로퍼샤데이브루스 혼스비 앤 더 레인지조디 와틀리트레이시 채프먼
19901991199219931994
밀리 바닐리머라이어 캐리마크 콘어레스티드 디벨롭먼트토니 브랙스턴
19951996199719981999
셰릴 크로우후티 앤 더 블로우피쉬리앤 라임즈폴라 콜로린 힐
1990년, 밀리 바닐리 멤버들이 앨범 Girl You Know It's True에 참여조차 하지 않았고 노래를 녹음한 사람은 전혀 다른 사람들이라는 것이 밝혀진 후 상이 취소되었다.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Top Female Artist
제1회
(1990년)
제2회
(1991년)
제4회
(1993년)
자넷 잭슨머라이어 캐리휘트니 휴스턴
제4회
(1993년)
제5회
(1994년)
제6회
(1995년)
휘트니 휴스턴머라이어 캐리TLC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Icon Award
2018년2019년2020년
자넷 잭슨머라이어 캐리가스 브룩스

[ 펼치기 · 접기 ]

※ 2006년 빌보드에서 판매량과 차트 성적 등 상업성을 기준으로 1955년부터 2006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하여 각 시대를 관통한 탑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2006년 선정 당시 2000년대 탑 아티스트는 넬리였으나 2009년 재집계하여 에미넴으로 최종 확정됐다. 출처1 출처2
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비틀즈엘튼 존마이클 잭슨
1990년대2000년대2010년대2020년대
머라이어 캐리에미넴드레이크




[ 1위 – 125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엘튼 존머라이어 캐리마돈나
6위7위8위9위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테일러 스위프트스티비 원더시카고
11위12위13위14위15위
휘트니 휴스턴폴 매카트니엘비스 프레슬리자넷 잭슨로드 스튜어트
16위17위18위19위20위
드레이크프린스리아나빌리 조엘가스 브룩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허브 앨퍼트에미넴어셔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슈프림즈이글스비 지스비치 보이스플리트우드 맥
31위32위33위34위35위
산타나템테이션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홀 앤 오츠
36위37위38위39위40위
아델비욘세에릭 클랩튼라이오넬 리치레드 제플린
41위42위43위44위45위
브루노 마스존 덴버마룬 5올리비아 뉴튼 존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필 콜린스다이애나 로스밥 딜런존 멜렌캠프JAY-Z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나 서머니켈백보이즈 투 멘카펜터즈저스틴 비버
56위57위58위59위60위
레이디 가가포리너브리트니 스피어스핑크앨리샤 키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케이티 페리마일리 사이러스잭슨 파이브어스 윈드 앤 파이어마빈 게이
66위67위68위69위70위
U2린다 론스태드밴 헤일런밥 시거에어로스미스
71위72위73위74위75위
블랙 아이드 피스넬리캐롤 킹저스틴 팀버레이크몽키즈
76위77위78위79위80위
케니 로저스하트팀 맥그로배리 매닐로R. 켈리
81위82위83위84위85위
저니사이먼 앤 가펑클마이클 볼튼에드 시런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핑크 플로이드메리 제이 블라이즈카니예 웨스트쓰리 도그 나이트
91위92위93위94위95위
코모도스폴라 압둘브라이언 아담스크리스 브라운건즈 앤 로지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데프 레파드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린킨 파크제임스 테일러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101위102위103위104위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폴 사이먼백스트리트 보이즈릴 웨인캐리 언더우드
106위107위108위109위110위
앤디 윌리엄스스틱스조지 마이클셰어TLC
111위112위113위114위115위
샤니아 트웨인두비 브라더스포 시즌스피터 폴 앤 메리케니 체스니
116위117위118위119위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50 센트레이 찰스제네시스더 폴리스
121위122위123위124위125위
래스컬 플래츠루다크리스글로리아 에스테판조지 해리슨앨런 잭슨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앨범,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1위 – 100위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스 브룩스엘튼 존
6위7위8위9위10위
머라이어 캐리허브 앨퍼트테일러 스위프트시카고마이클 잭슨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드 제플린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로드 스튜어트에미넴휘트니 휴스턴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리 조엘마돈나산타나이글스플리트우드 맥
21위22위23위24위25위
밥 딜런스티비 원더셀린 디옹에릭 클랩튼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존 덴버핑크 플로이드자넷 잭슨프린스캐롤 킹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일리 사이러스니켈백팀 맥그로밴 헤일런비치 보이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U2아델엘비스 프레슬리브리트니 스피어스어셔
41위42위43위44위45위
템테이션스린킨 파크JAY-Z앨런 잭슨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건즈 앤 로지스샤니아 트웨인캐리 언더우드몽키즈에어로스미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슈프림즈앨리샤 키스메탈리카데프 레파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린다 론스태드저니메리 제이 블라이즈제쓰로 툴
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포리너존 멜렌캠프사이먼 앤 가펑클케니 체스니
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앤디 윌리엄스조지 스트레이트백스트리트 보이즈마이클 볼튼
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라이오넬 리치아레사 프랭클린요세프/캣 스티븐스밥 시거
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2 출처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펼치기 · 접기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여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테일러 스위프트케이티 페리다이애나 로스
11위12위13위14위15위
도나 서머코니 프랜시스비욘세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6위17위18위19위20위
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레이디 가가디온 워윅
21위22위23위24위25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트셀린 디옹
26위27위28위29위30위
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아델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
31위32위33위34위35위
모니카
헬렌 레디
신디 로퍼니키 미나즈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
36위37위38위39위40위
메리 제이 블라이즈티나 터너케샤데비 깁슨시나 이스턴
41위42위43위44위45위
칼리 사이먼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
46위47위48위49위50위
나탈리 콜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
51위52위53위54위55위
팻 베네타에이브릴 라빈조디 워틀리샤카 칸페이스 힐
56위57위58위59위60위
미시 엘리엇에이미 그랜트스티비 닉스캐롤 킹쥬스 뉴턴
{{{-2 출처 같이 보기: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남성 아티스트,
틀: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1위 – 60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슈프림즈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케이티 페리테일러 스위프트
11위12위13위14위15위
다이애나 로스도나 서머카펜터즈코니 프랜시스비욘세
16위17위18위19위20위
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
21위22위23위24위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레이디 가가TLC디안 워윅하트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드데스티니스 차일드
31위32위33위34위35위
셀린 디옹포인터 시스터스캡틴 앤 테닐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
36위37위38위39위40위
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아델모니카헬렌 레디
41위42위43위44위45위
신디 로퍼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니키 미나즈메리 제이 블라이즈
46위47위48위49위50위
티나 터너데비 깁슨시나 이스턴케샤칼리 사이먼
51위52위53위54위55위
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나탈리 콜
56위57위58위59위60위
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펫 베네타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싱글, 남성(싱글), 2018년}}}




파일:기네스 세계기록 로고.svg 기네스북 세계 기록
Most US No.1 singles by a solo artist
미국에서 가장 많은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솔로 아티스트
아티스트수치
머라이어 캐리19개
등재 날짜출처
2019년 12월 21일#
Most US No.1 singles by a female artist
미국에서 가장 많은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여성 아티스트
아티스트수치
머라이어 캐리19개
등재 날짜출처
2019년 12월 21일#
Longest span between No.1s on the US singles chart
가장 긴 기간동안 미국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아티스트
아티스트기간
머라이어 캐리29년 139일
등재 날짜출처
2019년 12월 21일#
Most cumulative weeks at No.1 on US singles chart
미국 싱글 차트 1위의 가장 긴 누적 주 수를 기록한 아티스트
아티스트기간
머라이어 캐리82주
등재 날짜출처
2020년 1월 4일#
Most streamed track on Spotify in 24 hours (female)
24시간 동안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노래 (여성)
노래수치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10,819,009
등재 날짜출처
2018년 12월 24일#
First artist to achieve US No.1 singles in four decades
4년대 동안 미국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한 최초의 아티스트
아티스트기간
머라이어 캐리1990년대 ~ 2020년대
등재 날짜출처
2020년 1월 4일#

머라이어 캐리
Mariah Carey
본명Mariah[1] Carey[2][3]
머라이어 캐리
출생1969년 3월 27일 (55세)[4]
미국 뉴욕 주 헌팅턴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싱어송라이터, 배우, 프로듀서
서명파일:Mariah's_signature.png
[ 펼치기 · 접기 ]

거주지미국 뉴욕 주 뉴욕 시
활동 기간1988년[1]~ 현재
데뷔1990년 5월 15일
싱글
Vision of Love
장르R&B, , 힙합, 소울
레이블컬럼비아 레코드 (1990 - 2000)
버진 레코드 (2000 - 2002)
아일랜드 데프 잼 (2002 - 2015)
에픽 레코드 (2015 - 현재)
부모할아버지 프란시스코 누녜스
할머니 애디 캐리
외할아버지 존 웨슬리 히키
외할머니 앤 엘리자베스 이건
아버지 알프레드 로이 캐리 (b.1929; d.2002)
어머니 패트리샤 캐리 (b.1936)
자녀아들 모로칸 스콧 캐넌 (b.2011)[2]
먼로 캐넌 (b.2011)[3][4]
형제오빠 모건 캐리 (b.1960)[5]
언니 앨리슨 캐리 (b.1962)
연인브라이언 타나카
배우자토미 모톨라 (1993 - 1998; 이혼)
닉 캐넌 (2008 - 2016; 이혼)
학력하버필드 고등학교 (g.1987)[6]
신체173cm
종교개신교 (성공회)[7]
혈통아일랜드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베네수엘라계 미국인
별명Mimi, M.C.
링크파일:MC_NewLogo_2020-600.pn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Threads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사이트 링크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 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파일:멜론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1] 브렌다 K. 스타의 백업싱어로 커리어를 시작했다.[2] 이름 모로칸은 전 남편 닉 캐넌이 자신에게 청혼한 방의 이름, 미들네임 스콧은 닉 캐넌의 미들네임에서 가져왔다.[3] 이름 먼로는 마릴린 먼로로부터 가져왔으며 미들네임이 없는 머라이어 캐리를 따라 미들네임을 지어주지 않았다.[4] 이란성 쌍둥이이다.[5] 스컬이 미국 진출을 하던 당시 그의 매니저였다고 한다.[6] 뉴욕 서폭 카운티에 위치함.[7] 출처. 후술하겠지만, 가사에 기독교적인 메세지가 담긴 노래들도 꽤 있다.

1. 개요
2. 상세
4. 디스코그래피
4.1. 기록
4.4. 차트
4.4.1. 앨범 순위
4.4.1.1. 스튜디오 앨범
4.4.1.2. 컴필레이션 앨범
4.4.2. 싱글 순위
4.5. 뮤직비디오
6. 작사 및 작곡
6.1. 작곡
6.2. 작사
7. 영향력
10. 출연 작품
10.1. 영화
10.2. 방송
11. 수상 내역
12. 여담
1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머라이어 캐리는 199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프로듀서, 배우이다.


2. 상세[편집]


팝음악 역사상 여가수중 상업성과 가창력, 영향력면에서 탑5안에 드는 전설적인 여가수다. 명실상부 1990년대를 상징하는 아이콘이자 대중음악계를 평정한 대표가수이기도 하다. 휘트니 휴스턴, 셀린 디옹과 함께 전세계적이자 전설적인 세계 3대 디바로 불린다. 19개의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보유하고 있고, 4연대 연속으로[5] 1위 곡을 배출한 빌보드의 여왕이자, 역사상 가장 성공한 캐럴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를 탄생시킨 크리스마스의 여왕으로 알려져 있다. 대중음악 역사상 몇 안 되는 압도적인 커리어로도 유명하다. 또한 '천상의 보컬'로 불리는 목소리를 지녔으며 각종 매체에서 역대 가창력 순위를 따지면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가수이다. 음역대는 0옥타브 파(F2)에서 5옥타브 시(B7).[6]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19곡 중 〈I'll Be There[7] 리메이크를 제외한 18곡 모두를 본인이 작사/작곡한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이기도 하다.[8]

머라이어를 보고 꿈을 키운 가수들을 지칭하는 머라이어 키즈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수많은 가수들의 롤 모델이다. 대충 나열해보자면 아리아나 그란데, 소향, 성시경이 있다. 머라이어는 역사상 가장 많은 가수들에게 영향을 준 여가수 중 한명으로 머라이어 이후에 나온 대부분의 보컬리스트들은 머라이어의 영향을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나 무조건 받았다[9] 또한 R&B, 힙합의 융합에 성공한 아티스트로 팝과 R&B, 힙합을 합친 장르는 머라이어 캐리의 손에서 탄생했다.[10] 그녀의 화려한 커리어 뒤에는 매우 가난했던 과거도 있었는데 이는 2집Make It Happen〉 의 가사를 보면 잘 알 수 있으며 자신의 재능을 바탕으로 노력을 해서 성공한 자수성가의 표본들 중 하나이다.

머라이어의 노래들은 〈Hero〉와 같은 몇몇 곡들을 제외하면 난이도가 매우 높다는 것이 특징이다.[11][12] 옥타브를 낮춰 부르면 저음도 덩달아 낮아지고 그렇다고 올려버리면 고음이 덩달아 더 올라간다. 또한 특유의 다이나믹한 기교와 멜리즈마가 노래의 시작부터 끝까지 존재한다.[13] 이러한 기교는 따라 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성대에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는 기교이다.

머라이어는 저음은 1옥타브 파(F3)까지,[14] 흉성은 3옥타브 레#(Eb5)까지,[15] 두성은 3옥타브 솔#(G#5)[16] 가능했다. 데뷔 초기와 2집 《Emotions》 활동 까지는 때때로 B4-C5 음역에서도 긴장하고 상단 벨트(Upper Belt, Eb5~) 음역에서는 거의 항상 긴장했지만, '92년 그래미 어워드 "If It's Over" 공연에서 훌륭한 F#5를 보여준 적이 있으며, 《Music Box》 활동 시기에는 좋은 중단 벨트(Mid-Belt, G4~D5)와 상단 벨트를 보여주었다. 《Daydream》시기에도 믹스보이스를 활용하여 상단 벨트에 놀라운 용이성을 보여주면서 F#5, G5까지도 지지가 가능했지만, 1997년 《Butterfly》부터는 Vocal crack이나 목소리 내에 raspiness(삐걱거림, 거침)가 발달하면서 음색이 거칠어지고 컨디션에 따라 달라졌다. 물론 컨디션을 회복하면 좋은 보컬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2003년이나 2010년의 보컬은 머라이어의 전성기 이후 보컬 중 가장 좋은 퀄리티를 가졌다고 평가받는다.

또한 위에도 서술했듯이, 보컬 민첩성(Agility)과 성구전환(Transition)에서 굉장한 숙련도를 보여주는데, 이는 머라이어가 '기교의 머라이어 캐리'라고 불릴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흉성(Chest Voice)에서 두성(Head Voice)/가성(Falsetto)로 전환하는 건 기본이다. 이를 잘 나타내는 또 하나의 공연은 '90년 "Vanishing" SNL Rehearsal 공연이다. 이 공연에서 대략 5초 간, C#5-D5-C#5-B4로 이어지는 고난도의 리프(Riff)를 흉성으로, 정확한 피치로 계속 끌다가 마지막에 주 특기인 휘슬 레지스터(Whistle Register)로 자연스럽게 두 옥타브를 올릴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공연 말고도, 전성기 시절('90년 ~ '96년)때는 공연에서 부르는 곡마다 성구전환(Transition) 애드립을 넣는 경우가 많았다.

엄청난 워커홀릭으로도 유명하다. 데뷔 때부터 끊이지 않는 프로모션 등으로 몸이 남아나질 않았지만 한 번도 쉬지 않고 12년 동안 꾸준히 활동했다. 결국 〈Glitter〉활동 당시 건강상의 문제가 생겨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로는 앨범을 좀 쉬어가면서 내는듯 했지만 역시나 엄청난 프로모션으로 유튜브에서 머라이어 캐리를 치면 정말 타 가수와는 비교가 불가능한 수의 라이브 영상이 나온다. 이러한 워커홀릭 덕분에 머라이어 캐리는 10년 만에 빌보드 Hot 100 1위를 15곡이나 만들어 냈다.[17] 이후 내리막길을 탄 후에도 화려하게 복귀하여 1위 곡을 4곡이나 더 만들어냈다.


3. 생애 및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생애 및 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디스코그래피[편집]



4.1. 기록[편집]


  • 음반 판매고 약 2억 2000만 이상[18]

  • 역대 여가수 판매량 Top3[19]

  • 역대 솔로 가수 판매량 7위

  • 역대 전체 가수 판매량 10위[20][21] [22]

  • 미국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여가수[23]

  • 미국에서 11번째로 많은 음반을 판매한 가수[24]

  • 일본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해외 가수[25]

  • 일본에서 11번째로 많은 음반을 판 여가수[26]

  •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해외 가수 음반[27]

  • 일본 내 해외 가수 최초 및 유일 초동 밀리언[28]

  • 한국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여가수[29]

  • 한국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해외 가수[30]

  • 한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해외 가수 음반[31]

  • 한국에서 세 번째로 많이 팔린 여가수 음반[32]

  •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여가수 싱글[33]

  • 일본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해외 가수 싱글[34]

  • 빌보드 선정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4위

  • 빌보드 선정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 1위

  • 빌보드 핫 100 역대 최다 1위 솔로 가수, 여가수[35]

  • 빌보드 핫 100 역대 최장 기간 1위 가수[36]

  • 빌보드 핫 100 역대 최장 기간 2위 여가수[37]

  • 가장 긴 기간동안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배출해낸 가수[38]

  • 역대 최초 및 유일 빌보드 핫 100 4연대 연속 1위[39]

  • 역대 최초 및 유일 빌보드 핫 100 11년 연속 1위[40]

  • 역대 최초 및 유일 빌보드 핫 100 5년 연속 1위 곡[41]

  •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가장 많이 만든 여성 작곡가[42]

  • 빌보드 핫 100 1위 곡을 가장 많이 만든 여성 프로듀서[43]

  • 빌보드 올타임 차트에 가장 많은 곡을 올린 가수[44]






  • 빌보드 올타임 차트 앨범 87위 〈Music Box[45]

  • UK 차트 3연대 1위[46]

  • 역대 최초 및 유일 UK 차트 4연대 연속 Top 10 진입 곡[47]

  • UK 차트에서 가장 오랜 기간 차트인한 여가수 노래[48]

  • 스포티파이에서 하루에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노래[49]

  •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캐럴[50]

  • 스포티파이에서 월간 청취자 수 6000만 명을 돌파한 유일한 2000년대 이전에 데뷔한 여가수

  • 스포티파이에서 10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유일한 2000년대 이전 여가수 노래[51]

  •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2000년대 이전 여가수 노래[52]

  • 스포티파이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2000년대 이전 여가수 앨범[53]

  • 미국에서 가장 많이 스트리밍된 2000년대 이전 여가수[55]


4.2. 음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음반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싱글[편집]


파일:mariah_carey_logo.png

♕ sɪɴɢʟᴇs ᴅɪsᴄᴏɢʀᴀᴘʜʏ ♕
1990년대 발매 싱글
ᴠɪsɪᴏɴ ᴏғ ʟᴏᴠᴇ · ʟᴏᴠᴇ ᴛᴀᴋᴇs ᴛɪᴍᴇ · sᴏᴍᴇᴅᴀʏ · ɪ ᴅᴏɴ'ᴛ ᴡᴀɴɴᴀ ᴄʀʏ · ᴛʜᴇʀᴇ's ɢᴏᴛ ᴛᴏ ʙᴇ ᴀ ᴡᴀʏ · ᴇᴍᴏᴛɪᴏɴs · ᴄᴀɴ'ᴛ ʟᴇᴛ ɢᴏ · ᴍᴀᴋᴇ ɪᴛ ʜᴀᴘᴘᴇɴ · ɪ'ʟʟ ʙᴇ ᴛʜᴇʀᴇ · ɪғ ɪᴛ's ᴏᴠᴇʀ · ᴅʀᴇᴀᴍʟᴏᴠᴇʀ · ʜᴇʀᴏ · ᴡɪᴛʜᴏᴜᴛ ʏᴏᴜ / ɴᴇᴠᴇʀ ғᴏʀɢᴇᴛ ʏᴏᴜ · ᴀɴʏᴛɪᴍᴇ ʏᴏᴜ ɴᴇᴇᴅ ᴀ ғʀɪᴇɴᴅ · ᴇɴᴅʟᴇss ʟᴏᴠᴇ · ᴀʟʟ ɪ ᴡᴀɴᴛ ғᴏʀ ᴄʜʀɪsᴛᴍᴀs ɪs ʏᴏᴜ · ᴍɪss ʏᴏᴜ ᴍᴏsᴛ (ᴀᴛ ᴄʜʀɪsᴛᴍᴀs ᴛɪᴍᴇ) · ғᴀɴᴛᴀsʏ · ᴏɴᴇ sᴡᴇᴇᴛ ᴅᴀʏ · ᴊᴏʏ ᴛᴏ ᴛʜᴇ ᴡᴏʀʟᴅ · ᴏᴘᴇɴ ᴀʀᴍs · ᴀʟᴡᴀʏs ʙᴇ ᴍʏ ʙᴀʙʏ · ғᴏʀᴇᴠᴇʀ · ᴜɴᴅᴇʀɴᴇᴀᴛʜ ᴛʜᴇ sᴛᴀʀs · ʜᴏɴᴇʏ · ʙᴜᴛᴛᴇʀғʟʏ · ᴛʜᴇ ʀᴏᴏғ (ʙᴀᴄᴋ ɪɴ ᴛɪᴍᴇ) · ʙʀᴇᴀᴋᴅᴏᴡɴ · ᴍʏ ᴀʟʟ · sᴡᴇᴇᴛʜᴇᴀʀᴛ · ᴡʜᴇɴ ʏᴏᴜ ʙᴇʟɪᴇᴠᴇ · ɪ sᴛɪʟʟ ʙᴇʟɪᴇᴠᴇ · ʜᴇᴀʀᴛʙʀᴇᴀᴋᴇʀ
2000년대 발매 싱글
ᴛʜɪɴɢs ᴛʜᴀᴛ ᴜ ᴅᴏ · ᴛʜᴀɴᴋ ɢᴏᴅ ɪ ғᴏᴜɴᴅ ʏᴏᴜ · ᴀɢᴀɪɴsᴛ ᴀʟʟ ᴏᴅᴅs (ᴛᴀᴋᴇ ᴀ ʟᴏᴏᴋ ᴀᴛ ᴍᴇ ɴᴏᴡ) · ᴄʀʏʙᴀʙʏ / ᴄᴀɴ'ᴛ ᴛᴀᴋᴇ ᴛʜᴀᴛ ᴀᴡᴀʏ (ᴍᴀʀɪᴀʜ's ᴛʜᴇᴍᴇ) · ᴀɢᴀɪɴsᴛ ᴀʟʟ ᴏᴅᴅs · ʟᴏᴠᴇʀʙᴏʏ · ʀᴇғʟᴇᴄᴛɪᴏɴs (ᴄᴀʀᴇ ᴇɴᴏᴜɢʜ) · ɴᴇᴠᴇʀ ᴛᴏᴏ ғᴀʀ · ᴅᴏɴ'ᴛ sᴛᴏᴘ (ғᴜɴᴋɪɴ' 4 ᴊᴀᴍᴀɪᴄᴀ) · ɴᴇᴠᴇʀ ᴛᴏᴏ ғᴀʀ/ʜᴇʀᴏ ᴍᴇᴅʟᴇʏ · ᴛʜʀᴏᴜɢʜ ᴛʜᴇ ʀᴀɪɴ · ʙᴏʏ (ɪ ɴᴇᴇᴅ ʏᴏᴜ) · ɪ ᴋɴᴏᴡ ᴡʜᴀᴛ ʏᴏᴜ ᴡᴀɴᴛ · Bringin' On the Heartbreak · ᴜ ᴍᴀᴋᴇ ᴍᴇ ᴡᴀɴɴᴀ · ɪᴛ's ʟɪᴋᴇ ᴛʜᴀᴛ · ᴡᴇ ʙᴇʟᴏɴɢ ᴛᴏɢᴇᴛʜᴇʀ · sʜᴀᴋᴇ ɪᴛ ᴏғғ · ɢᴇᴛ ʏᴏᴜʀ ɴᴜᴍʙᴇʀ · ᴅᴏɴ'ᴛ ғᴏʀɢᴇᴛ ᴀʙᴏᴜᴛ ᴜs · sᴏ ʟᴏɴᴇʟʏ · ғʟʏ ʟɪᴋᴇ ᴀ ʙɪʀᴅ · sᴀʏ sᴏᴍᴇᴛʜɪɴ' · ʟɪʟ' ʟ.ᴏ.ᴠ.ᴇ. · ᴛᴏᴜᴄʜ ᴍʏ ʙᴏᴅʏ · ʙʏᴇ ʙʏᴇ · ɪ'ʟʟ ʙᴇ ʟᴏᴠɪɴ' ᴜ ʟᴏɴɢ ᴛɪᴍᴇ · ɪ sᴛᴀʏ ɪɴ ʟᴏᴠᴇ · ᴍʏ ʟᴏᴠᴇ · ᴏʙsᴇssᴇᴅ · ɪ ᴡᴀɴᴛ ᴛᴏ ᴋɴᴏᴡ ᴡʜᴀᴛ ʟᴏᴠᴇ ɪs · ʜ.ᴀ.ᴛ.ᴇ.ᴜ.
2010년대 발매 싱글
ᴜᴘ ᴏᴜᴛ ᴍʏ ғᴀᴄᴇ · ᴀɴɢᴇʟs ᴄʀʏ · ᴏʜ sᴀɴᴛᴀ! · ᴀᴜʟᴅ ʟᴀɴɢ sʏɴᴇ (ᴛʜᴇ ɴᴇᴡ ʏᴇᴀʀ's ᴀɴᴛʜᴇᴍ) · ᴡʜᴇɴ ᴄʜʀɪsᴛᴍᴀs ᴄᴏᴍᴇs · ᴀʟʟ ɪ ᴡᴀɴᴛ ғᴏʀ ᴄʜʀɪsᴛᴍᴀs ɪs ʏᴏᴜ (sᴜᴘᴇʀғᴇsᴛɪᴠᴇ!) · ᴛʀɪᴜᴍᴘʜᴀɴᴛ (ɢᴇᴛ 'ᴇᴍ) · ᴀʟᴍᴏsᴛ ʜᴏᴍᴇ · #ʙᴇᴀᴜᴛɪғᴜʟ · ᴛʜᴇ ᴀʀᴛ ᴏғ ʟᴇᴛᴛɪɴɢ ɢᴏ · ʏᴏᴜ'ʀᴇ ᴍɪɴᴇ (ᴇᴛᴇʀɴᴀʟ) · ʏᴏᴜ ᴅᴏɴ'ᴛ ᴋɴᴏᴡ ᴡʜᴀᴛ ᴛᴏ ᴅᴏ · ɪɴғɪɴɪᴛʏ · ɪ ᴅᴏɴ'ᴛ · ɢᴛғᴏ · ᴡɪᴛʜ ʏᴏᴜ · ᴀ ɴᴏ ɴᴏ · ɪɴ ᴛʜᴇ ᴍɪx
2020년대 발매 싱글
sᴀᴠᴇ ᴛʜᴇ ᴅᴀʏ · ᴏᴜᴛ ʜᴇʀᴇ ᴏɴ ᴍʏ ᴏᴡɴ · ᴏʜ sᴀɴᴛᴀ! · ʜᴇʀᴇ ᴡᴇ ɢᴏ ᴀʀᴏᴜɴᴅ ᴀɢᴀɪɴ · ᴡʜᴇʀᴇ ɪ ʙᴇʟᴏɴɢ · sᴏᴍᴇᴡʜᴀᴛ ʟᴏᴠᴇᴅ (ᴛʜᴇʀᴇ ʏᴏᴜ ɢᴏ ʙʀᴇᴀᴋɪɴ' ᴍʏ ʜᴇᴀʀᴛ) · ғᴀʟʟ ɪɴ ʟᴏᴠᴇ ᴀᴛ ᴄʜʀɪsᴛᴍᴀs · ʙɪɢ ᴇɴᴇʀɢʏ (ʀᴇᴍɪx)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싱글 목록#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차트[편집]


역대 스튜디오 앨범 9장의 빌보드 200, 오리콘 차트 순위를 나타낸 자료이다.
굵은 글씨는 각 차트에서 1위를 한 앨범 / 싱글이다.


4.4.1. 앨범 순위[편집]



4.4.1.1. 스튜디오 앨범[편집]

Mariah Carey 파일:빌보드 로고.svg HOT200, 파일:오리콘 로고.svg 순위 / 판매량
발매일제목리드 싱글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리콘 로고.svg총 판매량
1990.06.12.Mariah CareyVision of Love#1[56]#13[57]1400만 장
1991.09.17.EmotionsEmotions#4[58]#3[59]810만 장
1993.08.31.Music BoxDreamlover#1[60]#2[61]2600만 장
1994.10.28.Merry Christmas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3[62]#1[63]1300만 장
1995.10.03.DaydreamFantasy#1[64]#1[65]2000만 장
1997.09.16.ButterflyHoney#1[66]#1[67]965만 장
1999.11.02.RainbowHeartbreaker#2[68]#2[69]725만 장
2001.09.11.GlitterLoverboy#7[70]#1[71]200만 장
2002.12.03.CharmbraceletThrough the Rain#3[72]#4[73]300만 장
2005.04.12.The Emancipation of MimiWe Belong Together#1[74]#2[75]860만 장
2008.04.15.E=MC²Touch My Body#1[76]#7[77]220만 장
2009.09.29.Memoirs of an Imperfect AngelObsessed#3[78]#9[79]110만 장
2010.11.02.Merry Christmas II YouOh Santa!#4[80]#24[81]80만 장
2014.05.06.Me. I Am Mariah...
The Elusive Chanteuse
#Beautiful#3[82]#25[83]30만 장
2018.11.16.CautionWith You#5[84]#3020만 장


4.4.1.2. 컴필레이션 앨범[편집]

Mariah Carey 파일:빌보드 로고.svg HOT200, 파일:오리콘 로고.svg 순위 / 판매량
발매일제목리드 싱글파일:빌보드 로고.svg파일:오리콘 로고.svg총 판매량
1998.11.17.#1'sWhen You Believe#4[85]#1[86]1600만 장
2001.12.04.Greatest Hits없음#52[87]#3[88]500만 장
2008.10.17.The Ballads없음#10[89]#19100만 장
2015.05.18.#1 to InfinityInfinity#29[90]#1930만 장
2020.10.02.The RaritiesSave the Day#31#24

4.4.2. 싱글 순위[편집]


Mariah Carey 파일:빌보드 로고.svg Hot 100기록
순위연도곡명연말 차트
#14주90Vision of Love#6
#13주Love Takes Time#76[91]
#69[92]
#12주Someday#13[93]
91I Don't Wanna Cry#26
#13주Emotions#22
#12주92I'll Be There#16
#18주93Dreamlover#8
#14주Hero#5[94]
#112주94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95]#67[96]
#78[97]
#65[98]
#18주95Fantasy#7[99]
#49[100]
#116주One Sweet Day[101][102]#2[103]
#12주96Always Be My Baby#5
#13주97Honey#32
#11주98My All#17
#12주99Heartbreaker#35
#11주00Thank God I Found You#45
#114주05We Belong Together[104][105]#1
#12주Don't Forget About Us#50[106]
08Touch My Body#22
#291Can't Let Go#26[107]
94Endless Love#56
01Loverboy#80
05Shake It Off[108]#15
#394Without You/Never Forget You[109]#16
03I Know What You Want#17
#499I Still Believe#36
#592Make It Happen#42
#709Obsessed#41
#1108Just Stand Up![110]
#1294Anytime You Need a Friend#47
#1598When You Believe#99
13\#Beautiful#81
#1605It's Like That#69
#1908Bye Bye
#2104U Make Me Wanna
#2800Crybaby
#5808I'll Be Lovin' U Long Time
#6009I Want to Know What Love Is
#7620Oh Santa!
#7906Say Somethin'
#8101Never Too Far/Hero Medley
02Through the Rain
#8208My Love
15Infinity
#8611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uperFestive!)
#8814You're Mine (Eternal)
#8917I Don't
#9208Migrate
#10010Oh Santa!
Up Out My Face
[111]09Betcha Gon' Know (The Prologue)
[112]06Fly Like a Bird
[113]01Never Too Far
[114]06So Lonely
[115]12Triumphant (Get 'Em)
[116]07Lil' L.O.V.E.
[117]13The Art of Letting Go
[118]01Don't Stop (Funkin' 4 Jamaica)
[119]98Sweetheart

Mariah Carey 파일:오피셜 차트 로고.svg Singles Top 100 기록
순위연도곡명연말 차트
#14주94Without You#6
#13주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120]#14[121]
#99[122]
#195[123]
#84[124]
#53[125]
#37[126]
#12주00Against All Odds#28
#292I'll Be There#40
05We Belong Together#20
#394Endless Love#44
96Always Be My Baby#57
97Honey#93
03I Know What You Want#38
#495Fantasy#37
Open Arms
98My All#130
When You Believe#110
05It's Like That#71
#599Heartbreaker#118
08Touch My Body#93
#695One Sweet Day#60
#793Hero#58
#894Anytime You Need a Friend#103
02Through the Rain
#990Vision of Love#79
93Dreamlover#71
05Get Your Number#117
Shake It Off#117
#1000Thank God I Found You#196
#1101Don't Forget About Us
#12Loverboy
#1699I Still Believe
#1791Emotions
92Make It Happen
02Boy (I Need You)
#1909I Want to Know What Love Is
#2091Can't Let Go
#2122Big Energy
#2297Butterfly
13\#Beautiful
#2706Say Somethin'
#3008Bye Bye
#3201Never Too Far
Don't Stop (Funkin' 4 Jamaica)
#3790Love Takes Time
#3891Someday
#5020Oh Santa!
#5209Obsessed
#5491There's Got to Be a Way
#8410Angels Cry
08I'll Be Lovin' U Long Time
#8798The Roof (Back in Time)
14You're Mine (Eternal)
#9013The Art of Letting Go
#9508I Stay in Love
#9898Breakdown
#14412Triumphant (Get 'Em)
#14811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uperfestive!)
#15415Infinity


4.5. 뮤직비디오[편집]


M/V유튜브에 개설된 'Mariah Carey VEVO'에서 시청할 수 있다. Mariah Carey VEVO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들은 거의 대부분 머라이어의 비주얼을 내세웠다. 실제로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를 보다 보면 스토리보다는 머라이어 위주로 촬영된 것을 볼 수 있다. 머라이어의 청순하고 빼어난 비주얼과 전성기 시절 머라이어의 달달한 분위기의 싱글들하고 잘 어울렸기 때문에 그다지 스토리 있는 뮤직비디오를 만들 필요성이 없었다고 볼 수도 있다. 컬럼비아 레코드 정도 되는 대형 레이블에서 뮤직비디오에 돈을 쏟는다면 쏟을 수 있겠지만 필요성을 못 느꼈다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이렇게 평면적인 뮤직비디오만 만들다 보니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의 실적은 커리어 사상 딱 한 번 노미네이트된 게 끝이었다. 때문에 머라이어가 이 시상식에 참석한 것은 91년도 〈Emotions[127] 공연과 1996년에 상술한 한 번의 노미네이션과 락 비디오 부문 시상자로 나온 것 말고는 전무하다. 메이저 시상식 중에서 유일하게 머라이어랑 인연이 거의 없는 시상식인 듯하다.[128]

하지만 인기가 절정일 때였던 만큼 뮤직비디오에 입고 나온 패션들은 화제가 되었고 〈Fantasy〉의 뮤직비디오가 나왔을 당시에 뮤비 속 머라이어가 입은 핫팬츠가 엄청난 유행을 타 매진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후 〈Honey〉에서 꽤 많은 공을 들여서 첩보영화 같은 뮤직비디오를 만들었고 〈Heartbreaker〉에서는 팝 역사상 통틀어도 최상위권에 해당하는 예산을 들여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129] 대부분의 팬들이 말하는 최고의 뮤직비디오는 바로 〈It's Like That〉와 〈We Belong Together〉인데 두 뮤비는 스토리가 연결되어 있다.[130]Honey〉 때부터 뮤직비디오에 나름 신경 썼지만 상술했듯이 VMA에서의 수상은커녕 후보에 든 것도 전무하다.[131]

반대로 팬들이 꼽는 최악의 뮤비[132]는 <Auld Lang Syne>이다. 폭죽이 끊임없이 터지는 합성 같은 배경에 4분 내내 춤추는 부한 머라이어의 모습[133]만 나온다.

당연히 머라이어 본인이 옛날 가수이기도 하고 머라이어의 대부분의 뮤직비디오가 90년대의 것이라서 유튜브에서의 조회 수가 저조할 것이라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머라이어는 현재 7억 뷰 1개[134], 6억 뷰 1개[135], 4억 뷰 3개[136], 3억 뷰 4개[137], 2억 뷰 5개[138], 1억 뷰 4개[139]의 뮤직비디오를 보유하여 1억 뷰 이상의 뮤직비디오를 18개나 보유한 셈이다.[140] [141]이 외에도 조회 수들이 상당히 높은데 90년대에 데뷔한 가수들 중에서 이 이상의 조회 수를 낸 아티스트는 브리트니 스피어스비욘세, 에미넴 셋뿐이다.[142]


5. 창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창법#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작사 및 작곡[편집]




6.1. 작곡[편집]


1993년 머라이어 캐리가 작곡하는 장면

머라이어 캐리는 데뷔 때부터 작사, 작곡을 해온 싱어송라이터이다.[143]


리메이크 곡을 제외한 모든 곡의 작사에 참여했으며 거의 모든 곡의 작곡진에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빌보드 핫 100에서 가장 많은 1위 곡을 배출한 여성 작곡가이다. 가수로서의 전설적인 커리어는 잘 알려져 있지만 송라이터로서도 엄청난 성공을 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머라이어는 역사상 가장 성공한 싱어송라이터 중 하나이며 동시에 가장 성공한 여성 작곡가이기도 하다.

가끔 아무것도 모르는, 혹은 음모론자들은 대부분이 공동 작곡인 것을 보고 '한두 마디만 만들고 이름 올려놓은 거 아니냐'라는 말을 할 수도 있겠지만 프로듀서가 계속해서 바뀌어도 음악 스타일과 멜로디 구성이 데뷔 때부터 현재까지 비슷한 점과 머라이어의 최고 명반으로 손꼽히는 데뷔 앨범의 곡들은 고등학교 때부터 작곡 파트너였던 벤 마굴리스와 같이 쓴 것이고 일부는 데모 테이프에 실려 있던 것들이었다.

컬럼비아같은 메이저 레이블의 전문가 수준에서 봐도 이미 손색없는 레벨이었다는 뜻이다. 벤 마굴리스도 대부분의 멜로디 라인은 머라이어가 쓴다고 증언한 바 있다. 비록 로열티 분배 문제와 벤 마굴리스의 편곡 실력을 탐탁지 않게 생각한 토미 모톨라의 의중이 개입해 콤비가 갈라지게 되지만 말이다. 이후 벤 마굴리스의 작곡가로서의 실적이 거의 전무한 것을 감안하면 머라이어의 송라이팅에서의 지분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중간중간 방송에서 즉석 작곡을 흥얼거리기도 하며 2013년 팬미팅 때 〈Fly Like A Bird〉 반주로 즉석 작곡을 해 부르기도 했다. 또한 여러 곡의 멜로디를 보면 코드가 비슷하다.

머라이어 본인은 피아노를 칠 수는 있지만 자신을 '연주자'라 칭할 레벨은 전혀 되지 않으며, 작곡 중 코드 체인지 등을 일일이 계산하고 있으면 머릿속에 떠오른 멜로디며 아이디어가 사라져 버리기에 대개 능숙한 피아노 연주자와 함께 공동 작곡을 선호하는 편이라고 밝혔다. 1993년 추수감사절 특집 중 월터 아파나시에프와 피아노 앞에 앉아 함께 작곡하는 장면을 본다면 그녀의 작곡 방식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런 오해가 생기는 이유는 일반인들이 아는 작곡이 업계에서 통용되는 개념과 다른 데에 있다. 보통 작곡이라고 하면 단순히 악보에 음표를 그리는 것만을 떠올리기 쉽지만, 업계에서는 '탑 라이너'와 '비트 메이커' 로 세분화하여 각각 노래의 멜로디와 반주를 만드는 것을 통칭하여 작곡으로 칭한다. 여기서 머라이어 캐리는 탑 라이너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는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144] 실제로 현역으로 활동하는 작곡가들 중에도 이런 케이스들은 은근 많고, 심지어 유명한 작곡가들조차도 악보를 해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은 매우 많다.[145]

하지만 머라이어의 경우 표절 의혹이 왕년에 종종 있었다. 특히 2집의 싱글 컷이 된 3곡[146]이 모두 표절 시비에 휘말렸으며 앨범도 전작만큼의 큰 성공은 못 하게 됐다. 물론 〈Can't Let Go〉 같은 경우 시비를 제기했던 아티스트가 표절이 아니었다며 사과하긴 했다. 한 번은 머라이어의 예전 경호원이 자신이 〈Hero〉 작사가라고 밝혀 법적 공방까지 갔지만 머라이어는 〈Hero〉가 자신의 일기장을 보다가 영감을 얻어 쓴 것이라고 밝히며 일기장을 증거로 제출해 가볍게 승소해 예전 경호원을 데꿀멍하게 만든다. 또한 7집 〈Rainbow〉의 싱글 〈Thank God I Found You〉도 Xscape의 작곡가들과 표절 시비가 붙은 적이 있었다. 국내 한정으로 이 곡이 이원진의 〈시작하는 연인들을 위해〉라는 곡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표절 판정을 받지는 않았다.

지금이야 힙합이 합쳐진 음악들이 많이 나오지만 90년대 초중반에는 이런 퓨전 음악을 거의 시도 조차 하지 않았는데, 머라이어가 〈Fantasy〉를 힙합 리믹스로 만든 것이 시초가 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미국의 힙합 아티스트들은 머라이어 캐리가 힙합을 대중적으로 끌어올린 아티스트라고 인정하고 있고, 2020년에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 되었다


6.2. 작사[편집]



작사 또한 본인이 다 하는데, 특히 작사는 작곡과 달리 대필이라는 의심이 거의 없다. 그 이유는 작사 내용이 대부분 머라이어 캐리 자신의 상황을 토대로 썼기 때문이다. 머라이어의 주요 작사 내용은 어렸을 적 불우한 시절(왕따)에 대한 회상[147]이나 첫 번째 남편이었던 토미 모톨라와의 사랑 혹은 디스 이야기[148], 닉 캐논과의 사랑 혹은 디스 이야기[149] 또는 찬양(가스펠)[150] 등이 있다. 종종 무대에서 없는 노래를 즉흥(Improvisation)으로 부르는데 그녀의 순발력, 임기응변, 상황 대처 능력과 작사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영어권 국가에서는 머라이어를 Dictionary, Vacabulary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머라이어의 곡 대부분이 일반 사람들이 흔히 사용하는 영어 단어가 아닌 영어권 사람들 조차 사전을 찾아야 의미를 알 수 있는 어려운 단어나 문구를 자주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사가 전반적으로 시적으로 느껴진다고 하는 사람도 종종 있다. 다만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가사에 딱히 어려운 표현은 등장하지 않고 있다.



7. 영향력[편집]


지난 20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보컬 스타일리스트.

― Slate[151]


그녀는 이후 수많은 여성 보컬리스트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32살의 그녀는 이미 살아있는 전설이다. 비록 그녀가 다른 음을 부르지 않더라도.

― PopMatters[152]


머라이어 캐리의 보컬 스타일과 가창력은 대중음악과 현대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가수 중 한 명으로 꾸준히 언급되어 왔다. 마돈나와 더불어 현재 내로라하는 여가수들은 십중팔구 머라이어에게 존경을 표하며 수많은 머라이어 키즈를 거느리고 있다.

덴버 포스트의 음악평론가 지 브라운은 "머라이어 캐리의 5옥타브 음역대와 멜리스마틱 스타일은 머라이어 이후 팝 가수 세대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평가 했으며[153]

롤링 스톤은 "그녀가 마스터한 멜리스마 스타일은 'Vision of Love'와 같은 노래들이 장식하는 설레는 음의 라인들은 좋든 나쁘든 90년대 이후 사실상 모든 여성 R&B 가수들과 아메리칸 아이돌 보컬 스쿨에 영감을 주었다."라고 평했다.[154]

뉴욕 매거진의 로저 데커 편집장은 또 "휘트니 휴스턴이 멜리스마(한 마디를 추가로 20음절이나 20음절 정도 빌려주는 통통 튀는 곡예 스타일)를 차트에 선보였을 수도 있지만 입이 딱 벌어질 정도의 음역대는 머라이어였다"고 평했다. 또한 "아메리칸 아이돌을 켤 때마다 그녀(머라이어)의 아이들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스티비 원더는 "사람들이 위대한 영향력 있는 가수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아레사, 휘트니, 머라이어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것은 머라이어의 재능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녀의 음역대는 그만큼 놀랍다"고 말했다.

머라이어 캐리는 R&B와 힙합을 주류 대중문화에 도입하고 1995년 이후의 노래를 통해 랩을 피처링으로 대중화한 공로[155]를 인정받고 있다. 더 뉴요커의 사샤 프레-존스 편집장은 "그녀에 의해 미시 엘리엇, 비욘세 같은 R&B/힙합 스타들이 멜로디와 랩 구절을 결합하는 것이 표준이 됐다. 그리고 그녀 덕분에 브리트니 스피어스, 제시카 심슨,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그리고 N Sync를 포함한 젊은 백인 팝 스타들은 지난 10년 동안 틀림없이 R&B를 대중음악으로 만드는데 많은 시간을 보냈다."라고 평했다.


8. 인간관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인간관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논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머라이어 캐리/논란#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출연 작품[편집]



10.1. 영화[편집]


Mariah Carey 출연 영화
연도제목배역비고
1998The BachelorIlana배우 데뷔
2001GlitterBillie Frank
2002WiseGirlsRaychel
2003Death of a DynastyMariah Carey카메오
2005State Property 2Dame's Wifey
2008TennesseeKrystal카메오
You Don't Mess with the ZohanMariah Carey
2009PreciousMrs. Weiss
2013버틀러 : 대통령의 집사Hattie Pearl[156]
2015A Christmas MelodyMelissa감독
2016Popstar: Never Stop Never StoppingMariah Carey카메오
The Keys of ChristmasMariah Carey카메오
2017레고 배트맨 무비Mayor McCaskill목소리 출연
Girls TripMariah Carey카메오
The StarRebecca the hen목소리 출연
Mariah Carey's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Mariah Carey / 나레이터목소리 출연, 제작
2020Mariah Carey's Magical Christmas SpecialMariah Carey제작

10.2. 방송[편집]


Mariah Carey 출연 방송
연도제목배역비고
1990Saturday Night Live 시즌 16 4회게스트with 패트릭 스웨이지
1991Saturday Night Live 시즌 17 6회게스트with 린다 해밀턴
1997Saturday Night Live 시즌 23 6회게스트with 클레어 데인즈
2002앨리 맥빌 시즌 5 8회Candy Cushnip
2003Amici di Maria De FilippiMariah Carey
2004더 프라우드 패밀리 시즌 3 1회Mariah Carey (목소리)
2008Saturday Night Live 시즌 33 8회게스트with 조나 힐
2013아메리칸 아이돌 시즌 12심사위원
아메리칸 대드 시즌 9 11회Gina's Replacement Waitress (목소리)
아메리칸 대드 시즌 10 5회Laura (목소리)
2016엠파이어키티
Mariah's WorldMariah Carey
2018더 보이스 시즌 15Key Advisor


11. 수상 내역[편집]



11.1. 그래미 어워드[편집]


파일:Grammy.svg
트로피 5개 보유
1991Best New Artist
Best Female Pop Vocal Performance
Vision of Love
2006Best R&B Song
We Belong Together
Best Female R&B Vocal Performance
We Belong Together
Best Contemporary R&B Album
The Emancipation of Mimi


11.2. 아메리칸 뮤직 어워드[편집]


파일:dwerw22.jpg
트로피 10개 보유
1992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1993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Favorite Adult Contemporary Album
〈MTV Unplugged〉
1995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1996Favorite Pop/Rock Female Artist
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1998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2000Lifetime Achievement Award
2005Favorite Soul/R&B Female Artist
2008Honorary Award


11.3. 빌보드 뮤직 어워드[편집]


파일:BBMAs_logo_01.jpg
트로피 15개 보유
1991#1 Hot 100 Singles Artist
#1 Pop Artist
#1 Adult Contemporary Artist
#1 Album
Mariah Carey
1994#1 Female Artist
1996Special Award – 16 weeks at #1
One Sweet Day
Top Hot 100 Singles Artist
1998Special Award – Female Artist 13 #1 Singles
1999Artist of the Decade
2005Female Billboard 200 Album Artist of the Year
Female R&B/Hip-Hop Artist of the Year
Hot 100 Song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Hot 100 Airplay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Rhythmic Top 40 Title of the Year
We Belong Together
2019Icon Award


12. 여담[편집]


  • 아버지는 베네수엘라계 미국인(흑인)이고 어머니는 아일랜드계 미국인(백인)이다. 그런데 머라이어 캐리는 다른 흑백혼혈에 비해 피부색이 상대적으로 매우 밝게 태어났다.[157] 그래서 자라면서 백인과 흑인 사이에서 어느 쪽으로도 완전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점이 힘들었다고 한다. 다만 머라이어 캐리는 흑인으로서의 인종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158]


  • 부모의 이혼 후 백인 어머니 쪽으로 가서 자란 편이라고 한다. 그 이유는 머라이어 캐리의 상대적으로 많이 밝은 피부색을 질투한 다른 형제들의 괴롭힘 때문이기도 했다고 한다.

  • 많은 사람들이 데뷔 초기 때의 머라이어 캐리 외모 즉, 체형만 보고 원래 타고난 여리여리한 몸매로 착각하여 관리 못하는 여자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사실 여기엔 안타까운 사연이 있다. 어린시절 먹을 것조차 살 돈이 없는 수준으로 가난해서 데뷔 초까지 진짜 영양실조였다고 한다. 원해서 마른 체형을 가진 게 아니라 못 먹어서 그렇게 된 것. 사정이 나아진 1993년 이후로는 건강하며 때론 귀여운 체형을 유지하는 중이다. [159] #

  • 머라이어 캐리는 팬과 안티 등에게 불리는 별명이 다양한데, 대표적인 애칭으로는 본인의 애칭인 미미(MiMi)가 있다. 국내 한정으로는 팬들이 자주 줄여서 부르는 머랴 등이 있다. 하지만 의외로 머캐라고는 줄이지 않는데 어감이 좋지 않기에 안티들이 좋아하는 별명인 멀캐와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160] 그 외에는 누가 붙인 것인지 알 수 없는 미미겅듀라는 별명도 있다. (...)[161] 요즘은 팬들도 머라이어가 공주병스러운 짓을 하면 그렇게 부르기도 한다. 한편 머라이어 본인의 학창 시절에는 Mirage(신기루)라고 불렸다고 한다.[162]

  • 머라이어 캐리의 팬덤명은 'Lamb'이며, 'Lambily'라고도 부른다. 직역하면 양이지만, 애정연민을 담아 사람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기도 하는 단어이다. 꿀이라는 뜻의 Honey가 연인 간의 애칭으로도 쓰이는 예를 생각하면 된다.

  • 머라이어 캐리는 LGBT 커뮤니티의 후원자 겸 지지자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2016년 5월 제27회 GLAAD 미디어 어워드에서 'Ally Award'라는 상을 받았다. 이 상은 "LGBT 평등과 수용을 지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플랫폼을 일관성 있게 이용했다"는 미디어 인사들에게 수여된다.[163]

  • 노래할 때 손동작이 안무를 하는 듯 다양하고 거침없이 움직인다. 이러한 동작을 세세하게 보면 음정이나 박자를 정확하게 맞추거나 소리를 더욱 잘 낼 수 있도록 손동작을 하는 전문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164] 또한, 휘슬 레지스터를 사용할 때 한 쪽 귀를 막으면서 정확한 소리를 내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머라이어 캐리는 사람을 부를 때 Darling이라고 많이 하며,[165] 신나거나 흥미로운 느낌을 Festive라고 자주 표현한다.[166] 또한, 자신이 싫어하는 인물에 대하여, 특히 제니퍼 로페즈에 대하여 물을 때는 'I Don't Know Her.'[167]이라고 말하곤 한다.[168]

  • 머라이어는 자신의 생일을 기념일이라고 표현하는데, 많은 후배 여가수들이 존경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해서 결국은 정식 명칭처럼 사용되고 있다.

  • 머라이어의 친오빠 모건 캐리는 한국의 가수 스컬의 매니저다. 스컬의 미국 진출을 도와준 것도 이 사람. 비록 병역 문제로 좌절됐지만...

  • 고무줄 몸매의 소유자로, 지금은 50대의 아이 엄마이기에 살이 쪘지만 다이어트를 하면 몸매가 드러난다.[169]

  •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대유행 중인 현재[170] 아무에게 말하지 않고 세계보건기구(WHO)에 920만 달러[171]를 기부했는데 WHO 직원을 통해 사람들에게 알려져 많은 팬들이 놀라고 있다. ~~역시 머라이어~

  • 필리핀에서는 국민 가수 대우를 받는다고 한다.[172]Hero, Through The Rain은 국민 발라드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약 90만장의 앨범 판매고를 올렸다고 한다.[173] 머라이어도 이를 인지하고 매 투어마다 필리핀 및 동남아 시장을 꼭 방문한다.

  • 최근 Black Irish라는 이름의 아이리쉬 리큐어를 론칭하였다. 이름의 유래는 자신의 혼혈 혈통에 경의를 표하는 의미에서 지었다고 한다.

  • 2022년 아이들과 이탈리아에서 여름 휴가를 보내던 중 집에 도둑이 들었다.

  • 머라이어 캐리가 가장 좋아하는 자신의 앨범은 《Butterfly》라고 한다.[174]#

  • 김구라의 라떼9 방송에서‘셀럽들의 차박’을 주제로 다룰 때 23억짜리 머라이어 캐리의 캠핑카가 소개되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

13. 외부 링크[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12:54:58에 나무위키 머라이어 캐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Mariah"라는 이름은 1951년 브로드웨이 뮤지컬, 1969년 영화로 제작된 <Paint Your Wagon>의 삽입곡 <The Call The Wind Maria>에서 가져와 모친이 지어준 이름이다. 모친 패트리샤 캐리는 <They Call The Wind Maria>에서 "머라이어"라고 발음한 것을 유지하기 위해 "마리아"로 발음되는 "Maria" 대신 "h"를 붙여 "머라이어"로 발음하는 "Mariah"를 딸의 이름으로 정했다. 어린 시절 머라이어는 흔하지 않은 본인의 이름이 콤플렉스였던 적도 있었다고 한다. "Mariah"라는 이름의 신생아가 미국 전역에서 매년 50명 이하일 정도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이름이었지만 머라이어 캐리가 데뷔한 1990년 이후 2018년까지 약 98,000명의 신생아에게 붙여져 뮤지션의 성공으로 인해 많이 사용된 이름 중 1위라고 한다. #[2] 원래 부계쪽 성은 Nuñez였지만 친조부가 베네수엘라에서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미국식으로 Carey라는 새로운 성을 채택했다.[3] 2005년 4월 30일 CNN 인터뷰에서 언급한 바에 따르면 미들네임이 없다. "She named me Mariah Carey. I don't have a middle name because she was like, this is your stage name."#[4] 머라이어는 몇 년, 몇 십 년을 세지 말고 더 매력적인 "기념일"을 챙겨야 한다고 주장한다.[5]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6] 최고음 B7까지 올라가는 팝 가수나 소프라노들은 아주 드물긴 하지만 종종 있긴 한데 핵심은 최저음이 F2라는 것이다. 이는 웬만한 남자가 내는 중저음을 내는 것이다. 따라서 머라이어의 음역대는 엄밀하게 따지자면 콘트랄토이지만, 보이스 타입은 콜로라투라 라이트 리릭 소프라노이다. 중음역대도 비지 않는 데다가 거의 전 음역대를 완벽한 발성으로 구사한다는 것이 더욱 놀라운 점이다.[7] 잭슨 파이브의 곡[8] 가장 많은 빌보드 1위 곡을 보유한 작곡가 기록에서 역대 4위, 여성 1위에 위치해있다. 1~3위는 순서대로 폴 메카트니, 존 레논, 맥스 마틴.[9] 머라이어의 노래들은 보컬리스트들의 가창력 측정 기준으로 쓰이며 현대의 알앤비, 팝 창법은 대부분 머라이어의 창법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것이다. 그 중에서도 멜리즈마나 휘슬 레지스터 등의 창법에서 머라이어가 끼친 영향력은 엄청난 수준. 또한 보컬 측면뿐만 아니라 송라이팅 측면에서도 머라이어는 많은 영향을 끼쳤다.[10] 대표적인 곡으로 〈Fantasy ft. O.D.B〉등이 있다. 힙합과 팝을 융합시켰다고 하여 Hip-hop이 아니라 Hip-pop이라고도 불리는 장르를 개척했다. 현재는 팝송에 래퍼가 피처링을 하는 건 너무나도 흔히 일어나는 일이지만 당시에는 신선한 시도였다.[11] 그렇다고 Hero의 곡 난이도가 낮다고 보기는 힘들다. 머라이어 노래 특유의 기교는 물론, 브릿지 구간에는 E5(3옥타브 미) 구간이 몇 번씩 나오며 후반에는 B4를 5~6초간 끌어야 해서 전혀 쉽지만은 않다. 그나마 중간 정도 쉬운 노래를 꼽자면 〈I Still Believe〉정도가 있을 것이다. 이마저도 후반부에 4옥타브 레의 가성이 있지만 진성 부분은 무난한 편이다.[12] 특히 팬들이 꼽는 미친 난이도 노래는 〈Butterfly〉, 〈Forever〉, 〈Outside〉, 〈Lead the Way〉, 〈Fly Like A Bird〉, 〈Anytime You Need a Friend〉, 〈There's Got to Be a Way〉, 〈Whenever You Call〉, 〈If It's Over〉, 〈Can't Take That Away (Mariah's Theme)〉, 〈Heavenly (No Ways Tired/Can't Give Up Now)〉, 〈Emotions〉, 〈The One〉 등이 있다. 엄청나게 넓은 음역대, 머라이어 특유의 미친 기교, 완급조절 등 차원을 달리하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13] Lead the way의 경우에는 3초에 F5~E♭4 구간의 20개가 넘는 음을 오가고, Can't take that away도 F#5~G4 정도의 구간을 5초에 30개 정도의 음을 오간다. 라이브에서는 이거보다 더 한다. 최전성기였던 Daydream 투어 당시 Vision of Love 공연에서 10초에 C#5~D3 구간에 60개가 넘는 음을 오간 적이 있었다. 더 놀라운 점은 이런 걸 휘슬 레지스터로도 (한 옥타브 높은 구간에서) 한다는 것.[14] 컨디션이 가장 좋을 때는 Eb3까지 지지가 된다. 그렇지만 머라이어의 저음은 사실 공기 반 소리 반이어서 지지(Support)에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15] 일반적으로 머라이어는 상부 벨트(Upper Belt, Eb5~)의 여왕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런 인식과는 다르게 머라이어는 이 음들을 잘 지지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는 성대 안에 결절이 있기 때문이다.[16] 머라이어의 두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음원이든 라이브든 잘 두성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대신 휘슬과 가성을 활용했다. "Fantasy", ''Dreamlover" 같은 일부 곡의 음원이나 라이브에서 머라이어의 두성을 들을 수 있다.[17] 1990년대 빌보드의 경우에는 디지털 다운로드의 개념이 없던지라 라디오가 순위를 좌우했다. 대형 소속사의 가수인 데다가 엄청난 프로모션을 뛰는 머라이어 캐리가 순위가 높은 것도 생각해보면 당연한 일.[18] 기존에는 2억 장 이상의 음반 판매고로 알려져 있었는데, 이 기사가 발굴된 이후 2억 20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헌데 이 기사도 "머라이어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여성 아티스트"라고 하는 등 신뢰성이 부족하다.[19] 이 역시 불확실하다. 1위가 마돈나, 4위가 휘트니 휴스턴임은 거의 확실한데 셀린 디옹과 머라이어 캐리의 순위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이 문서에는 머라이어가 여자 가수 2위지만,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또 다른 문서에는 머라이어가 여자 가수 3위이다.[20] 월드 와이드 판매량의 경우 6위 정도부터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탑텐에 드는 것은 확실하다.[21] 사실 이 리스트는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문서의 기록을 따온 것이다. 그런데 사실 영어판 위키피디아 문서는 신뢰성이 많이 부족하며, 스트리밍 수치가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스트리밍 빼면 시체인 리아나가 7위이며 테일러 스위프트는 공동 11위이니..[22] 물론 현재 차트에서는 스트리밍도 포함된다. 하지만 스트리밍이 없던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한 가수들을 그들과 비교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다.[23] 머라이어는 RIAA 기준 7400만 장의 음반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2위는 6850만 장을 판매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이다. [24] RIAA 기준 7400만 장 참고[25] 약 1800만 장 / 아시아 전역으로 넓혀봐도 3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하여 역대 영미권 가수 1위이다.[26] 약 1800만 장 / 위로는 모두 자국 여가수들이다.[27] 〈#1's〉,약 350만 장 / 이외에도 〈Music Box〉, 〈Merry Christmas〉, 〈Daydream〉 앨범들이 역대 Top 10 안에 들어간다.[28] 〈#1's〉 , 약 100만 장 / 누적 판매량은 약 350만 장으로 일본에서 가장 많이 팔린 해외 가수 앨범이다.[29] 약 500~600만 장 / 2위는 TWICE[30] 약 500~600만 장[31]Music Box〉, 약 90만 장참고 / 휘트니 휴스턴의 〈The Bodyguard OST〉가 한국 내에서 약 130만 장을 팔아서 1위이다. 참고[32]Music Box〉, 약 90만 장 / 140만 장의 판매량을 기록한 BLACKPINK의 〈THE ALBUM〉, 130만 장 판매량을 기록한 휘트니 휴스턴의 〈The Bodyguard OST〉에 이어 3위이다.[33]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6 플래티넘 인증 / 영국에서 36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6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위 기록은 4 플래티넘 인증을 받은 아델Hello[34]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130만 장 / 디지털 판매량도 2 플래티넘을 기록해 총합 180만 장이 팔렸다.[35] 총 19곡 1위 / 사실 그룹과 남자 가수를 합쳐도 비틀즈 다음으로 역대 2위이다.[36] 총합 91주 1위[37] 총합 23주 2위[38] 1990년~2022년 / 총 33년[39] 1990, 2000, 2010, 2020년대 연속 1위 곡 배출[40] 1990~2000년 / 11년 동안 한 해도 빠짐없이 1위를 차지했다.[41]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2019, 2020, 2021, 2022, 2023년 연속 1위[42] 총 18곡 1위 / 남녀 통합 4위.[43] 총 15곡 1위 / 남녀 통합 6위.[44] 12곡 / 순서대로 〈We Belong Together〉, 〈One Sweet Day〉, 〈Love Takes Time〉, 〈Vision of Love〉, 〈Fantasy〉, 〈Emotions〉, 〈Dreamlover〉, 〈Someday〉, 〈Hero〉, 〈Always Be My Baby〉, 〈I Don't Wanna Cry〉,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45] 이 차트들은 단순히 앨범이나 싱글의 절대적인 판매량이 아니라 빌보드 차트 내에서의 흥행 여부를 따진 것으로 보인다. 만약 판매량만으로 집계를 했다면 당연히 앨범 호황기였던 90년대 가수들이 차트를 정복해버릴 것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인듯 하다.[46] 1990, 2000, 2020년대 1위 곡 보유 / 각각 〈Without You〉, 〈Against All Odds〉,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47]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 1990, 2000, 2010, 2020년대 모두 Top 10에 진입했다.[48]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115주~ing[49]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2,127만 회[50]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1.3억 회[51]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1.3억 회[52]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약 11.3억 회[53]Merry Christmas〉 약 16억 회[54] 미국에서만 쓸 수 있는 스트리밍 플랫폼[55] 스포티파이에서 약 56억 회, 판도라[54]에서 약 60억 회와 나머지 플랫폼을 합산.[56] 미국 내 900만 장[57] 일본 내 92만 장[58] 400만 장[59] 100만 장[60] 1000만 장[61] 일본 내 240만 장 [62] 800만 장 [63] 275만 장[64] 1000만 장 [65] 260만 장 [66] 500만 장 [67] 130만 장 [68] 300만 장 [69] 87만 장 [70] 68만 장 [71] 40만 장 [72] 120만 장 [73] 36만 장 [74] 615만 장 [75] 33만 장 [76] 135만 장 [77] 17만 장 [78] 57만 장 [79] 10만 장 [80] 60만 장 [81] 35,000장 [82] 15만 장[83] 3만 장[84] 5만 장[85] 미국 내 500만 장[86] 일본 내 370만 장[87] 130만 장[88] 40만 장[89] 40만 장[90] 86,000장[91] 90[92] 91[93] 91[94] 94[95] 2019년, 발매 25년만에 1위.[96] 20[97] 21[98] 22[99] 95[100] 96[101] 빌보드 선정 1990년대 최고의 노래[102] 16주 1위로 최장기간 1위 곡에 등극하였으나, 2019년에 Old Town Road가 19주 1위를 차지하면서 기록을 넘겨주면서 해당 부문 공동 2위. 빌보드 핫 100 참조.[103] 96[104] 빌보드 선정 2000년대 최고의 노래[105] 최장기간 1위곡 공동 4위[106] 06[107] 92[108] 'We Belong Together'가 이 곡의 1위를 막았다.[109] 더블싱글[110] 15명의 가수가 참여한 프로젝트 싱글.[111] 버블링 언더 #1[112] 버블링 언더 #4[113] 버블링 언더 #5[114] 버블링 언더 #14[115] 버블링 언더 #15[116] 버블링 언더 #17[117] 버블링 언더 #19[118] 버블링 언더 #23[119] 버블링 언더 #25[120] 2020년, 발매 26년만에 첫 1위.[121] 94[122] 07[123] 11[124] 19[125] 20[126] 21[127] 이 공연이 머라이어가 감기로 인해 컨디션이 안 좋을 때였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라이브와 그녀의 라이브 사상 최고의 고음인 5옥타브 라#을 냈다.[128] 당연하지만 그래미와의 관계랑은 다르다. 머라이어의 뮤직비디오가 딱히 작품성이 없었기 때문에 VMA에서의 수상이 없는 것일뿐이다. 그러나 그래미에서는 역대급 명반을 여러번 내놓았음에도 노미네이트만 주구장창 시켜놓고는 상을 거의 안 주었다.[129] 이 비디오를 본 사람들은 대체 어디에 돈을 썼냐고 물을 수 있는데 비디오 속에 나온 머라이어의 얼터 이고(Alter ego)인 비앙카를 구현하는 데에 상당수 돈이 들어갔다. 그 당시에는 CG 기술이 아직 발달이 크게 안되었기 때문에 엄청난 돈이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130]It's Like That〉에서 약혼자(정략결혼인 듯한 느낌을 물씬 풍김.)의 파티에서 우연히 한 남자를 보고 반하게 되고 〈We Belong Together〉에서 약혼자와 남자를 두고 갈등하지만 결국 돈 대신 사랑을 선택하는 스토리이다.[131] VMA 측이 머라이어와 사이가 나쁜 것인지는 모른다. 원래 이 시상식이 옛날부터 퍼포먼스형 가수 위주로 시상되던 시상식이다 보니 마돈나, 자넷 잭슨 같은 댄스 가수들과 락가수들이 상을 많이 타갔다. 현재에도 비욘세케이티 페리, 리아나, 레이디 가가 등 댄스와 퍼포먼스 위주 가수들에게 준다. 유튜브의 발달과 보는 음악의 확대에 따라 뮤직비디오 자체의 작품성에 신경을 많이 쓰기 시작한 것도 있다. 이렇다 보니 디바형 가수들이 상대적으로 수상실적이 적다. 예외도 있는데 휘트니 휴스턴의 경우 대상 다음가는 본상격인 최고 여자 비디오 상을 탄 전적이 있다. 후배 디바인(락 색채가 있지만) 켈리 클락슨도 2년 연속으로 최고 여자 비디오상을 가져갔다. 유독 머라이어에 대해서만 수상은 둘째치고 후보 전적도 1번 외에는 없다는 것이 팬들 사이에서도 의문이다.[132] 사실 웃긴 뮤비라고 하는 팬들이 많다.[133] 당시 임신 중이었다.[134]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135] We Belong Together[136] When You Believe, Without You,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Make My Wish Come True Edition)[137] Hero, Always Be My Baby, I Know What You Want, One Sweet Day[138]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SuperFestive!), Touch My Body, My All, Obsessed, I Want To Know What Love Is[139] Angels Cry, Bye Bye, Fantasy, O Holy Night[140] 특히 HeroWithout You는 90년대 초반의 노래인데다가 뮤직비디오를 가장한 라이브 영상이다. 또한 One Sweet Day 같은 경우는 90년대 중반 노래인데다가 녹음하는 영상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녹음하는 장면만 나온다.[141] 가장 높은 조회 수를 기록하고 있는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같은 경우에는 매년 겨울이 되면 조회 수가 급등한다.[142] 그러나 이 셋은 90년대 후반에 데뷔했으며 유튜브가 발달하기 시작한 2000년대 후반에도 여전히 활발히 활동한 현역 가수들이다. 머라이어는 유튜브의 발달 즈음으로 이미 중견가수였다는 점에서 어찌 보면 대단한 것이다.[143] 물론 그 이전 부터 여성 작곡가 및 여성 싱어송라이터들은 많았다. 자넷 잭슨도 단독 작사작곡으로 이미 빌보드 1위를 경험한 적 있으며, 돌리 파튼의 "I will always love you"도 그녀가 직접 만든 것이다.[144] 우리나라로 치면 작곡가(탑라이너),편곡가(비트 메이커) 중에서 작곡가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145] 예로 용감한 형제윤종신 같은 나름 거물급 작곡가들조차도 악보를 보는 게 어렵다고 고백한 바 있다. 애초에 실용음악 범위에서 다루는 화음, 반주 등은 한계가 있는데다가, 이쪽 업계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전문적으로 화성학을 배웠다기보다는 어깨 너머 곁눈질로 보거나 노하우를 전수받아가며 배운 이들의 비율이 훨씬 많다.[146]Emotions〉, 〈Can't Let Go〉, 〈Make It Happen〉[147] Make It Happen, Close My Eyes, Outside, Petals, Can't Take That Away 등.[148] Dreamlover,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 Did I Do That, Slipping Away, Side Effect 등.[149] Memoirs Of An Imperfect Angel의 모든 곡, Cry, Faded, Camouflage, Infinity[150] Make It Happen, Hero, Jesus Born On This Day, My Saving Grace, Fly Like A Bird, I Wish You Well, One Child 등.[151] 출처[152] 출처[153] 출처[154] 출처[155] 그냥 부드러운 팝 노래였던 Fantasy에 래퍼를 기용하여 리믹스 곡을 낸 적이 있는데, 현재에는 이게 너무나도 당연한 레퍼토리지만 당시에는 신선한 시도였다.[156] 여러 사람들이 도대체 어디서 머라이어 캐리가 등장한거냐고 의문을 갖는다. 영화 극초반에 주인공의 어머니로 출연하며, 대사도 거의 없다. 백인 주인이 창고로 끌고간 이후로 출연이 없다가, 노년의 모습으로 다시 나오나, 실어증이라는 이유로 또 대사가 없다.[157] 흑인의 외모적 특성은 유전적으로 우성이라서 흑백혼혈들은 흑인에 더 가까운 외모로 태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58] 미국에는 한 방울 원칙이라는 문화가 정서적으로 아직도 남아있다. 외모 및 문화적인 이유로 흑백혼혈 미국인들은 흑인으로서의 인종적 정체성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159] 'I was malnourished at that point, pretty much, for real. When I look back, I’d been through a lot already. I had a very difficult childhood.' / '나는 그 때 영양실조였다, 거의, 진짜로. 돌이켜보면 이미 많은 일을 겪었었다. 나는 매우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다.'[160] 멀캐는 PC통신 시절 머라이어 캐리 팬들이 부른 별명이긴 하지만 이상하게 안티들이 머라이어+암캐 라는 뜻으로 사용하면서 팬들이 싫어하는 별명이 되었다.[161] 8,90년대엔 바비인형과 유사하지만 얼굴은 좀 더 한국 취향 순정만화 스타일인 '미미' 인형이 한국에서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었고, 공주 시리즈가 특히나 인기를 끌었기에 예쁜 여자아이를 보고 '미미공주'에 비유하는 일이 잦았다. 미미인형의 유행이 지난 다음에도 '미미공주'란 말은 꽤 오래 살아남았는데, 캐리의 애칭이 미미이기에 자연스럽게 붙은 것으로 보인다.[162] 그 이유는 학교 수업에 잘 들어오지 않아서이다.[163] 또한, 마돈나, 레이디가가, 브리트니 스피어스 등과 함께 게이들에게 인기가 많은 여가수중 한명이다. 그녀 본인의 공주병, 디바 기질도 인기를 끄는 요인중 하나다.[164] 한쪽 귀를 막는 동작, 한 바퀴 도는 동작, 마라카스를 흔드는 동작, 손가락을 팔랑거리는 동작, 손으로 동그라미를 만드는 동작, 팔을 벌리는 동작, 하늘로 팔을 뻗는 동작, 얼굴을 가리는 동작 등 다양하다.[165] Always Be My Baby 또는 Forever(4집의 곡들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의 후렴구 가사에서도 엿볼 수가 있다.[166] 2019년 말에 빌보드 인터뷰에서 All I Want for Christmas Is You가 나올 때 볼 수 있다.[167] 난 그녀를 몰라요.[168] 팬들 사이에서 Meme로 유행한다.[169] 그 예가 2008년 E=MC² 활동 당시이다.[170] 2020년 3월.[171] 2020년 3월 기준 한화로 약 116억 원.[172] 이는 필리핀의 엔터테인먼트 문화에서 기인하는데, 필리핀은 현지 엔터테인먼트 시장보다 팝 이나 케이팝 등 해외 엔터테인먼트 시장의 영향력이 더욱 크기 때문이다. 이는 필리핀이 영어 문화권인 점도 한 몫했다. 또한 팝 시장에도 니콜 셰르징거, 켈라니, 올리비아 로드리고, 브루노 마스 등 필리핀계 혈통을 지닌 팝스타가 다수 존재한다.[173] 일본, 한국, 대만에 비하면 많은 판매량은 아니지만, 필리핀 앨범 시장이 작기도 하고, 통계치가 비공식적인 것을 감안하면 높은 수치다.[174] 2022년 기준으로 25주년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