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 버스 5615

덤프버전 :

||


파일:5615_2879.png
파일:5615_2655.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15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615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보성운수차고지)종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삼부아파트)
종점
첫차04:10기점
첫차04:55
막차23:00막차23:45
평일배차8~10분주말배차11~14분
운수사명보성운수인가대수19대(예비 1대)[1]
노선보성운수차고지 - 세이브마트 - 난곡우체국사거리 -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 KT구로지사 - 디지털단지오거리 - (구로남초등학교 →/← 가리봉시장 ←) - 남구로역 - 구로119안전센터 - (→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 구로역.NC신구로점 →/← 우리유앤미아파트 ← 쌍용구로정비센터 ←) -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전경련회관 → 여의도환승센터여의나루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국회의사당역 → KBS → 영등포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보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7.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19번 도시형버스(난곡 - 여의도)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5615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7월 10일에 여의도역에서 여의도환승센터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09년 12월 24일에 여의서로에서 국회의사당역 경유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8월 16일부터 일 운행횟수가 평일에는 4회 증회, 공휴일에는 8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7월 15일을 기해 하절기 CNG 감압충전으로 인한 충전횟수 증가에 따라, 동년 8월 31일까지 대당 일 운행횟수가 한시적으로 감축 운영되고 이 기간에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각각 9회/7회/6회 감회되었다. 본래 평일 7~12분, 토요일/공휴일 8~12분인 배차간격도 평일 8~10분, 토요일/공휴일 11~14분으로 조정 운영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11월 1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공휴일 각각 1회, 토요일 2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배차간격도 하절기 CNG 감압충전 기간과 동일한 수준인 평일 8~10분, 토요일/공휴일 11~14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7월 6일부터 동년 9월 29일까지, 하절기 CNG 감압충전으로 인한 충전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일 운행횟수가 한시적으로 감축 운영되며 1일 총 운행횟수도 한시적으로 감축 운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3월 8일부터 충전수당 미지급에 따른 근무 중 충전시간 확보를 위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에 각각 7회/6회/5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 관련 공문

  • 2021년 4월부터 '가리봉파출소' 정류소가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난곡동에서 운행하는 버스노선 중 개편 전후로 노선이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 506번, 5616번과 더불어 난곡동에서 다른 권역까지 운행한다.

  • 기종점간의 수요보단 구간 수요가 많으며, 영등포역에서 여의도 방향 수요도 제법 있다. 영등포역 ~ 서여의도 구간은 10번과 선형이 비슷하다. KBS와 여의도 더샵 아일랜드파크 수요가 있다.


  • 여의도 방향 노선은 가리봉시장을 경유하지 않고, 만민중앙교회를 거쳐 구로남초등학교 앞을 지나는 왕복 2차선 도로를 지나는데 이곳은 양 방향 불법주차된 차량이 많아서 운이 나쁘면 이쪽 구간에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

  • 여의도 방향 노선은 구로동로 옆의 일방통행길을 이용하며, 구로변전소에서 구로중앙로를 만나 우회전한 다음, NC구로점 앞의 지하차도 위에서 U턴하여 구로역 방향으로 운행한다. 구로역에서 영등포역까지는 경인로를 이용하는데, 503번과 달리 구로역에서 바로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진입하지 않고 신도림역부터 진입하기 때문에 출퇴근 시간대에는 약간 오래 걸린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키다보니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며, 이로 인해 주변 교통 혼잡이 가중되었다. 때문에 2017년 7월 1일부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승객을 받는다. 관련 기사 (관련 사진)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15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12,547명-
2014년11,650명▽ 897
2015년10,891명▽ 759
2016년10,601명▽ 290
2017년10,299명▽ 302
2018년9,954명▽ 345
2019년9,849명▽ 105
2020년7,668명▽ 2,181
2021년7,660명▽ 8
2022년8,632명△ 972
※ 하차 인원 미포함


4.2. 노선[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15번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여의도순복음교회
19137
여의나루역
19140
국회의사당
19280
삼부아파트
19159
국회의사당역
19133
여의도환승센터(2번승강장)
19007
KBS
19130
전경련회관
19161
이상 회차 구간
영등포역
19006
영등포역
19005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4
남부지방법원등기국.구로세무서.에이스하이테크시티
19003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2
문래동남성아파트
19001
신도림역
17001
신도림역
17002
신도림중학교
17153
신도림중학교
17152
구로역
17155
구로역
17154
쌍용구로정비사업소
17143
구로역.AK플라자
17145
우리유앤미아파트
17141
구로변전소.구로초등학교
17142
구로119안전센터
17140
구로119안전센터
17139
구로4동우체국.고대구로병원정문
17138
구로4동우체국.고대구로병원정문
17137
구로시장
17136
구로시장
17135
-
구로4동자치회관
17134
남구로역
17133
남구로역
17245
가리봉시장
17132
구로남초등학교
17247
-
만민중앙교회
17126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파출소
18151
디지털단지오거리
17128
디지털단지오거리
18118
-
가산초등학교
18119
연희미용고등학교
17230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18197
KT구로지사
21114
-천주교성령봉사회관.등불교회
21113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18198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21112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
21219
신림청소년독서실.신림체육센터
21359
난곡우체국사거리
21218
난곡우체국사거리
21205
신일교회앞
21217
신일교회앞
21206
세이브마트앞
21216
세이브마트앞
21207
남강중고등학교입구
21215
남강중고등학교입구
21208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21214
우림시장.난곡보건분소
21209
난우중학교입구
21213
난우중학교입구
21210
신림복지관앞
21212
신림복지관앞
21211
보성운수차고지맞은편
21363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9:12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561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5대 / 공휴일 13대 운행, 예비차는 5522B노선과 공용으로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