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상철(1893)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제2대
신성모
제3대
김효석
제4대
백성욱
제5대
조병옥
제6대
이순용
제7대
장석윤
제8대
이범석
제9대
김태선
제10대
진헌식
제11대
백한성
제12대
김형근
제13대
이익흥
제14대
장경근
제15대
이근직
제16대
민병기
제17대
김일환
제18대
최인규
제19대
홍진기
제20대
이호
제21대
홍익표
제22대
이상철
제23대
현석호
제24대
신현돈
제25대
조재천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26대
한신
제27대
박경원
제28대
엄민영
제29대
양찬우
제30대
엄민영
제31대
이호
제32대
박경원
제33대
오치성
제34대
김현옥
제35대
홍성철
제36대
박경원
제37대
김치열
제38대
구자춘
제39대
김종환
제40대
서정화
제41대
노태우
제42대
주영복
제43대
정석모
제44대
김종호
제45대
정호용
제46대
고건
제47대
정관용
제48·49대
이상희
제50대
이춘구
제51대
이한동
제52대
김태호
제53대
안응모
제54대
이상연
제55대
이동호
제56대
백광현
제57대
이해구
제58대
최형우
제59대
김용태
제60대
김우석
1998년 총무처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제61대
서정화
제62대
강운태
제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제2대
김기재
제3대
최인기
제4대
이근식
제5대
김두관
제6대
허성관
제7대
오영교
제8대
이용섭
제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제2대
이달곤
제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제2대
강병규
제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제2대
홍윤식
제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제2대
진영
제3대
전해철
제4대
이상민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대한민국 제6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이상철
李相喆 | Lee Sang-cheol
파일:이상철 부의장.png
출생1893년 4월 30일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선학동
(現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선학리)
사망1979년 11월 27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응암동 81-130
(現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1]
본관경주 이씨[2]
석운(石雲)
재임기간제11대 체신부 장관
1960년 8월 23일 ~ 1960년 9월 11일
제22대 내무부 장관
1960년 9월 12일 ~ 1960년 10월 13일
제6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65년 12월 17일 ~ 1967년 6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이보우
형제자매형 이상각[1]
배우자김성희
자녀1남 1녀
학력메이지대학 전문부 (법과 / 졸업)
의원 선수3
의원 대수2, 5, 6
경력동아일보 사회부 기자
조선일보 기자
매일신문 기자
제2대 국회의원 (청양군 / 무소속)
대한민국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제5대 국회의원 (청양군 / 민주당)
제11대 체신부 장관
제22대 내무부 장관
제6대 국회의원 (청양군,홍성군 / 국민의당)
제6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신민당 고문

[1] 쌍둥이 형이다.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언론인.


2. 생애[편집]


1893년 충청남도 공주군 사곡면 선학동에서 부농이었던 이보우의 쌍둥이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나 일제강점기 일본으로 유학가서 메이지대학 전문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귀국하여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문 등에서 사회부, 정치부 기자를 역임하였다.

8.15 광복 후인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충청남도 청양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이종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해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정명선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김창동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당시 민주당 신파 소속이었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1960년 8월부터 9월까지 체신부 장관을, 같은 해 9월부터 10월까지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후보로 충청남도 청양군-홍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는 민중당, 신민당 소속으로 야당 몫의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국회부의장으로 재임 중이던 1966년 김두한국회 오물 투척 사건을 일으킬 때 사회를 보고 있었다. 이후 1969년 신민당 고문으로 위촉되었다.

신민당 고문 재임 중이던 1979년에 자택에서 사망했으며 사후 충청남도 대덕군 기성면 평촌리(현 대전광역시 서구 평촌동)에 안장되었다.


3.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충남 12[3]
무소속

10,085 (31.38%)낙선 (2위)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10,187 (-%)당선 (1위)초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7,719 (21.36%)낙선 (2위)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13[4]

17,569 (49.21%)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23,994 (64.26%)당선 (1위)재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충남 7[5]

26,864 (38.63%)3선

4. 둘러보기[편집]








[1]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2] # 39세손 상(相)○ 항렬.[3] 청양군[4] 청양군[5] 청양군, 홍성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2:41:30에 나무위키 이상철(189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