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해구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제2대
신성모
제3대
김효석
제4대
백성욱
제5대
조병옥

제6대
이순용
제7대
장석윤
제8대
이범석
제9대
김태선
제10대
진헌식

제11대
백한성
제12대
김형근
제13대
이익흥
제14대
장경근
제15대
이근직


제16대
민병기
제17대
김일환
제18대
최인규
제19대
홍진기
제20대
이호

제21대
홍익표
제22대
이상철
제23대
현석호
제24대
신현돈
제25대
조재천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26대
한신
제27대
박경원
제28대
엄민영
제29대
양찬우
제30대
엄민영

제31대
이호
제32대
박경원
제33대
오치성
제34대
김현옥
제35대
홍성철



제36대
박경원
제37대
김치열
제38대
구자춘
제39대
김종환
제40대
서정화

제41대
노태우
제42대
주영복
제43대
정석모
제44대
김종호
제45대
정호용


제46대
고건
제47대
정관용
제48·49대
이상희
제50대
이춘구

제51대
이한동
제52대
김태호
제53대
안응모
제54대
이상연
제55대
이동호


제56대
백광현
제57대
이해구
제58대
최형우
제59대
김용태
제60대
김우석

1998년 총무처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제61대
서정화
제62대
강운태
제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제2대
김기재
제3대
최인기
제4대
이근식
제5대
김두관

제6대
허성관
제7대
오영교
제8대
이용섭
제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제2대
이달곤
제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제2대
강병규
제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제2대
홍윤식
제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제2대
진영
제3대
전해철
제4대
이상민




현직 및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나라당 흰색 구 아이콘.svg 파일:한나라 글씨97~04.png 정책위원회 의장
창당

초대
이해구


2대
하경근

파일:신한국당 로고.svg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3대
김중위

4대
이해구


해산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안성군)
선거구 개편
이자헌
유치송

제13-15대
이해구


선거구 개편
심규섭[1][A]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안성시)
제16대
심규섭[A]

제16대
이해구


제17대
김선미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농어민 및 도시영세민대책특별위원장
신설

제15대 후반기
이해구


활동 종료


대한민국 제57대 내무부 장관
이해구
李海龜 | Lee Hae-koo


출생
1937년 9월 10일 (86세)
경기도 안성군 서운면 청룡리
(現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리)
본관
전주 이씨
현직
국민의힘 상임고문
재임기간
제8대 내무부 치안본부장
1983년 4월 7일 ~ 1984년 10월 10일
제20대 경기도지사
1984년 10월 10일 ~ 1986년 1월 8일
제3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30일
제57대 내무부 장관
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박경점
자녀
2남 2녀
학력
서운국민학교 (졸업)
안성농업중학교 (졸업)
군산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행정학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 / 수료)
병역
대한민국 해군 중위 전역
소속 정당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3, 14, 15, 16
경력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치안본부 교통과장 (전두환 정부)
경찰종합학교장 (전두환 정부)
치안본부 제4부장 (전두환 정부)
제35대 서울특별시경찰국장 (전두환 정부)
제8대 치안본부장 (전두환 정부)
제20대 경기도지사 (관선)
제15대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전두환 정부)
제13대 국회의원 (경기 안성시 / 무소속)
제14대 국회의원 (경기 안성시 / 민주자유당)
김영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수위원
제57대 내무부 장관 (문민정부)
신한국당 경기도당 위원장
나라회 기획간사
제15대 국회의원 (경기 안성시 / 신한국당)
신한국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나라당 당무위원
국회 농어민및도시영세민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
제16대 국회의원 (경기 안성시 / 한나라당)
한나라당 대통령친인척및측근비리진상조사특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헌정회 이사
제5대 두원공과대학 학장
새누리당 상임고문
제7대 두원공과대학교 총장
자유한국당 상임고문
미래통합당 상임고문
국민의힘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논란
5. 선거 이력
6. 소속 정당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관료, 정치인.


2. 생애[편집]


1937년 경기도 안성군에서 태어났다. 성장기를 잠시 군산시에서 보내면서 군산고등학교고려대학교 법과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였다.

1961년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였고 1968년 총경 계급으로 들어가 경찰공무원으로 근무하였다. 전두환 정권 때 서울시경국장[1]치안본부장, 경기도지사,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2] 등을 역임하였다. 국가안전기획부 제1차장 시절이던 1987년 초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축소, 은폐하는 것과 통일민주당 창당 방해 사건 등에 책임이 있었다는 논란이 있었다.

해당 논란으로 인하여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공천을 받지 못하고 무소속으로 경기도 안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앞서 말한 군사 정권 협력 이력 때문인지 당선 직후 대학생 15명이 사무실에 침입해 화염병 3개를 던지고 책상과 전화기 등 집기를 파손시킨 뒤 달아난 일도 있었다. 이후 1989년 민주정의당에 복당하였고 3당 합당 과정에서 그대로 잔류하여 민주자유당 소속이 되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리고 민주자유당 제1사무부총장에 임명되었다. 김영삼 정권 출범 후인 1993년 2월부터 12월까지 내무부(현 행정자치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내무부 장관 재직 시절 한총련이 주도하는 학생시위를 진압하러 간 김춘도 순경이 학생 시위대에게 몽둥이로 맞아 순직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한총련의 조직과 배후세력의 실체 등을 정밀분석해 이적단체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폭력시위와 북한과의 통신행위를 엄단하겠다는 말을 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7년 신한국당 정책위의장을 역임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안성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새천년민주당 심규섭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심규섭 국회의원이 별세하여 치러진 2002년 재보궐선거에서 심규섭의 부인인 새천년민주당 김선미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3] 이어 불법 대북송금 사건이 일어나자 대북송금 진상조사특위 위원장을 맡아 사건을 조사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김선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안성시 소재 전문대학인 두원공과대학교에 영입되어 2019년까지 총장을 지냈으나 학교 측의 사정이 나빠지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3. 여담[편집]


  • 국회의원을 4선을 지냈음에도 상임위원장을 지내지 못 했다. 3선 당시에는 여당 정책위의장을 지냈고, 4선 의원이 되어 원내에 복귀했을 때에는 이미 상임위원장 배분이 끝나서 자리가 없었다. 5선에 도전했지만 그 때는 심규섭 전 의원의 아내인 김선미 후보에게 밀려서 낙선하여 기회가 없었다.

  • 18대 총선에서 당선된 이후 안성시에서 4선을 한 김학용 의원이 그의 최측근이었다. 1988년 이해구 의원 비서관을 시작으로 정계 입문, 1995~2004년에는 경기도의원을 지냈으며[4], 2004년 이후에 안성시 당협위원장 자리에 올라 원외 위원장 생활을 하다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4선을 하게 되었다.


4. 논란[편집]


  • 대한항공 801편 추락 사고 4일 후인 1997년 8월 10일에 조진형, 박세환을 비롯한 당시 신한국당 소속 국회의원들과 함께 사고기 잔해 앞에서 기념촬영을 파문이 일기도 하였다. 당시 제1야당이었던 새정치국민회의신기하 의원도 해외 연수 일정으로 부인 김정숙 및 24명의 당원들과 함께 으로 떠났다가 이 사고에 휘말려 참변을 당했는데 이런 일을 벌인 것. 이후 신기하 의원의 어머니 이묘현[5]씨도 충격을 받아 식음을 전폐하다가 사고 49일 만에 뒤따라 세상을 떠났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안성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255 (43.09%)
당선 (1위)
초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2,196 (51.79%)
재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793 (50.89%)
3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5,815 (43.33%)
낙선 (2위)

2002
상반기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24,553 (53.90%)
당선 (1위)
4선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6,096 (39.80%)
낙선 (2위)



6.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7 - 1988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8 - 1989
탈당[6]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9 - 1990
복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5
합당[7]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1997
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12
합당[8]
정계 은퇴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2 - 2017
당명 변경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7 - 2020
당명 변경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합당[9]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
당명 변경


7. 둘러보기[편집]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White.svg 경기도 제16대 국회의원

[ 펼치기 · 접기 ]
[[수원시 갑|

수원 장안
]]
[[수원시 을|

수원 권선
]]
[[수원시 병|

수원 팔달
]]
[[성남시 수정구(선거구)|

성남 수정
]]
[[성남시 중원구(선거구)|

성남 중원
]]
박종희
신현태
남경필
이윤수
조성준





고흥길
임태희
홍문종
이종걸
심재철
[[부천시 갑|

부천 원미 갑
]]
[[부천시 을|

부천 원미 을
]]
[[부천시 병|

부천 소사
]]
[[부천시 정|

부천 오정
]]
광명
안동선
배기선
김문수
최선영
전재희
평택 갑
평택 을
[[양주시·동두천시|

동두천·양주
]]
안산 갑
안산 을
원유철
정장선
목요상
김영환
천정배
[[고양시 갑|

고양 덕양 갑
]]
[[고양시 을|

고양 덕양 을
]]
[[고양시 병|

고양 일산 갑
]]
[[고양시 정|

고양 일산 을
]]
[[의왕시·과천시|

과천·의왕
]]
유시민
이근진
정범구
김덕배
안상수
구리
남양주
[[화성시 갑|

오산·화성
]]
시흥
군포
전용원
조정무
강성구
박병윤
김부겸
하남
이천
파주
용인 갑
용인 을
김황식
이희규
이재창
남궁석
공석
안성
김포
광주

여주
이해구
박종우
박혁규
이한동
이규택

정병국






[1] 당시만 해도 이 보직은 치안감이 보임되었다.[2] 현재의 국정원 1차장은 차관급이나 이 시절에는 안기부장이 부총리급이고 안기부 차장이 장관급이었다.[3] 그리고 20년 후 그의 비서관을 지냈던 김학용2022년 3월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총선에서 낙선했던 보수정당 소속 후보가 2년 후 치러진 재보선에서 지역구를 탈환하는 일이 재현되었다.[4] 2004년 2월, 부의장 임기 중에 사퇴했는데 이건 고령의 이해구 의원이 5선에 도전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하고 총선출마를 이유로 사직했기 때문이다.[5] 1904년생.[6]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7]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8]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9]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