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본 내셔널리즘

덤프버전 :

파일:흰색 깃발.svg
내셔널리즘 사상의 분파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장기(일본국 국기)[1]
日本ナショナリズム[2] / Japanese nationalism
1. 개요
2. 역사
2.1. 일본 제국 시대
2.2. 전후 일본
3. 상징물
4. 일본 내셔널리스트 정당
4.1. 과거의 정당
4.2. 현재의 정당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일본의 내셔널리즘은 일본이 하나의 단일 문화를 지닌 국가라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운동이다.

전전 시대에는 민족주의라는 표현을 사용했지만 전후에는 민족주의라는 용어가 혈통주의,인종주의를 내포하고 있다는 논란 때문에 일본 내에서는 '민족주의'보다 '내셔널리즘'이라는 용어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현대 일본에서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한국과 달리 자주 사용되지는 않으며, 내셔널리즘 그 자체보다는 종족 내셔널리즘을 의미할 때가 많다.[3]

전후 일본 내셔널리스트들의 주요 의제는 일본의 재무장, 실지회복주의[4], 역사 수정주의 등으로 대표된다. 현 여당인 자유민주당(일본)도 내셔널리스트 정당이다.


2. 역사[편집]



2.1. 일본 제국 시대[편집]


일본에서 근대적 민족주의 운동은 메이지 시대에 시작되었는데, 야마토 민족 뿐 아니라 다른 소수민족까지 결합해 일본민족으로 하나로 묶어 애국심을 고취시키고 국가 단결을 이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시기 일본 민족주의는 자유주의(리버럴) 정치 세력들에게도 받아들여졌다.

쇼와 시대에는 극단적인 국수주의에 기반한 천황제 파시즘의 형태로 나타났고, 이것은 중일전쟁태평양 전쟁, 일본의 전쟁범죄라는 비극으로 이어졌다.


2.2. 전후 일본[편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일본의 우경화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
,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일본 내셔널리즘은 주로 정치적 보수주의와 깊은 연관을 가져왔다. 좌파,혁신 진영이나 리버럴 진영에서도 외교 정책 등에서 내셔널리즘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대놓고 내셔널리즘을 지지하는 경우는 보통 우파 세력이다.

2차 세계대전 직후에는 GHQ에 의해 내셔널리즘이 억제되었으나, 한국전쟁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채결 이후 내셔널리즘 운동에 대한 법적,사회적 제한이 풀리게 되었다. 전후 일본 보수주의 진영은 보수본류보수방류로 나뉘었는데 일본 내셔널리즘은 주로 후자가 대변했다. 이러한 일본 내셔널리즘은 기시 노부스케 정권에서 두드러졌다가 안보투쟁으로 인해 다시 사그라들었다.

90년대 이후부터 일본의 우경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대 일본 내셔널리즘은 주로 이것을 의미한다. 해외에서는 우경화라는 표현보다는 '내셔널리즘이 부상하고 있다', '일본 (우익) 내셔널리즘 운동 어쩌구 저쩌구' 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우경화는 보통 보수화를 의미하는데, 보수가 반드시 내셔널리즘을 전제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3. 상징물[편집]


일장기욱일기는 일본 내셔널리즘 운동에서 자주 등장한다. 사실 일본 뿐 아니라 자국 국기나 군기는 많은 나라의 내셔널리즘 운동에서 종종 애용된다. 한국만 봐도 (진영은 다르지만) 태극기 부대반일시위 등에 있어서 태극기가 등장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신사 또한 간혹 내셔널리즘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한국에서 악명 높은 것으로 야스쿠니 신사가 있다.


4. 일본 내셔널리스트 정당[편집]



4.1. 과거의 정당[편집]




4.2. 현재의 정당[편집]




5. 관련 문서[편집]



[1] 구 일본 제국 시절에 사용했던 일장기는 지금보다 더 어두운 붉은색이었다.[2] 유의어로 국가주의(国家主義), 국수주의(国粋主義), 민족주의(民族主義)가 있다. 서구권에서 스테이티즘과 내셔널리즘은 별개의 이념이지만, 일본에서는 내셔널리즘을 국가주의라고 표현하기도 했다.[3] 현대 자민당의 내셔널리즘은 일본 제국 시기의 종족 내셔널리즘(민족주의)적 성격보다 상대적으로 시민 내셔널리즘으로 변화하였다. 물론 여전히 종족 내셔널리즘의 성격도 강하다.[4] 쿠릴 열도 분쟁, 독도 분쟁 등이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