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군위군·의성군·청송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군위군·의성군·청송군.svg
선거인 수108,345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군위군 전역
군위읍,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고로면

의성군 전역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

청송군 전역
청송읍, 부남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 주왕산면
신설년도2004년
이전 선거구군위군·의성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이후 선거구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국회의원김재원
1. 개요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3. 군위군·선산군, 의성군, 청송군·영덕군 (13 ~14대)
4. 군위군·칠곡군, 의성군, 청송군·영덕군 (15대)
5. 군위군·의성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16대)
6. 군위군·의성군·청송군 (17~19대)



1. 개요[편집]


군위군·의성군·청송군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이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상주시 선거구와 합구되며 폐지되었다. 이후의 상황은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선거구 항목 참조.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군위군, 의성군, 청송군의 국회의원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13대김윤환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군위군·선산군[1]
정창화의성군 일원
황병우청송군·영덕군
14대김윤환
ta-hash-start=w-6412e77dcea48ea70d940a19cca310a7[[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군위군·선산군
김동권의성군 일원
김찬우
ta-hash-start=w-1fe165377d4907f0ea45a5397520b85c[[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청송군·영덕군
15대장영철
ta-hash-start=w-9cadffd77e30ae4576bdeb904445458a[[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군위군·칠곡군
김찬우청송군·영덕군
김화남
ta-hash-start=w-10f010bec9d617466a8744ddda4fc03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1997년 12월 26일[2]의성군 일원
정창화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군위군·의성군
김찬우청송군·영양군·영덕군
17대김재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군위군·의성군·청송군
18대정해걸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김재원
ta-hash-start=w-a22769dce23753889a437fb442c647d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군위군·선산군, 의성군, 청송군·영덕군 (13 ~14대)[편집]



3.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선산군
군위군[군위], 선산군[선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윤환(金潤煥)50,692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76.16%당선
2윤창한(尹昌漢)7,6893위

ta-hash-start=w-a26d87d40de6192bcf1909654b74c9eb[[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55%낙선
3구문장(具文藏)8,1712위

무소속

12.27%낙선
선거인 수73,492투표율
91.78%
투표 수67,452
무효표 수900

의성군
의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창화(鄭昌和)38,345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7.84%당선
2양재범(梁在範)4,4753위

ta-hash-start=w-c6a4e5ee4096de6d60f7b9ef20dc6412[[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75%낙선
3김상윤(金相允)23,4642위

ta-hash-start=w-314fe92890bc529f2631bd7bd9ba6d17[[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35.39%낙선
선거인 수78,144투표율
86.07%
투표 수67,259
무효표 수975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병우(黃昞禹)30,440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4.54%당선
2김찬우(金燦于)29,9922위
[include(틀:통일민주당)]43.88%낙선
3남상걸(南相杰)6,3153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9.24%낙선
4박종욱(朴鍾郁)1,5884위

파일:제3세대당.png

2.32%낙선
선거인 수80,852투표율
85.59%
투표 수69,205
무효표 수870


3.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선산군
군위군[군위], 선산군[선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윤환(金潤煥)36,6071위

ta-hash-start=w-cc56f342b0dc3f74024688bf135beab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1.49%당선
2권천문(權天文)1,4844위
2.49%낙선
3구문장(具文藏)1,9683위
3.39%낙선
4최종두(崔鍾斗)19,4662위
32.70%낙선
선거인 수73,492투표율
90.20%
투표 수67,452
무효표 수900

의성군
의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동권(金東權)25,0841위
44.42%당선
2이왕식(李旺植)2,6944위
4.77%낙선
3김동호(金東浩)6,4653위
11.45%낙선
4정창화(鄭昌和)22,2162위
39.34%낙선
선거인 수69,381투표율
82.70%
투표 수57,386
무효표 수927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병우(黃昞禹)25,6452위
43.03%낙선
2박종욱(朴鍾郁)2,1803위
3.65%낙선
3김찬우(金燦于)29,7721위
[include(틀:통일국민당)]49.95%당선
4김호연(金浩淵)4895위
[include(틀:신정치개혁당)]0.82%낙선
5이무호(李武鎬)1,5114위
2.53%낙선
선거인 수73,882투표율
79.60%
투표 수60,408
무효표 수811

4. 군위군·칠곡군, 의성군, 청송군·영덕군 (15대)[편집]



4.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칠곡군
군위군 일원, 칠곡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영철(張永喆)19,3931위
31.07%당선
2구문장(具文裝)1,9316위
3.09%낙선
3권천문(權天文)1,1897위
1.90%낙선
4도갑현(都甲鉉)7,9535위
12.74%낙선
5김현규(金鉉圭)13,8342위
22.16%낙선
6이수담(李壽潭)7,0814위
11.34%낙선
7이인기(李仁基)11,0293위
17.67%낙선
선거인 수88,036투표율
83.40%
투표 수64,363
무효표 수1,953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우(金燦于)16,2021위
30.97%당선
2박명규(朴明圭)2,4146위
4.61%낙선
3김성태(金成泰)14,9412위
28.56%낙선
4박남수(朴南洙)1,1137위
2.12%낙선
5김동협(金東夾)3,6265위
6.93%낙선
6김현동(金顯東)4,0314위
7.70%낙선
7남병집(南炳執)2,4185위
4.62%낙선
8조영길(趙英吉)7,5553위
14.44%낙선
선거인 수70,589투표율
79.05%
투표 수54,547
무효표 수2,247

의성군
의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우명규(禹命奎)17,6472위
34.68%낙선
2이왕식(李旺植)2,0034위
3.93%낙선
3김화남(金和男)20,4171위
40.13%당선
4김동권(金東權)8,4203위
16.55%낙선
5김진욱(金鎭旭)2,3845위
4.68%낙선
선거인 수65,154투표율
80.07%
투표 수52,548
무효표 수1,677


4.2. 1998년 재보궐선거[편집]


의성군
의성군 일원[의성]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창화(鄭昌和)18,9581위
41.59%당선
3김상윤(金相允)17,0152위
37.33%낙선
4신진욱(申鎭旭)9,6103위
21.08%낙선
선거인 수63,481투표율
73.87%
투표 수46,896
무효표 수1,313

자유민주연합김화남이 당선무효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공석이 되었다.

5. 군위군·의성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16대)[편집]



5.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의성군
군위군, 의성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창화(鄭昌和)31,3171위
50.62%당선
2윤정균(尹定均)6,1514위
9.94%낙선
4구문장(具文藏)7,2303위
11.68%낙선
5김동권(金東權)15,8072위
25.55%낙선
6오춘자(吳春子)1,3505위
2.18%낙선
선거인 수87,372투표율
72.31%
투표 수63,176
무효표 수1,321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우(金燦于)27,4281위
44.93%당선
2윤영호(尹英鎬)22,6122위
37.04%낙선
3김원욱(金源昱)2,9965위
4.90%낙선
4이상도(李相道)4,0673위
6.66%낙선
5조원봉(趙元鳳)3,9354위
6.44%낙선
선거인 수85,904투표율
72.44%
투표 수62,233
무효표 수1,195

6. 군위군·의성군·청송군 (17~19대)[편집]



6.1.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의성군·청송군
군위군 일원[군위], 의성군 일원[의성], 청송군 일원[청송]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원(金在原)32,9141위
47.15%당선
3김현권(金玄權)13,0792위
18.74%낙선
4김동권(金東權)3,5985위
5.15%낙선
5김동복(金東福)1,4016위
2.01%낙선
6김용락(金龍洛)1,0677위
1.53%낙선
7김화남(金和男)12,5583위
18.46%낙선
8박복태(朴福泰)4,8584위
6.96%낙선
선거인 수105,775투표율
67.45%
투표 수71,347
무효표 수1,545


6.2.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의성군·청송군
군위군 일원[군위], 의성군 일원[의성], 청송군 일원[청송]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동호(金東浩)28,6042위
44.92%낙선
4전병오(田炳五)1,9913위
3.13%낙선
6변사흠(卞思欽)1,6484위
2.59%낙선
7정해걸(丁海杰)31,4271위
49.35%당선
선거인 수99,099투표율
65.57%
투표 수99,099
무효표 수1,312

친박 무소속 연대의 일원인 정해걸 후보가 한나라당 김동호 후보를 꺾었다. 진보정당 및 민주당계 정당은 아예 공천조차 하지 못했다.

6.3.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군위군·의성군·청송군
군위군 일원[군위], 의성군 일원[의성], 청송군 일원[청송]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원(金在原)44,2071위
72.67%당선
2김현권(金玄權)16,6192위
27.32%낙선
선거인 수96,442투표율
64.54%
투표 수62,243
무효표 수1,417

여담으로 이 지역에서 2번 낙선한 김현권 후보는 4년 뒤, 20대 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을 지냈다. 이후에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또 다른 험지이자 옆 동네인 구미시 을[3]에 출마했지만 보수의 아성을 넘지 못하여 낙선했다.




[1] 지금의 구미시로 통합된다.[2] 당선 무효형 선고.[군위] A B C D E 군위읍, 소보면, 효령면, 부계면, 우보면, 의흥면, 산성면, 고로면[선산] A B 선산읍, 무을면, 옥성면, 도개면, 해평면, 산동면, 장천면, 고아면[의성] A B C D 의성읍, 단촌면, 점곡면, 옥산면, 사곡면, 춘산면, 가음면, 금성면, 봉양면, 비안면, 구천면, 단밀면, 단북면, 안계면, 다인면, 신평면, 안평면, 안사면[청송] A B C 청송읍, 부남면, 부동면, 현동면, 현서면, 안덕면, 파천면, 진보면[3]선산군이 위치한 지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