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천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영천시를 관할구역으로 하던 선거구를 다룹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영천시 문서
영천시번 문단을
영천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영천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영천시
영천시 일원
永川市
Yeongcheon
||
선거인 수86,681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영천시 전역
동부동, 중앙동, 서부동, 완산동, 남부동, 금호읍, 청통면, 신녕면, 화산면, 화북면, 화남면,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대창면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영천시·영천군
이후 선거구영천시·청도군
국회의원
ta-hash-start=w-70ca55f33cb2fcd5e2d674587ed9d5c2[[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희수



1. 개요[편집]


영천시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이다. 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과 함께 신설된 선거구였으나, 지속되는 인구 감소로 인해 20대 총선 부터 각각 영천시·청도군으로 개편되어 사라졌다.

참고로 이 선거구의 유명 정치인은 권응수 장군의 후손인 권중돈 전 국방부장관, 고졸 출신 법조인이자 정치인이인 박헌기 상임고문,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정희수 전 의원이 있고, 이 중에 권중돈 전 장관과 정희수 전 의원은 신녕면 출신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영천시의 국회의원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13대정동윤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영천시·영천군
14대박헌기
무소속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5대
ta-hash-start=w-f0a49adaf65eaad1d77fdefa48c3d8f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영천시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이덕모2004년 5월 30일 ~ 2005년 2월 18일[1]
정희수2005년 5월 1일 ~ 2008년 5월 29일
18대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2b65214e96f46fdbda9864079de008fc[[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영천군
영천시, 영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윤(鄭東允)37,237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1.38%당선
2권오태(權五台)33,7152위

ta-hash-start=w-b3f0196cabbeb75109982f647d5c4b0f[[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52%낙선
3조병환(曺丙煥)1,5113위

ta-hash-start=w-baedb748044841999a16d08bbb7e729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2.08%낙선
선거인 수87,787투표율
83.70%
투표 수73,477
무효표 수1,014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영천군
영천시, 영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윤(鄭東允)25,9962위

ta-hash-start=w-ca3bee1c7591a70055c255b314a6b82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7.57%낙선
2이육만(李六萬)2,1043위


3.04%낙선
3박헌기(朴憲基)38,8221위

무소속

56.11%당선
4조병환(曺丙煥)1,2444위
[include(틀:무소속)]1.79%낙선
5조영건(曺泳健)1,0135위
[include(틀:무소속)]1.46%낙선
선거인 수87,540투표율
80.06%
투표 수70,081
무효표 수902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헌기(朴憲基)24,1131위

ta-hash-start=w-1fd3b109321e7d1a99dd4cb213d3abb8[[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7.42%당선
2이육만(李六萬)1,5406위

ta-hash-start=w-0c8909417baf3b7a3c6bd945ec42af8e[[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2.38%낙선
3이준우(李俊雨)3,1715위


4.92%낙선
4최상용(崔相容)15,2612위

ta-hash-start=w-0a2a51dac6138826127f093500461d9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3.68%낙선
5정동윤(鄭東允)13,2043위

파일:무당파국민연합.svg

20.49%낙선
6박병일(朴炳馹)5,9364위
9.21%낙선
7조병환(曺丙煥)1,2117위
1.87%낙선
선거인 수90,517투표율
73.50%
투표 수66,565
무효표 수2,129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박헌기(朴憲基)33,0381위
58.17%당선
2정동윤(鄭東允)20,4402위
35.99%낙선
4송두봉(宋斗峯)1,2305위
2.16%낙선
5조병환(曺丙煥)2,0814위
3.66%낙선
선거인 수91,304투표율
63.42%
투표 수57,909
무효표 수1,120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덕모(李德摸)23,1611위
42.73%당선
3최상용(崔相容)15,3862위
28.39%낙선
4송두봉(宋斗峯)6575위
1.21%낙선
5문덕순(文德淳)6,4394위
11.38%낙선
6이동근(李東根)8,5503위
15.77%낙선
선거인 수87,643투표율
62.88%
투표 수55,107
무효표 수914


2.6. 2005년 재보궐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동윤(鄭東允)24,2512위
48.71%낙선
2정희수(鄭熙秀)25,5371위
51.29%당선
선거인 수86,123투표율
59.07%
투표 수50,872
무효표 수1,084

2005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의 화제의 지역, 정동윤 후보가 무려 48%를 얻으며 선전했지만, 아쉽게 석패했다. 한편 당선된 정희수 후보는 이후 문재인 캠프에 합류하게 된다.

2.7.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정희수(鄭熙秀)32,7011위
81.99%당선
3송두봉(宋斗峯)3,8782위
9.72%낙선
7박준범(朴埈範)3,3053위
8.28%낙선
선거인 수85,779투표율
47.85%
투표 수41,044
무효표 수1,160

2.8.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천시
영천시 일원[영천]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희수(鄭熙秀)23,3311위
45.52%당선
2추연창(秋淵昶)3,5634위
6.95%낙선
6김경원(金敬原)6,5903위
12.85%낙선
7최기문(崔圻文)17,7672위
34.66%낙선
선거인 수86,681투표율
60.15%
투표 수52,136
무효표 수885


[1] 당선무효[영천] 동부동, 중앙동, 서부동, 완산동, 남부동, 금호읍, 청통면, 신녕면, 화산면, 화북면, 화남면, 자양면, 임고면, 고경면, 북안면, 대창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