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경시·예천군

덤프버전 :

||
선거인 수103,769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문경시 전역
점촌1동, 점촌2동, 점촌3동, 점촌4동, 점촌5동, 문경읍, 가은읍, 영순면, 산양면, 호계면, 산북면, 동로면, 마성면, 농암면

예천군 전역
예천읍, 용문면, 효자면, 은풍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신설년도1988년
이전 선거구문경군·예천군
이후 선거구영주시·문경시·예천군
국회의원
ta-hash-start=w-eeb50c25084a234f1efc530be0857d3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성



1. 개요[편집]


문경시·예천군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이다. 중선거구제 당시 하나로 묶여있던 문경군예천군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 점촌시 출범과 함께 문경시 선거구와 예천군 선거구로 분리되며 생겨난 선거구였으나, 15대 총선부터 다시 한 선거구로 통폐합 되었고 이후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 탓에 영주시·문경시·예천군으로 개편되어 사라졌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문경시,예천군의 국회의원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9대채문식
ta-hash-start=w-29b2cd4a11745fefecc14912d2f95dd8[[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문경군·예천군[1]
황재홍
ta-hash-start=w-d57cfd8a36fbfa47b8af30d09fa5d07b[[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0대채문식
ta-hash-start=w-8383f931b0cefcc631f070480ef340e1[[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구범모
ta-hash-start=w-37ec76c1599f1e673d008da0748e9e65[[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1대채문식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김기수

12대채문식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반형식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3대신영국
ta-hash-start=w-1d87251152320b350200bc9631c67ea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점촌시·문경군[2]
유학성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예천군
14대이승무
무소속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점촌시·문경군
유학성
ta-hash-start=w-793dd7cd199e9892b017181d4d00d10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31일[3]예천군
반형식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15대황병태
ta-hash-start=w-a59c0ab76aec5a243f0c50fa6a5f36a7[[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1997년 12월 26일[4]문경시·예천군
신영국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16대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신국환
무소속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이한성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2a5572e1be8bd528a8b2c223800e7eb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문경군·예천군 (중선거구제 시기)[편집]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군·예천군
문경군,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재홍(黃在洪)42,5432위
40.12%당선
2채문식(蔡汶植)49,9331위
47.09%당선
3장유길(張裕吉)13,5393위
12.77%낙선
4김기수(金基洙)--
-등록무효
선거인 수142,940투표율
78.42%
투표 수112,091
무효표 수6,076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군·예천군
문경군,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구범모(具範謨)39,3802위
32.00%당선
2채문식(蔡汶植)43,2371위
35.14%당선
3반형식(潘亨植)15,4314위
12.54%낙선
4현석주(玄錫朱)20,5093위
16.66%낙선
5황병호(黃丙鎬)4,4825위
3.64%낙선
선거인 수147,749투표율
84.48%
투표 수124,811
무효표 수1,772


3.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군·예천군
문경군[5],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채문식(蔡汶植)56,8571위
45.69%당선
2황병호(黃丙鎬)8,2424위
6.62%낙선
3김기수(金基洙)32,3592위
26.00%당선
4정인호(鄭寅昊)19,4033위
15.59%낙선
5윤재룡(尹在龍)4,9405위
3.96%낙선
6주영우(周永宇)2,6356위
2.11%낙선
선거인 수146,280투표율
85.36%
투표 수125,542
무효표 수1,106

3.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군·예천군
문경군[6],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반형식(潘亨植)20,8932위
16.47%당선
2채문식(蔡汶植)62,4351위
49.23%당선
3김문석(金文錫)18,1703위
14.32%낙선
4김기수(金基洙)15,7384위
12.41%낙선
5신영국(申榮國)9,5625위
7.54%낙선
선거인 수144,686투표율
88.86%
투표 수128,571
무효표 수1,773

4. 점촌시·문경군, 예천군 (13 ~14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점촌시·문경군
점촌시, 문경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영화(李永和)27,4742위
42.21%낙선
2신영국(申榮國)28,1771위
43.29%당선
3고목훈(高睦勳)9,4343위
14.49%낙선
선거인 수78,623투표율
85.96%
투표 수66,184
무효표 수1,099

예천군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학성(兪學聖)31,1961위
63.06%당선
2반형식(潘亨植)12,1792위
24.65%낙선
3황병호(黃丙鎬)6,0903위
12.31%낙선
선거인 수59,984투표율
83.90%
투표 수50,306
무효표 수841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점촌시·문경군
점촌시, 문경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영국(申榮國)14,3422위
25.59%낙선
2최주영(崔周永)11,8213위
20.93%낙선
3오세동(吳世東)1,6444위
2.91%낙선
4이승무(李昇茂)28,6631위
50.75%당선
선거인 수71,271투표율
80.60%
투표 수57,264
무효표 수794

예천군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학성(兪學聖)24,3611위
60.74%당선
2안희대(安熙大)7,4773위
18.64%낙선
3황병호(黃丙鎬)8,2722위
20.62%낙선
선거인 수53,377투표율
76.80%
투표 수41,017
무효표 수907


4.3. 1993년 재보궐선거[편집]


예천군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반형식(潘亨植)7,9801위
45.10%당선
2안희대(安熙大)6,2262위
35.40%낙선
3황병호(黃丙鎬)2,0913위
11.80%낙선
4정대수(鄭大壽)1,3224위
7.40%낙선
선거인 수51,096투표율
71.30%
투표 수45,101
무효표 수802


5. 문경시·예천군 (15대 ~ 19대)[편집]



5.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병태(黃秉泰)30,6511위
34.77%당선
2황병호(黃丙鎬)2,0467위
2.32%낙선
3안희대(安熙大)3,5876위
4.06%낙선
4신국환(辛國煥)14,9193위
16.92%낙선
5이상원(李相源)3,0515위
3.42%낙선
6이승무(李昇茂)29,9872위
34.02%낙선
7최주영(崔周永)3,9044위
4.42%낙선
선거인 수117,837투표율
78.93%
투표 수91,173
무효표 수3,028


5.2. 1998년 재보궐선거[편집]


전임자인 한나라당황병태한보 사태로 의원직을 상실하여 공석이 되었다.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영국(申榮國)34,9321위
46.94%당선
3신국환(辛國煥)33,6402위
45.20%낙선
4이상원(李相源)5,8543위
7.87%낙선
선거인 수115,655투표율
66.30%
투표 수76,682
무효표 수2,256

문경 VS 예천의 지역대결로 선거가 진행되었고,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문경 출신의 신영국 후보가 신승했다.

5.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영국(申榮國)38,7771위
47.35%당선
2황병호(黃丙鎬)5,1243위
6.25%낙선
3신국환(辛國煥)37,9912위
46.39%낙선
선거인 수114,575투표율
73.91%
투표 수83,553
무효표 수1,661


5.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영국(申榮國)29,9792위
42.40%낙선
2함대명(咸大明)6055위
0.85%낙선
3황성재(黃盛載)5,2883위
7.47%낙선
4반형식(潘亨植)9134위
1.29%낙선
5신국환(辛國煥)33,9151위
47.97%당선
선거인 수107,018투표율
69.89%
투표 수72,100
무효표 수1,400


5.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이한성(李翰成)31,3971위
48.46%당선
6김명한(金明漢)2,9553위
4.56%낙선
7김수철(金秀哲)28,8472위
44.52%낙선
8전경수(全經壽)1,5894위
2.45%낙선
선거인 수102,786투표율
64.73%
투표 수66,222
무효표 수1,434


5.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예천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한성(李翰成)37,0401위
53.26%당선
2최영록(崔永祿)3,7353위
5.37%낙선
6신현국(申鉉國)28,7672위
41.36%낙선
선거인 수103,769투표율
69.75%
투표 수70,943
무효표 수1,401
[1] 중선거구제[2] 지금의 문경시는 점촌시와 문경군이 통합된 것이다.[3] 공직자 재산공개 파문으로 1993년 3월 31일 사직하였다.[4] 한보그룹 비리 사건으로 형을 선고받아, 1997년 12월 26일 의원직 상실[5] 지금의 문경시[6] 지금의 문경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