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레고리오 1세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제64대 교황
Gregorius I
대교황 성 그레고리오 1세
파일:external/2.bp.blogspot.com/S%25C3%25A3o%2BGreg%25C3%25B3rio%2BMagno%252C%2BPapa%2Be%2BDoutor%2Bda%2BIgreja%2B%25282%2529.png
본명그레고리우스 아니키우스(Gregorius Anicius)
존호대 그레고리오(Gregorius Magnus)
출생540년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로마
재위기간590년 9월 3일 ~ 604년 3월 12일 (13년 194일)
사망604년 3월 12일 (64세)
파일:라바룸.svg 동로마 제국 로마
축일9월 3일[1]
3월 12일[2]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하느님의 집정관(Consul Dei)

그레고리오의 묘비[3]


제64대 교황. 레오 1세에 이어 대교황[4]이란 칭호를 받은 2번째 교황으로, 서방 교회 4대 교부 중의 한 사람으로 꼽히면서 중세 교황직의 아버지로 추앙받는다. 교사들의 수호성인으로 지정되었다. 축일은 9월 3일.


2. 생애[편집]


부유한 귀족 고르디아누스의 아들로 태어난 그레고리오는 로마에서 교육을 받았고, 랑고바르드족의 이탈리아 침략이 로마를 위협하고 있을 당시에는 로마의 장관이었다. 수도생활을 오랫동안 꿈꾸어 왔기 때문에 그는 574년에 로마와 시칠리아수도원을 세우고 35세 무렵에 수도자가 되었다. 579년부터 585년까지 그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교황 대사로 활약하다가, 5년 후에 자기 수도원으로 돌아온 뒤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수사(修士)가 교황으로 선출됨은 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교회법령을 정비하고 무능한 성직자들을 해임시켰으며, 막대한 경비를 들여 자선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으로는 이런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교회와 주교들을 기반으로 한 행정망을 본격적으로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는 중세의 교황들이 어지간한 군주 이상으로 세속적 권력을 누릴 수 있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그는 지혜롭게 로마 교회 재산을 관리했고, 랑고바르드 왕국으로부터 포로들을 석방시켰으며, 부당한 박해를 받던 유대인들을 보호하고, 기근의 희생자들을 구호하였다. 593년 그는 랑고바르드족 침략군을 설득하여 로마를 지켜냄으로써 사람들로부터 평화의 수호자로 존경을 받았다.

그레고리오의 학덕은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을 정도로 높았다. '주교의 직책과 의무', '욥기 주해', '대화집'을 비롯하여 서한 800여 통 속에 담긴 그의 사상은 서방교회의 공식 예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유럽의 역사에도 큰 발자국을 남겼다. 그는 잉글랜드의 선교사업을 진척시켰고, 교황권이 교회의 최고 권위임을 재확립하였으며, 교황을 일컫는 칭호인 "Servus servorum Dei(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란 표현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그는 위대한 설교가였다. 로마 전례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고 그레고리오 성가[5]의 편집자로 추앙받는다. 그가 교황이었을 때 제정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수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 스스로 매우 겸손한 태도를 취했다. 자신이 학문이 깊지 못하고, 라틴어 문법에 밝지 못하다고 고백한 적이 있었다.

또한 베네딕토회를 면속시켜 교황의 권위하에 두었다.

한편, 그레고리오는 601년 앵글로색슨족에게 선교사로 보낸 주교 아우구스티노와 멜리토에게 보낸 편지에서 선교방법을 제시하는데, "이교 신전은 살린 채 단지 우상들만 치우고 난 후, 성당으로 개조하라."라고 했다. 문화적 우월주의로 야만족에게 그리스도교를 그냥 주입시키는 식이 아니라, 가능한 한 그리스도교와 그들의 기존 종교관습의 연결점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그리스도교의 정신과 내용으로 승화시키도록 하라는 것이었다. 이민족의 문화를 존중하는 선교의 이러한 토착화 방식은, 지역민들로 하여금 그리스도교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한 것이다.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에 걸친 랑고바르드족의 침입으로 벌어진 동로마 제국의 전쟁으로 로마를 포함한 이탈리아가 황폐화되었고, 로마 원로원 역시 이 시기 소멸했다. 이에 그레고리오는 원로원은 이런 상황에서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느냐고 한탄했다[6].

604년 3월 12일 선종했다. 사후 시성됐고 축일은 선종 날짜인 3월 12일로 지정됐으나 사순 시기였기 때문에 503년 그레고리오 1세가 주교로 서품받은 날인 9월 3일로 변경됐다.


3. 기타[편집]


그레고리오의 부제 베드로는, 그레고리오가 책을 쓸 때 성령비둘기 모습으로 그의 머리 위에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고 한다. 그레고리오의 성화에 귀밑에 흰 비둘기가 속삭이는 모양을 그리는 것도 이에 기인한 것이다. 그레고리오 성가에 대한 일화도 여기서 나왔다.

영국의 한 역사가는 '중세 시대에 교황이 없었다면 중세의 혼란 상태, 불법, 혼잡이 어떠했을지 생각조차 불가능하며, 중세 시대 교황 중의 진정한 교황은 그레고리오 대교황뿐'이라고 서술했다. 실제로 혼란한 중세시대 치안에서 그나마의 자정 활동을 교회가 수행하고 있었음을 감안하면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말이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64_gregorio_I.png
제63대 펠라지오 2세제64대 성 그레고리오 1세제65대 사비니아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22:58:20에 나무위키 그레고리오 1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톨릭 축일.[2] 정교회, 동방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회 축일.[3] "로마의 베드로 대성전에 있는 대 그레고리우스 묘비에 새겨 있는 이 비문은 그가 사회와 교회에서 맡은 이중 역할을 가장 함축적으로 묘사한다."(H. R. 드롭너, 《교부학》, 하성수 옮김, 641쪽)[4] 사람에 따라 대교황을 대종(大宗)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교황을 교종(敎宗)이라고도 하므로, 대교종을 대종으로 줄인 것.[5] 이 성가는 새의 노래를 듣고 그걸 그대로 불러서 한 줄씩 만들었다는 전설 같은 야사가 전한다.[6] 기록상 남은 로마 원로원의 최종적인 활동은 603년 포카스에게 즉위를 축하하는 서신을 보내고, 비슷한 시기에 포로 로마노에 그에게 아첨하는 기둥을 세운 것이 마지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