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마코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51_s_simmaco.png
제50대 아나스타시오 2세제51대 성 심마코제52대 성 호르미스다


  • 생몰년: ? ~ 514년 7월 19일
  • 재위기간: 498년 11월 22일 ~ 514년 7월 19일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심마코는 가톨릭의 제51대 교황이다.


2. 생애[편집]


사르데냐 섬 출신이고 이교에서 개종했으며 교황 선출 당시 부제였다. 그는 아카키오스 분열(482~519)로 인해 분열된 동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유화정책을 편 아나스타시오 2세의 정책에 불만을 지닌 성직자 다수의 지지를 받아 선출되었다.

심마코의 재임기간은 재임 내내 대립교황 라우렌시오와의 다툼으로 얼룩졌다. 498년 11월 22일 심마코가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같은날 동로마의 지원을 받은 수석사제 라우렌시오가 대립교황으로 선출되면서 혼란에 빠지게 된다. 이 문제를 중재하기 위해 테오도리크 대왕이 나섰고, 더 많은 지지자를 얻은 심마코가 교황에 더 적합하다는 결론을 낸다. 하지만 라우렌시오 측에서 심마코가 표를 얻기 위해 금품을 살포했으므로 선출 자체가 무효라 주장하면서 다시 문제는 시궁창으로 빠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499년 3월 1일 심마코는 로마 시노드 소집을 선언해서 주교들의 지지를 확인했다. 또한 라우렌시오를 캄파니아 지방 누체리아의 주교로 임명하여 회유했고, 라우렌시오도 교황직을 심마코에게 양보했다. 이렇게 일단락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2년 뒤인 501년, 라우렌시오의 지지자들이 심마코를 주님 부활 대축일 미사 날짜를 지키지 않은 점과, 그 외에 각종 비리 혐의로 탄원했으며, 이 소식을 접한 테오도리크 대왕은 심마코에게 아르미니움에 나오도록 했다. 하지만 심마코는 두려워하여 야반도주한다. 얼씨구나 좋구나 하고, 라우렌시오와 그 지지자들이 들고 일어났고, 라우렌시오는 기세등등하게 로마에 입성한다.

야반도주한 심마코는 이미 도둑이 제발 저린 꼴을 보여버려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되었으며, 테오도리크 대왕은 로마에서 이에 대한 재판을 열기로 했다. 심마코도 별 수 없이 이에 동의하게 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되는게 시노드는 교황이 주최해야 하는데, 심마코가 죄인이면 교황이 없으므로 시노드 자체가 성립할 수 없고, 또한 교황을 신이 아닌 사람이 정죄하면 안 된다는 논리가 펼쳐진다. 결국 로마에서 시노드를 반대하는 소요사태가 일어나면서 대혼란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에 지친 주교들은 테오도리크 대왕에게 이만 집에 돌아가게 해달라며 시노드 해산을 요청했으나 테오도리크 대왕은 어떻게든 합의를 보라고 압박했다. 결국 72명의 주교들은 성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을 사람이 치죄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고, 서명하게 된다.

심마코가 어렵사리 교황의 지위를 유지하였지만 소요사태는 이어졌으며, 이후 4년 동안 라우렌시오는 교황 행세를 하고 다녔다. 심마코도 나름대로 버티기 위해 과거 교회 심판 기록들을 조작하기까지 했고, 지리한 싸움은 길어져 갔다. 결국 506년이 돼서야 정치적 이유로 테오도리크 대왕이 라우렌시오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면서 심마코의 지위가 확고해지게 된다.

지위가 확고해진 심마코는 정통 교리를 옹호하고, 반달족에 핍박받는 아프리카의 신자들을 위로하는 활동에 매진한다.

514년 7월 19일 선종하였으며, 사후 시성되었다. 축일은 7월 19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