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클레멘스 6세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198_clemente_VI.png
제197대 베네딕토 12세제198대 클레멘스 6세제199대 인노첸시오 6세

제198대 교황
클레멘스 6세
Clemens VI
파일:클레멘스6세.jpg
교황명클레멘스 6세 (Clemens VI)
본명피에르 로제르 (Pierre Roger)
출생1291년
파일:프랑스 왕국 국기.svg 프랑스 왕국 리무쟁 로지에데글레통
사망1352년 12월 6일 (60~61세)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아비뇽
재위기간1342년 5월 7일 ~ 1352년 12월 6일
언어별
명칭
라틴어: Clemens PP. VI
프랑스어: Pape Clément VI
이탈리아어: Papa Clemente VI
영어: Pope Clement VI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제198대 교황. 아비뇽 시대의 네 번째 교황이다.

그는 재임기간(1342~1352) 동안 흑사병(1346~1353) 사태를 겪었다.

2. 생애[편집]


클레멘스 6세 재위 시기에는 흑사병이 유럽 대륙에 본격적으로 전파되고 있었다. 교황은 일단 공식적으로 흑사병은 하느님의 진노에 의한 것이라고 규정했으나 의사들과 점성술사 등에게도 발병 원인 등을 알아보려고 노력했다. 당시 교황의 주치의들은 횃불에 둘러싸이면 흑사병에 걸리지 않을 것이라 조언하지만 클레멘스 6세는 이를 의심했다. 대신 그는 아비뇽에 계속 머물면서 감염자 관리와 사망자 매장을 감독했다. 그는 수많은 감염자들과 사망자들을 접촉했음에도 불구하고 흑사병에 걸리지는 않았다. 또한 당시 유럽에서는 흑사병의 원인은 유대인이라는 여론이 우세해서 유대인들을 차별하고 폭행하는 일들이 빈번했는데, 교황은 흑사병의 원인을 유대인으로 몰아세우고 폭행을 저지르는 사람들을 향해 '악마라는 거짓말쟁이에 유혹당한 것'이라고 공공연하게 비판했다.

채찍질 고행단을 비롯한 광신도들은 유대인을 불법 감금해 고문으로 자백을 이끌어냈다. ‘악마의 사주를 받아 남몰래 공공 우물에 병균을 탔다’는 자백이 유럽 각지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쏟아지고, 어린 아이와 여자를 포함한 수 많은 유대인들이 학살당했다. 천문학자들의 자문을 구하고 론강을 축복했던 교황 클레맨트 6세는 유대인 학살이 한창이던 1348년 7월 6일 교황칙령을 내렸다. 훗날 ‘아무리 불충하더라도(Quamvis Perfidiam)’라는 이름을 얻게 된 교황칙령의 골자는 유대인 박해 금지였다.

‘흑사병의 원인을 유대인에 돌리고 학살하는 행위는 거짓말일 뿐 아니라 악마에게 유혹당한 결과’라는 교황 칙서는 극히 일부의 군주들만 따랐다. 오늘날 클레맨트 6세에 대한 평가는 극과 극이다. 아비뇽 교황청을 지나치게 프랑스화했으며 조카들을 추기경에 임명하고 재산을 모았다는 부정적 평가가 있지만, 문학과 음악을 후원한 르네상스형 교황이었다는 긍정론이 존재한다.

클레멘스 6세는 공적으로는 착실히 교황 업무를 수행하는 인물이었으나 사적으로는 좋게 말하면 짠돌이가 아닌 지출에 관대한 인물이었고, 나쁘게 말하면 사치스럽고 낭비벽이 심한 인물이었다. 그는 1348년 당시 나폴리 왕국의 여왕이자 아비뇽이 위치한 프로방스 지방의 영주였던 조반나 1세로부터 아비뇽을 매입한 뒤 다양한 미술 작품들을 사들이고 예배당을 축조하는 등 교황궁을 프랑스 왕국의 궁전 못지않게 호화스럽게 꾸며 교황으로서의 힘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또한 열성적인 음악 애호가로서 프랑스 왕국 북부 지역의 음악가들을 전폭적으로 후원하고 전도유망한 작곡가들을 자신의 측근으로 두었는데 이로 인해 아르스 노바 음악이 황금기를 맞이하게 된다. 이로써 그는 자신 스스로가 파격적이며 교양 있는 군주로 비춰지길 원했으며 세속적인 권력을 효과적으로 누리고 싶어했다.

클레멘스 6세는 신장결석과 더불어 종양까지 지니고 있어 건강이 좋지 않았다. 이윽고 교황은 1352년 12월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시신은 카르멜회 성당에 안장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5:39:44에 나무위키 클레멘스 6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