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오로 5세

덤프버전 :


 
  [초대-제60대]  
  [제61-120대]  
  [제121-180대]  

제121대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란도요한 10세레오 6세스테파노 7세요한 11세
제126대제127대제128대제129대제130대
레오 7세스테파노 8세마리노 2세아가피토 2세요한 12세
제131대제132대제133대제134대제135대
베네딕토 5세레오 8세요한 13세베네딕토 6세베네딕토 7세
제136대제137대제138대제139대제140대
요한 14세요한 15세그레고리오 5세실베스테르 2세요한 17세
제141대제142대제143대제144대제145대
요한 18세세르지오 4세베네딕토 8세요한 19세베네딕토 9세
제146대제147대제148대제149대제150대
실베스테르 3세베네딕토 9세그레고리오 6세클레멘스 2세베네딕토 9세
제151대제152대제153대제154대제155대
다마소 2세레오 9세빅토르 2세스테파노 9세니콜라오 2세
제156대제157대제158대제159대제160대
알렉산데르 2세그레고리오 7세빅토르 3세우르바노 2세파스칼 2세
제161대제162대제163대제164대제165대
젤라시오 2세갈리스토 2세호노리오 2세인노첸시오 2세첼레스티노 2세
제166대제167대제168대제169대제170대
루치오 2세에우제니오 3세아나스타시오 4세하드리아노 4세알렉산데르 3세
제171대제172대제173대제174대제175대
루치오 3세우르바노 3세그레고리오 8세클레멘스 3세첼레스티노 3세
제176대제177대제178대제179대제180대
인노첸시오 3세호노리오 3세그레고리오 9세첼레스티노 4세인노첸시오 4세

  [제181-240대]  

제181대제182대제183대제184대제185대
알렉산데르 4세우르바노 4세클레멘스 4세그레고리오 10세인노첸시오 5세
제186대제187대제188대제189대제190대
하드리아노 5세요한 21세니콜라오 3세마르티노 4세호노리오 4세
제191대제192대제193대제194대제195대
니콜라오 4세첼레스티노 5세보니파시오 8세베네딕토 11세클레멘스 5세
제196대제197대제198대제199대제200대
요한 22세베네딕토 12세클레멘스 6세인노첸시오 6세우르바노 5세
제201대제202대제203대제204대제205대
그레고리오 11세우르바노 6세보니파시오 9세인노첸시오 7세그레고리오 12세
제206대제207대제208대제209대제210대
마르티노 5세에우제니오 4세니콜라오 5세갈리스토 3세비오 2세
제211대제212대제213대제214대제215대
바오로 2세식스토 4세인노첸시오 8세알렉산데르 6세비오 3세
제216대제217대제218대제219대제220대
율리오 2세레오 10세하드리아노 6세클레멘스 7세바오로 3세
제221대제222대제223대제224대제225대
율리오 3세마르첼로 2세바오로 4세비오 4세비오 5세
제226대제227대제228대제229대제230대
그레고리오 13세식스토 5세우르바노 7세그레고리오 14세인노첸시오 9세
제231대제232대제233대제234대제235대
클레멘스 8세레오 11세바오로 5세그레고리오 15세우르바노 8세
제236대제237대제238대제239대제240대
인노첸시오 10세알렉산데르 7세클레멘스 9세클레멘스 10세인노첸시오 11세



파일:교황 문장.svg 가톨릭 교회의 교황
파일:233_paolo_V.png
제232대 레오 11세제233대 바오로 5세제234대 그레고리오 15세

제233대 교황
바오로 5세
Paulus V
파일:바오로5세.jpg
교황명바오로 5세 (Paulus V)
본명카밀로 보르게세 (Camillo Borghese)
출생1550년 9월 17일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로마
사망1621년 1월 28일 (70세)
파일:교황령 국기(754-1803).svg 교황령 로마
재위기간1605년 5월 16일 ~ 1621년 1월 28일
문장파일:바오로5세문장.svg.png
언어별
명칭
라틴어: Paulus PP. V
이탈리아어: Papa Paolo V
영어: Pope Paul V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제233대 교황.


2. 생애[편집]


바오로 5세는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교황령에 설립된 린체이 아카데미[1]의 정식 회원으로 임명해 그의 연구를 지원했다. 당시 갈릴레오의 천문학이 가톨릭계에서 엄청난 논란이 일어났지만 바오로 5세는 이에 불구하고 자신이 재위하고 있는 동안만큼은 그의 연구가 보장될 것이라고 갈릴레오를 보호했다.

바오로 5세는 로마의 프란체스카를 1608년 5월 29일에, 카를로 보로메오를 1610년 11월 1일에 시성했고, 이냐시오 데 로욜라, 아빌라의 테레사, 필립 네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 등을 시복했다.

바오로 5세는 사무라이 하세쿠라 츠네나가를 필두로 한 일본 사절단을 맞이했고, 일본 측의 요청에 따라 일본과 누에바에스파냐 간의 무역과 가톨릭 선교사들을 일본으로 보내는 것을 허가했다.

바오로 5세는 성 베드로 대성당의 완공을 위해 재정을 지원했고 아울러 바티칸 도서관의 증축 및 발전을 도모했다. 그리고 그는 로마 제국 시절에 세워진 트라이아나 수도교를 복원시켰고[2], 유럽 최초의 국립 은행인 성령 은행을 건립했다.[3]

그러나 한 편으로는 자신의 심기를 건드리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파문하고 그 중심에 있는 법학자 사르피에게 암살자를 보내 중상을 입혔으나 죽이는데 실패하여 망신을 당하기도 하였다.

바오로 5세는 1620년 늦가을부터 잦은 병치레를 하더니 1621년 1월 28일 아침 퀴리날레 궁에서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났다.



[1] 현재 이탈리아 로마 코르시니 궁전에 위치한 유럽의 가장 유서 깊은 과학 학술원이다. 여기서 '린체이(Lincei)'라는 단어는 이탈리아어로 '스라소니의 눈을 가진'이라는 의미다.[2] 현재 트라이아나 수도교는 교황의 이름을 따 '파올로 수도교'로 명칭이 바뀌었다.[3] 성령 은행은 1605년에 세워져 1992년까지 운영되다가 이후 로마 은행에 인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