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기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인 부산광역시 영도구청장에 대한 내용은 김기재(1957) 문서
김기재(1957)번 문단을
김기재(1957)#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행정안전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내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윤치영
제2대
신성모
제3대
김효석
제4대
백성욱
제5대
조병옥
제6대
이순용
제7대
장석윤
제8대
이범석
제9대
김태선
제10대
진헌식
제11대
백한성
제12대
김형근
제13대
이익흥
제14대
장경근
제15대
이근직
제16대
민병기
제17대
김일환
제18대
최인규
제19대
홍진기
제20대
이호
제21대
홍익표
제22대
이상철
제23대
현석호
제24대
신현돈
제25대
조재천
장도영 내각
김현철 내각
제26대
한신
제27대
박경원
제28대
엄민영
제29대
양찬우
제30대
엄민영
제31대
이호
제32대
박경원
제33대
오치성
제34대
김현옥
제35대
홍성철
제36대
박경원
제37대
김치열
제38대
구자춘
제39대
김종환
제40대
서정화
제41대
노태우
제42대
주영복
제43대
정석모
제44대
김종호
제45대
정호용
제46대
고건
제47대
정관용
제48·49대
이상희
제50대
이춘구
제51대
이한동
제52대
김태호
제53대
안응모
제54대
이상연
제55대
이동호
제56대
백광현
제57대
이해구
제58대
최형우
제59대
김용태
제60대
김우석
1998년 총무처정무장관(제1실)과 통합
제61대
서정화
제62대
강운태
제63대
조해녕
행정자치부장관 (1998~2008)
초대
김정길
제2대
김기재
제3대
최인기
제4대
이근식
제5대
김두관
제6대
허성관
제7대
오영교
제8대
이용섭
제9대
박명재

행정안전부장관 (2008~2013)
초대
원세훈
제2대
이달곤
제3대
맹형규
안전행정부장관 (2013~2014)
초대
유정복
제2대
강병규
제3대
정종섭
행정자치부장관 (2014~2017)
초대
정종섭
제2대
홍윤식
제3대
김부겸

행정안전부장관 (2017~현재)
초대
김부겸
제2대
진영
제3대
전해철
제4대
이상민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총무처장관
[ 펼치기 · 접기 ]

총무처장 (1948~1955)
초대
허정
제2대
김병연
제3대
전규홍
제4대
한동석
제5대
정운갑

국무원사무국장 (1955~1960)
제6대
문봉제
제7대
신두영

국무원사무처장 (1960~1961)
제8대
이호
제9대
오위영
제10대
정헌주

내각사무처장 (1961~1963)
제11대
김병삼
제12대
이석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양성봉
제2대
정종철
제3대
김주학
제4·5대
손영수
제6대
최병규
제7·8대
배상갑
제9대
이근용
제10대
김종규
제11대
변재갑
제12·13대
김현옥
제14대
김대만
제15대
김덕엽
제16대
최두열
제17대
박영수
제18대
최석원
제19대
손재식
제20대
김무연
제21대
최종호
제22대
정채진
제23대
김주호
제24대
강태홍
제25대
안상영
제26대
김영환
제27대
박부찬
제28대
정문화
제29대
김기재
제30대
문정수
제31·32대
안상영
제33-35대
허남식
제36대
서병수
제37대
오거돈
제38·39대
박형준
파일:부산광역시 브랜드슬로건.svg





파일:안양시 CI_White.svg
경기도 안양시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장용순
제2대
민충근
제3대
장용순
제4대
한양수
제5대
홍영기
제6대
안경진
제7대
유석보
제8대
이헌원
제9대
김기재
제10대
이의근
제11대
이영래
제12대
이호선
제13대
전영국
제14대
김용선
제15대
한세권
제16대
이수영
제17대
백성운
제18·19대
이석용
제20-22대
신중대
제23대
이필운
제24대
최대호
제25대
이필운
제26-27대
최대호
파일:안양시 시정구호.png





대한민국 제2대 행정자치부 장관
김기재
金杞載 | Kim Ki-jae
파일:Remini20211112012820740.jpg
출생1946년 1월 1일 (78세)
경상남도 하동군[1]
본관김해 김씨
재임기간제9대 경기도 안양시장
1986년 3월 8일~ 1987년 12월 29일
제29대 부산직할시장
1994년 9월 24일 ~ 1994년 12월 31일
제29대 부산광역시장
1995년 1월 1일 ~ 1995년 6월 30일
제30대 총무처 장관
1995년 8월 7일 ~ 1996년 1월 30일
제2대 행정자치부 장관
1999년 2월 6일 ~ 2000년 1월 13일
[ 펼치기 · 접기 ]

형제자매남동생 김익재
배우자전명숙
자녀슬하 1남 1녀
학력진주사범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법경대학 (경영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박사)
종교불교
의원 선수2
의원 대수15, 16
경력행정고시 11회 합격
총무처 장관
행정자치부 장관
부산광역시장
제15대 국회의원
제16대 국회의원


1. 개요
2. 생애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관료, 정치인.


2. 생애[편집]


1946년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태어났다. 진주사범학교, 고려대학교 법경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내무부에서 주로 근무하였다. 김영삼 정부 때 최형우 내무부 장관 아래에서 차관보로 근무하면서 1995년의 행정구역 개편 작업을 주도하였고, 관선 부산광역시장, 총무처 장관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기장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2] 이후 신한국당 원내부총무를 역임하였다. 1998년 의원직을 사퇴하고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부산광역시장 선거에 출마했지만 한나라당 안상영 후보에게 1.69%P(20,926표)차로 석패하였다.[3] 이 때 MBC 출구조사가 빗나간건 덤.

1999년 새정치국민회의에 입당하였고 행정자치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경선 때 이인제 캠프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지만 정작 이인제는 탈당해버린다(...) 노무현의 지지율이 급락하자 정몽준과의 후보단일화를 요구했으나, 노무현이 단일 후보로 확정된 후에는 부산지역 선대위원장을 맡아 선거운동을 적극 지원했으며, 2003년 열린우리당 창당에도 참여하였다.[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2004년 2월 열린우리당 후보로 부산 연제구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으나, 어찌된 일인지 출마하지 않고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이후 이명박 캠프에도 참여했지만 별다른 활동 없이 사실상 정계를 은퇴한 상태. 19대 대선에서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지지했다.

2022년 2월 24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지지 선언을 한 대한민국 헌정회원 중 316명의 명단에 포함되었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4948701f3e021e140d201e7581c7061f[[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정계 입문

ta-hash-start=w-0cacf7d20f1d35f2fe74bcecff72b71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5 - 1997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7 - 1998합당[5]

무소속

1998 - 1999지방선거 불복으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a59a7111f9162649a81a5bae734ed1f9[[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9 - 2000입당

ta-hash-start=w-9f3d342d38e036a9137ef3e270d9d79c[[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 - 2003합당[6]

무소속

2003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7]

ta-hash-start=w-0ee3bd2eb3e6aec182ac21a304091e05[[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3 - 2007창당

무소속

2007탈당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7 - 2012복당[8]

ta-hash-start=w-237c97e668d135feb5992e9f844b107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3당명 변경

무소속

2013 -2017탈당

ta-hash-start=w-5afced399b51294d26cdeb046b221347[[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18입당 [9]

ta-hash-start=w-c212decf3630dc6af7d958ac0917be5a[[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 - 2020합당[10]

무소속

202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65a3312ce06e73e0e3ab0554110df684[[파일:자유통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창당

ta-hash-start=w-65b3060fe4ea5a0585840258d14e6cb1[[파일:자유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11]

ta-hash-start=w-83896f95c131132bc39779d124b5cbcd[[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2021당명 변경
2021 - 현재탈당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해운대·기장 을28,533(51.0%)당선 (1위)초선[12]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산광역시장537,983(43.45%)낙선 (2위)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6,780,625 (35.9%)당선 (15번)재선


5. 둘러보기[편집]







[1] 대한민국 헌정회 프로필에는 진주시 출신으로 작성되어 있다.[2] 기장군을 양산에서 분리하여 부산으로 편입한 것이 바로 김기재이다.[3] 참고로 이 때 새정치국민회의 하일민 후보가 가져간 표만 11.4%(141,172표)에 달했는데, 사실 국민회의 일각에서 차라리 후보를 내지 말고 김기재를 암묵적으로 지원하자는 논의가 있었다. 그러나 오히려 역풍이 불어 한나라당에 표가 결집될거라는 우려도 있었고, 어차피 한나라당 출신인 김기재가 당선된다 한들 거기로 복당할게 뻔했던지라 부산대 철학과 교수였던 하일민을 공천했는데 도리어 부산의 여당 표가 생각보다 많이 나와버린 것. (.....)[4]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 의원 신분이면서 신당 창당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엄청나게 까였다. 결국 다른 의원들은 자진 탈당해 의원직을 잃었지만 김기재는 끝까지 사퇴하지 않았다.[5]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6]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7] 열린우리당 창당.[8] 이명박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9] 제19대 대선 안철수 지지 후보[10]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11] 우리공화당과 신설 합당.[12] 1998.4.6: 의원직 사퇴(부산광역시장 선거 출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