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이치현 제10구

덤프버전 :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중의원 의원 ]

기후 1구기후 2구기후 3구기후 4구기후 5구
노다 세이코다나하시 야스후미무토 요지가네코 슌페이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시즈오카 2구시즈오카 3구시즈오카 4구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이바야시 다쓰노리고야마 노부히로후카자와 요이치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시즈오카 7구시즈오카 8구아이치 1구아이치 2구
가쓰마타 다카아키기우치 미노루겐마 겐타로구마다 히로미치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아이치 4구아이치 5구아이치 6구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구도 쇼조간다 겐지니와 히데키스즈키 준지
아이치 8구아이치 9구아이치 10구아이치 11구아이치 12구
이토 다다히코나가사카 야스마사에사키 데쓰마야기 데쓰야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아이치 14구아이치 15구아이치 16구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이마에다 소이치로네모토 유키노리공석1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미에 3구미에 4구
가와사키 히데토오카다 가쓰야스즈키 에이케이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아오야마 슈헤이반노 유타카이시 타쿠미야자와 히로유키오구치 요시노리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가와 마사하루스기모토 카즈미이케다 요시타카시오노야 류요시다 츠네히코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나카가와 타카모토모토무라 노부코이토 와타루다나카 켄와타나베 슈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시하라 마사타카마사키 마키요시카와 타케루마키 요시오야마모토 사콘
비례 21
나카가와 야스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아이치현 제10구
愛知県第10区
||
파일:shuinsen_Aichi10.svg
선거인 수436,560명 (2021)
상위 도도부현아이치현
하위 행정구역이치노미야시, 이와쿠라시
국회의원

에사키 데쓰마




1. 개요[편집]


아이치현이치노미야시, 이와쿠라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에사키 데쓰마.


2. 상세[편집]


기후현과 맞닿은 나고야시의 교외 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80년대까지는 섬유업 공장들이 많이 위치한 공업지역이었으며, 섬유업이 쇠퇴하면서 나고야시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많이 사는 베드타운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노동자 층의 영향이 강하지만, 중대선거구 시절부터 자민당이 가이후 도시키 전 총리와 에사키 마스미 전 의원등 거물들을 줄곳 출마시키며 높은 득표를 거두었다.

에사키 마스미가 은퇴를 하자 지역구 기반을 물려받은 에사키 데쓰마 의원은 정작 첫 총선에서 자민당이 아닌 신생당 후보로 출마해서 당선되었지만, 이후 신진당, 보수신당등을 거쳐 자민당으로 복당했다. 최근에는 에사키 의원이 4번 연속 당선되었지만, 절대득표율이 높지는 않아서 자민당 근소우세 선거구로 분류된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이누야마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에사키 데쓰마110,820표1위


46.44%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모리 하루오72,178표2위


30.2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시노 토모코29,003표3위


12.15%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나가나와 사치코20,575표4위


8.62%낙선
시미즈 센야5,103표5위

무소속

2.14%낙선
国民다카하시 신스케683표6위
국민당

0.29%낙선
아토지 토요지284표7위

무소속

0.12%낙선
유효표 수257,363투표율
유권자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이누야마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토 칸쥬99,970표1위


36.53%당선
파일:보수당 로고1.png에사키 데쓰마86,416표2위


31.58%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스즈키 마사히로57,047표3위


20.8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다 타모츠27,324표4위


9.99%낙선
파일:덕주회.png이시카와 하치로2,881표5위

자유연합

1.05%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하구리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보수신당 로고.png에사키 데쓰마107,369표1위
[1]45.6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사토 칸쥬106,599표2위
45.3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기시노 토모코21,350표3위
9.07%낙선
유효표 수189,204투표율
59.56%
유권자 수404,493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사키 데쓰마140,622표1위
52.7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스기모토 가즈미104,827표2위
39.2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다 타모츠21,350표3위
8.00%낙선
유효표 수148,367표투표율
66.68%
선거인 수408,424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스기모토 가즈미172,401표1위
[2]60.7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사키 데쓰마103,704표2위
[3]36.52%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나카무라 치카노리7,861표3위
2.77%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69.60%
선거인 수417,772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코난시, 니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사키 데쓰마96,548표1위
[4]41.44%당선
파일:다함께당 로고.png스기모토 가즈미60,563표2위
[5]25.99%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츠오 가즈야33,459표3위
[6]14.36%낙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다카하시 이치25,671표4위
[7]11.0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타쿠라 마사후미16,751표5위
7.19%낙선
유효표 수148,367표투표율
57.20%
선거인 수420,971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일부(옛 비사이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사키 데쓰마91,978표1위
44.49%당선
스기모토 카즈미45,702표2위
22.21%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고바야시 히로코85,967표3위
41.2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카쿠라 마사후미25,376표4위
12.28%낙선
유효표 수148,367표투표율
50.69%
선거인 수422,754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일부(옛 비사이시 지역을 제외한 전역),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에사키 데쓰마
(江崎鉄磨)
자유민주당88,171
(39.0%)
1위당선공명당 추천
야스이 미사코
(安井美沙子)
희망의 당66,560
(29.4%)
2위낙선
스기모토 가즈미
(杉本和巳)
일본 유신회44,258
(17.0%)
3위낙선
당선(석패율제)
이타쿠라 마사후미
(板倉正文)
일본 공산당27,044
(12.0%)
4위낙선
유효표 수226,033투표율 53.37%
유권자 수436,482

당선 후 연설하는 에사키 데쓰마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0구
이치노미야시 일부, 코난시, 이와쿠라시, 니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에사키 데쓰마81,107표1위
35.0%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스기모토 가즈미62,601표2위
27.0%비례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후지와하 노리마사53,375표3위
23.0%낙선
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야스이 미사코20,989표4위
9.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타쿠라 마사후미13,605표5위
5.9%낙선
유효표 수231,677표투표율
54.49%
선거인 수436,560인

현역 자민당 에사키 데쓰마 의원이 만 78세의 고령인데다가, 국회의원 임기 도중 뇌경색으로 입원하고 겸임하던 장관직도 사임했다. 이후 건강을 어느정도 회복해 다시 공개적으로 정치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번 총선에도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 차점 낙선자인 야스이 미사코 전 참의원의원이 레이와 신센구미에 입당하면서 야권 후보자 교통정리가 애매해졌다. 입헌민주당은 후지와라 노리마사 변호사를 공천했고, 공산당도 지난 총선에 출마한 이타쿠라 마사후미 전 이치노미야시의회 의원을 다시 공천했다. 레이와 신센구미가 야권단일화에 동참하겠다고 선언했지만, 결국 이곳만큼은 야권단일화 없이 3개 정당이 모두 후보를 내보냈다.

지난 총선에서 3위로 선거구에서는 패배했지만 석패율제를 통해 당선된 스기모토 가즈미 의원도 일본 유신회 공천을 다시 받았다.

보수 성향인 무소속 이마무라 히로후미 전 의원도 출마를 선언했다. 그러나 10월 15일, 자민당 소속으로 도쿄 15구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지역구에는 무소속이었으나 지난 총리 선출당시 기시다 총리에 투표한 카키자와 의원도 자민당 공천으로 출마를 희망하는 곳이다. 결국 두 후보간의 조정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자민당은 두 후보 모두에게 공천을 주지 않는 대신 추천만 하기로 했다. 자세한 내용은 도쿄 15구 문서에서 확인.

투표 결과, 자민당 에사키 데쓰마 후보가 35%의 득표율로 승리했다. 유신회 스기모토 가즈미 후보는 소속 정당의 인기 상승에 힘입어 2위로 올라갔고, 석패율 제도를 통해 구제받는데에도 성공했다. 레이와 신센구미 야스이 미사코 후보는 소속 정당이 도카이 블록 비례대표 의석을 1석 얻었지만, 비례대표 당선에 필요한 최소 지역구 득표율 10%를 0.9% 차이로 넘기지 못하는 바람에 낙선했다. 5.9%를 득표한 공산당 이타쿠라 마사후미 후보가 출마하지 않았으면 10%를 넘길 수도 있었다. 결국 레이와 신센구미의 1석은 공명당에게 돌아갔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10증10감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이치노미야시는 분할이 해소되었고, 코난시니와군은 신설되는 아이치현 제16구로 옮겨졌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신 아이치 10구의 지부장으로 에사키 데쓰마가 취임했다.#

후지와라 노리마사 입헌민주당 지부장이 공산당 후보와 같이 가두연설하다가 경고받은 일이 있었다.#
[1] , 추천[2] 추천[3] 추천[4] 추천[5] , 추천[6] 추천[7]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