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이타 공항

덤프버전 :

ta-hash-start=w-d32d0eb017701f96c9d6fe17e1c25303[[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의 공항
[ 펼치기 · 접기 ]


(おお(いた(くう(こう
오이타 공항 | Oita Airport
파일:Oita_Airport.jpg
IATA: OIT / ICAO: RJFO
개요
위치
파일:일본 국기.svg

오이타현 쿠니사키시
종류국가관리
운영국토교통성
운영 시간07:30 ~ 22:30
개항1971년
활주로01/19 - (3,000m x 45m)
면적148.17㏊
고도5m (17ft)
웹사이트오이타 공항 공식 홈페이지
지도

1. 개요
2. 위치와 접근성
3. 시설
4. 운항 노선
4.1. 국내선
4.2. 국제선



1. 개요[편집]


파일:Kunisaki_Airport.jpg

일본 오이타현 쿠니사키시에 위치한 바다를 메워서 만든 공항이다. 본래 오이타 시내에 있었으나 모든 공항들이 그렇듯이 1971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한 후 '신오이타 공항'이라는 이름으로 개항하였다. 활주로계기착륙장치 1등급인 3,000미터 규격 하나다.

오이타현의 경우 고속도로신칸센 개통[1]이 늦어서 도쿄, 오사카 등을 이어주는 귀중한 교통수단이다.

예전에 일본에어시스템(일본항공에 인수됨) 승무원 훈련센터가 있었으며 현재도 스타플라이어, 후지드림 항공 등 항공회사에서 파일럿들의 훈련에 이용하기도 하며, 항공대학교 훈련에도 쓰인다.

연도국내선 이용객국제선 이용객합계
20131,702,93115,7781,718,709
20141,733,50236,1451,769,647
20151,789,48960,3781,849,867

버진 오빗런처원 우주 발사기지로 선정되었다. #


2. 위치와 접근성[편집]


현청 소재지인 오이타시로 접근하려면 고속도로나 일반도로나 벳푸만을 돌아가면서 소요시간이 길어진다. 지도소요시간.

1971년 오이타 공항이 오이타 시내에서 현 위치로 이전한 후 공항에서 벳푸만을 가로질러 벳푸/오이타로 가는 고속페리(호버크래프트)가 있었으나[2] 오이타 현내 도로망의 확충으로 수요가 줄어들면서 적자에 시달리다가 2009년 10월을 마지막으로 폐선하였다. 다만 오이타현에서는 2023년 12월까지 호버크래프트용 여객 운행 재운항을 추진하고 있다. # 2023년 8월 26일 영국에서 제작된 호버크래프트가 오이타항에 도착해 하역을 완료했고 이후 시범 운행 등을 거쳐서 9월경에 국가 안전 검증을 받게 되며 2024년 1월까지 총 3척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한다.참고로 정식 운행 예정은 다소 지연된 2024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과거 공항 근처를 지나는 오이타 교통 쿠니사키선이 있었지만 1966년 폐선되었다. 웃긴 건 폐선 한 달 후에 당시에는 오이타 시내에 있던 공항이 현재 위치로 옮긴다고 발표가 난 것.


3. 시설[편집]




4. 운항 노선[편집]


주로 도쿄, 오사카 등 일본 국내 공항을 연결하는 노선이 많다. 국제선은 대한항공이 환승 수요를 보고 가끔 운항하지만, 비수기에 운휴하는 경우가 잦다. 벳푸, 유후인 등으로 관광객을 유치해야 하는 오이타현의 특성상 대한항공의 운휴는 치명적인데… 결국 저가 항공사티웨이항공이 2014년 9월 24일부터 취항을 시작했다. 그로부터 4년 뒤에 저가 항공사들이 실적이 좋아지면서 중국의 사드 문제까지 겹치자 일본 지방도시들로 눈 돌리기 시작하면서 지방 공항이 취항하게 된다.

그러나 2019년 일본의 대한 경제재재로 인해 한국의 불매운동이 일어나자 증축 리뉴얼 공사를 마친 뒤 3개월 만에 관광객 격감으로 운휴에 들어간다고 한다. #

그리고 2020년 초에 오이타 노선을 포함한 규슈 노선의 재운항을 추진했으나 하필 코로나19가 터지는 바람에(...) 제대로 망해버렸다.

그 후에 이제 규제도 풀리면서 드디어 제주항공이 2023년 6월 22일에 공식 취항했다. 또한 대한항공도 2024년 1월 20일에 복항 예정이다.

운항 노선은 운항 터미널, 가나다, ABC 순으로 정리했다.


4.1. 국내선[편집]




4.2. 국제선[편집]


항공사국가편명취항지
대한항공파일:대한민국 국기.svgKE서울(인천)[3]
제주항공파일:대한민국 국기.svg7C서울(인천)
[1] 오이타를 지나는 고속도로인 오이타자동차도는 1996년에 개통하였으며, 신칸센은 기약이 없기 때문에 하카타역, 코쿠라역에서 오이타역까지 운행하는 틸팅 특급열차소닉이 운행하고 있다. 또한 벳푸항에서 오사카남항, 야와타하마항, 오이타항에서 고베로 가는 정기 여객선도 운행하고 있다.[2] 오이타 공항~오이타 선착장 간 소요시간은 약 25분이었다고 한다.[3] 2024년 1월 20일 복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0:10:55에 나무위키 오이타 공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