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바라키 공항

덤프버전 :

ta-hash-start=w-049eb0ff8b87b906ce35b02aa87fe5be[[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의 공항
[ 펼치기 · 접기 ]


간토대중교통
[ 펼치기 · 접기 ]

JR 동일본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도호쿠·조에츠·호쿠리쿠 신칸센
JR 도카이
도카이도 신칸센
대형 사철도부 철도세이부 철도케이세이 전철케이오 전철
도큐 전철케이큐 전철도쿄메트로오다큐 전철
사가미 철도
준대형 사철신케이세이 전철
중소 사철사이타마 고속철도수도권 신도시 철도토요 고속철도도쿄 임해고속철도
요코하마 고속철도모오카 철도야간 철도와타라세 계곡철도
카시마 임해철도히타치나카 해안철도이스미 철도에노시마 전철
시바야마 철도호쿠소 철도③㋙칸토 철도코미나토 철도
조모 전기철도하코네 등산철도나리타 공항 고속철도③㊂㋙류테츠
조신 전철쵸시 전기철도치치부 철도이즈하코네 철도
모노레일·슬로프카·신교통타마 도시 모노레일③㋖치바 도시 모노레일③㋖요코하마 시사이드라인③㋖사이타마 신도시 교통
유리카모메우츠노미야 라이트레일③㋖쇼난 모노레일도쿄 모노레일
마이하마 리조트라인야마만(유카리가오카선)아스카야마공원 모노레일곤탄
강삭철도·케이블카츠쿠바 관광철도타카오 등산전철미타케 등산철도오야마 케이블카
노코기리야마 로프웨이프린스 호텔키누가와온천 로프웨이아케치다이라 로프웨이
나스 로프웨이이카호 로프웨이닛코 시라네야마 로프웨이타니가와다케 로프웨이
하루나산 로프웨이호도산 로프웨이요미우리랜드 스카이셔틀센요 흥업
버스·BRT요코하마 교통개발이바라키 교통가나가와 중앙 교통카시테츠 버스
도큐 버스오다큐 버스오다큐 시티 버스케이세이 버스
도큐 트란세케이오 버스케이큐 버스타치카와 버스
니시토쿄 버스치바 교통도쿄공항교통도쿄 BRT
국제흥업버스에노덴 버스닛토 교통칸에츠 교통
국제 중앙 교통쿠주쿠리 철도신케이세이 버스간토 자동차
헤이와 교통치바 중앙버스치바 내륙버스치바 시내버스
니시자키 관광닛코 도부 버스
공영 교통도영 교통 (도쿄도 교통국)도에이 지하철, 도영 버스, 도쿄 사쿠라 트램,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우에노 동물원 모노레일
요코하마시 교통국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버스
공항도쿄(하네다)HND도쿄 나리타NRT이바라키IBR오시마OIM
※ ③: 제3섹터 사업자 / ㋖: 궤도 및 궤도경영업자 / ㊂: 제3종 철도사업자 / ㋙: 상위 사업자의 자회사



茨城空港
Ibaraki Airport | 이바라키 공항
[[파일:이바라키 로고.jpgwidth=450]]
파일:external/www.ibaraki-airport.net/front_terminal.jpg
IATA: IBR / ICAO: RJAH
개요
위치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이바라키현 오미타마시
종류공용
운영방위성, 이바라키현
운영시간8:00 ~ 21:00
개항2010년 3월
활주로03L/21R (2,700m x 45m)
03R/21L (2,700m x 45m)
고도33m (107 ft)
웹사이트이바라키 공항 한국어 홈페이지
지도

1. 개요
2. 역사
2.1. 접근성
2.2. 시설
3. 운항 노선
3.1. 국내선
3.2. 국제선
4. 교통
4.1. 도쿄행 버스 노선을 놓쳤을 때
4.1.1. 츠쿠바 센터행 버스 타기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이바라키현 오미타마시에 있는 공항.

2. 역사[편집]


항공자위대의 햐쿠리 비행장(百里飛行場)을 민간과 함께 사용하도록 지정하고 군 활주로 서쪽에 새 활주로와 터미널을 짓기 시작하여 2010년에 개항했다. 지진 등으로 위의 두 공항을 이용할 수 없을 때에는 비상수송 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햐쿠리 비행장을 민간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햐쿠리 비행장은 1937년 햐쿠리 기지 해군 비행장으로 처음 만들어졌으며 이후 항공 자위대 기지로 전환, 1990년대 중반 민간 공용화 계획이 수립되어 2000년부터 본격적인 신축 및 보수 작업이 시작되었다.

이후 2010년 3월 11일 정식 개항했다. 개항 첫 해 실적은 203,070명. 당초 일본 국토교통성이 예상했던, 개항 시 81만 / 개항 5년 후 100만 명의 이용객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였다.[1] 또 국내선 96,098명 / 국제선 106,972명으로 국제선 이용객이 더 많았던 처음이자 마지막 해가 되었다. 이유는 바로 아래에 나오는 사건과 큰 연관이 있다.

2.1. 접근성[편집]


인프라가 상당히 부족해 주변이 온통 논밭에다 철도와도 멀어서 편의성과 접근성이 떨어진다.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은 조반선 이시오카역. 시내버스로 40분 정도 걸린다. 이바라키 현청을 거쳐 미토역까지 가는 시내버스도 있는데 1시간 정도 걸린다.

국내선은 스카이마크 항공의 독무대. 고베를 시작으로 노선이 하나 둘 늘어날 때에는 좋았으나 스카이마크가 경영난에 허덕이기 시작하자 이바라키 공항도 감편 크리를 맞았다. 나고야와 요나고편은 운휴, 삿포로와 후쿠오카편은 편성이 줄어들었다. 국내선 이용객도 수도권에 어울리지 않게 소소한 규모라 다른 항공사가 들어올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게다가 도쿄 근교에 비행장을 갖고 있는 주일미군이 옮겨올 가능성도 상당히 낮아 공항 활성화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적절한 인프라만 갖춰지면 수도권 북부 수요에 대응 가능할지도...

개항 첫 해 취항했던 아시아나항공도호쿠 대지진 이후 운항을 중단했다. 중국 항공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노선을 꾸렸지만 죄다 단항한 상태. 그러던 중, 이스타항공이 2017년에는 인천에서 전세기만 띄우더니 2018년부터는 정기편으로 격상[2]했다. 2019년 9월 18일 ~ 10월 26일까지 운항 중단 예정이라고 한다. # 하지만 이 이후에 취항을 하지 않고 있다.

2.2. 시설[편집]


수도권 이용객의 분산 및 비상 시를 염두에 두고 기존의 설비를 활용해 만들어진 공항이기에 규모는 작은 편이다. 아예 홈페이지의 시설 안내에서는 단순하고 컴팩트하며 모든 수속을 1층에서 마무리하는 알기 쉬운 구조를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래도 생각보다는 이것저것 있는 편. 1층에는 렌트카 카운터, 편의점, 자동 환전기[3], 샵 몇 곳이 있으며 2층에는 전망대, 공항 내 유일한 식당과 카페, 샵 몇 곳이 있다.


3. 운항 노선[편집]


연도국내선 이용객국제선 이용객합계
2019635,279명140,723명776,002명

3.1. 국내선[편집]



3.2. 국제선[편집]



4. 교통[편집]


전술한 대로, 철도 인프라는 아직 부족하지만 그 대신, 버스 노선이 있다. 공항 공식 홈페이지의하면, 칸토 철도에서 운행하는 도쿄역[4]까지 편도 1,530엔에 이 공항을 오갈 수 있다.[5]

4.1. 도쿄행 버스 노선을 놓쳤을 때[편집]


이바라키 공항 특성상 나리타 국제공항 도착편에 비해 운임이 싼 경우가 많기 때문에 도쿄를 여행하려는 여행객들이 인천 - 이바라키 노선을 이용한 뒤, 칸토 철도의 도쿄역행 버스[6]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스타항공의 인천 - 이바라키 노선 운항 당시 화, 목, 토 공히 오후 4시에 도착하는 스케줄로, 보통 가장 빨리 탈 수 있는 버스는 오후 5시 15분 버스였다. 그러나, 이 버스의 경우 사전예약 제도가 있기 때문에, 상술된 홈페이지에서 사전예약을 하는 것이 권장된다. 만약 사전예약을 하지 않았을 시, 공석이 있는 경우에 한해 선착순으로 태워주지만, 기본적으로 공석이 거의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선착순으로 타기는 매우 힘들다. 이럴 경우 공석이 있는 버스가 도착하는 시간대(그 이후에는 6시 40분 버스와 7시 40분 버스, 막차인 9시 10분 버스가 있다.)까지 꼼짝없이 공항에서 대기해야 한다. 그러나, 마냥 대기할 수만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대안을 소개한다. 물론 500엔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에 탈 수 있는 도쿄행 버스에 비해 몇 배 많은 요금을 내야 한다는 것은 감안해야 한다. 예약자가 많거나 선착순에서 밀려 6시 40분 버스도 타지 못할 것 같은 경우에만 시도하자.

이 대안은 반대로도 적용 가능하다. 즉, 도쿄역에서 출발하는 이바라키 공항 행 버스(보통 오후 1시 30분 출발)를 타지 못할 것 같으면 빨리 하술한 방법으로 이시오카역이나 츠쿠바역까지 빨리 가서 거기서 버스로 갈아타면 된다.(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특급 토키와를 타고 이시오카역까지 가는 방법을 권장한다.)

조반선 이시오카역으로 가는 버스를 탄다. 도쿄역행 버스와는 달리 시내버스 형태의 버스가 투입되기 때문에 당연히 예약제가 아니며, 이시오카역까지는 약 40분이 걸리고, 요금은 성인 기준 620엔이다. 보통 가장 빨리 탈 수 있는 버스는 오후 5시 25분 버스. 그 다음 버스는 오후 6시 30분에 있다. 이시오카역에 도착하면 특급열차인 토키와가 1시간 간격으로 운행중이다. 극히 일부 우에노역까지만 운행하는 열차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시나가와역까지 운행하며, 도쿄역까지는 약 1시간이 걸리고, 요금은 2490엔. 너무 비싸다면 3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일반 열차를 타는 것도 방법. 일반 열차는 약 1시간 반이 걸리며, 대부분이 우에노역 종착이고 아주 가끔 시나가와역까지 운행하는 열차가 있으며 요금은 1490엔이다.[7] 우에노역행 열차를 타고 도쿄역으로 가고 싶다면 우에노역에서 내려서 우에노도쿄라인이나 야마노테선, 케이힌토호쿠선을 타야 한다.


4.1.1. 츠쿠바 센터행 버스 타기[편집]


츠쿠바 센터로 가는 버스를 탄다. 츠쿠바 센터까지는 약 1시간이 소요되며 요금은 성인 기준 1030엔이다. 시외버스 형태의 버스가 투입되나 도쿄역행 버스와는 달리 예약 제도 없이 100% 선착순제이다. 보통 가장 빨리 탈 수 있는 버스는 오후 5시 20분 버스. 그 다음에는 오후 6시 20분 버스가 있다.(이 버스가 막차) 츠쿠바 센터는 츠쿠바 익스프레스 츠쿠바역에 매우 인접해 있으며, 여기서 전철을 타고 아키하바라역까지 갈 수 있다. 쾌속, 구간쾌속, 보통이 운행하고 있으나 좌석은 전부 지하철식 좌석이며, 보통열차는 중간에 추월당하니 쾌속이나 구간쾌속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쾌속은 아키하바라역까지 45분, 구간쾌속은 52분이 걸린다. 아키하바라역까지의 요금은 1190엔. 도쿄역에 가고 싶다면 아키하바라역에서 야마노테선, 케이힌도호쿠선으로 갈아타면 된다. 다만, 츠쿠바 익스프레스 아키하바라역은 지하 깊숙히 있기 때문에 환승 시간이 다소 오래 걸리는 건 감안해야 한다. 이 경우 목적지에 따라 아사쿠사역[8]이나 도에이 오에도선과 환승이 가능한 신오카치마치역에서 내려도 된다.


4.1.2. 이시오카역 행 버스 타기[편집]


칸테츠 그린버스
이바라키 공항 정류장
이시오카역 방면
소라노에키 소·라·라
카시테츠 버스
(이바라키 공항 계통)
시종착

주소
이바라키현 오미타마시 요자와
茨城県小美玉市与沢
역 운영기관
카시테츠 버스칸테츠 그린 버스
개업일
2007년 4월 1일


5. 여담[편집]


  • 한편, 개항 일자가 뭔가 익숙해보이는 것 같다면 생각하는 그게 맞다. 정확히 1년 뒤 도호쿠 대지진이 발생했다. 자칫하면 이후의 공항 유지 자체에 치명타가 될 수 있었던 상황. 그러나 다행히도 바다와는 거리가 15km정도로 조금 떨어져 있었기에 센다이 공항과 같은 참사는 피할 수 있었다.[9] 간토도호쿠 지방, 특히 해안가 지역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고 이바라키도 주 피해 지역에 해당되다 보니 국제선 이용객 수가 반토막났지만 반대로 국내선 이용객이 배 이상으로 늘어나며 기사회생. 이후 매 년 증가세를 겪으며 2019년 드디어 776,002명의 이용객 실적을 기록했다. 아직 호언장담한 100만에는 멀었지만, 괄목할 만한 성과였다. 성과였는데...

항공관제게임인 나는 항공관제관 3에서 이바라키 공항이 나온다. 게임 스테이지 중에 에어쇼 행사 관제를 할 수 있다.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6:12:00에 나무위키 이바라키 공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도 충격적인 수치였던지라 여론이 상당히 좋지 않았고 정부도 이후로 지방공항을 짓지 않겠다고 하면서 사실상 마지막 지방공항이 되었다고 한다.관련 기사[2] 2018년 여름, 이 과정에서, 일부 조종사들 및 승무원들의 항의 발생한 바 있다.도쿄는 잘 다니면서 바로 윗동네는 왜...[3] 자동 환전기는 외화를 엔으로 바꾸는 것만 가능하며 그 반대는 2층의 프라자를 이용해야 한다.[4] 버스 터미널, 정확히는 니혼바시 출구까지 평균 2시간~2시간 30분 소요. 하지만, 도쿄역 야에스 남쪽 3번 정거장 출발 이바라키 공항 도착의 경우에는 '니혼바시 엑시트'(출구)기준, 평균 1시간 30분 소요. 그러나 한국인 여행객들의 대부분이 이용할 17시나 18시 출발 버스의 경우, 퇴근시간대에 도쿄 방면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교통체증 없이 1시간 반~2시간에 갈 수 있다.[5] 현에서 지원금을 받았을 때는 단돈 500엔이었다.[6] 일명 500엔 버스,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출발하는 저가 버스를 국내 여행객들이 흔히 일컫는 1000엔 버스에서 유래된 듯 하다.[7] 물론 일반열차이니만큼 좌석은 한국에서 봐오던 지하철식 좌석과 옛날 비둘기호를 연상시키는 좌석이 혼재하고 있다. 이것이 싫다면 중간에 연결된 무궁화호급 좌석을 갖춘 그린샤를 이용하면 되나 이를 이용할 시에는 특급과 가격 차이가 얼마 없어지니 추천하지 않는다.[8] 도쿄메트로 긴자선이나 도에이 아사쿠사선아사쿠사역과는 떨어져있으니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9] 지진의 여파로 공항 시설 일부가 파손되었지만 공항 운영에 지장을 끼치지 않는 정도였고 금방 복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