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수진(비례대표 국회의원)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판사 출신의 서울 동작을 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내용은 이수진(동작 을) 문서
이수진(동작 을)번 문단을
이수진(동작 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이수진
李壽珍 | Lee Soo-jin
파일:이수진의료인1.jpg
출생1969년 5월 14일 (55세)
충청남도 대전시
(現 대전광역시)
거주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제동
현직제21대 국회의원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1]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학력송곡여자고등학교 (졸업)
삼육간호전문대학 (간호학과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공공정책학 / 석사)
종교불교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1
소속 위원회환경노동위원회 (간사)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력한국갈등해결센터 이사
한국노총 서울지역본부 여성위원회 위원장
한국노총 서울본부 부의장
연세의료원노동조합 위원장
서울특별시 물가대책위원회 위원
민주통합당 청년대표국회의원 선출특위 위원
서울지방노동위원회 근로자위원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당무위원회 위원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위원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재정운영위원회 위원
새정치민주연합 부대변인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여성위원회 부위원장
새정치민주연합 전국노동위원회 상임부위원장
중앙노동위원회 근로자위원
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
더불어민주당 전국여성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인재영입위원회 위원
전태일재단 운영위원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 운영위원
더불어민주당 전국노동위원회 위원장
한국노동복지센터 이사
더불어민주당 전략공천관리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재난안전대책위 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1. 개요
2. 생애
3. 법안 발의
4. 여담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내 삶의 대변인, 이수진입니다

대한민국간호사 출신 노동운동가, 정치인. 제21대 총선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의원으로 당선됐다.


2. 생애[편집]


1969년 5월 14일, 대전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동대문구 이문동으로 이사해 성장기 대부분을 서울에서 보냈다. 송곡여자고등학교, 삼육간호전문대학[명칭]을 졸업하고, 91년 연세의료원(현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사하여 소아과와 산부인과(분만실)에서 간호사로 근무했다. 간호사 근무 중 96년 연세의료원 노조로부터 대의원 참여 권유를 받은 것을 계기로 노조에서 활동하였다. 연세의료원 노동조합 부위원장, 수석부위원장을 거쳐 2011년 연세의료원 노조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전국의료산업노동조합연맹 위원장, 연세재단 산하 노조협의회 초대 위원장, 무상의료국민본부 집행위원 #, 한국노총 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간호사 출신 노동운동가로 한국노총에서 활동하다가 2012년 민주통합당에 입당하며 정치를 시작했다.#

노동운동가 출신 여성 정치인이 된 이후로는 더불어민주당 노동위원회 위원장, 전국여성위원회 부위원장을 지냈고,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출마하였으나 21번 순번을 받아 최종 낙선했다. 이후 2017년 더불어민주당 최고의원을 지냈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경선을 통해 3번을 받았으나 더불어시민당으로 당을 옮겨 비례대표 13번을 배정 받고 당선되었다.인터뷰

2023년 7월 3일 물순환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발의했는데 이 법안은 10월 6일 수정가결되었다.

3. 법안 발의[편집]


  • 공공 및 민간 장애인의무고용률을 상향 적용하는 장애인고용촉진법

  • 공공기관 청년의무고용률 의무적용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청년고용촉진법

  • 직장인 점심식사비 소득세 비과세한도를 월 20만 원 이상으로 상향조정하는 소득세법

  • 소상공인의 재난 피해복구를 위한 국가의 지원근거를 신설하는 재난안전법

  • 가사노동자의 고용안정 및 가사노동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가사노동자법

  • 감염병 예방활동의 방해행위 처벌을 강화하는 감염병예방법

  • 여성청소년의 생리용품을 보편지원하는 청소년복지지원법

  • 기후위기 대응 및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 직장 내 괴롭힘으로부터 피해자를 보호하고 사용자에게 조사의무를 부여하는 근로기준법


4. 여담[편집]


  • 같은 당에 지역구 의원인 동갑내기 동명이인이 있어서 의원실에는 더불어민주당(비)로 표기된다.[2] 본회의장 의원명패에도 이수진(지), 이수진(비)로 표기하여 구분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 국민의힘 최연숙 의원과 더불어 간호사 출신 국회의원이다.

  • 2007년 세브란스 노조위원장 시절 간호사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1개월간 파업을 하였던 전적이 있었다. # # 반면에 2020년 의사 파업을 비판하며 한정애 의원과 최대집 의협회장이 합의를 한 이후 시점에도 파업 의사들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ta-hash-start=w-f72b5935d3c9a1dbc4dc2cb5bd078cd8[[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 - 2013정계 입문

ta-hash-start=w-fbb00e1e842e9e5350a7643e6d014863[[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3 - 2014당명 변경

ta-hash-start=w-1307be9d4642b7deb89c95b4e691966e[[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2014 - 2015합당[3]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20당명 변경

무소속

2020비례대표 출마를 위한 탈당

ta-hash-start=w-e551d3ddbf87bddac369765bd58213a5[[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2020입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합당[4]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비례대표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069,744 (25.54%)낙선 (21번)
2020제21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8b5b8e27238713eb6d62a3726de3fc53[[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9,307,112 (33.35%)당선 (13번)초선[5][6]

역대 선거 벽보


7.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대의기관 (전국대의원대회·중앙위원회)
전국대의원대회
의장
김상희중앙위원회
의장
변재일
전국대의원대회
부의장
이용선
최혜영
중앙위원회
부의장
어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집행기구 (당무위원회·최고위원회)
당대표
(당무위원회 의장)
이재명
원내대표홍익표
수석최고위원
정청래
최고위원고민정 · 박찬대 · 서영교 · 장경태
서은숙 (지명) · 박정현 (지명)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독립기구
윤리심판원장위철환당무감사원장이학영
교육연수원장정봉주민주연구원장정태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최고위원회 소속기구
중앙당후원회장
문희상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송기도
윤리감찰단장
김석담특보단장-
국민응답센터장강준현수석대변인권칠승
대변인박성준 · 강선우 · 한민수 (원외) · 최민석[1] (청년) · 김도균 (국방)
안귀령 (상근부) · 서용주 (상근부) · 선다윗[2] (상근부,청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당대표비서실 (당대표 소속)
당대표비서실장
천준호당대표정무조정실장김영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전국위원회 위원장
전국여성위원장이재정전국노인위원장최락도
전국청년당 대표
전국청년위원장
전용기전국대학생위원장양소영
전국장애인위원장조연우전국노동위원장박홍배
전국농어민위원장이원택을지로위원장박주민
사회적경제위원장진선미소상공인위원장민병덕 · 이동주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상설위원회
국가경제자문회의 의장변재일외교안보통일자문회의 의장윤호중
자치분권정책협의회 의장이낙연세계한인민주회의 수석부의장임종성
국제위원장황희전국직능대표자회의 의장안규백
민생연석회의 의장이낙연참좋은지방정부위원장양승조 · 정원오
당헌당규위원장유동수인권위원장주철현
다문화위원장윤영덕재정위원장임호선
예산결산위원장고용진청년미래연석회의 의장홍정민
인재위원장이재명탄소중립위원장김정호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상설)
중소기업특별위원장신영대사회복지특별위원장최종윤
보육특별위원장인재근교육특별위원장서동용
보건의료특별위원장신현영주거복지특별위원장천준호
경제통일특별위원장김경협국방안보특별위원장김병주 · 이철휘 · 황인권
동북아평협특별위원장
김영주문화예술특별위원장유정주
환경특별위원장-체육특별위원장임오경
과학기술혁신특별위원장조승래 · 김상선정보통신특별위원장정필모
해양수산특별위원장윤재갑재해대책특별위원장오영환
종교특별위원장김회재 · 김영배 · 문정복북한이탈주민특별위원장김병기
4050특별위원장임종성여성정치참여확대위원장송옥주
국민통합특별위원장홍영표검찰개혁특별위원장윤호중
전통문화발전특별위원장김영배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특별위원회 (비상설)
민생경제위기대책위원장김태년검찰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장박범계
국민안전재난대책위원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사무처
사무총장조정식수석사무부총장김병기
조직사무부총장김윤덕디지털전략사무부총장박상혁
전략기획위원장한병도홍보위원장한웅현
국민소통위원장최민희대외협력위원장김원이
법률위원장김승원 · 양부남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정책위원회
의장이개호
수석부의장김성주제1정책조정위의장기동민
제2정책조정위의장김병주제3정책조정위의장신동근
제4정책조정위의장김한정제5정책조정위의장최인호
제6정책조정위의장강훈식제7정책조정위의장김영호
파일:국회휘장.svg 원내기구 (의원총회)
원내대표홍익표
원내운영수석부대표박주민원내정책수석부대표유동수
원내정무특보이병훈원내경제특보홍성국
원내부대표강준현 · 문정복 · 문진석 · 신영대 · 유정주 · 윤재갑 · 이동주 · 이용빈 · 주철현 · 홍성국
원내대변인윤영덕 · 임오경 · 최혜영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상임고문
파일:더불어민주당 워드마크.svg
역대 당대표
[1]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우승[2] 청년대변인 선발오디션 더블루스피커 준우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아이콘2.svg

||
[ 펼치기 · 접기 ]








[1] 개인 계정[명칭] 지금은 삼육보건대학교 간호학과로 개명되었지만 이수진 의원이 입학하고 졸업하던 당시의 명칭은 삼육간호전문대학 간호과이다.[2] 반대로 동작 을 이수진은 더불어민주당(지)로 표기된다.[3]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4] 더불어민주당에 흡수 합당[5] 더불어민주당 비례후보 3번[6] 2020년 5월 12일 더불어민주당 흡수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