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








1. 진출권 배당
2. 예선
2.1. 1조(유럽)
2.2. 2조(유럽)
2.3. 3조(유럽)
2.4. 4조(유럽)
2.5. 5조(유럽)
2.6. 6조(유럽)
2.7. 7조(유럽)
2.8. 8조(유럽)
2.9. 9조(유럽)
2.10. 10조(유럽)
2.13. 13조(아시아)


1. 진출권 배당[편집]


스위스우루과이는 각각 개최국과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예선을 치르지 않고 본선에 직행했다. 이 두 팀을 제외한 나머지 본선 진출 14개 팀을 뽑는 지역 예선에서의 본선 진출권 배당은 아래와 같았다.

대륙진출권 수출전국경쟁률
유럽(1~10)[1]11292.45:1
남아메리카(11)144:1
북아메리카(12)133:1
아시아(13)133:1


2. 예선[편집]


  • 순위표에서 이름이 굵은 글씨로 적힌 팀은 본선에 진출한 팀을 의미한다.
  • 1, 2, 4, 5, 6, 8, 10조는 3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7, 9조는 2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3조는 4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와 조 2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11조는 4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12조는 3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 13조는 3팀으로 구성되었고 조 1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2.1. 1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서독4310123+97
2자를란트411248-43
3노르웨이402249-52

경기장비슬렛 스타디온 - 오슬로, 노르웨이
경기일1953.06.24
국 가노르웨이자를란트
득 점23
득점자군나르 토레센(3')
크누트 달렌(15')
헤르베르트 빈케르트(16')
베르너 오토 (30')
게르하르트 지틀(55')

경기장울레발 스타디온 - 오슬로, 노르웨이
경기일1953.08.19
국 가노르웨이서독
득 점11
득점자헤랄드 헨눔(41')프리츠 발터(44')

경기장네카르슈타디온 - 슈투트가르트, 서독
경기일1953.10.11
국 가서독자를란트
득 점30
득점자막스 몰록[2](13', 50')
호르스트 샤데(70')

경기장루트비히스파크슈타디온 - 자르브뤼켄, 자를란트
경기일1953.11.08
국 가자를란트노르웨이
득 점00
득점자

경기장폴크스파르크 슈타디온 - 함부르크, 서독
경기일1953.11.22
국 가서독노르웨이
득 점51
득점자막스 몰록(27', 63')
오트마르 발터(69')
프리츠 발터(80'), 헬무트 란(88')
한스 노르달(26')

경기장루트비히스파크슈타디온 - 자르브뤼켄, 자를란트
경기일1954.03.28
국 가자를란트서독
득 점13
득점자헤르베르트 마르틴(68')(PK)막스 몰록(36', 48')
한스 섀퍼(84')

서독은 3승 1무 12득점 3실점의 우월한 실력으로 손쉽게 본선에 올랐다. 지난 대회에서는 협회결성이 늦어서 예선조차 치르지 못했던 자를란트는 노르웨이에 1승 1무를 거두며 선전했으나 서독에 탈탈 털리며 탈락. 그리고 이 예선이 자를란트 축구대표팀의 마지막 경기가 된다. 이후 자를란트는 2년 뒤 정식으로 서독에 편입되면서 대표팀도 사라졌다.


2.2. 2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벨기에4310116+57
2스웨덴411298+13
3핀란드4022713-62

경기장올림픽 스타디온 - 헬싱키, 핀란드
경기일1953.05.25
국 가핀란드벨기에
득 점24
득점자칼레비 레토비르타(49', 75')앙리 코팡(4', 26', 83')
레오폴드 아눌(9')

경기장로순다 스타디온 - 스톡홀름, 스웨덴
경기일1953.05.28
국 가스웨덴벨기에
득 점23
득점자벵트 베른트손(20')
아르네 셀모손(26')
레오폴드 아눌(28')
장루이 스트래망(37')
빅토르 렘베레흐츠(40')

경기장올림픽 스타디온 - 헬싱키, 핀란드
경기일1953.08.05
국 가핀란드스웨덴
득 점33
득점자칼레비 레토비르타(63')
올라비 라티넨(67')
닐스 리크베르크(70')
닐스아케 산델(9', 71')
한스 페르손(23')

경기장로순다 스타디온 - 스톡홀름, 스웨덴
경기일1953.08.16
국 가스웨덴핀란드
득 점40
득점자괴스타 산베리(22')
닐스아케 산델(24', 61')
헤베르트 산딘(56')

경기장헤이젤 스타디온 - 브뤼셀, 벨기에
경기일1953.09.23
국 가벨기에핀란드
득 점22
득점자마티유 볼렌(25', 75')올라비 라티넨(83')
요르마 바이헬라(90')

경기장헤이젤 스타디온 - 브뤼셀, 벨기에
경기일1953.10.08
국 가벨기에스웨덴
득 점20
득점자앙리 코팡(23')
빅토르 메스(49')


2.3. 3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잉글랜드3300114+76
2스코틀랜드31118803
3북아일랜드310247-32
4웨일즈301259-41

경기장윈저 파크 -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경기일1953.10.03
국 가북아일랜드스코틀랜드
득 점13
득점자노먼 로카트(72')(PK)찰스 플레밍(47', 69')
존 헨더슨(89')

경기장니니안 파크 - 카디프, 웨일즈
경기일1953.10.10
국 가웨일즈잉글랜드
득 점14
득점자존 올처치(22')데니스 윌쇼(45', 49')
나다니엘 로프트하우스(52', 53')

경기장햄든 파크 -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경기일1953.11.04
국 가스코틀랜드웨일즈
득 점33
득점자앨런 브라운(19')
로버트 존스톤(42')
로리 레일리(58')
존 찰스(49', 88')
존 올처치(73')

경기장구디슨 파크 - 리버풀, 잉글랜드
경기일1953.11.11
국 가잉글랜드북아일랜드
득 점31
득점자해럴드 해솔(10', 60')
나다니엘 로프트하우스(75')
에디 맥모런(54')

경기장레이스코스 그라운드 - 렉셤, 웨일즈
경기일1954.03.31
국 가웨일즈북아일랜드
득 점12
득점자존 찰스(80')피터 맥파랜드(1', 52')

경기장햄든 파크 -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경기일1954.04.03
국 가스코틀랜드잉글랜드
득 점24
득점자앨런 브라운(7')
윌리 오몬드(89')
이보르 브로디스(13')
존 니콜스(50')
로날드 알렌(68')
제임스 멀렌(83')

지난 대회 예선에 이어 브리티쉬 홈 챔피언쉽이 통째로 예선의 한 조가 되었다. 브리티쉬 홈 챔피언쉽은 1884년부터 1984년까지 열렸던 영국 홈네이션 4개국 간의 축구 대회로 원래는 순수한 자기네들끼리의 대회였지만 FIFA의 배려로 인해 여기에서 1, 2위 팀이 1954년 월드컵 본선권을 갖게 되었다. 잉글랜드가 3승으로 조 1위, 스코틀랜드가 1승 1무 1패로 조 2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2.4. 4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프랑스4400204+168
2아일랜드420286+24
3룩셈부르크4004119-180

경기장스타드 무니시팔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경기일1953.09.20
국 가룩셈부르크프랑스
득 점16
득점자앙투앙 콘(6')로제 피앙토니(5')
레이몽 코파(10')
레이몽 시시(41')
레옹 글로바키(44')
에두아르 카르구(73')
피에르 클라미옹(88')

경기장델리마운트 파크 - 더블린, 아일랜드
경기일1953.10.04
국 가아일랜드프랑스
득 점35
득점자패디 라이언(58')(PK)
데이브 월쉬(83')
프랭크 오파렐(88')
레옹 글로바키(23')
아르망 펑베른(40')
조세프 울라키(50', 69')
피에르 클라미옹(72')

경기장델리마운트 파크 - 더블린, 아일랜드
경기일1953.10.28
국 가아일랜드룩셈부르크
득 점40
득점자아서 피츠시몬스(14')
패디 라이언(48')(PK)
토미 에글링턴(59')
아서 피츠시몬스(83')

경기장파르크 데 프랭스 - 파리, 프랑스
경기일1953.11.25
국 가프랑스아일랜드
득 점10
득점자로제 피앙토니(73')

경기장파르크 데 프랭스 - 파리, 프랑스
경기일1953.12.17
국 가프랑스룩셈부르크
득 점80
득점자장 데그랑주(2', 88')
장 뱅상(6', 10')
쥐스트 퐁텐(21', 75', 80')
자크 푸아(57')

경기장스타드 무니시팔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경기일1954.03.07
국 가룩셈부르크아일랜드
득 점01
득점자조지 커민스(67')

프랑스가 4승으로 쉽게 진출했다. 룩셈부르크는 4패 1득점 19실점으로 광탈하며 승점자판기의 오랜 역사를 시작하기에 이른다(…).


2.5. 5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오스트리아211091+84
2포르투갈201119-81

경기장프라테르슈타디온 - , 오스트리아
경기일1953.09.27
국 가오스트리아포르투갈
득 점91
득점자에른스트 옥비르크(13')
에리히 프롭스트(14', 19', 31, 59', 70')
에른스트 하펠(68')(PK)
테오도르 바그너(83')
로베르트 딘스트(87')
주제 아구아스(60')

경기장자모르 국립경기장 - 리스본, 포르투갈
경기일1953.11.29
국 가포르투갈오스트리아
득 점00
득점자

덴마크가 기권하였다. 오스트리아가 홈에서 포르투갈을 9:1로 떡실신시키고 원정에서 비기며 본선에 합류했다.


2.6. 6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스페인210142+23
1터키210124-23

경기장에스타디오 누에보 차마르틴
마드리드 - 스페인
경기일1954년 1월 6일
국 가스페인터키
득 점41
득점자베난시오 가르시아(13')
아구스틴 가인사(48')
미켈 곤살레스(49')
라파엘 알수아(65')
레세프 아다니르(31')

경기장미타트 파샤 스타디움
앙카라 - 터키
경기일1954년 3월 14일
국 가터키스페인
득 점10
득점자부르한 사르군(16')

네덜란드가 기권하였다.

당시에는 골득실 규정[3]이 없어 중립 지역인 로마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경기장스타디오 올림피코
로마 - 이탈리아
경기일1954년 3월 17일
국 가터키스페인
득 점22
득점자부르한 사르군(25')
수아트 마마트(64')
호세 루이스 아레체(11')
아드리안 에스쿠데로(78')

70년대 이후였다면 골득실로 스페인이 본선에 올랐겠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그런 개념이 없던 관계로 중립국 이탈리아에서 3차전을 치뤘는데 2:2 무승부를 기록, 동전 던지기(…)로 터키가 승리했다.


2.7. 7조(유럽)[편집]


폴란드는 내부사정으로 기권, 헝가리가 한 경기도 안치루고 본선에 진출했다. 사실 폴란드로서는 하필 세계최강 헝가리와 같은 조에 걸렸으니 본선 가능성이 낮은 편이었다.


2.8. 8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체코슬로바키아431051+47
2루마니아42025504
3불가리아401337-41

경기장미상
프라하 - 체코슬로바키아
경기일1953년 6월 14일
국 가체코슬로바키아루마니아
득 점20
득점자에밀 파지츠키(54')
프란티섹 블크(63')

경기장8월 23일 경기장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경기일1953년 6월 28일
국 가루마니아불가리아
득 점31
득점자조제프 페초프스키(20', 30')
코르넬 에네(82')
도브로미르 타슈코프(53')

경기장바실 레프스키
소피아 - 불가리아
경기일1953년 9월 6일
국 가불가리아체코슬로바키아
득 점12
득점자스테판 보즈코프(55')(PK)프란티섹 블크(5', 40')

경기장바실 레프스키
소피아 - 불가리아
경기일1953년 10월 11일
국 가불가리아루마니아
득 점12
득점자이반 콜레프(28')가브릴 세르포조(27')
발레리우 칼리노이우(52')

경기장미상
부쿠레슈티 - 루마니아
경기일1953년 10월 25일
국 가루마니아체코슬로바키아
득 점01
득점자프란티섹 사프라넥(38')(PK)

경기장테헬네 폴레
브라티슬라바 - 체코슬로바키아
경기일1953년 11월 8일
국 가체코슬로바키아불가리아
득 점00
득점자


2.9. 9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이탈리아220072+54
2이집트200227-50

경기장알 알리 스타디움
카이로 - 이집트
경기일1953년 11월 13일
국 가이집트이탈리아
득 점12
득점자아드디바(33')암레토 프리냐니(62')
에르메스 무치넬리(79')

경기장산 시로
밀라노 - 이탈리아
경기일1954년 1월 24일
국 가이탈리아이집트
득 점51
득점자에기스토 판돌피니(1')
암레토 프리냐니(62')
에르메스 무치넬리(79')
에두아르도 리카니(84')
잠피에로 보니페르티(86')
알라 엘하무리(32')

이집트는 처음으로 유럽 예선에 나왔다. 시리아나 레바논도 그렇고 이집트도 유로바스켓 같은 대회에 참가하던 적도 있듯이 아프리카 및 아랍지역 나라로서 당시 유럽 대회나 예선에 나올 수 있었다.(정확하게 당시에는 아프리카 축구협회나 지역 스포츠 협회가 없었기에) 그리고 1:2, 1:5로 털리며 탈락했다.


2.10. 10조(유럽)[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유고슬라비아440040+48
2그리스420232+14
3이스라엘400405-50

경기장-
베오그라드 - 유고슬라비아
경기일1953년 5월 9일
국 가유고슬라비아그리스
득 점10
득점자프라네 마토시치(71')

경기장-
아테네 - 그리스
경기일1953년 11월 1일
국 가그리스이스라엘
득 점10
득점자타나시스 벰비스(52')

경기장-
스코페 - 유고슬라비아
경기일1953년 11월 8일
국 가유고슬라비아이스라엘
득 점10
득점자밀로스 밀루티노비치(3')

경기장-
텔아비브 - 이스라엘
경기일1954년 3월 8일
국 가이스라엘그리스
득 점02
득점자디미트리스 코키나키스(61')
조르고스 카마라스(83')

경기장-
텔아비브 - 이스라엘
경기일1954년 3월 21일
국 가이스라엘유고슬라비아
득 점01
득점자브란코 제베치(80')

경기장-
아테네 - 그리스
경기일1954년 3월 28일
국 가그리스유고슬라비아
득 점01
득점자토도르 베셀리노비치(50')


2.11. 11조(남아메리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브라질440081+78
2파라과이420286+24
3칠레4004110-90

경기장-
아순시온 - 파라과이
경기일1954년 2월 14일
국 가파라과이칠레
득 점40
득점자마누엘 루고(30')
호세 파로디(52')
이레네오 헤르모시야(70')
실비오 파로디(79')

경기장-
산티아고 - 칠레
경기일1954년 2월 21일
국 가칠레파라과이
득 점13
득점자테드 로블레도(16')마누엘 루고(17', 63')
호세 파로디(84')

경기장-
산티아고 - 칠레
경기일1954년 2월 28일
국 가칠레브라질
득 점02
득점자발타자르(38', 63')

경기장-
아순시온 - 파라과이
경기일1954년 3월 7일
국 가파라과이브라질
득 점01
득점자발타자르(52')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 브라질
경기일1954년 3월 14일
국 가브라질칠레
득 점10
득점자발타자르(35')

경기장-
리우데자네이루 - 브라질
경기일1954년 3월 21일
국 가브라질파라과이
득 점41
득점자보텔류(60', 85')
발타자르(62')
마우리뉴(90')
에울로히오 마르티네스(75')

1950년 월드컵을 자기네들이 아닌 브라질이 개최한 것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던 아르헨티나는 이번에도 불참을 선언했다. 페루가 기권하여 나머지 3개국간 리그가 치러졌고, 지난 대회 준우승한 브라질이 나머지 팀들을 압살하며 본선에 진출했다.


2.12. 12조(북아메리카)[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멕시코4400191+188
2미국420279-24
3아이티4004218-160

경기장-
멕시코시티 - 멕시코
경기일1953년 7월 19일
국 가멕시코아이티
득 점80
득점자토마스 발카사르(23', 26', 76')
그레고리오 고메스(27')
니콜라스 텔레스(34')
페드로 아르나우다(38', 69', 85')

경기장-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53년 12월 27일
국 가아이티멕시코
득 점04
득점자라파엘 아발로스(6')
호세 루이스 라마드리드(15', 59')
토마스 발카사르(65')

경기장-
멕시코시티 - 멕시코
경기일1954년 1월 10일
국 가멕시코미국
득 점40
득점자토마스 발카사르(5')
빌리 셰펠(16')(자책골)
호세 루이스 라마드리드(47')
호세 나랑호(63')

경기장-
멕시코시티 - 멕시코
경기일1954년 1월 14일
국 가멕시코미국
득 점31
득점자알프레도 토레스(60', 89')
호세 루이스 라마드리드(82')
빌 루비(6')

경기장-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54년 3월 3일
국 가아이티미국
득 점23
득점자제라르 엘리(60'(PK), 89')코넬리우스 케이시(20')
에프레인 차쿠리안(42')
빌 루비(83')

경기장-
포르토프랭스 - 아이티
경기일1954년 3월 4일
국 가아이티미국
득 점03
득점자빌 루비(22', 31')
루벤 멘도자(31')


2.13. 13조(아시아)[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대한민국211073+43
2일본201137-41

경기장메이지진구경기장(明治神宮競技場)(현 도쿄 국립경기장)
도쿄도 신주쿠구- 일본
경기일1954년 3월 7일
주심파일:영국령 홍콩 기(1876-1955).svg.png 하란
국 가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대한민국
득 점15
득점자나가누마 켄(16')정남식(22')
최광석(34')
성낙운(65')
최정민(82', 85')

경기장메이지진구경기장(明治神宮競技場)
도쿄도 - 일본
경기일1954년 3월 14일
주심파일:영국령 홍콩 기(1876-1955).svg.png 하란
국 가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대한민국
득 점22
득점자이와타니 도시오(17', 61')정남식(20')
최광석(43')

파일:1954WC 아시아 예선 포스터.jpg

세계축구선수권대회라 칭하고 '쥘 리메 컵 1954' 라고 명명하였다.

중화민국이 내부사정으로 기권, 한국과 일본간의 경기만이 치러졌다. 최초의 공식 한일전. 경기는 홈&어웨이가 원칙이었으나, 당시 일본 선수들이 한국 땅을 밟지 못하게 하겠다는 이승만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로 인해 두 경기를 다 일본 도쿄에서 치러야 하는 불리한 상황에 놓인다. 이때, 한국 대표팀은 만약 패한다면 귀국하지 않고 현해탄에 몸을 던지겠다는 결사의 각오로 경기를 치렀고, 결국 2경기에서 1승 1무로 일본을 완파하고 54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한다. 이렇게 대한민국은 주권 국가로서 최초로 아시아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 된다.[4][5]

나중에 알려진 사실에 의하면 최초의 한일전이었던 1954년 3월 7일 경기에서 한국이 5:1로 승리는 했으나 후반전 득점선수에 대해 한일 양국, 국내로 좁히면 각 신문사마다 순서가 뒤죽박죽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에 출전했던 선수는 모두 세상을 떠났으며 관련 자료도 남아 있는 것이 부족하기에 당시 첫 한일전의 득점자에 대해 정확히 밝히는 일이 상당히 험난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8:11:17에 나무위키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터키이스라엘, 시리아는 지리적으로는 아시아지만 거리상으로는 유럽과 더 가깝기 때문에 유럽 지역 예선에 집어넣었다. 당시 시리아를 제외한 중동 국가들이 월드컵 예선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더 현실적이었다. 그리고 터키와 이스라엘은 현재에도 유럽 지역 예선을 통해 월드컵에 참가하고 있다.[2] 1. FC 뉘른베르크의 홈구장 막스 몰록 슈타디온이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다.[3] 1974 FIFA 월드컵 서독에 가서야 이 규정이 도입되었다.[4] 주권 국가라는 것을 명기한 이유는 1938년 월드컵에서 네덜란드령 동인도(인도네시아)가 본선 진출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직전 대회인 1950년 월드컵에는 인도가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대회 전에 기권하였다.[5] 1938년에는 아시아 예선 그룹에 동인도와 일본만 포함되었지만 일본이 기권해 동인도가 자동으로 본선에 진출한 관계로, 아시아 예선에서 경기를 치러 통과한 것도 역시 대한민국이 처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