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 순위표에서 이름이 굵은 글씨로 적힌 팀은 본선에 진출한 팀을 의미한다.

1. 진출권 배당
2. 유럽
2.1. 1조
2.2. 2조
2.3. 3조
2.4. 4조
2.5. 5조
2.6. 6조
2.6.1. 플레이오프
2.7. 7조
2.8. 8조
2.9. 9조
3. 남미
3.1. 1조
3.2. 2조
3.3. 3조
4. 북중미카리브
4.1. 1라운드
4.1.1. 1조
4.1.2. 2조
4.2. 최종 라운드
5. 아시아+아프리카
5.1. 예비 예선
5.2. 1라운드
5.2.1. 1조
5.2.2. 2조
5.2.3. 3조
5.2.4. 4조
5.3. 2라운드
5.4. 최종 라운드
6. 대륙 플레이오프


1. 진출권 배당[편집]


디펜딩 챔피언 서독과 개최국 스웨덴은 자동 진출하였다. 총 14개의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지역 예선에서 본선 진출권 배당은 아래와 같다.
대륙진출권 수출전국경쟁률
유럽9273:1
남미393:1
북중미카리브166:1
아시아+아프리카11111:1

그런데 지역예선이 시작된 이후 아시아-아프리카 지역 예선에서 이스라엘과 맞붙을 예정이던 수단 공화국, 터키, 인도네시아가 모두 기권하는 바람에 이스라엘이 예선 경기를 1경기도 치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종전에는 자동으로 부전승으로 올라가지만 FIFA는 1938월드컵 인도네시아의 무혈입성 참패탈락과 1954월드컵 한국의 16강 조별리그 참패탈락도 고려하여 이 대회 지역예선에서부터 개최국과 디펜딩 챔피언을 제외하고 최소 1경기 이상은 치르고 올라오도록 규정을 개정하였다.

결국 대륙별 티켓 수를 조정하여 유럽 11.5장, 아시아 및 아프리카 0.5장으로 변경했고 이스라엘과 유럽 지역 예선 조2위 중 추첨으로 결정된 1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도록 했다. 추첨 결과 벨기에가 결정되었으나 벨기에는 이를 거절했고, 웨일스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2. 유럽[편집]


27개 참가팀은 3개 팀씩 9개의 조로 편성되어 홈어웨이로 경기를 하며, 각 조의 1위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4310155+107
2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421167-15
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4004413-90



2.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프랑스4310194+157
2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42111611+55
3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아이슬란드4004626-200



2.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4301124+86
2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48-1967).svg불가리아4202117+44
3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4103315-122



2.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430193+66
2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420265+14
3파일:독일 국기.svg[1]동독4103512-72


웨일스는 이후 이스라엘과의 플레이오프에 나설 조2위 국가로 뽑히게 되었다.


2.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4310143+117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4211127+55
3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4004319-160



2.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소련 국기.svg소련4301163+136
1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폴란드430195+46
3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4004219-170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6.23소련3-0폴란드모스크바, 소련
1957.7.5핀란드1-3폴란드헬싱키, 핀란드
1957.7.27소련2-1핀란드모스크바, 소련
1957.8.15핀란드0-10소련헬싱키, 핀란드
1957.10.20폴란드2-1소련호주프, 폴란드
1957.11.3폴란드4-0핀란드바르샤바, 폴란드

소련과 폴란드의 승점이 같아 중립구장에서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2.6.1. 플레이오프[편집]


일시국가경기 결과국가도시, 국가
1957.11.24소련2-0폴란드라이프치히, 동독

소련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2.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422072+56
2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루마니아421164+25
3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그리스401329-71



2.8. 8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북아일랜드421163+35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42025504
3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411247-33


이탈리아가 북아일랜드와의 최종전에서 비기기만 해도 본선에 올라갈 수 있었으나 2-1로 패배하면서 예선 탈락했다. 2018년 이전까지 이탈리아가 월드컵 예선에서 탈락한 유일한 사례였다.


2.9. 9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4301109+16
2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스페인4211128+45
3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4013611-51


스코틀랜드가 재키 무디의 맹활약을 앞세워서 스페인을 1점차로 제치고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3. 남미[편집]


9팀이 3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홈어웨이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3.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브라질211021+13
2파일:페루 국기.svg페루201112-11

베네수엘라는 기권하였다.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4.13브라질1-1페루리마, 페루
1957.4.21페루0-1브라질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


3.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4301102+86
2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42026604
3파일:칠레 국기.svg칠레4103210-82



3.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4301114+76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421146-25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401338-51




4. 북중미카리브[편집]


1라운드는 6팀이 3팀씩 2개 조로 나뉘어 홈어웨이로 조1위를 가린다. 각 조의 1위팀이 최종라운드에서 홈어웨이로 대결하여 승자가 본선에 진출한다.


4.1. 1라운드[편집]



4.1.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4400182+168
2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2]캐나다42028804
3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미국4004521-160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4.7멕시코6-0미국멕시코시티, 멕시코
1957.4.28미국2-7멕시코롱비치[3], 미국
1957.6.22캐나다5-1미국토론토, 캐나다
1957.6.30멕시코3-0캐나다멕시코시티, 멕시코
1957.7.3멕시코2-0캐나다멕시코시티, 멕시코
1957.7.6미국2-3캐나다세인트루이스[4], 미국

멕시코가 최종라운드에 진출했다.


4.1.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4400154+118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령 퀴라소310247-32
3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3003412-80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2.10과테말라2-6코스타리카과테말라시티, 과테말라
1957.2.17코스타리카3-1
(66')[5]
과테말라산호세, 코스타리카
1957.3.3코스타리카4-0네덜란드령 퀴라소산호세, 코스타리카
1957.3.14과테말라1-3네덜란드령 퀴라소과테말라시티, 과테말라
1957.8.4네덜란드령 퀴라소1-2코스타리카빌렘스타트, 퀴라소

코스타리카가 최종라운드에 진출하였다. 퀴라소 대 과테말라의 경기는 과테말라 선수들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입국이 불허되면서 치러지지 않았고 예선 순위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 결국 열리지 않았다.


4.2. 최종 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211031+23
2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201113-21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10.20멕시코2-0코스타리카멕시코시티, 멕시코
1957.10.27코스타리카1-1멕시코산호세, 코스타리카


5. 아시아+아프리카[편집]


피파가 38월드컵 15개국 본선[6]에서 인도네시아의 무혈입성 참패탈락과 더불어 한국도 54월드컵 16개국 본선 16강 조별리그에서 헝가리에 0:9, 터키에 0:7 참패탈락하자, 피파는 아시아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인지하고, 58월드컵 지역예선부터 아시아는 16개국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서 타 대륙과 경쟁을 치러야 16개국 본선에 진출 할 수 있게 바뀌었다.

인도네시아와 중국, 대만이 예비 예선을 치러 2팀을 가린 뒤 나머지 6개 팀과 함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출팀을 가린다.

한국은 아시아+아프리카 예선에 참가하려 했으나 대한축구협회 관계자가 참가 신청서를 분실해버리는 바람에 출전도 못했다. 원래는 벌금도 물어야 했으나, 선수단이 먼저 떠나버려서 주지 못하고 4년째 묵혀 있던 이전 대회인 1954년 대회의 2경기 출전금을 여기다 쓴 셈 치고 넘어갔다. 에티오피아는 아예 참가를 거절당했다.


5.1. 예비 예선[편집]


대만의 기권으로 인도네시아중국이 자동으로 1차예선에 진출했다.


5.2. 1라운드[편집]



5.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210154+12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210145-12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5.12인도네시아2-0중국자카르타, 인도네시아
1957.6.2중국4-3인도네시아베이징시, 중국

인도네시아중국의 홈어웨이 맞대결에서 1차전은 인도네시아가 2-0으로 이긴 뒤, 2차전은 중국의 4-3 승리로 끝나 1승1패가 되자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일시국가경기 결과국가도시, 국가
1957.6.23인도네시아0-0중국랑군, 버마

플레이오프 결과도 연장전 끝에 0-0 무승부로 끝났다. 다득점률에서 앞선 인도네시아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5.2.2. 2조[편집]


튀르키예가 아시아에 포함된 것에 대한 반발로 인해 기권함으로써 이스라엘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5.2.3. 3조[편집]


키프로스가 기권함으로써 이집트가 2라운드에 진출했다.


5.2.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 공화국211021+13
2파일:시리아 임시정부 깃발.svg시리아201112-11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7.3.8수단 공화국1-0시리아하르툼, 수단 공화국
1957.5.24시리아1-1수단 공화국다마스쿠스, 시리아

수단 공화국이 2라운드에 진출했다.


5.3. 2라운드[편집]


인도네시아는 FIFA가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중립구장에서 치르는 것을 거절하자 기권하며 이스라엘이 최종 라운드에 자동 진출했다. 이집트가 기권하며 수단 공화국이 최종 라운드에 자동 진출했다.


5.4. 최종 라운드[편집]


수단 공화국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며 이스라엘만 남게 되었다. 종전에는 이스라엘이 그냥 16개국 본선에 진출하면 되었으나, 피파는 16개국 본선에 진출하려는 팀은 최소 1경기는 더 치러야 한다고 룰을 제정하였고, 이스라엘은 아직 아무 경기도 치르지 못했으므로 규정에 따라 16개국 본선 진출이 확정되지 않았다.


6. 대륙 플레이오프[편집]


역사상 첫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치러진 지역예선이다.

사실 원래 1958 예선에서는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계획되지 않았다. 다만 FIFA는 월드컵 예선에서 한 경기도 치르지 않고 꽁으로 본선에 진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예선이 시작되기 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려면 적어도 한 경기를 치러야 한다는 규칙을 도입하였다. 그런데 아시아-아프리카 통합 예선에서 이스라엘이 예선 1라운드 터키전, 2라운드 인도네시아전, 최종라운드 수단전 모두 상대팀들이 이스라엘과의 경기를 거부하는 사태때문에 어부지리로 부전승을 거두고 월드컵에 진출하는 촌극이 펼쳐질 판이었다. FIFA는 앞서 도입한 룰에 근거해 유럽 예선 각 조 2위 팀 중 이스라엘과의 홈 앤드 어웨이 예선에 참가할 팀을 모집했고, 여기에 웨일스가 응하면서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결과는 웨일스가 홈 원정 두 번 모두 이기며 월드컵 본선 진출. 그리고 웨일스는 다시 월드컵에 진출하기까지 무려 64년을 기다려야 했다.

플레이오프 진출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
0 VS 4
(Pts)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아시아-아프리카 예선 1위)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유럽예선 4조 2위)

경기 결과
경기일자홈 팀스코어원정팀경기 장소
1차전1958.01.15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0 - 2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파일:이스라엘 국기.svg 라마트 간 스타디움
득점자파일:웨일스 국기.svg 이보 올처치 (38') | 파일:웨일스 국기.svg 데이브 보언 (63')
2차전1958.02.05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2 - 0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파일:웨일스 국기.svg 카디프 니니언 파크
득점자파일:웨일스 국기.svg 이보 올처치 (76') | 파일:웨일스 국기.svg 클리프 존스 (80')

웨일스가 2승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220040+44
2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200204-40

일시홈국가경기 결과어웨이 국가도시, 국가
1958.1.15이스라엘0-2웨일스텔아비브, 이스라엘
1958.2.5웨일스2-0이스라엘카디프, 웨일스

이에 FIFA는 이스라엘과 플레이오프 예선에서 붙을 상대를 결정하기 위해 플레이오프에 나설 유럽예선 조2위 국가 중 추첨을 진행했고 벨기에가 뽑혔으나 벨기에가 이를 거절하며 웨일스가 이스라엘과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웨일스가 홈어웨이 모두 2-0 승리를 거두며 웨일스가 최종적으로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8:24:22에 나무위키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59년 까지는 국장이 없는 국기를 사용했었다.[2] 1965년까지 사용 되었다가 메이플 리프 플래그로 변경.[3] 캘리포니아[4] 미주리[5] 과테말라에서 경기 포기를 선언하며 중단되었다.[6] 오스트리아가 독일에 합병으로 15개국 본선 15강 토너먼트로 바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