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







1. 개요
2. 조 편성
2.1. 추첨 이전
2.1.1. 포트 분석
2.2. 추첨 결과
3. 대회 진행
3.10. 조 2위 간 순위 비교[1]


1. 개요[편집]


2026 FIFA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예선에 대해 정리한 문서.

기존 방식에서 완전히 달라진 새로운 방식을 도입한다. 전통적으로 아프리카도 대륙 회원국 간 축구 수준의 격차가 꽤 나기 때문에 예비 예선을 꾸준히 도입했던 대륙이었다. 또한 인프라는 어설픈데 참가국은 많고 본선 티켓은 모자라니 토너먼트 형식의 살벌한 예선 포맷을 꽤나 애용해온 곳이기도 한데, 이번에는 유럽 예선과 똑같은 홈 앤드 어웨이 조별 풀리그 방식을 채택했다. 따라서 일부 팀만 참가하는 1차 예선이 없어지고 조별리그 후 바로 플레이오프로 넘어간다. (네이션스 리그 이전의) 유럽과 마찬가지로 조 1위는 통과, 그리고 1962년 월드컵 이후 무려 61년만에 할당된 대륙간 PO 티켓 한 장을 두고 조 2위를 차지한 9개국 중 성적이 좋은 상위 4개국이 아프리카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4개국이 중립 지역에 모여서 단판 토너먼트를 통해 최후의 한 팀을 가려낸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UEFA식 조별리그 예선 체제를 도입하지만, 티켓 수의 문제로 여전히 조 1위만이 본선으로 직행할 수 있고, 조 2위에게는 최선의 결과가 대륙간 PO라 아프리카 지역예선 특유의 무자비함은 그대로 유지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기존의 1위만 살아남았던 4팀 조별리그 체제보다 6팀 조별리그로 경기 수가 더 많아지면서 장기적인 예선 레이스를 진행 할 수 있고, 2위 플레이오프 및 대륙간 플레이오프도 같이 진행하게 되면서 순위 싸움으로 역전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예전보다 더욱 늘어나게 되었다.

2. 조 편성[편집]



2.1. 추첨 이전[편집]


예선 조 추첨은 2023년 7월 13일 코트디부아르의 아비장에서 실시된다. FIFA에 가입된 CAF 회원국 54개국 전원이 참여하며 1포트부터 6포트까지 각각 9개국씩 2023년 6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시드 배정이 편성된다.


  • 각 조의 1위 팀은 월드컵으로 직행하며, 2위 팀들 중 성적을 통해 상위 4팀만이 PO행 티켓을 얻고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을 위해 경쟁할 자격을 얻는다.
  • 54개국 중 케냐와 짐바브웨는 2022년 2월 자국 축구협회에 대한 정부 개입을 이유로 FIFA의 제재를 받았으나, 케냐는 2022년 11월, 짐바브웨는 조 추첨 직전에 제재가 해제되어 정상적으로 예선에 참가한다.
  • 2023년 11월 9일, 에리트레아는 예선 직전 기권을 선언하였다. 2차전 개시 시점까지 CAF나 FIFA의 공식 발표는 없으나, 에리트레아의 기권으로 인해 플레이오프 진출 팀을 가릴 때 6위 팀과의 전적은 제외하고 반영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2.1.1. 포트 분석[편집]


  • 1포트: 4강 신화를 기록한 모로코와 3연속 본선 진출을 노리는 세네갈, 북아프리카 전통 강호 라인인 튀니지, 알제리, 이집트, 지난 예선의 아픔을 딛고 반등을 준비하는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말리, 그리고 월드컵에서의 선전을 바탕으로 부활의 기지개를 펴는 카메룬이 있다.
  • 2포트: 1포트급 국가와 3포트급 국가가 섞여있는 포트이다. 1포트 국가들과 붙어도 밀리지 않는 전력을 가진 부르키나파소, 가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배정되는 조가 죽음의 조가 될 가능성이 높다.
  • 3포트: 현실적으로 1위를 노리기엔 어려우나 2위 자리를 다툴만한 국가들이 모여있는 포트이다. 우간다, 베냉은 지난 월드컵 예선에 2포트에 속했던 국가들이고,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같은 국가도 최근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한 전적이 있다.
  • 4포트: 4포트부터는 본선 진출 가능성이 사실상 없지만 고춧가루를 뿌릴 전력을 가진 국가들이 포진되어 있다. 그나마 모잠비크, 감비아, 토고, 탄자니아 정도가 2위 경쟁에 뛰어들 수 있는 국가들로 평가된다.
  • 5포트: 한때 깜짝 이변을 일으켰던 국가들이 모여있는 포트이다. 대표적으로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 리그에서 가나를 이기고 16강에 진출했던 코모로가 있고, 에티오피아도 과거의 전적이지만 2014 월드컵 최종 예선까지 진출한 저력이 있다.
  • 6포트: 6포트에서 레소토와 남수단은 간혹 고춧가루를 뿌릴 전력은 된다. 다만 나머지 국가들은 승점자판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2.2. 추첨 결과[편집]


1포트2포트3포트4포트5포트6포트
A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B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C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D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E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기권]
F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G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H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I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각 조마다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이 하나씩은 들어가 있다.

  • A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 B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3개
  • C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2개
  • D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2개
  • E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 F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 G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 H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 I조: 월드컵 진출 유경험국 1개


3. 대회 진행[편집]


경기는 2023년 11월 13~21일 - 2024년 6월 3~11일 - 2025년 3월 17~25일 - 2025년 9월 1~9일 - 2025년 10월 6~14일 각 A매치 주간에 2경기씩 총 팀당 10경기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후 조 2위 상위 4팀간의 단판 토너먼트 플레이오프가 2025년 11월 10~18일에 진행된다.


3.1. A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A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220080+86
2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211041+34
3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기니비사우211021+14
4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시에라리온201102-21
5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에티오피아201103-31
6파일:지부티 국기.svg지부티200207-7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2. B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B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211040+44
2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211021+14
3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210121+13
4파일:토고 국기.svg토고20201102
5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201102-21
6파일:남수단 국기.svg남수단201104-41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3. C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C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르완다 국기.svg르완다211020+24
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210123-13
3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20202202
4파일:레소토 국기.svg레소토20201102
5파일:짐바브웨 국기.svg짐바브웨20201102
6파일:베냉 국기.svg베냉201112-11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4. D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D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211041+34
2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카보베르데211020+24
3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211021+14
4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20200002
5파일:모리셔스 국기.svg모리셔스201103-31
6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에스와티니200203-3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5. E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E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10020+23
2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210154+13
3파일:니제르 국기.svg니제르21012203
4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210112-13
5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콩고 공화국100124-20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에리트레아--------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 기권


3.6. F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F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2200110+116
2파일:가봉 국기.svg가봉220042+26
3파일:케냐 국기.svg케냐210162+43
4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21014403
5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200225-30
6파일:세이셸 국기.svg세이셸2002014-14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7. G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G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220051+46
2파일:보츠와나 국기.svg보츠와나21013303
3파일:기니 국기.svg기니21012203
4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21012203
5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210134-13
6파일:소말리아 국기.svg소말리아200214-3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8. H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H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20050+56
2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220020+26
3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210121+13
4파일:말라위 국기.svg말라위21011103
5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라이베리아200202-20
6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상투메프린시페200206-6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9. I조[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I조#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코모로 국기.svg코모로220052+36
2파일:말리 국기.svg말리211042+24
3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마다가스카르210131+23
4파일:가나 국기.svg가나21011103
5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중앙아프리카공화국201135-21
6파일:차드 국기.svg차드200216-5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경쟁 | 탈락


3.10. 조 2위 간 순위 비교[2][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F조파일:가봉 국기.svg가봉220042+26
2H조파일:적도 기니 국기.svg적도 기니220020+26
3A조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211041+34
4I조파일:말리 국기.svg말리211042+24
5D조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카보베르데211020+24
6B조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211021+14
7E조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210154+13
8G조파일:보츠와나 국기.svg보츠와나21013303
9C조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210123-13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4. 플레이오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플레이오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대륙간 플레이오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대륙 플레이오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10:18:42에 나무위키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프리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6위 팀과의 전적이 반영된 순위. 향후 공식발표가 있을 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기권] [2] 6위 팀과의 전적이 반영된 순위. 향후 공식발표가 있을 시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