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1. 개요
2. 유럽
2.1. 1조
2.2. 2조
2.3. 3조
2.4. 4조
2.5. 5조
2.6. 6조
2.7. 7조
2.8. 8조
2.9. 9조
3. 남미
3.1. 1라운드
3.1.1. 1조
3.1.2. 2조
3.1.3. 3조
3.2. 2라운드
4. 북중미
4.1. 1라운드
4.1.1. 북미
4.1.2. 중미
4.1.3. 카리브해
4.2. 최종 예선
5. 아시아 + 오세아니아
5.1. 1라운드
5.1.1. 1조
5.1.2. 2조
5.1.3. 3조
5.1.4. 4조
5.1.5. 5조
5.2. 최종예선
6. 아프리카
6.1. 예비 라운드
6.2. 1라운드
6.3. 2라운드
6.4. 3라운드
6.5. 최종 라운드
7. 대륙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의 지역예선을 다루는 항목.

16강 본선 조별리그 진출팀을 뽑는 지역 예선에서 진출권 배당은 아래와 같았다.

대륙진출권 수비고
북중미카리브1
남미3.5유럽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아시아 + 오세아니아1
아프리카1
유럽9.5남미와 대륙간 플레이오프
합계16


2. 유럽[편집]


서독이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32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1조부터 8조까지는 각 조에서 1위를 한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9조에서 1위를 한 팀은 남미 지역 예선 2라운드에서 3위를 한 팀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 1~5조는 4팀, 6~9조는 3팀으로 구성되었다.


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6510174+1311
2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6411126+69
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62041412+24
4파일:키프로스 국기.svg키프로스6006324-210

지난 대회 3위팀 폴란드가 무난하게 2연속 본선에 진출하였다.


2.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6501184+1410
2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6501154+1110
3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62041116-54
4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6006222-200

어째서인지 월드컵 우승 경험이 있는 두 팀끼리 묶여 죽음의 조가 되었다. 결국 이탈리아와 잉글랜드는 같은 승점을 기록했으나 골 득실차에 의해 이탈리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2.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6420142+1210
2파일:동독 국기.svg동독6330154+119
3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621395+45
4파일:몰타 국기.svg몰타6006027-270

오스트리아가 지난 대회 8강팀 동독을 제치고 20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동독은 3승3무 무패를 기록했지만 터키에 홈에서 기록한 1-1 무승부가 발목을 잡아 결국 탈락했다. 최하위 몰타는 오스트리아와 동독 원정에서 0-9 대패를 당하기도 했다.


2.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6510113+811
2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630376+16
3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북아일랜드621376+15
4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아이슬란드6105212-102

지난 대회 지역예선에서 노르웨이 대신 북아일랜드가 들어간 걸 빼면 똑같은 조편성에서 지난 대회 준우승팀 네덜란드가 가볍게 2회 연속 본선에 올라갔다.


2.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421174+35
2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불가리아412156-14
3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411224-23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알바니아기권

알바니아는 기권했다. 프랑스가 불가리아와의 최종전에서 미셸 플라티니의 활약으로 3-1 승리를 거두고 12년 만의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불가리아는 5회 연속 본선 진출 도전에 실패했다.


2.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430174+36
2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420234-14
3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410335-22

스웨덴이 통산 7번째이자 3회 연속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2.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430163+36
2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420246-24
3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410334-12

스코틀랜드가 첫 경기 체코슬로바키아 원정에서 0-2 패배를 당한 이후 당시 유로1976 챔피언이었던 체코슬로바키아를 격파하며 조 3연승을 거두며 통산 4번째이자 2회 연속 본선에 진출했다.


2.8. 8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스페인430141+36
2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420278-14
3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410368-22

스페인이 1966년 이후 12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과 유고슬라비아는 무려 3회 연속으로 지역예선에서 같은 조로 편성되었다.


2.9. 9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헝가리421164+25
2파일:소련 국기.svg소련420253+24
3파일:그리스 국기.svg그리스411226-42

헝가리가 남미 대륙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헝가리와 소련이 서로간의 맞대결에서 1승1패를 기록한 가운데 그리스에 1승1무를 기록했던 헝가리가 조1위가 되었다.


3. 남미[편집]


개최국 아르헨티나가 자동 진출하는 가운데 나머지 9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로 1라운드를 치른 뒤 각 조 1위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하고 2라운드에 진출했다.

2라운드는 플레이오프를 치를 1팀을 결정하는 라운드로 중립 지역에서 풀리그를 한 뒤 꼴찌 팀만 유럽과에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고, 나머지 상위 2개 팀은 본선에 직행했다.


3.1. 1라운드[편집]



3.1.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422081+76
2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41213304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402218-72


3.1.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431083+57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412154+14
3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401328-61


3.1.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페루 국기.svg페루422082+66
2파일:칠레 국기.svg칠레421153+25
3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401319-81


3.2. 2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220090+94
2파일:페루 국기.svg페루210151+42
3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2002013-130

2라운드는 콜롬비아에서 개최되었는데, 브라질이 페루와 볼리비아를 각각 1-0, 8-0으로 제압하고 가장 먼저 본선 직행을 확정한 가운데, 남은 한 장의 직행권을 걸고 페루와 볼리비아가 단두대 매치를 벌였고, 여기서 페루가 5-0으로 이겨 본선 직행, 볼리비아는 유럽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4. 북중미[편집]


1977년 CONCACAF 선수권 대회와 월드컵 지역 예선을 겸했다. 1라운드는 16개 국가가 북미, 중미, 카리브해 지역으로 나뉘어 각각 2팀 씩 최종예선 진출 국가를 가린 뒤 최종예선에서 6팀이 리그를 치루어 그 중 1위만 본선에 진출했다.


4.1. 1라운드[편집]



4.1.1. 북미[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412131+24
2=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412123-14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412134-14

멕시코, 캐나다, 미국 모두 1승2무1패가 되었는데 골득실에서 가장 앞선 멕시코가 최종예선에 진출하고 캐나다와 미국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아이티에서 열린 캐나다와 미국의 플레이오프는 캐나다가 3-0 승리를 거두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4.1.2. 중미[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6321156+98
2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6231107+37
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614186+26
4파일:파나마 국기.svg파나마6114721-143

과테말라와 엘살바도르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4.1.3. 카리브해[편집]


  • 예비 예선 - 아이티가 도미니카 공화국을 꺾고 1라운드에 올라갔다.
  • 1라운드 - 수리남, 아이티, 쿠바가 가이아나,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자메이카를 꺾고 2라운드에 올라갔다. 바베이도스와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승1패에 골득실이 같아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3-1 승으로 2라운드에 올라갔다.
  • 2라운드 - 수리남과 트리니다드 토바고, 쿠바와 아이티의 1,2차전 맞대결은 모두 무승부가 나오며 플레이오프를 치렀고 수리남이 3-2 승리, 아이티가 2-0 승리를 거두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4.2. 최종 예선[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5500205+1510
2파일:아이티 국기(1964-1986).svg아이티53116607
3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521289-15
4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521278-15
5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5113810-23
6파일:수리남 국기.svg수리남5005617-110

멕시코가 안방에서 열린 CONCACAF 선수권 대회를 겸한 최종예선에서 가볍게 5전 전승을 거두며 8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5. 아시아 + 오세아니아[편집]


21개 국가가 1조는 6팀, 2~4조는 4팀, 5조는 3팀으로 5개 조로 나뉘어 1조는 1,2위팀이 플레이오프로 최종예선 진출, 나머지 조는 조 1위만 최종예선으로 진출. 그 중에서 1위팀만 본선에 진출했다.


5.1. 1라운드[편집]



5.1.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영국령 홍콩 기.svg홍콩422095+46
2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421156-15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412176+14
4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41127703
5파일:태국 국기.svg태국4103812-42
-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기권

모든 경기가 싱가포르에서 열렸고 홍콩이 1위, 싱가포르가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홍콩이 싱가포르에 1-0으로 이기며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5.1.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422041+36
2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421153+25
3파일:일본 국기.svg일본401305-51
-파일:북한 국기.svg북한기권

북한이 기권한 가운데 대한민국이 이스라엘과 일본에 1승1무씩 기록하며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5.1.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이란440080+88
2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410337-42
3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시리아410326-42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png이라크기권

이란-이라크 전쟁을 치르고 있는 이라크가 기권하였다. 그동안 불참하던 사우디아라비아가 처음으로 예선 참가한 가운데 이란이 4전 전승으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5.1.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4400102+88
2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410346-22
3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410339-6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기권

쿠웨이트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은 처음으로 예선 참가를 했으나 아랍에미리트는 기권했다.


5.1.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호주 국기.svg호주431093+67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4211144+105
3파일:대만 국기.svg대만4004117-160

지난 대회에서 본선에 진출해서 1974서독월드컵 14위했던 호주가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기권과 불참 끝에 처음으로 월드컵 예선을 치른 대만은 중국과의 정치적인 문제로 OFC로 이동했으나 4전 전패로 탈락했다.


5.2. 최종예선[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이란8620123+914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8341128+410
3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8413138+59
4파일:호주 국기.svg호주8314118+37
5파일:영국령 홍콩 기.svg홍콩8008526-210

이란이 사상 첫 월드컵 본선(16강 조별리그)에 진출하였다. 대한민국은 1위 이란과 두 번 모두 비겼으나 이란이 나머지 팀들에게 모두 전승을 기록한 반면 대한민국은 호주에 1무1패, 쿠웨이트에 1무로 발목잡히며 탈락했다.

대한민국과 이란의 경기(이란 홈)가 있던 날 이리역 폭발사고가 발생했다.


6. 아프리카[편집]



6.1. 예비 라운드[편집]


국가명결과국가명1차전2차전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6-3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5-11-2
파일:오트볼타 국기.png 오트볼타3-1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1-12-0


6.2. 1라운드[편집]


국가명결과국가명1차전2차전플레이오프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1-0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 리비아1-00-0없음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5-0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4-01-0
파일:오트볼타 국기.png 오트볼타1-3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1-10-2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3-3
(PO 0-2)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2-11-20-2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2-6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0-02-6없음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2-1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01-1
파일:콩고 인민 공화국 국기.svg 콩고 인민 공화국4-2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2-22-0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 이집트5-1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3-02-1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2-2
(2-4 승부차기)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11-1
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부전승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없음없음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부전승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없음없음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부전승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없음없음


6.3. 2라운드[편집]


국가명결과국가명1차전2차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0-1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 이집트0-00-1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3-1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2-01-1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1-4파일:기니 국기.svg 기니0-21-2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6-3파일:콩고 인민 공화국 국기.svg 콩고 인민 공화국3-23-1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3-4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1-02-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부전승파일:자이르 국기.svg 자이르없음없음


6.4. 3라운드[편집]


국가명결과국가명1차전2차전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2-3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1-01-3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6-2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4-02-2
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 이집트2-0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2-00-0


6.5. 최종 라운드[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421174+35
2파일:시리아국기(1972-1980).png 이집트4202711-44
3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11254+13

튀니지가 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7. 대륙 플레이오프[편집]


저번 대회처럼 유럽과 남미 한 팀씩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UEFA 조별 1위 중 최하위 성적팀인 헝가리와 CONMEBOL 최종예선 최하위팀인 볼리비아가 맞붙었다. 두 팀다 월드컵에 오래간만에 진출할 찬스였는데, 진출한다면 헝가리는 1966년 이후 12년만에, 볼리비아는 1950년 이후 28년만의 복귀가 된다. 헝가리가 원정팀의 무덤이라고 불리는 볼리비아 원정에서 3-2로 볼리비아를 꺾어버리는 무시무시한 저력을 보여주며 무난하게 본선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 진출팀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9 VS 2
(Agg)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유럽 9조 1위)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남미 최종예선 3위)

경기결과
경기일자홈 팀스코어원정팀경기 장소
1차전1977.10.29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6 - 0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파일:헝가리 국기.svg 넾슈타디온
득점자파일:헝가리 국기.svg 닐러시 티보르 (12') | 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뤼시크 언드라시 (19') | 파일:헝가리 국기.svg 좀보리 산도르 (22') | 파일:헝가리 국기.svg 바러디 벨라 (27')
파일:헝가리 국기.svg 핀테르 샨도르 (39') | 파일:헝가리 국기.svg 너지 라슬로 (81')
2차전1977.11.30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2 - 3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파일:볼리비아 국기.svg 에스타디오 에르난도 실레스
득점자파일:헝가리 국기.svg 튀뤼시크 언드라시 (37')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헐라시 이슈트반 (43')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카를로스 아라고네스 (45'+2)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윈드소르 델라노 (84' / OG)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카를로스 아라고네스 (90'+4)

헝가리가 2연승을 거두며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이는 남미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두 번째 사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유럽 지역 예선 9조 1위 팀, 남미 지역 최종 예선 3위 팀이 참가하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승자는 본선에 진출했다.

국가명결과국가명1차전2차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9-2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6-03-2

헝가리1966년 대회 이후 12년 만에 본선에 진출했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27:23에 나무위키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