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




1. 개요
2. 유럽
2.1. 1조
2.2. 2조
2.3. 3조
2.4. 4조
2.5. 5조
2.6. 6조
2.7. 7조
2.8. 플레이오프
3. 아프리카
3.1. 1라운드
3.2. 2라운드
3.3. 3라운드
3.4. 최종 예선
4. 남미
4.1. 1조
4.2. 2조
4.3. 3조
4.4. 플레이오프
4.4.1. 1라운드
4.4.2. 플레이오프 결승
5. 북중미카리브
5.1. 0차 예선
5.2. 1차 예선
5.2.1. 1조
5.2.2. 2조
5.2.3. 3조
5.2.4. 결선 리그
6. 아시아
6.1. 1라운드
6.1.1. 1그룹
6.1.1.1. A조
6.1.1.2. B조
6.1.2. 2그룹
6.1.2.1. A조
6.1.2.2. B조
6.1.3. 3그룹
6.1.3.1. A조
6.1.3.2. B조
6.1.4. 4그룹
6.1.4.1. A조
6.1.4.2. B조
6.2. 2라운드
6.3. 최종 라운드
7. 오세아니아
8. 대륙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의 지역예선을 다루는 항목.


2. 유럽[편집]


이탈리아가 디팬딩 챔피언 자격으로 지역예선에서 제외되고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5개 팀으로 구성된 조는 2위까지 본선 직행. 4개 팀으로 구성된 조는 1위는 본선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행.


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6321106+48본선 진출
2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632173+48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알바니아612369-34예선 탈락
4파일:그리스 국기.svg그리스6123510-54예선 탈락


2.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독일 국기.svg서독8521229+1312본선 진출
2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85031210+210본선 진출
3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8413149+59예선 탈락
4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83231112-18예선 탈락
5파일:몰타 국기.svg몰타8017625-191예선 탈락

서독은 포르투갈에 홈에서(슈투트가르트) 패하면서 처음으로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패배를 맛 보게 되었다.

2.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8440229+1312본선 진출
2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북아일랜드84221210+210본선 진출
3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8332149+59예선 탈락
4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83231112-18예선 탈락
5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8017625-191예선 탈락


2.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8512154+1111본선 진출
2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불가리아8512135+811본선 진출
3파일:동독 국기.svg동독8503169+710예선 탈락
4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832378-18예선 탈락
5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8008227-250예선 탈락


2.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6501124+810본선 진출
2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6312115+67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631298+17예선 탈락
4파일:키프로스 국기.svg키프로스6006318-150예선 탈락


2.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8512154+1111본선 진출
2파일:소련 국기.svg소련8422135+810본선 진출
3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8242510-58예선 탈락
4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8224510-56예선 탈락
5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8134410-65예선 탈락


2.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640298+18본선 진출
2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631284+47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631276+17예선 탈락
4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아이슬란드6105410-62예선 탈락

스코틀랜드는 웨일스와의 경기 도중 감독 조크 스타인이 사망하였다. 잔여경기는 수석코치였던 알렉스 퍼거슨이 감독이 되어 치렀다.


2.8. 플레이오프[편집]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팀들 중 스코틀랜드가 오세아니아의 호주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상대로 선정되었고, 나머지 두 팀인 벨기에와 네덜란드가 서로 맞붙게 되었다.

결과1차전2차전비고
벨기에2-2네덜란드1-01-2원정다득점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 벨기에가 본선에 진출.


3. 아프리카[편집]



3.1. 1라운드[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시에라리온0-5모로코0-10-4
앙골라1-1세네갈1-00-1승부차기 4-3
모리셔스0-5말라위0-10-4
잠비아3-1우간다3-00-1
이집트2-1짐바브웨1-01-1
케냐5-4에티오피아2-13-3
탄자니아1-1수단1-10-0원정 다득점
나이지리아4-0라이베리아3-01-0
코트디부아르6-3감비아4-02-3
베냉0-6튀니지0-20-4
마다가스카르레소토레소토 기권
리비아니제르니제르 기권
기니토고토고 기권


3.2. 2라운드[편집]


  • 가나, 알제리, 카메룬은 여기부터 출전한다.

결과1차전2차전비고
기니1-2튀니지1-00-2
수단0-4리비아0-00-4
앙골라2-3알제리0-02-3
이집트1-1마다가스카르1-00-1승부차기 4-2
케냐1-6나이지리아0-31-3
모로코2-0말라위2-00-0
코트디부아르0-2가나0-00-2
잠비아5-2카메룬4-11-1


3.3. 3라운드[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나이지리아1-2튀니지1-00-2
이집트0-2모로코0-00-2
알제리3-0잠비아1-02-0
가나0-2리비아0-00-2


3.4. 최종 예선[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모로코3-1리비아3-00-1
튀니지1-7알제리1-40-3

최종예선은 4팀 전원 북아프리카가 진출했다. 알제리와 모로코가 본선에 진출했다.


4. 남미[편집]


1조에는 4개국, 2,3조에는 3개국이 편성되었다. 진출 방식은 1위는 본선 직행, 꼴찌는 지역예선 탈락이며 나머지는 플레이오프 토너먼트를 통해 본선 진출 여부가 결정된다. 볼드체는 톱시드.
  • 1조 :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페루, 베네수엘라
  • 2조 : 우루과이, 칠레, 에콰도르
  • 3조 : 브라질, 파라과이, 볼리비아


4.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6411126+69본선 진출
2파일:페루 국기.svg페루632184+48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62226606플레이오프 진출
4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6015515-101예선 탈락


4.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430164+26본선 진출
2파일:칠레 국기.svg칠레4211105+55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4013411-71예선 탈락


4.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422062+46본선 진출
2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412154+14플레이오프 진출
3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402227-52예선 탈락


4.4. 플레이오프[편집]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여기서는 우승한 단 한팀만 본선에 진출하고 나머지 3팀은 지역예선 탈락이다.


4.4.1. 1라운드[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파라과이4-2콜롬비아3-01-2
칠레5-2페루4-21-0


4.4.2. 플레이오프 결승[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파라과이5-2칠레3-02-2


5. 북중미카리브[편집]


두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데, 개최국 멕시코가 그 중 하나를 가져가기 때문에 지역예선 1위만 본선에 진출한다.


5.1. 0차 예선[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파나마0-4온두라스0-30-1
엘살바도르8-0푸에르토리코5-03-0
엔티카바부다2-5아이티0-42-1
수리남2-1가이아나1-01-1
네덜란드령 안틸레스0-4미국0-00-4
캐나다자메이카자메이카 기권
코스타리카바베이도스바베이도스 기권
트리니다드 토바고그레나다그레나다 기권


5.2. 1차 예선[편집]


과테말라는 1차 예선부터 출전한다.


5.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422053+26결선리그 진출
2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421172+55예선 탈락
3파일:수리남 국기.svg수리남401329-71예선 탈락


5.2.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431072+57결선리그 진출
2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421173+45예선 탈락
3파일:아이티 국기.svg아이티400409-90예선 탈락


5.2.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422062+46결선리그 진출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421143+15예선 탈락
3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 토바고401327-51예선 탈락


5.2.4. 결선 리그[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422042+26본선 진출
2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41126603예선 탈락
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403146-23예선 탈락

캐나다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6. 아시아[편집]


동아시아 1팀, 서아시아 1팀을 본선에 보낸다는 방침으로 동아시아 팀과 서아시아 팀이 맞대결하는 일이 없도록 조를 편성하였다.


6.1. 1라운드[편집]



6.1.1. 1그룹[편집]



6.1.1.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아랍에미리트211010+122라운드 진출
3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201101-10예선 탈락
4파일:오만 국기.svg오만기권


6.1.1.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430176+162라운드 진출
3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420263-34예선 탈락
3파일:요르단 국기.svg요르단410337-42예선 탈락
4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기권



6.1.2. 2그룹[편집]



6.1.2.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431050+572라운드 진출
3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421182+65예선 탈락
3파일:북예멘 국기.svg북예멘4004112-110예선 탈락


6.1.2.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211074+322라운드 진출
3파일:남예멘 국기.svg남예멘201147-30예선 탈락
4파일:이란 국기.svg이란실격


6.1.3. 3그룹[편집]



6.1.3.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430181+772라운드 진출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421162+45예선 탈락
3파일:네팔 국기.svg네팔4013011-110예선 탈락
한국은 말레이시아 원정에서 패하여 1차 예선 탈락 위기까지 몰렸는데, 말레이시아가 네팔 원정에서 비기고(홈에선 네팔을 박살) 한국이 홈에서 말레이시아를 잡아서 2차 예선에 올라갈 수 있었다. 당시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축구 강호급이었고, 말레이시아 원정만큼은 한국이나 일본도 고전할 정도였다.

당시 네팔 원정경기에서 2-0으로 승리.[1]

결코 쉬운 조는 아니었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전력이 많이 떨어졌지만 지금도 한일이 만만히 볼 팀은 절대 아닌 데다가 당시엔 지금의 몇 배로 강했으며 네팔은 전력상 약체지만 원정이 고지대라서 굉장히 힘들다.


6.1.3.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641184+492라운드 진출
2파일:인도 국기.svg인도623176+17예선 탈락
3파일:태국 국기.svg태국61234404예선 탈락
4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6204510-54예선 탈락


6.1.4. 4그룹[편집]



6.1.4.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영국령 홍콩 기.svg홍콩6510192+17112라운드 진출
2파일:중국 국기.svg중국6411232+219예선 탈락
3파일:포르투갈 국기.svg마카오6204415-114예선 탈락
4파일:브루나이 국기.svg브루나이6006229-270예선 탈락


6.1.4.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일본 국기.svg일본431091+872라운드 진출
3파일:북한 국기.svg북한412132+14예선 탈락
3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4013211-91예선 탈락


6.2. 2라운드[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아랍에미리트4-4이라크2-32-1원정 다득점
바레인1-2시리아1-10-1
대한민국6-1인도네시아2-04-1
일본5-1홍콩3-02-1


6.3. 최종 라운드[편집]


결과1차전2차전비고
시리아1-3이라크0-01-3
일본1-3대한민국1-20-1[2]

[youtube]
대한민국과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했다. 참고로 이라크는 이란-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모든 홈경기를 중립지대에서 실시했다.


7. 오세아니아[편집]


이스라엘은 중동 국가들과의 갈등으로, 대만은 중국과의 갈등으로 아시아 축구연맹에서 추방당하여 이 대회에서는 부득이하게 오세아니아 지역예선에 편입되었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호주 국기.svg호주6420202+1814플레이오프 진출
2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6312175+1210예선 탈락
3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6312136+710예선 탈락
4파일:대만 국기.svg대만6006134-330예선 탈락

호주가 스코틀랜드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


8. 대륙 플레이오프[편집]


폐지되었던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다시 부활했는데, 이유는 오세아니아 단독 예선의 실시 때문이었다. 이에 오세아니아에게는 출전권 1장이 아닌 0.5장의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적용하면서 유럽과 남미의 팀들과 붙여 오세아니아의 출전 기회를 사실상 막아버린, FIFA의 마지막 대륙별 차별 정책이다.

호주와 뉴질랜드 뿐이던 오세아니아 국가에 AFC에서 축출된 이스라엘과 중국 때문에 밀려난 대만의 합류로 4개국 단독 예선을 치렀고, 오세아니아 1위 팀이 유럽 예선 7조 2위팀과 붙게되었다.[3] FIFA의 의도는 상당히 성공하면서 이때부터 오세아니아 대륙간 PO 잔혹사(...)가 시작되었다. 호주와 스코틀랜드가 맞붙게 되었고 스코틀랜드가 본선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 진출팀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0 VS 2
(Ag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오세아니아 예선 1위)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유럽예선 7조 2위)

경기 결과
경기일자홈 팀스코어원정팀경기 장소
1차전1985.11.20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2 - 0파일:호주 국기.svg호주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햄던 파크
득점자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데이비드 쿠퍼 (53') |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프랭크 맥어브니 (59')
2차전1985.12.04파일:호주 국기.svg호주0 - 0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파일:호주 국기.svg 멜버른 올림픽 파크 스타디움
득점자-

합계 2 - 0으로 스코틀랜드가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결과1차전2차전비고
스코틀랜드2-0호주2-00-0

  • 스코틀랜드가 2-0으로 호주를 누르고 본선에 진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9:52:19에 나무위키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반 35분 네팔 선수의 자책골과 후반 19분 이태호 선수의 PK 득점.[2] 1954 스위스 월드컵 16개국 본선 첫 진출 이후 무려 32년만의 24강 본선 진출이었다.[3] 당시 유럽 예선 2, 3, 4, 6조는 5개 팀, 1, 5, 7조는 4개 팀이 경쟁했다. 각 조 우승 팀과 5개 팀이 경쟁한 조의 2위는 본선 직행 나머지 1,5,7 조의 조 2위 중 성적이 가장 나쁜 국가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남은 두 팀은 서로 맞대결을 벌이는 유럽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