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프리카)

덤프버전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 예선전아프리카 축구 연맹 소속 54개 팀들의 예선전 내용을 담은 페이지.

1. 개요
2. 1차 예선
3. 2차 예선
4. 최종예선
4.1. 진출팀
4.2. 조 편성
4.3. 진행 현황
4.4. 경기 진행
4.4.1. A조
4.4.2. B조
4.4.3. C조
4.4.4. D조
4.4.5. E조
5. 최종 본선 진출국가



1. 개요[편집]


아프리카의 지역예선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54개국 중에서 FIFA로부터 러시아 월드컵 참가 금지 징계를 받은 짐바브웨를 제외한 53개국이 참가한다.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상위 27개국은 2차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26개국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1차 예선을 치러 승리한 13개국이 2차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그리고, 2차 예선에 진출한 40개국은 다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승리한 20개국이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3차 예선은 4개국 5개 조로 나눠 조별리그를 진행하며 각 조 1위를 차지한 다섯 팀에게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티켓이 주어진다.

2011년에 독립한 남수단이 이번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출전한다.


2. 1차 예선[편집]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아프리카 랭킹 28위부터 53위까지의 국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1차 예선을 치러 승리한 13개국이 2차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한국시간 기준 1차전은 2015년 10월 7일부터 11일까지, 2차전은 10월 11일에서 17일까지 진행되었다.

포트 1포트 2
니제르 (96)[1], 에티오피아 (101), 말라위 (108), 시에라리온 (111)
나미비아 (112), 케냐 (114), 보츠와나 (120), 마다가스카르 (122),
모리타니 (128), 부룬디 (131), 레소토 (131), 기니비사우 (133),
스와질란드 (138)
탄자니아 (139), 감비아 (143), 라이베리아 (161),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70), 차드 (173), 모리셔스 (180),
세이셸 (186), 코모로 (187), 상투메 프린시페 (189), 남수단 (195),
에리트레아 (204), 소말리아 (205), 지부티 (207)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
(홈:원)
2차전
(원:홈)
비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소말리아0 : 6니제르파일:니제르 국기.svg0 : 20 : 4승자는 2차 예선에서 카메룬과 대결
파일:남수단 국기.svg남수단1 : 5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1 : 10 : 4승자는 2차 예선에서 튀니지와 대결
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2 : 3나미비아파일:나미비아 국기.svg1 : 11 : 2승자는 2차 예선에서 기니와 대결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상투메 프린시페1 : 3에티오피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1 : 00 : 3승자는 2차 예선에서 콩고 공화국과 대결
파일:차드 국기.svg차드2 : 2시에라리온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1 : 01 : 2승자는 2차 예선에서 이집트와 대결
파일:코모로 국기.svg코모로1 : 1레소토파일:레소토 국기.svg0 : 01 : 1승자는 2차 예선에서 가나와 대결
파일:지부티 국기.svg지부티1 : 8스와질란드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0 : 61 : 2승자는 2차 예선에서 나이지리아와 대결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에리트레아0 : 2보츠와나파일:보츠와나 국기.svg0 : 20 : 0승자는 2차 예선에서 말리와 대결
파일:세이셸 국기.svg세이셸0 : 3부룬디파일:부룬디 국기.svg0 : 10 : 2승자는 2차 예선에서 콩고민주공화국과 대결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라이베리아4 : 2기니비사우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1 : 13 : 1승자는 2차 예선에서 코트디부아르와 대결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중앙아프리카공화국2 : 5마다가스카르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0 : 32 : 2승자는 2차 예선에서 세네갈과 대결
파일:모리셔스 국기.svg모리셔스2 : 5케냐파일:케냐 국기.svg2 : 50 : 0승자는 2차 예선에서 카보베르데와 대결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2 : 1말라위파일:말라위 국기.svg2 : 00 : 1승자는 2차 예선에서 알제리와 대결

2015년 10월 7일 아프리카 지역 1차 예선 첫 경기가 열렸다. 이 중 모리타니와 한국인 이성재 감독이 지휘봉을 잡고 있는 남수단의 경기는 1 : 1로 비기고 있던 상황에서 지속적인 폭우로 인해 중단되었으며, 다음날인 10월 8일에 경기가 재개되어서 남은 경기를 치렀다.

스와질란드 홈에서 10월 13일에 벌어질 예정이었던 스와질란드 대 지부티 2차전 경기는 지부티 대표팀이 예정된 경기 시간에 도착하지 못해 10월 17일로 연기되었다.

지난 대회에서 1차 예선부터 출발해서 본선에 가장 근접했다가 석패한 에티오피아는 상투메 프린시페를 상대로 1차전에서는 패했지만 2차전에서 대승을 거둠으로서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다.


3. 2차 예선[편집]


2015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아프리카 랭킹 1위부터 27위까지의 국가들과 1차 예선을 통과한 13개국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2차 예선을 치러 승리한 20개국이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된다.
2차 예선 경기는 1차전은 2015년 11월 12일부터 14일까지, 2차전은 11월 15일부터 18일까지 열린다.

보라색 글씨는 1차 예선부터 올라온 팀.


1차전 홈팀스코어 총합2차전 홈팀1차전(홈:원)2차전(원:홈)
파일:니제르 국기.svg니제르0 : 3카메룬파일:카메룬 국기.svg0 : 30 : 0
파일:모리타니 국기.svg모리타니2 : 4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1 : 21 : 2
파일:나미비아 국기.svg나미비아0 : 3기니파일:기니 국기.svg0 : 10 : 2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에티오피아4 : 6콩고 공화국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3 : 41 : 2
파일:차드 국기.svg차드1 : 4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1 : 00 : 4
파일:코모로 국기.svg코모로0 : 2가나파일:가나 국기.svg0 : 00 : 2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스와질란드0 : 2나이지리아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0 : 00 : 2
파일:보츠와나 국기.svg보츠와나2 : 3말리파일:말리 국기.svg2 : 10 : 2
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2 : 6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2 : 30 : 3[2]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라이베리아0 : 4코트디부아르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0 : 10 : 3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마다가스카르2 : 5세네갈파일:세네갈 국기.svg2 : 20 : 3
파일:케냐 국기.svg케냐1 : 2카보베르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Flag_of_Cape_Verde.svg.png1 : 00 : 2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2 : 9알제리파일:알제리 국기.svg2 : 20 : 7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수단 공화국0 : 3잠비아파일:잠비아 국기.svg0 : 10 : 2
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4 : 1르완다파일:르완다 국기.svg1 : 03 : 1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2 : 1적도 기니파일:적도 기니 국기.svg2 : 00 : 1
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1 : 1
(PS 3 : 4)
가봉파일:가봉 국기.svg1 : 00 : 1
파일:베냉 국기.svg베냉2 : 3부르키나파소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2 : 10 : 2
파일:토고 국기.svg토고0 : 4우간다파일:우간다 국기.svg0 : 10 : 3
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1 : 4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1 : 30 : 1

2015년 11월 FIFA 랭킹 30위인 가나가 177위인 코모로 원정에서 득점없이 무승부를 기록했다. 비록 원정 핸디캡을 감안해도 양팀의 랭킹 차이를 감안하면 가나가 코모로에게 비긴 건 이변이라 할 수 있겠다.[3] 가나는 다음 홈 경기에서 코모로를 이기지 못하면 자칫 3차 예선에 오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11월 17일에 열린 2차전 홈 경기에서 가나는 코모로를 2:0으로 잡고 3라운드에 진출했다.

이 외에도 나이지리아 역시 스와질란드와 득점 없이 비겼고, 심지어 아프리카 내 랭킹 1위인 알제리마저 탄자니아에게 2대 0으로 끌려가다가 이슬람 슬리마니의 멀티골 덕분에 간신히 비기는 등 1차 예선부터 올라온 약체들의 반란이 속속 이어지고 있다. 물론 2차전은 홈&어웨이가 바뀌므로 속단은 금물이지만, 워낙 변수가 많은 아프리카 예선인 만큼 어떤 팀이 또 반전을 일궈낼 수 있을지 기대되는 부분이다.

11월 14일 열린 모잠비크와 가봉의 2차전에서는 2018 러시아 월드컵 대륙별 예선 중 처음으로 승부차기가 성사되었다. 1차전에서 모잠비크가 1대0 승리를 거뒀지만 2차전에서는 반대로 가봉이 1대0으로 앞서나갔고, 추가 득점이 터지지 않으면서 원정 다득점 원칙으로도 우열을 가릴 수 없게 되자 승부차기에 돌입, 가봉이 이기면서 3차 예선 진출을 가장 먼저 확정지었다.

그리고 11월 17일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의 2차전이 모두 완료됨에 따라 3차 예선에 진출할 20팀이 확정되었다. 경기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리비아와 모로코를 제외하고는 모두 1번 포트에 있었던(즉 피파 랭킹이 더 높은) 팀들이 3차 예선에 진출했다. 1차전에서 상대적 약체들에게 일격을 맞은 가나, 알제리 등도 2차전에서는 이변을 허락하지 않고 무난하게 승리를 가져갔다. 특히 알제리는 1차전에서 2대 2로 겨우 비긴 탄자니아를 아예 가루로 빻아버렸다. 결국 1차 예선을 통과하고 올라온 13팀 중에서는 단 한 팀도 살아남지 못했다. 1차 예선 팀 중에서는 지난 대회 당시 최종예선까지 올라가서 하마터면 본선에 진출할뻔한 에티오피아에게 기대를 걸어볼만 했으나 그 에티오피아마저 콩고 공화국을 상대로 난타전을 벌인 끝에 떨어졌다. 케냐는 201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돌풍의 주인공이었던 카보베르데를 맞아 1차전을 승리했으나 2차전에서 더 큰 점수차로 패배하면서 광탈.

4. 최종예선[편집]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은 2016년 10월 3일에 첫 경기가 열리고 2017년 11월 6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다섯 조에서 각 조 1위 팀만 월드컵 본선에 올라간다.


4.1. 진출팀[편집]


  • 괄호 안은 FIFA 랭킹(2016. 5. 기준)
알제리 (33)코트디부아르 (34)가나 (38)세네갈 (43)
이집트 (44)카보베르데 (47)[4]튀니지 (47)콩고민주공화국 (51)
기니 (58)콩고 공화국 (59)카메룬 (63)모로코 (64)
말리 (65)나이지리아 (67)남아프리카 공화국 (70)우간다 (72)
부르키나파소 (75)잠비아 (78)가봉 (88)리비아 (112)

4.2. 조 편성[편집]


최종 예선 조 편성은 2016년 6월 24일 이집트 카이로에서 진행되었다.

괄호 안은 2016년 6월 8일 FIFA가 아프리카 축구 연맹 회원국을 대상으로 자체적으로 발표한 특별 FIFA 랭킹이다. 이는 2016년 6월 기준 FIFA 랭킹과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경기 결과를 반영한 랭킹이다.




4.3. 진행 현황[편집]



4.4. 경기 진행[편집]




4.4.1.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6420114+714본선 진출
2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6411147+713예선 탈락
3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6114410-64예선 탈락
4파일:기니 국기.svg기니6105614-83예선 탈락

톱시드인 튀니지는 12년 만의 본선진출을 노리고, 콩고민주공화국도 44년 만의 본선 진출에 도전한다.

1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0. 9 (일)02:30(UTC+9)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4 : 0리비아파일:리비아 국기.svg킨샤사, 스타드 드 마르티스
2016. 10. 10 (월)02:00(UTC+9)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 : 0기니파일:기니 국기.svg모나스티르, 스타드 무스타파 벤 자넷

2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1. 12 (토)04:00(UTC+9)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0 : 1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알제리 오랑, 오랑
2016. 11. 14 (월)02:30(UTC+9)파일:기니 국기.svg기니1 : 2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코나크리, 9월 28일 경기장

3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2 (토)05:00(UTC+9)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2 : 1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라데스, 스타드 올림피크 드 라데스
2017. 9. 1 (금)02:00(UTC+9)파일:기니 국기.svg기니3 : 2리비아파일:리비아 국기.svg코나크리, 9월 28일 경기장
2연전 중 첫번째 경기를 승리한 튀니지.

4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6 (수)02:30(UTC+9)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2 : 2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킨샤사, 스타드 드 마르티스
2017. 9. 5 (화)04:00(UTC+9)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1 : 0기니파일:기니 국기.svg모나스티르, 스타드 무스타파 벤 자넷
튀니지가 후반 2골을 몰아치며 무승부를 따내며 12년 만의 월드컵 본선 복귀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기니와 리비아는 상대 전적에서 1승 1패를 기록했다. 조 1위에 오른 튀니지가 승점 10점을 획득하면서 기니와 리비아는 남은 2경기 결과에 관계 없이 탈락이 확정되었다.

5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0. 8 (일)02:00(UTC+9)파일:기니 국기.svg기니1 : 4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코나크리, 9월 28일 경기장
02:00(UTC+9)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1 : 2콩고민주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모나스티르, 스타드 무스타파 벤 자넷

튀니지는 기니에게 선제골을 내줬지만 내리 4골을 넣으며 4:1의 대승을 거두었고, 콩고민주공화국 또한 리비아를 2:1로 이겼다.

6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2 (일)02:30(UTC+9)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3 :1기니파일:기니 국기.svg킨샤사, 스타드 드 마르티스
02:30(UTC+9)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0 : 0리비아파일:리비아 국기.svg라데스, 스타드 올림피크 드 라데스

콩고민주공화국이 후반 추가 시간에 기니를 상대로 2골을 몰아쳤고 리비아가 튀니지를 상대로 추가시간 극장골을 터뜨리면 콩고민주공화국판 도하의 기적이 작렬할 수 있었으나 튀니지가 0:0 무승부로 12년 만의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4.4.2.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나이지리아6411127+513본선 진출
2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잠비아622287+18예선 탈락
3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카메룬614179-27예선 탈락
4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알제리6114711-44예선 탈락
명실상부 이번 아프리카 지역예선 최악의 죽음의 조. 나이지리아, 카메룬, 알제리는 지난 월드컵에서 본선에 진출했으며, 그나마 카메룬은 본선에서 3경기 모두 패배하고 돌아왔지만, 나이지리아와 알제리는 16강까지 올라갔다. 아직 월드컵 본선 진출 경력이 없는 잠비아도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우승한 지역 강호이다. 이 조는 네덜란드, 프랑스, 스웨덴이 묶인 유럽 지역예선의 A조에 빗댈 만하다. 하지만 유럽 지역예선은 조 2위도 플레이오프에서 이기면 본선에 진출할 여지가 있는데,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오직 조 1위만 살아남으니 더욱 지옥이다.

1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0. 9 (일)21: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잠비아1 : 2나이지리아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은돌라, 레비 음와나와사 스타디움
2016. 10. 10 (월)04: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알제리1 : 1카메룬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블리다, 스타드 무스타파 차케르

2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1. 13 (일)00: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카메룬1 : 1잠비아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림베, 스타드 옴니스포르 드 림브
01: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나이지리아3 : 1알제리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우요, 고즈윌 아크파비오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3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2 (토)01: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나이지리아4 : 0카메룬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우요, 고즈윌 아크파비오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잠비아3 : 1알제리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루사카, 내셔널 히어로스 스타디움

잠비아가 알제리를 3:1로 격파했다. 이로서 나이지리아 이외의 팀이 최초로 1승을 거두었다.

4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6 (수)04: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알제리0 : 1잠비아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블리다, 스타드 무스타파 차케르
2017. 9. 5 (화)0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카메룬1 : 1나이지리아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야운데,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은 나이지리아와 비기며 탈락 확정. 알제리도 잠비아에 0:1로 패하면서 본선 진출이 일찌감치 좌절되었다.

5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0. 8 (일)01: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나이지리아1 : 0잠비아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우요, 고즈윌 아크파비오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01: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카메룬2 : 0알제리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야운데, 스타드 아마두 아히죠

카메룬과 알제리가 탈락이 확정되면서 나이지리아와 잠비아의 본선 진출 경쟁 구도로 바뀌었다. 나이지리아는 후반 25분의 득점으로 홈에서 잠비아에 1:0으로 승리하면서 아프리카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잠비아는 나이지리아에 분패하며 월드컵 최초 본선 진출을 다음 기회로 미루게 되었다.

카메룬은 알제리에 2:0으로 승리하면서 뒤늦게 최종예선 첫 승리를 거뒀지만, 라이벌 나이지리아의 본선 진출을 지켜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6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1 (토)04: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alg.png알제리3 : 0 [5]나이지리아파일:external/img.fifa.com/nga.png콩스탕틴, Mohamed Hamlaoui Stadium
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zam.png잠비아2 : 2카메룬파일:external/img.fifa.com/cmr.png은돌라, 레비 음와나와사 스타디움

나이지리아는 알제리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1 : 1로 비기며 최종 성적 4승 2무 무패로 이번 대회 예선을 마무리했다. 알제리는 오늘 경기에서도 무기력한 경기를 보이며 후반 18분에 선제골을 얻어맞고 끌려다니다가 후반 43분, 야신 브라히미페널티킥 골로 겨우 무재배를 거두며 단 1승도 기록하지 못했다. 나중에 이 경기는 나이지리아가 부정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들통나 몰수패 처리되었으나, 결과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의미가 없었다.

카메룬은 최종전에서 잠비아와 2 : 2로 비기며 최종예선에서 단 1승만을 거두는 데에 그쳤다.


4.4.3. C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6330110+1112본선 진출
2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코트디부아르622275+28예선 탈락
3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가봉613227-56예선 탈락
4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말리604219-84예선 탈락

1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0. 9 (일)01: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가봉0 : 0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03: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코트디부아르3 : 1말리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부아케, 스타드 드 부아케

2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1. 13 (일)03:30(UTC+9)파일:말리 국기.svg말리0 : 0가봉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바마코, 3월 26일 경기장
06:30(UTC+9)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0 : 0코트디부아르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마라케시, 마라케시 경기장

3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3 (일)01: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가봉0 : 3코트디부아르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리브르빌, 스타드 당곤제 경기장
2017. 9. 2 (토)05:00(UTC+9)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6 : 0말리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라바트, 프랭스 물레 압델라 경기장
모로코가 말리를 엄청 큰 점수차로 대파했다. 말리는 승점도 안 좋은데 골득실마저 불리해져서 절망적인 상황이 되었고 모로코는 코트디부아르와의 1위 경쟁을 이어가게 되었다.

4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6 (수)02: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코트디부아르1 : 2가봉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부아케, 스타드 드 부아케
04: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말리0 : 0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바마코, 스타드 모디보 케이타
가봉이 코트디부아르에게 승리를 거두었다. 모로코에게는 순위를 역전시킬 절호의 기회였지만 말리와 0:0 무승부에 그쳐 날려버렸다.

5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0. 7 (토)04: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말리0 : 0코트디부아르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바마코, 3월 26일 경기장
2017. 10. 8 (일)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3 : 0가봉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카사블랑카, 스타드 무하마드 V

말리는 코트디부아르와의 홈 경기에서 비기면서 탈락이 확정되었다. 모로코 대표팀은 이 경기를 치르고 스위스로 이동해서 사흘 후에 대한민국 대표팀과 평가전을 가질 예정이다.

코트디부아르가 또 승점을 흘린 가운데 모로코가 가봉을 꺾으며 조 1위로 등극했다. 가봉은 이 패배로 예선 탈락이 확정되었다.

6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1 (토)23: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ab.png가봉0 : 0말리파일:external/img.fifa.com/mli.png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2017. 11. 12 (일)02: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iv.png코트디부아르0 : 2모로코파일:모로코 국기.svg아비장,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경기장

코트디부아르는 모로코를 반드시 이겨야 본선에 진출할 수 있었지만, 홈에서 2 : 0으로 지며 모로코의 본선진출 세리머니를 지켜봐야만 했다. 모로코는 전반 25분 나빌 디라르와 전반 30분 메드히 베나티아의 골로 코트디부아르에게 2:0으로 승리하면서 최종예선 무실점으로 1998년 이후 20년 만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4.4.4. D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세네갈6420103+714본선 진출
2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부르키나파소6231106+49예선 탈락
3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카보베르데6204412-86예선 탈락
4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남아프리카 공화국6114710-34예선 탈락

1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0. 9 (일)05: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세네갈2 : 0카보베르데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다카르, 스타드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03: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부르키나파소1 : 1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와가두구, 8월 4일 경기장

2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1. 13 (일)00: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카보베르데0 : 2부르키나파소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프라이아,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2016. 11. 12 (토)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남아프리카 공화국2 : 1세네갈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폴로콰네, 피터 모카바 스타디움

2017년 9월 6일, CAS(국제스포츠중재소)는 2016년 11월 12일 당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 세네갈전 경기의 주심이었던 가나의 축구 심판인 조지프 램프티를 FIFA가 영구 제명하는 징계를 옹호하여 조지프 램프티의 제소를 기각하였다. 조지프 램프티는 축구계에서 영구 제명되었다. 결국 이 경기는 승부조작으로 판명되어 해당 경기가 무효 처리되어서, 2017년 11월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재경기가 치러지게 되었다.

3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3 (일)05: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세네갈0 : 0부르키나파소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다카르, 스타드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2017. 9. 2 (토)03: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카보베르데2 : 1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프라이아,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카보베르데가 남아공을 이기면서 남아공은 빨간불이 켜졌고, 세네갈은 부르키나파소만 이긴다면 조 1위로 올라설 좋은 기회가 생겼다.

4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6 (수)03: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부르키나파소2 : 2세네갈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와가두구, 8월 4일 경기장
0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남아프리카 공화국1 : 2카보베르데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더반, 모지스 마비다 스타디움

5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0. 7 (토)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남아프리카 공화국3 : 1부르키나파소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요하네스버그, FNB 경기장
2017. 10. 8 (일)02: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카보베르데0 : 2세네갈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프라이아, 이스타디우 나시오날

부르키나파소가 남아공에게 패하고, 세네갈이 카보베르데에게 승리하면서 D조는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세네갈이 조 1위를 가져간 가운데 세네갈은 2경기가 남아있지만, 조 2위로 떨어진 부르키나파소는 카보베르데와의 경기만을 남겨두고 있다. 부르키나파소는 2014년처럼 월드컵을 목전에 두고 또 탈락의 위기에 처했다.

재경기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1 (토)0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남아프리카 공화국0 : 2세네갈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폴로콰네, 피터 모카바 스타디움

세네갈이 이 경기에서 승리하면서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6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5 (수)04: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bfa.png부르키나파소4 : 0카보베르데파일:external/img.fifa.com/cpv.png와가두구, 8월 4일 경기장
04: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sen.png세네갈2 : 1남아프리카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rsa.png다카르, 스타드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부르키나파소와 카보베르데는 서로를 가급적 큰 점수차로 잡아야만 하고, 세네갈이 남아공과의 2연전에서 큰 점수차로 1무 1패의 성적을 거두기를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지만,[6] 세네갈이 남아공에서 승리하면서 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두 팀 모두 탈락이 확정되었다.


4.4.5. E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 여부
1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이집트641184+413본선 진출
2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우간다623132+19예선 탈락
3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가나614175+27예선 탈락
4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콩고 공화국6024512-72예선 탈락

2014 월드컵 최종 플레이오프에서 단두대 매치를 벌였던 가나와 이집트가 다시 만났다.[7] 가나는 2006년 월드컵부터 3연속 본선 진출국이고, 이집트는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최다 우승국이기에 1위 후보로 꼽힌다. 결국 이번에 가나가 너무 많은 무승부를 컨트롤하지 못한 채 탈락하고 말았다.

1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0. 8 (토)00: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가나0 : 0우간다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타말레, 타말레 스포츠 스타디움
2016. 10. 9 (일)23: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콩고 공화국1 : 2이집트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브라자빌, 뉴 킨텔레 스타디움

2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6. 11. 12 (토)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우간다1 : 0콩고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캄팔라, 만델라 내셔널 스타디움
2016. 11. 14 (월)01: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이집트2 : 0가나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스타디움

3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2 (토)00: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가나1 : 1콩고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쿠마시, 바바 야라 경기장
2017. 8. 31 (목)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우간다1 : 0이집트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캄팔라, 만델라 내셔널 스타디움
1위로 순항하던 이집트는 우간다 원정에서 일격을 당했다. 가나에게는 절호의 찬스나 다름없었으나, 홈에서 콩고와 무승부를 거두고 말았다. 이리하여 E조의 1위 싸움은 사실상 이집트와 우간다의 싸움이 되었다.

4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9. 5 (화)23: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콩고 공화국1 : 5가나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브라자빌, 뉴 킨텔레 스타디움
2017. 9. 6 (수)03: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이집트1 : 0우간다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알렉산드리아, 알렉산드리아 스타디움
이집트는 홈에서 우간다와 리매치를 벌여 1:0으로 승리하고 1위를 탈환한다. 콩고는 이날 패배로 탈락이 확정되었다.

5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0. 9 (월)0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이집트2 : 1콩고 공화국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보르그엘아랍, 보르그엘아랍 경기장
2017. 10. 7 (토)22:00(UTC+9)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우간다0 : 0가나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캄팔라, 만델라 국립 경기장
이집트가 콩고에 승리하고 우간다가 가나에 비기거나 패하면 이집트가 본선 진출을 확정짓는다.

가나는 우간다를 상대로 경기 종료와 동시에 골을 넣었으나, 심판은 노골을 선언했다. 가나는 선수 전원이 달려와서 맹렬하게 항의했지만 판정을 뒤집지는 못했다.

결국 가나와 우간다가 비김으로써 이집트가 콩고에 비기기만 해도 가나는 예선 탈락이 확정되는 상황이었다. 이집트는 1 : 0으로 앞서던 경기를 후반 43분에 동점골을 허용하며 본선 진출 확정을 다음 경기로 미루는 듯 싶었지만, 추가 시간에 얻은 페널티킥에 힘입어 콩고에 극적인 승리를 거두면서 28년 만의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집트 선수들은 페널티킥을 성공한 뒤 경기장에 난입한 관중들과 부둥켜 안으며 자축했다. 그리고 4회 연속 본선 진출을 노렸던 가나는 다음 대회를 기약하게 되었다.

6차전
경기 일자경기 시간팀A경기 결과팀B경기장
2017. 11. 12 (일)23: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cgo.png콩고 공화국1 : 1우간다파일:external/img.fifa.com/uga.png브라자빌, 뉴 킨텔레 스타디움
2017. 11. 13 (월)00:30(UTC+9)파일:external/img.fifa.com/gha.png가나1 : 1이집트파일:external/img.fifa.com/egy.png쿠마시, 바바 야라 경기장

가나는 이집트와의 최종전에서도 1:1 무승부로 승리를 거두지 못하여, 최종예선에서 단 1승만을 올렸다.


5. 최종 본선 진출국가[편집]


국가명진출 자격예선전적성적/골득실진출횟수최근 출전최고성적FIFA 랭킹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최종예선
A조 1위
4승2무승점 14 / +75회2006조별리그
[TUN]
28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최종예선
B조 1위
4승2무승점 14 / +86회201416강
[NGA]
41위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최종예선
C조 1위
3승3무승점 12 / +115회199816강
[MAR]
48위
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최종예선
D조 1위
4승2무승점 14 / +72회20028강
[SEN]
32위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최종예선
E조 1위
4승1무1패승점 13 / +43회2018조별리그
[EGY]
30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5:08:38에 나무위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프리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비아와 불과 0.04점 차이(리비아: 345.35, 니제르: 345.31)로 1차 예선으로 밀려났다.[2] 원래는 2 : 2 무승부였지만 부룬디가 부적격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드러나면서 콩고민주공화국의 3 : 0 몰수승으로 처리되었다.[3] 코모로와 비슷한 랭킹의 팀들 가운데 라오스(176), 예멘(179), 방글라데시, 부탄(180)은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 각 조 최하위로 탈락했고,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178)는 북중미 지역 1차 예선에서부터 광탈했다. 이 정도로 평가되는 팀에게 한국, 일본, 이란 등 아시아 상위권 팀들보다 강팀으로 평가되고 유럽에서도 크로아티아와 동급으로 평가되는 가나가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한 건 확실히 이변은 이변이다. 물론 남미와 비교해보면 가나가 우루과이보다는 한 수 정도 아래이긴 하다.[4] 카보베르데가 튀니지에 0.03포인트 앞서 있다.[5] 본래 1 : 1 무승부였으나 나이지리아가 부정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드러나 알제리의 몰수승으로 처리가 되었다.[6] 남아공이 2승을 거두면 남아공의 본선 확정, 세네갈이 1승만 하거나 2무만 하면 세네갈이 본선 확정이라 그렇다.[7] 당시에는 가나가 압승하여 본선에 진출했다.[TUN] 1978, 1998, 2002, 2006[NGA] 1994, 1998, 2014 [MAR] 1986[SEN] 2002[EGY] 1934, 1990,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