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지역예선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




1. 개요
2. 유럽
2.1. 1조
2.2. 2조
2.3. 3조
2.4. 4조
2.5. 5조
2.6. 6조
2.7. 7조
3. 남미
3.1. 1조
3.2. 2조
3.3. 3조
4. 북중미카리브
4.1. 최종 라운드[1]
5. 아프리카
5.1. 1차 예선
5.2. 2차 예선
5.3. 3차 예선
5.4. 최종예선
6. 아시아/오세아니아
6.1. 1차 예선
6.1.1. 1조
6.1.2. 2조
6.1.3. 3조
6.1.4. 4조
6.1.4.1. 조 매칭 대결
6.1.4.2. A조
6.1.4.3. B조
6.1.4.4. 예선 4강
6.1.4.5. 예선 결승
6.2. 최종예선
6.3. 최종 플레이오프[2]
7. 대륙 플레이오프


1. 개요[편집]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의 지역예선 결과를 나타낸 문서다. 참고로 이 예선부터 홈 앤드 어웨이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을 적용하였다.


2. 유럽[편집]


총 13개의 티켓이 걸려 있다. 참고로 당시 웨일스를 제외하고 영연방 팀 모두가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2.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독일 국기.svg서독8800333+3016본선 진출
2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8512166+1011본선 진출
3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불가리아84131110+19예선 탈락
4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알바니아8107422-182예선 탈락
5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8107427-232예선 탈락

서독과 오스트리아가 올라갔다.[3] 어?


2.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8512129+311본선 진출
2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8503208+1210본선 진출
3파일:아일랜드 국기.svg아일랜드84221711+610예선 탈락
4파일:네덜란드 국기.svg네덜란드8413117+49예선 탈락
5파일:키프로스 국기.svg키프로스8008429-250예선 탈락

벨기에와 프랑스가 올라갔다.[4] 전 대회 준우승팀인 네덜란드는 탈락했다.[5]


2.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소련 국기.svg소련8620202+1814본선 진출
2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8422156+910본선 진출
3파일:웨일스 국기.svg웨일스8422127+510예선 탈락
4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아이슬란드82241021-116예선 탈락
5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8008122-210예선 탈락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가 올라갔다.[6][7]


2.4. 4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8422138+510본선 진출
2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8413138+59본선 진출
3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루마니아82425508예선 탈락
4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8233912-37예선 탈락
5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8224815-76예선 탈락

헝가리와 잉글랜드가 올라갔다.[8][9] 순위별로 승점 차이가 1점씩밖에 안난다.


2.5. 5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유고슬라비아8611227+1513본선 진출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8521125+712본선 진출
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84041411+38예선 탈락
4파일:스위스 국기.svg스위스83141013-37예선 탈락
5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룩셈부르크8008123-220예선 탈락

유고슬라비아와 이탈리아가 올라갔다.[10]


2.6. 6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스코틀랜드843194+511본선 진출
2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북아일랜드833263+39본선 진출
3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832378-18예선 탈락
4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831448-47예선 탈락
5파일:이스라엘 국기.svg이스라엘8134610-46예선 탈락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가 올라갔다.[11][12] 어느 한팀도 두자리수 득점을 기록하지 못했다. 두자리수 실점을 기록한 팀은 있다.


2.7. 7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4400122+108본선 진출
2파일:동독 국기.svg동독420296+34예선 탈락
3파일:몰타 국기.svg몰타4004215-130예선 탈락

폴란드가 올라갔다.[13][14]


3. 남미[편집]



3.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4400112+98본선 진출
2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410356-12예선 탈락
3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410319-82예선 탈락

브라질이 올라갔다.[15]


3.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페루 국기.svg페루422052+36본선 진출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41215504예선 탈락
3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402247-32예선 탈락

페루가 올라갔다.[16]


3.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칠레 국기.svg칠레431060+67본선 진출
2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411225-33예선 탈락
3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410336-32예선 탈락

칠레가 올라갔다.[17]


4. 북중미카리브[편집]



4.1. 최종 라운드[18][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532081+78본선 진출, 대회 첫 우승
2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522121+16본선 진출
3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513163+35예선 탈락
4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51316605예선 탈락
5파일:쿠바 국기.svg쿠바512248-44예선 탈락
6파일:아이티 국기(1964-1986).svg아이티502329-72예선 탈락

온두라스와 엘살바도르가 올라갔다.[19] 여담으로 12년 전에 축구전쟁을 치른 라이벌이다.


5. 아프리카[편집]



5.1. 1차 예선[편집]




5.2. 2차 예선[편집]




5.3. 3차 예선[편집]




5.4. 최종예선[편집]


팀명결과팀명1차전2차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1-4파일:알제리 국기.svg알제리0-21-2
파일:모로코 국기.svg모로코1-4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0-21-2

알제리와 카메룬이 올라갔다.[20]


6. 아시아/오세아니아[편집]



6.1. 1차 예선[편집]



6.1.1. 1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8620313+2814최종예선 진출
2파일:호주 국기.svg호주8422229+1310진출 실패
3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8224514−96진출 실패
4파일:대만 국기.svg대만813458−35진출실패
5파일:피지 국기.svg피지8134635−295진출 실패

뉴질랜드가 무패 우승으로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6.1.2. 2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440050+58최종예선 진출
2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430152+36진출 실패
3파일:카타르 국기.svg카타르420253+24진출 실패
4파일:바레인 국기.svg바레인410316−52진출 실패
5파일:시리아 국기.svg시리아400427−50진출 실패
사우디아라비아가 전승 우승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6.1.3. 3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3300120+126최종예선 진출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320174+34진출 실패
3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말레이시아301238−51진출 실패
4파일:태국 국기.svg태국3012313−101진출실패

쿠웨이트가 전승 우승으로 최종 예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대한민국은 쿠웨이트전에서 주심의 편파판정으로 0-2로 패배해서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데 실패했는데, 이 대회가 현재까지 대한민국이 마지막으로 예선 탈락을 한 대회이다.


6.1.4. 4조[편집]


여기는 A조,B조로 나눠서 각 조에서 1,2위끼리 토너먼트를 해서 우승팀이 최종예선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다.


6.1.4.1. 조 매칭 대결[편집]


이로써 A조엔 중국,일본,마카오 B조엔 홍콩,북한,싱가포르가 배정받았다.


6.1.4.2. A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중국 국기.svg중국220040+44예선 4강 진출
2파일:일본 국기.svg일본210131+22예선 4강 진출
3파일:포르투갈령 마카오 기.svg마카오200206−60진출 실패


6.1.4.3. B조[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북한 국기.svg북한211032+13예선 4강 진출
2파일:영국령 홍콩 기.svg홍콩20203302예선 4강 진출
3파일:싱가포르 국기.svg싱가포르201112−11진출 실패


6.1.4.4. 예선 4강[편집]

팀명결과팀명
파일:북한 국기.svg북한1-0파일:일본 국기.svg일본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홍콩0-0
,(승부차기:4-5),
파일:중국 국기.svg중국


6.1.4.5. 예선 결승[편집]

팀명결과팀명
파일:중국 국기.svg중국4-2파일:북한 국기.svg북한
중국이 최종예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


6.2. 최종예선[편집]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진출여부
1파일:쿠웨이트 국기.svg쿠웨이트641186+29본선 진출
2=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6231116+57최종 플레이오프
2=파일:중국 국기.svg중국631294+57최종 플레이오프
4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사우디아라비아5015416-121예선 탈락

쿠웨이트가 조 1위를 확정지어 월드컵에 첫 출전을 하게되었고, 공동 2위를 기록한 뉴질랜드와 중국은 최종 플레이오프를 하게 되었다.[21]


6.3. 최종 플레이오프[22][편집]


팀명결과팀명
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2-1파일:중국 국기.svg중국

뉴질랜드가 승리를 하며 첫 월드컵 출전을 확정지었다.

7. 대륙 플레이오프[편집]


역시 대륙간 플레이오프가 없었다. 출전권이 24장으로 확대됨에 따라 유럽-남미 플레이오프는 폐지되었고, 아시아는 오세아니아와 묶어 2장의 티켓을 배정받았다.

아시아-오세아니아 예선에서 단판 플레이오프가 치러지긴 했다. 최종예선 1위 쿠웨이트가 직행을 확정한 가운데, 중국과 뉴질랜드가 승점 동률, 골득실 동률로 조 2위를 공동으로 기록했는데, 당시 룰로는 다득점까지는 따지지 않았기 때문에 중립국 단판 플레이오프가 치러지게 되었다. 싱가포르에서 열린 단판 플레이오프에서 뉴질랜드가 중국을 2-1로 잡고 사상 첫 월드컵 본선행에 성공한다. 중국 축구 역사상 2002 월드컵을 제외하면 본선 진출에 가장 가까웠던 시기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20:55:06에 나무위키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월드컵 예선인 동시에, 1981 CONCACAF 선수권 대회도 겸한다.[2] 단판승부, 장소는 싱가포르[3] 서독은 8회 연속, 오스트리아는 2회 연속 진출.[4] 벨기에는 3회만에, 프랑스는 2회 연속 진출.[5] 네덜란드는 본인의 마지막 경기인 프랑스전을 패한것이 뼈가 아팠다.[6] 소련과 체코슬로바키아 모두 3회만에 진출.[7] 체코슬로바키아는 마지막 경기에서 소련과의 홈경기를 무승부로 마치며 극적으로 월드컵에 진출하였다.[8] 헝가리는 2회 연속, 잉글랜드는 3회만에 진출.[9] 잉글랜드는 마지막 경기인 헝가리와의 홈경기를 승리하며 월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때 까지만해도 마지막 경기를 동시에 하지 않았다. 반면 루마니아는 잉글랜드 상대로 1승 1무를 거뒀음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진출에 실패했다.[10] 유고슬라비아는 2회만에, 이탈리아는 6회 연속 진출.[11] 스코틀랜드는 3회 연속, 북아일랜드는 6회만에 진출.[12] 북아일랜드는 마지막날 이스라엘과의 홈경기를 승리하며 월드컵 진출을 확정지었다. 패했다면 스웨덴이 올라갔다.[13] 3회 연속 진출.[14] 폴란드는 첫 경기인 몰타와의 원정경기에서 2-0으로 앞서고 있는 도중 물체를 던지는 사태가 있었고, 후반 32분 경기는 중단이 되고 말았다. 결국 FIFA는 폴란드의 승리를 선언하였다.[15] 12회 연속 진출.[16] 2회 연속 진출.[17] 2회만에 진출.[18] 월드컵 예선인 동시에, 1981 CONCACAF 선수권 대회도 겸한다.[19] 온두라스는 첫 출전, 엘살바도르는 3회만에 진출.[20] 두 팀 모두 첫 출전.[21] 이때는 골득실이 같을때 결정짓는 다득점 규정이 없었다.[22] 단판승부, 장소는 싱가포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