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지방도

덤프버전 :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국가지원지방도
,
,
,
,
,


도로교통
[ 펼치기 · 접기 ]

도로의 분류고속도로 · 국도 · 지방도 · 시도 ·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강변로 · 산복도로 · 순환로 · 비포장도로 · 임도 · 측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이면도로
도로의 횡단구성중앙분리대 · 차도 · 갓길 · 측대 · 측구 · 도로경계석 · 식수대 · 자전거도로 · 보도
전용시설전용차로 · 자동차전용도로 · 자전거전용도로 · 다인승전용차로 · 오토바이전용차로 · 노면전차 전용로 · 버스전용차로
도로명주소대로 · ·
법률도로법 · 농어촌도로 정비법 · 사도법 · 유료도로법 · 도로교통법 · 도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 농어촌도로의 구조ㆍ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 도로의유지ㆍ보수등에관한규칙 · 도로와 다른 시설의 연결에 관한 규칙 · 도로명주소법 · 도로표지규칙 · 한국도로공사법
기관도로관리청
교차로평면교차로 · 회전교차로 · 입체교차로 · 나들목 · 분기점 · 88도로 · 램프
횡단시설건널목 · 지하차도 · 고가차도 · 교량 · 터널(해저터널) · 암거 · 횡단보도 · 대각선 횡단보도 · 자전거횡단도 · 육교 · 지하도 · 생태통로
안전시설신호등(신호등/대한민국, 점멸등, 감응신호, 수신호) · 도로교통표지판(도로교통표지판/대한민국) · 도로노면표시(중앙선, 차선, 정지선, 노면 색깔 유도선) · 포장 · 가드레일 · 안전지대 · 교통섬 · 갓길 · 가로등 · 비상제동시설 · 졸음알리미 · 출차주의등 · 도류화 · 오르막차로 · 테이퍼 · 클린로드
편의시설휴게소(고속도로 휴게소) · 졸음쉼터 · 버스 정류장 · 가로수 · 주차장
제도통행방향 · 지정차로제 · 안전속도 5030 · 견인 · 거주자 우선 주차 · 도로 통행금지 · 어린이보호구역 · 노인보호구역 · 장애인보호구역 · 가변차로 · 일방통행 · 교통정온화
위법 행위음주운전 · 속도위반 · 신호위반과 지시위반 · 예측출발 · 끼어들기 · 꼬리물기 · 불법주차 · 12대 중과실 · 좌측 방향지시등 우회전
운전 규칙주차 · 양보 · 서행 · 일시정지 · 앞지르기 · 비보호 좌회전 · 적신호시 우회전 · 유턴 · 훅턴
특례 교통수단긴급자동차 · 어린이보호차량 · 자전거 · 개인형이동장치 · 보행자
기타오프로드 · 병목 현상 · 엇갈림구간 · 로드킬 · 교통 체증 · 방어운전 · 캥거루 운전 · 비상활주로 · 요금소 · 컬드색 · 한국 교통 문제점







1. 개요
2. 노선 목록
2.1. 경기
2.2. 강원
2.3. 충북
2.4. 충남
2.5. 전북
2.6. 전남
2.7. 경북
2.8. 경남
2.9. 제주
3. 외국의 지방도



1. 개요[편집]


| Local highway

(제주특별자치도,강원특별자치도 포함)에서 지정하여 관리 및 운영하는 도로. 기호는 노란 직사각형 표시 안에 파란색 숫자를 사용한다. 서울특별시에서 지정하는 도로는 서울특별시도, 광역시에서 지정하는 도로는 광역시도로 따로 부르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관리하는 도로는 지방도와 시도이다. 물론 도가 지정한 지방도 중에서도 특별시나 광역시 시계 내까지 진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인접한 도의 도지사에서 노선을 지정하되 관리는 관내 특·광역시에 위임해서 한다. 하지만 행정상 비효율적이라 아예 도계를 넘어가는 구간은 통째로 지방도에서 폐지하고 해당 특별시도, 광역시도로 이관하는 곳도 있다. 지방도와는 다르게 특별시도, 광역시도, 시도는 팔각형 모양의 표지를 사용하며 흰색 바탕에 파란색 글자로 노선명을 표기하는데, 최근에는 지방도인데도 팔각형을 잘못 쓰는 곳도 많은 듯하다. 거꾸로 시군구도를 지방도와 같은 노란 사각형으로 잘못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이보다 더 하위 등급은 시 단위로 관리하는 시도, 군 단위로 관리하는 군도가 있고, 국도나 지방도가 대체 도로가 생길 경우 격하되어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1] 당연히 보수나 제설면에서 지방도에도 밀려 엉망인 노면 상태를 자랑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미시령 구 도로. 미시령 터널 개통 이후 눈이 오면 무조건 통제하고 제설은 신경도 쓰지 않는 길로 변모했다.

국가로부터 도로 건설비용 지원을 받는 국가지원지방도와, 오로지 지방자치단체만의 힘으로 운영하는 일반 지방도로 분류된다. 국가지원지방도는 숫자가 2자리, 일반 지방도는 3자리 또는 4자리로 되어 있으며, 도로 표지판에 표시할 때는 모두 노란색 사각형 안에 도로 번호를 표기한다.

국가지원지방도를 빼고 지방도의 경우 번호 선정은 각 도별로 나눠서 한다. 300번대는 경기도, 400번대는 강원도, 500번대는 충북, 600번대는 충남, 700번대는 전북, 800번대는 전남, 900번대는 경북, 1000번대는 경남, 1100번대는 제주도이다. 원래 지방도가 다른 도로 넘어가면 뒤 두 자리의 고유번호는 바뀌지 않아야 하지만(예: 만약 959번 지방도(실제로는 없는 노선)가 경남으로 넘어가면 1059번이 되어야 한다), 지켜지지 않는 듯하다... 또 원래 01~50은 도내 노선, 51~99는 도계외 노선이지만 그것도 지켜지지 않는 듯하다. 100번대와 200번대는 결번인데 확실한 정설은 없으나 다른 나라와는 달리 국도와 지방도의 도로 번호가 일원화되어 있는 한국의 특성상 100번대와 200번대는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의 예비번호라는 설이 있다. 다만, 1990년대에는 경기도 안산시에 있는 순환로는 286번 지방도로 지정된 바 있었다가 현재는 폐지된 상태로 보인다.

지방도가 국가의 손에 넘어가게 되어 국도 혹은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지방도를 건설 및 유지할 힘이 부족할 경우 해당 지방도의 국도 및 국가지원지방도 승격을 종종 요구하기도 한다. 물론 1996년 및 2001년에 시행된 대한민국 대통령령에 의거 대규모 고속국도/일반국도/지방도 노선지정령 개정 시행 당시 사례를 제외하면 실제 적용되는 경우는 드물다. 대한민국 농산어촌 도서벽지 지방도 전체가 1990년대 ~ 2000년대 사이에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 공사가 전면 시행되었으며 지금도 일부 산간 임도는 비포장 상태로 남아있는 구간이 극소수 존재한다. 현재는 해당 비포장 도로들마저도 단계적으로 도로 포장 공사가 추진 중에 있다. 현재에도 계속해서 지방도의 일부 구간 확장 및 선형개량, 일부 노면상태 불량 구간의 도로 재포장이 진행되고 있다.

그 반대의 사례로 본래 일반국도로 지정되었던 구간이 지방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주도의 일부 지방도들을 지목할 수 있다.[2] 심지어 고속도로였던 구간이 지방도로 수직 낙하하는 경우도 있다. 2001년까지 영동고속도로의 대관령 구간인 456번 지방도와 2015년까지 88올림픽고속도로의 장수군 구간이었던 743번 지방도가 대표 사례. 특히 구 영동고속도로의 일부였던 456번 지방도는 극악의 선형과 더불어 국도 겸용 고속도로라는 해괴한 타이틀을 갖고 있던 노선으로 유명하다.

일반국도와는 달리[3] 각 광역자치단체들의 사정에 따라 완공되지 못하고 단절돼 있는 구간이 많이 보이고 심지어 1023번 지방도[4], 306번 지방도[5], 1047번 지방도[6]의 일부 구간처럼 차량 통행이 불가능한 곳도 있으며, 923번 지방도, 843번 지방도, 418번 지방도의 일부 구간처럼 임도인 구간도 존재하고, 시내버스 여행 시에는 지방도는 주로 대중교통 음영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대중교통이 열악한 경우가 많고 국도와 중첩될 경우 대부분 도로안내 표지판에 표시되지 않기에, 각 지방도를 모두 드라이브를 해보거나 시내버스 여행을 하는데 애로사항이 동반된다.

도로의 관할기관은 읍, 면 지역의 경우 도청 산하기관이고 동 지역은 시청 도로과이다. 해당 지방도 구간의 우회도로가 개통되어 지방도 구간이 변경된 경우 기존 구간은 광역자치단체 관할에서 기초자치단체 관할로 이양되며 일반도로 및 시도, 군도로 격하된다.[7]


2. 노선 목록[편집]


국가지원지방도 노선들은 국가지원지방도 문서 참고.

2021년 말 기준(국가지원지방도 포함)
시도명개통 총 연장(km)비고
부산광역시30경상남도 지정
대구광역시12경상북도, 경상남도 지정
인천광역시48경기도 지정, 3km 미개설
광주광역시16전라남도 지정
대전광역시30충청남도 지정
울산광역시17경상남도 지정
세종특별자치시25충청북도, 충청남도 지정
경기도2,67070km 미개통, 320km 미개설
강원도1,63666km 미개설
충청북도1,4224km 미개통, 26km 미개설
충청남도1,70997km 미개설
전라북도1,895111km 미개설
전라남도2,29916km 미개통, 207km 미개설
경상북도3,182101km 미개통
경상남도2,54123km 미개통, 250km 미개설
제주특별자치도75443km 미개설
총계18,286213km 미개통, 1,086km 미개설


2.1. 경기[편집]


경기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301번 지방도화성시 우정읍시흥시 정왕동
302번 지방도화성시 우정읍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303번 지방도화성시 우정읍시흥시 정왕동2005년 폐지
305번 지방도화성시 서신면안산시 단원구 성곡동
306번 지방도화성시 양감면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307번 지방도김포시 풍무동김포시 사우동2005년 폐지
308번 지방도성남시 수정구 복정동광주시 중부면2005년 폐지
342번 지방도로 재지정
309번 지방도평택시 포승읍과천시 주암동유료도로 포함
봉담과천로
310번 지방도화성시 우정읍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311번 지방도오산시 부산동용인시 기흥구 영덕동동부대로
312번 지방도평택시 팽성읍과천시 선암동2005년 폐지
309번 지방도로 대체
313번 지방도평택시 팽성읍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314번 지방도화성시 정남면안성시 양성면
315번 지방도평택시 팽성읍용인시 기흥구 상하동
317번 지방도평택시 세교동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318번 지방도화성시 서신면이천시 장호원읍
319번 지방도여주시 능서면양평군 청운면2005년 폐지
320번 지방도남양주시 진접읍가평군 청평면2005년 폐지
321번 지방도안성시 공도읍광주시 문형동
322번 지방도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화성시 안녕동
324번 지방도파주시 파평면파주시 적성면2005년 폐지
325번 지방도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광주시 퇴촌면
328번 지방도강원도 원주시 문막읍2005년 경기도 구간 폐지
2008년 349번 지방도와 통합
329번 지방도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이천시 대포동
330번 지방도시흥시 정왕동시흥시 목감동유료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333번 지방도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양평군 강하면
334번 지방도의왕시 학의동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335번 지방도충청북도 충주시 앙성면2005년 경기도 구간 폐지
2010년 531번 지방도와 통합
337번 지방도이천시 장호원읍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338번 지방도성남시 중원구 하대원동광주시 퇴촌면
341번 지방도여주시 가남읍양평군 단월면
342번 지방도성남시 수정구 복정동양평군 양동면
345번 지방도여주시 점동면양평군 단월면
348번 지방도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1996년 폐지
351번 지방도시흥시 논곡동광명시 광명동폐지 여부 불분명
349번 지방도강원도 원주시 문막읍양평군 청운면
352번 지방도남양주시 와부읍양평군 옥천면
355번 지방도김포시 양촌읍김포시 하성면
356번 지방도김포시 월곶면고양시 일산서구 구산동
357번 지방도고양시 덕양구 덕은동파주시 탄현면대부분 구간 제2자유로
358번 지방도김포시 대곶면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359번 지방도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파주시 문산읍
360번 지방도파주시 탄현면포천시 가산면
363번 지방도고양시 덕양구 향동동파주시 탄현면
364번 지방도파주시 문산읍가평군 가평읍
367번 지방도고양시 덕양구 벽제동연천군 장남면
368번 지방도연천군 청산면가평군 북면
371번 지방도고양시 덕양구 오금동연천군 중면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2번 지방도파주시 군내면강원도 화천군 사내면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5번 지방도양주시 광적면연천군 미산면
376번 지방도연천군 중면포천시 관인면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379번 지방도양주시 삼숭동포천시 신북면
383번 지방도남양주시 지금동남양주시 진접읍
387번 지방도남양주시 화도읍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390번 지방도남양주시 퇴계원면남양주시 금곡동2005년 폐지
391번 지방도양평군 양서면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397번 지방도안양시 만안구 안양동광명시 철산동1996년 폐지


2.2. 강원[편집]


강원도내 지방도는 다른 곳의 지방도보다 열악한 경우가 많은데, 이는 산이 많은 지형과 적은 인구로 인한 적은 교통량 때문이다.
강원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402번 지방도충청북도 제천시 백운면원주시 신림면구학산로
2008년 강원도 구간,
2010년 충청도 구간
각각 597번 지방도에 통합
403번 지방도홍천군 서면양구군 양구읍
404번 지방도원주시 문막읍원주시 귀래면귀문로
406번 지방도횡성군 공근면홍천군 화촌면
407번 지방도춘천시 신북읍화천군 화천읍춘화로
408번 지방도홍천군 두촌면평창군 용평면
409번 지방도원주시 호저면횡성군 서원면
410번 지방도평창군 진부면강릉시 왕산면
411번 지방도원주시 신림면횡성군 둔내면
412번 지방도정선군 화암면삼척시 도계읍2009년 폐지
413번 지방도영월군 북면평창군 미탄면2008년 415번 지방도와 통합
414번 지방도정선군 고한읍태백시 혈동함백산로
415번 지방도영월군 북면강릉시 연곡면
416번 지방도삼척시 도계읍삼척시 원덕읍가곡천로
418번 지방도인제군 기린면양양군 서면
420번 지방도홍천군 영귀미면평창군 방림면
421번 지방도정선군 신동읍삼척시 하장면
424번 지방도홍천군 내면삼척시 근덕면
426번 지방도인제군 서화면고성군 죽왕면대부분 구간 민통선 내부
427번 지방도태백시 통동삼척시 근덕면
442번 지방도횡성군 횡성읍횡성군 우천면한우로
444번 지방도홍천군 홍천읍인제군 상남면
446번 지방도인제군 남면홍천군 내면
451번 지방도홍천군 두촌면인제군 상남면아홉사리로
453번 지방도인제군 북면양구군 동면
456번 지방도평창군 진부면강릉시 성산면영동고속도로
대관령 구간(경강로)
460번 지방도화천군 화천읍양구군 양구읍평화로
461번 지방도화천군 상서면화천군 간동면
462번 지방도속초시 대포동속초시 설악동1993년 폐지
463번 지방도화천군 사내면이천군 안협면
(철원군 철원읍)
일부 구간 북한령
464번 지방도철원군 갈말읍철원군 철원읍일부 구간 민통선 내부
494번 지방도홍천군 서면횡성군 공근면


2.3. 충북[편집]


충청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501번 지방도영동군 학산면옥천군 옥천읍
502번 지방도보은군 회남면보은군 탄부면
504번 지방도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세종오송로
505번 지방도영동군 용화면보은군 속리산면
507번 지방도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508번 지방도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제천시 한수면
509번 지방도보은군 회남면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510번 지방도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충주시 살미면2017년 508번 지방도와 통합
511번 지방도청주시 상당구 미원면진천군 초평면
512번 지방도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513번 지방도진천군 초평면음성군 금왕읍
514번 지방도옥천군 이원면대구광역시 군위군 효령면
515번 지방도괴산군 청천면음성군 금왕읍2010년 333번 지방도와 통합
516번 지방도진천군 초평면괴산군 불정면
517번 지방도괴산군 청천면괴산군 장연면
519번 지방도강원도 영월군 남면단양군 가곡면
520번 지방도음성군 감곡면충주시 노은면2010년 525번 지방도와 통합
522번 지방도제천시 동현동단양군 영춘면
525번 지방도괴산군 칠성면음성군 감곡면
531번 지방도충주시 살미면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532번 지방도충주시 동량면단양군 어상천면
533번 지방도괴산군 청천면음성군 대소면
534번 지방도제천시 덕산면단양군 대강면2017년 폐지
540번 지방도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증평군 증평읍
571번 지방도대전광역시 동구 대청동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575번 지방도옥천군 청성면괴산군 청천면
581번 지방도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영동군 양강면2017년 505번 지방도와 통합
583번 지방도음성군 금왕읍음성군 삼성면2010년 329번 지방도와 통합
587번 지방도진천군 덕산면진천군 이월면2010년 302번 지방도와 통합
591번 지방도청원군 강외면청원군 현도면2010년 604번 지방도와 통합
592번 지방도청주시 청원구 내수읍괴산군 청안면
594번 지방도청원군 강내면청주시 상당구 남주동2010년 512번 지방도와 통합
595번 지방도단양군 가곡면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596번 지방도청주시 청원구 오창읍청주시 흥덕구 가경동2017년 696번 지방도와 통합
597번 지방도괴산군 장연면강원도 원주시 신림면2017년 508번 지방도와 통합
599번 지방도음성군 소이면충주시 소태면

2.4. 충남[편집]


충청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601번 지방도금산군 부리면금산군 추부면
602번 지방도홍성군 홍북읍예산군 오가면충남대로
603번 지방도태안군 근흥면태안군 이원면
604번 지방도예산군 광시면공주시 의당면
606번 지방도보령시 웅천읍청양군 남양면
607번 지방도서천군 비인면보령시 신흑동
609번 지방도보령시 청라면서산시 운산면
610번 지방도보령시 대천동청양군 남양면
611번 지방도서천군 장항읍부여군 석성면
613번 지방도서천군 한산면부여군 은산면
614번 지방도홍성군 광천읍공주시 이인면2003년 폐지
615번 지방도당진시 합덕읍당진시 석문면
616번 지방도홍성군 금마면아산시 송악면
617번 지방도서천군 장항읍보령시 미산면
618번 지방도서산시 운산면공주시 정안면
619번 지방도청양군 화성면당진시 송악읍
622번 지방도당진시 우강면당진시 송악읍
623번 지방도아산시 인주면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624번 지방도아산시 인주면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625번 지방도부여군 세도면공주시 우성면
627번 지방도공주시 신관동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2012년 폐지
628번 지방도아산시 인주면아산시 음봉면
629번 지방도공주시 사곡면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633번 지방도당진시 송악읍당진시 송산면
634번 지방도태안군 원북면서산시 성연면
635번 지방도전라북도 장수군 계북면대전광역시 중구 유천동
643번 지방도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공주시 이인면
645번 지방도계룡시 엄사면아산시 선장면
647번 지방도서산시 해미면당진시 석문면
649번 지방도서산시 부석면당진시 고대면
651번 지방도부여군 부여읍공주시 신관동
691번 지방도논산시 부적면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693번 지방도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696번 지방도천안시 동남구 병천면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697번 지방도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공주시 이인면


2.5. 전북[편집]


전라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701번 지방도정읍시 연지동김제시 장화동
702번 지방도김제시 성덕면김제시 백구면
703번 지방도부안군 위도면
705번 지방도정읍시 연지동부안군 하서면
706번 지방도군산시 성산면익산시 용안면
707번 지방도부안군 줄포면부안군 부안읍
708번 지방도고창군 신림면정읍시 칠보면
709번 지방도군산시 옥서면군산시 성산면
710번 지방도부안군 줄포면정읍시 고부면
711번 지방도김제시 부량면익산시 용안면
712번 지방도김제시 청하면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713번 지방도김제시 금구면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714번 지방도김제시 금산면완주군 구이면
715번 지방도순창군 쌍치면김제시 금산면
716번 지방도김제시 교월동전주시 완산구 효자동2가
717번 지방도순창군 동계면임실군 운암면
718번 지방도군산시 회현면익산시 망성면
720번 지방도익산시 오산면익산시 금마면
721번 지방도남원시 식정동완주군 상관면
722번 지방도익산시 웅포면익산시 왕궁면
723번 지방도익산시 석왕동충청남도 청양군 장평면
724번 지방도익산시 웅포면익산시 여산면
725번 지방도진안군 정천면진안군 주천면정주천로
726번 지방도진안군 백운면진안군 동향면
727번 지방도무주군 안성면무주군 무주읍
729번 지방도순창군 금과면정읍시 산내면
730번 지방도순창군 금과면남원시 주천면
731번 지방도무주군 부남면1996년 635번 지방도와 통합
732번 지방도완주군 고산면진안군 주천면
733번 지방도고창군 상하면고창군 아산면
734번 지방도정읍시 입암면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735번 지방도김제시 봉남면익산시 동산동
736번 지방도부안군 진서면김제시 금산면
737번 지방도남원시 주천면남원시 산내면정령치로
740번 지방도익산시 여산동완주군 운주면
741번 지방도완주군 소양면익산시 여산면
742번 지방도임실군 임실읍경상남도 함양군 백전면
743번 지방도남원시 운봉읍장수군 천천면
744번 지방도군산시 옥서면군산시 나포면
745번 지방도순창군 유등면진안군 마령면
747번 지방도고창군 성내면부안군 동진면
749번 지방도정읍시 산외면완주군 동상면
751번 지방도남원시 아영면장수군 상서면
792번 지방도순창군 복흥면순창군 순창읍
795번 지방도진안군 진안읍부안군 용담면
796번 지방도고창군 대산면고창군 무장면
799번 지방도완주군 삼례읍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2.6. 전남[편집]


전라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801번 지방도진도군 고군면함평군 나산면
803번 지방도진도군 임회면해남군 화원면
805번 지방도신안군 장산면영광군 영광읍
806번 지방도영암군 삼호읍해남군 송지면
808번 지방도함평군 손불면영광군 영광읍
810번 지방도목포시 대의동영암군 삼호읍2007년 806번 지방도와 통합
811번 지방도무안군 몽탄면함평군 손불면
814번 지방도강진군 성전면강진군 병영면2007년 830번 지방도와 통합
815번 지방도무안군 일로읍함평군 함평읍
816번 지방도전라북도 고창군 대산면전 구간 734번 지방도와 중첩[8]
817번 지방도장흥군 유치면광주광역시 남구 진월동
818번 지방도나주시 문평면화순군 춘양면
819번 지방도장흥군 안양면영암군 금정면
820번 지방도무안군 삼향읍장흥군 장평면
821번 지방도영암군 삼호읍나주시 공산면
822번 지방도나주시 노안면화순군 동복면
825번 지방도신안군 임자면함평군 나산면
827번 지방도해남군 북일면영암군 영암읍
829번 지방도강진군 군동면강진군 성전면2007년 827번 지방도와 통합
830번 지방도강진군 성전면고흥군 두원면
831번 지방도나주시 대호동나주시 노안면2007년 822번 지방도와 통합
835번 지방도장흥군 장흥읍영암군 영암읍장강로
836번 지방도장흥군 장평면보성군 보성읍
837번 지방도강진군 칠량면장흥군 관산읍2007년 827번 지방도에 통합
838번 지방도함평군 손불면함평군 나산면
839번 지방도보성군 웅치면화순군 이양면
840번 지방도광양시 광양읍곡성군 입면
842번 지방도영광군 군서면영광군 홍농읍
843번 지방도고흥군 점암면화순군 이양면
844번 지방도신안군 임자면영광군 영광읍2003년 805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에 통합
845번 지방도보성군 회천면보성군 복내면
851번 지방도고흥군 풍양면보성군 득량면
855번 지방도고흥군 도화면고흥군 점암면
857번 지방도보성군 벌교읍순천시 황전면
861번 지방도광양시 옥곡면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
863번 지방도여수시 남면광양시 다압면
865번 지방도광양시 광양읍구례군 토지면
887번 지방도화순군 백아면담양군 무정면
893번 지방도장성군 삼계면전라북도 고창군 성송면평림암치로
895번 지방도보성군 회천면보성군 벌교읍
897번 지방도순천시 송광면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898번 지방도담양군 대전면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2.7. 경북[편집]


경상북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901번 지방도김천시 구성면예천군 효자면
902번 지방도청도군 청도읍청도군 각북면
903번 지방도성주군 가천면성주군 금수면
904번 지방도영천시 고경면경주시 양남면
905번 지방도고령군 성산면김천시 남면
906번 지방도김천시 대항면군위군 효령면2009년 514번 지방도에 통합
907번 지방도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고령군 쌍림면2007년 1011번 지방도에 통합
908번 지방도군위군 산성면청송군 주왕산면
909번 지방도경산시 와촌면영천시 고경면
910번 지방도봉화군 석포면강원도 삼척시 가곡면청옥로
911번 지방도영덕군 지품면영양군 일월면
912번 지방도상주시 청리면청송군 현서면
913번 지방도성주군 수륜면구미시 무을면
914번 지방도안동시 풍산읍영덕군 달산면
915번 지방도영주시 평은면봉화군 춘양면
916번 지방도김천시 아포읍안동시 풍산읍
917번 지방도영덕군 지품면울진군 죽변면
918번 지방도봉화군 봉화읍영덕군 영해면
919번 지방도청도군 운문면군위군 우보면
920번 지방도영양군 영양읍안동시 예안면
921번 지방도포항시 북구 죽장면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922번 지방도문경시 가은읍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923번 지방도칠곡군 지천면문경시 문경읍
924번 지방도문경시 문경읍안동시 서후면
925번 지방도청도군 매전면영천시 도남동
926번 지방도울릉군 울릉읍2008년 90번 지방도로 승격
927번 지방도구미시 고아읍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928번 지방도안동시 북후면문경시 동로면
929번 지방도포항시 남구 오천읍포항시 남구 동해면
930번 지방도의성군 금성면영덕군 남정면
931번 지방도봉화군 물야면예천군 감천면
932번 지방도청송군 부남면영덕군 남정면2003년 폐지
933번 지방도안동시 와룡면봉화군 소천면
935번 지방도안동시 임동면충청북도 단양군 영춘면
945번 지방도경주시 양남면경주시 문무대왕면
997번 지방도김천시 개령면상주시 화북면
998번 지방도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봉화군 춘양면1995년 88번 지방도에 편입


2.8. 경남[편집]


경상남도의 지방도
노선번호기점종점비고
1001번 지방도고성군 하이면거창군 고제면
1002번 지방도하동군 읍내면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1003번 지방도사천시 대방동하동군 악양면
1004번 지방도진주시 사봉면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1005번 지방도사천시 서포면산청군 단성면
1006번 지방도진주시 명석면산청군 차황면
1007번 지방도고성군 마암면진주시 상봉동
1008번 지방도의령군 부림면밀양시 하남읍
1009번 지방도고성군 거류면진주시 초전동
1010번 지방도고성군 하이면고성군 동해면
1011번 지방도함안군 가야면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1012번 지방도함양군 인월면부산시 장안읍도로표지안내시스템 좌천사거리 노선 표지판에 현재 60번 지방도인 도로에 1012번 지방도 표지 되어 있음
1013번 지방도진주시 초전동의령군 가례면
1014번 지방도하동군 화개면진주시 수곡면
1016번 지방도사천시 선구동고성군 영현면
1017번 지방도진해시 대장동밀양시 산내면2003년 58번 국도에 편입
1018번 지방도거제시 사등면거제시 장목면
1019번 지방도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울산시 울주구 청량면1996년 폐지
1020번 지방도창원시 성산구 용호동김해시 외동
1021번 지방도통영시 미수동창녕군 남지읍
1022번 지방도창녕군 남지읍양산시 교동
1023번 지방도하동군 화개면함양군 함양읍
1024번 지방도남해군 설천면남해군 창선면
1025번 지방도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1998년 폐지
1026번 지방도산청군 산청읍합천군 대양면
1027번 지방도울산광역시 동구 서부동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면1998년 폐지
1028번 지방도양산시 원동면양산시 용당동
1029번 지방도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의령군 정곡면
1030번 지방도창원시 성산구 완암동김해시 장유동남해안대로
1034번 지방도함양군 유림면창녕군 성산면
1036번 지방도합천군 가야면고령군 쌍림면
1037번 지방도고성군 개천면의령군 궁류면
1040번 지방도진주시 대곡면함안군 칠북면
1041번 지방도함안군 칠원읍합천군 가회면
1042번 지방도김해시 진영읍김해시 봉황동
1045번 지방도창원시 북동창녕군 부곡면2003년 79번 국도에 편입
1047번 지방도하동군 악양면산청군 시천면
1049번 지방도사천시 축동면진주시 명석면
1051번 지방도양산시 어곡동밀양시 단장면
1054번 지방도울산시 무거동울주군 언양면1978년 고속도로 승격으로 폐지
1077번 지방도양산시 동면밀양시 상동면
1080번 지방도창녕군 이방면밀양시 내이동
1084번 지방도함양군 함양읍합천군 율곡면
1089번 지방도산청군 신등면경상북도 김천시 부항면
1093번 지방도합천군 청덕면창녕군 이방면1989년 폐지
1099번 지방도거창군 남상면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


2.9. 제주[편집]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도
노선번호(명칭)기점종점비고
1112번 지방도
(비자림로)
제주시 구좌읍제주시 봉개동
1114번 지방도
(추자로)
제주시 추자면
1115번 지방도
(제2산록도로)
제주시 한경면서귀포시 상효동
1116번 지방도
(한창로)
서귀포시 안덕면제주시 한림읍
1117번 지방도
(제1산록로)
제주시 애월읍제주시 아라동
1118번 지방도
(남조로)
서귀포시 남원읍제주시 조천읍2021년 99번 지방도로 승격
1119번 지방도
(서성로)
서귀포시 남원읍서귀포시 성산읍
1120번 지방도
(대한로)
서귀포시 대정읍제주시 한림읍
1121번 지방도
(제안로)
서귀포시 안덕면제주시 노형동
1122번 지방도
(제성로)
제주시 봉개동서귀포시 성산읍
1131번 지방도
(5.16도로)
서귀포시 토평동제주시 이도1동구 11번 국도
1132번 지방도
(일주도로)
제주시 이도2동구 12번 국도
1135번 지방도
(평화로)
서귀포시 대정읍제주시 애월읍구 95번 국도
1136번 지방도
(중산간도로)
제주시 아라2동구 16번 국도
1139번 지방도
(1100도로)
서귀포시 중문동제주시 오라동구 99번 국도


3. 외국의 지방도[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3:38:18에 나무위키 지방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심지어 고속도로도 일반 군도로 격하되는 경우도 있다! 경부고속도로가 선형 개량을 실시함에 따라 일부 구간이 아예 새로 닦은 도로로 이설되면서 기존의 도로는 군도로 지정되어 차량이 통행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대전~영동 간 구 경부고속도로 구간이 그런 상황이다.[2]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당시 자치권 문제 때문에 일반국도의 관리 및 운영 권한이 대한민국 정부(건설교통부 제주지방국토관리청)에서 제주특별자치도청으로 넘어가면서 지방도로 격하되었다.[3] 물론 77번 국도처럼 아직 단절돼 있는 국도들도 있지만.[4] 벽소령 구간.[5] 낭갱이고개 구간. 작은 등산로만 있으며 차량통행이 가능한 도로가 없다.[6] 회남재 구간. 하동군 측에서 포장을 포기한 뒤로 트래킹 코스로 전환하더니, 2020년에 차량의 통행이 금지되었다.[7] 일부 지역은 지방도 구간 이설과 별개로 노선 자체가 폐지되어 일반도로(시군도로)로 격하되는 사례도 존재한다.[8] 2007년 734번 지방도와 통합되었지만 전라북도 구간은 사라지지 않고 서류상으로 남아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