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BY 카탈리나

덤프버전 :

파일:attachment/카탈리나/Example.jpg

Consolidated PBY Catalina (Canso)
PB: Patrol Bomber
당시 콘솔리데이티드 항공기 할당코드가 Y로 정해졌다.

1. 개요
2. 제원(PBY-5A 기준)
3. 대중매체 등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훗날 보잉에 합병되는 제네럴 다이내믹스 사의 전신이 되는 콘솔리데이티드(Consolidated) 사에서 개발하여 1936년부터 미합중국 해군에서 운용한 쌍발 비행정으로 3,305대가 생산되어 역사상 가장 많이 생산된 비행정이기도 하다.

동시기 타국의 비행정에 비해 스펙상으로 보면 크게 내세울 점이 없었고 느리고 못생겼다며 놀림거리가 되기도 했지만, 튼튼하고 신뢰성이 높은데다 크기가 타국의 4발 비행정 보다 작아서 조종과 착수, 이수가 편하다는 장점을 살려 2차 대전 중 정찰, 대잠, 대함, 구조, 긴급수송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이중 대함 야간전을 위해 검게 칠해진 카탈리나를 미군은 블랙 캣(Black Cat)이라고 불렀다. 2차세계대전에 등장한 비행정 중에선 가장 많이 활약한 일꾼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대잠 방면에서는 36척[1]U보트를 격침, 대함 임무에서는 톤수로 112,700톤의 일본 선박을 격침, 47,000톤의 선박 및 10여척의 일본 군함에 손상을 입혔다. 하지만 진짜로 진가를 발휘한 것은 정찰 임무로, 일반 수상기에 비해 대형에 항속거리, 체공시간이 길고, 타국 비행정보다 소형이라 운용 비용이 적기 때문에 대량 운용에 적합하여 B-24 정찰버전이 등장 이전 유보트를 때려잡는데 앞장섰고, 영국 해군의 시야에서 사라진 독일 해군 비스마르크급 전함 비스마르크를 찾아 소드피시 뇌격기가 치명타를 입힐 수 있게 만들었던 것이 바로 미 해군 소속 카탈리나였고, 미드웨이 해전에서 최초로 일본 해군 함대를 육안으로 확인한 것도 카탈리나였다. 그래서 미국의 태평양전쟁 해전사를 읽다보면 "PBY가 적을 발견해서~" 라는 구절을 지겹도록 볼 수 있다. 구조 임무에서도 잠수함들과 함께 대활약했으며 가장 유명한 것은 카탈리나 1기가 침몰한 미 해군 포틀랜드급 중순양함 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조원 75명을 구조한 것이 있다.

미군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빠르게 퇴역했으나 브라질에서 1980년대까지 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2021년 현재에도 일부 남은 기체가 무장을 제거한 채 민수용으로 쓰이고 있다. 프랑스에선 소방기로 일부 사용중이며. 유럽에는 이 4대가 마지막 남은 것이라고 한다.

동시기에 활동 라이벌 기체로 PBM 마리너가 있었다.[2] PBY보다 2년 정도 나중에 나온 신형인데다 스펙상[3]으론 거의 모든 면에서 PBY를 능가했지만, 실전에선 잦은 잔고장 등의 문제[4]로 인해 결국 조역에 그쳤다. 단독~ 소수로 장거리 임무에 나서는 특성상 신뢰성이 더 중요하기도 했고, 비행정이라는게 애초에 운용에 필요한 성능만 갖추면 굳이 고스펙을 추구할 이유가 없는 기체라서 그런 듯.


2. 제원(PBY-5A 기준)[편집]


전장 : 19m
전폭 : 31.7m
높이 : 6.2m
자체중량 : 9.5t
엔진 : P&W R-1830 공랭식 엔진 2기 (출력 : 1,200 마력)
최대 속도 : 시속 280km
항속 거리 : 3790 km
승무원: 9명
무장 : 12.7mm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2정, 7.62mm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3정, 최대폭장량 1800Kg


3. 대중매체 등장[편집]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pby-5.png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pby-5a.png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pby-5a_raf.png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pby-5a_ussr.png
PBY-5 카탈리나PBY-5a 카탈리나♔카탈리나 Mk IVa★PBY-5a 카탈리나

  • 워 썬더에서 미군의 중형 폭격기로 PBY-5, PBY-5a, 영국과 소련 랜드리스형이 등장한다. 맞아도 원채 맷집이 센지라 로켓이나 기관포를 가져오지 않는 이상 7.7mm기총으로는 불이나 내지 찢어버릴라면 어림도 없다... 최대 4,000파운드 폭장이나 어뢰, 폭뢰를 장비할수있다.

  •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도 프리미엄 항공기로 등장. 여기서는 슬프게도 후방기총의 배치가 병맛스럽게 되어있어 성능이 매우 나쁘다...엔진성능도 처참해서 정규트리의 B-17에게 밀린다. 해상착륙용 플로터가 달려있지만 장식용인것도 덤...


  • 아이오와의 추가와 함께 함대 컬렉션대형 비행정으로 등장했다. 성능은 칸코레 최초의 비행정인 2식 대정에 비해 좋은 편이지만, 쓰는 놈이 잉여라 문제. 기지 항공대가 추가되면서 행동반경을 늘려주는 옵션을 가지게 되었다. 2021년 4월에 바다에 표류하는 함선/항공기 승무원들의 구조작전 수행을 모티브로 격추된 항공기 보충 능력 또한 가지게 되었다.

  • 몬타나 존스에서 기수의 디자인이 상당히 달라져서 주인공 일행의 주요 이동수단으로 등장한다.


  • U-571 구명보트를 탄 대원들이 바다에 표류하면서 등장한다.


  • 벽람항로에서는 '어둠을 쫓는 은빛 날개' 이벤트에서 획득이 가능했던 보조장비로 등장. 기본적으로 명중치와 대잠치를 제법 올려주며, 카탈리나를 장착한 함선이 속한 함대의 매복 회피 확률을 10% 증가시켜준다. 구축함 쿠퍼는 카탈리나를 장비한 상태에서 체력이 일정량 감소했을 때 대잠폭탄 및 항공폭탄 폭격을 실시하는 스킬을 보유하고 있다.


  • 영화 그레이하운드에서 초반부 선단 호위를 맡으며 동행하나 곧 항속거리로 인해 전선에서 이탈한다. 이후 막바지에 무장이 거의 다 떨어진 상태에서[5] 구세주처럼 등장하여 항공 엄호를 해준다. 마지막 남은 유보트가 그레이하운드에게 어뢰를 발사하기 직전, 카탈리나가 폭뢰 6발을 떨어뜨려 유보트를 격침시킨다.

  • 월드 오브 워쉽에서 미국 함선 중 일부는 폭뢰 투하시 대잠초계기로 등장한다.

  • 모형화로는 1/48 레벨. 1/72 아카데미, 레벨이 같은 금형을 쓰고 있고 신금형인 에어픽스 제가 있다.

4.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항공병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항공기
전투기
육군 전투기
P-26 피슈터, 세버스키 P-35, P-36 호크, P-39 에어라코브라, P-63 킹코브라, P-66 뱅가드, P-40, P-43 랜서, P-47 썬더볼트, P-50, P-51 머스탱, P-55 어센더, P-75 이글,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Mk V/VIII/IX/XI
함재기/해병전투기
BF2C, F2A 버팔로, F9C 스패로호크, F4F 와일드캣, F4U 콜세어, F6F 헬캣, XF5F 스카이로켓, F5U 플라잉 팬케이크, F7F 타이거캣, F8F 베어캣
쌍발전투기
P-38 라이트닝, P-61 블랙위도우, XP-58 체인 라이트닝, XFM/YFM-1 에어라쿠다
제트기/혼성동력기
FR-1 파이어볼, P-80 슈팅스타, FH 팬텀A, P-81, P-59 에어라코메트, XP-79 플라잉 램A
뇌격기TBD 데버스테이터, TBF(M) 어벤저, XTB2D 스카이파이렛
폭격기
공격기/급강하 폭격기
SB2C 헬다이버, SBD 돈틀리스, BTD 디스트로이어, A-20, A-26 인베이더, A-29, SB2A 버커니어(A-34), A-35, A-38A, SB2U 빈디케이터, A-1 스카이레이더A, A2D 스카이샤크A, 카이저-플리트윙스 XBTK, XA-41
중형 폭격기
B-10, B-18 볼로, B-34 렉싱턴, B-25/PBJ 미첼, B-26 머로더, B-57 캔버라A/N
중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 B-24/PB4Y 리버레이터, B-29 슈퍼 포트리스N, B-32 도미네이터, B-35/B2T 플라잉 윙N, B-36 피스메이커A/N, B-49 플라잉 윙N
수상기OS2U 킹피셔, SOC 씨걸, SO3C 씨뮤, SC 씨호크, 네이벌 에어크래프트 팩토리 PN 시리즈
비행정PBY 카탈리나, PB2Y 코로나도, PBM 마리너, 휴스 H-4 허큘리스
대잠초계기PV-2 하푼, P2V 넵튠A
회전익기R-4
비행선아크론급, K급
수송기C-46 코만도, C-47 스카이트레인, C-54 스카이마스터,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연락기L-1, L-2 그래스호퍼, L-3 그래스호퍼, L-4 그래스호퍼, L-5 센티넬
훈련기T-6 텍산, P-64
노획 항공기Ki-61 토니, Ki-43 오스카, Ki-84 프랭크, A6M2 지크, J2M 잭, G8N 리타A, Ki-96A, J1N 어빙A, J7W1 신덴A, J9Y 킷카A, MXY-7 바카A, Bf 109 F-4, Fw 190A-8, He 219, Ta 152H-0, Me P.1101A, Ho 229 V3A
기타 항공기노스롭 N1M, 노스롭 N9M
순항 미사일JB-2 룬, BQ-7/8
취소선: 계획되었다 취소되었거나, 도입이 취소된 기종, 윗첨자A: 전후 완공/노획, 윗첨자N: 핵투발 수단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항공기
전투기복엽기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경폭격기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빅커스 웰링턴,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빅커스 발레타
정찰기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전투기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메서슈미트 Bf109, 포케불프 Fw190, 포케불프 Ta152, 하인켈 He219, MXY-7 오카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항공병기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항공기
전투기복엽 전투기I-15, I-15bis, I-153
전투기I-16 이삭, Yak-1, Yak-7, Yak-9, Yak-3, MiG-1, MiG-3, LaGG-3, La-5, La-7, La-9A, La-11A, Pe-3
폭격기경폭격기, 공격기Po-2,Il-2, Il-10, Su-2, Su-6, Ar-2, Pe-2, SB, Yak-2, Yak-4
中폭격기DB-3, Tu-2, Yer-2
重폭격기TB-3, Pe-8, Tu-4A
랜드리스 항공기미국 지원 항공기P-40C, P-40E-1, P-39 '코브라', P-63 킹코브라, P-47, P-51m, A-20, B-25, B-24, C-47, T-6, GST 카탈리나
영국 지원 항공기허리케인, 스핏파이어, 호커 타이푼m, 햄든, 스털링, 모스키토
공중항공모함즈베노 프로젝트
노획 기체나카지마 I-97, Fw190D, Bf109G, Me262, B-17, B-29
기타 항공기 및 시제기I-15GK, I-153GK, I-15bis TK, I-153TKm, I-15bis DM, I-153DM, I-153UD, I-153P, UTI-26, TB-6, I-180, I-185, Il-20, LaGG-1, Yak-15A, MiG-9A,La-15, La-152, Su-9(1946), TIS MA, BI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소련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m:소수 도입, 윗첨자A: 전후 도입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 펼치기 · 접기 ]

전투기복엽 전투기암스트롱 휘트워스 시미타,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P-36 호크,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Ca.310
폭격기中폭격기DH-98 모스키토
경폭격기포커 C.V, 노드롭/더글라스 8-A
뇌격기더글라스 DT, He 115, N-3PB
비행정PBY 카탈리나, 숄트 선더랜드
정찰기Ar 196, Fw 189
수송기Ju 52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현대 스웨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스웨덴군 (1945~현재)
Försvarsmakten
회전익기 경헬기HKP 9(A/B)육/공/R, HKP 6(A/B/C)육/해/공/R, HKP 5(B)육/R, HKP 2육/해/공/R
다목적 헬기HKP 16, HKP 15A, HKP 14, HKP 10(A/B/D), HKP 11R, HKP 3(A/B/C)육/공/R
수송헬기HKP 4AR, HKP 1R
대잠헬기HKP 15B, HKP 4(B/C/D)해/R, HKP 1해/R
전투기프롭J 21(A-1 · 2 · 3)R, J 22(A/B)R, J 23, J 26R, J 27, J 30R
1세대J 21R · A 21RBR, J 28(A/B/C)R, J 29(A/B/D/E/F) 툰난R, J 32(B/D/E/F) 란센R, J 33R, J 34R,
2세대J 35(A/B/D) 드라켄R
3세대J 35(F/J) 드라켄R
4세대 / 4.5세대AJ · AJS 37 비겐R, JAS 39(A/B/C/D) 그리펜 , {JAS 39(E/F) 그리펜NG}
5세대{FS2020}
공격기A 38, A 32A 란센R, B 17(A/B/C)R, B 24
폭격기A 36, Tp 52X/R, Tp 80X/R, B 18(A/B) · T 18BR
수송기Tp 100, Tp 88CX/R, Tp 86X, Tp 84(A/B/C/D) 허큘리스, Tp 55X/L/R, Tp 83R, Tp 82X/R, Tp 79R, Tp 46R, Tp 45(A)R
지원기조기경보기S 100B 아르고스, {사브 글로벌아이}
해상초계기SH 89해/R
전선통제기 / 연락기Fpl 53육/R, Flp 51(A/B)육/R, Tp 78R
정찰기S 102B, SF · SH 37R, Tp 85R, J S35ER, J 32CR, S 29CR, S 26R, S 22R, S 17(BL/BS)R, S 18AR
공중급유기Tp 84B Lufttankning
무인기SUAVUAV 05B 콜펜, UAV 04R · 05A 스발란, UAV 02 팔켄
UAVUAV 03 오르넨, UAV 01 우글라R
훈련기프롭Tp 54해/공, Sk 61R, Sk 50(A/B/C)R, Sk 16(A/B/C)R, Sk 25R MFI-15 사파리, MFI-17 서포터
제트Sk 38, Sk 60(A/B/C) · Sk 60(D/E)R, Sk 35CR, Sk 37(E)R
가상적기RB 06(A/B) 스트리커, RB 04R, RB 03R, RB 02R, RB 01R
비행정Tp 81R, Tp 47R, Tp 24R
특수목적기Tp 103, Tp 102D, Tp 102(A/C) Tp 100R, Tp 88(B)R, Tp 87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현대 노르웨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회전익기경헬기H-13(D-1/G-3) 수우 · AB 47(J/J-2)R
다목적 헬기AW101 멀린 Model 612 | 벨 412SP | 시킹 Mk.43(A/B) | 링스 Mk.86R | UH-1BR | H-19D-4 치카소해R
대잠헬기NH90 NFHR, {MH-60 시호크}
전투기프롭스핏파이어 LF.IXeR
1세대뱀파이어 (F.3/FB.52)R | F-86F 세이버R · F-86K 세이버 도그R | F-84(E/G) 썬더제트R · F-84F 썬더스트릭R
2세대CF-104 · F-104G 스타파이터R | F-5(A/B) 프리덤 파이터R
4세대F-16(A/B)R Block 1/5/15F-16(AM/BM) Block 20 MLU 파이팅 팰콘R
5세대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B-17G-BO 플라잉 포트리스R | 모스키토 FB.VIR
수송기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E/H) 허큘리스R | C-53D 스카이트루퍼R | C-47A 스카이트레인R | C-119G 플라잉 박스카R | AS.10 옥스포드 (I/II)R | Ju 52/3mR | C-60A 로드스타R
비행정HU-16B 알바트로스R | S.25 선덜랜드 Mk.VR | 카탈리나 (IB/IVA/IVB) · PBY-5AR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 {E-7}NAEW&CF
대잠초계기P-3(B/C/N) 오라이언R | P-8A 포세이돈
정찰기RF-5A (G)R | RF-104G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공중급유기A330 MRTTMMF
전자전기다쏘 팰컨 20ECMR
무인기SUAVRQ-20B 푸마 AE | RQ-12A 와스프 III Block IV | RQ-11 레이븐 | 인다고 3 | PD-100 블랙 호넷 나노
훈련기프롭MFI-15 사파리 | 사브 91(B/B-2) 사피르R | PT-26R | PT-19R | 하버드 (II/IIB) · SNJ-3/4R | 모스키토 T.IIIR
제트CF-104D · TF-104G 스타파이터R | T-33A 슈팅스타R | 뱀파이어 T.55R
정부전용기다쏘 팰컨 20C-5
다목적기DHC-6-(100/200) 트윈 오터R | DHC-3 오터R | L-19A 버드 도그R | L-18C 슈퍼 컵R | Fi 156R | C-64 노스만 Mk.(IV/VI)R | 앤슨 Mk.I | N-3PB 노매드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png 현대 덴마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덴마크군 (1945~현재)
Forsvaret
회전익기 경헬기AS550C2 페넥육→공 | OH-6 카유스육→공R | SA.319 알루에트 III해R | 벨 47D · AB 47G육R
다목적 헬기AW101 멀린 Model 512 (SAR/TTT) | S-61A-(1/5) 시킹R | S-55C 치카소R
대잠헬기MH-60R 시호크 | 슈퍼 링스 Mk.90B해→공 | 링스 Mk.80해R
전투기프롭스핏파이어 HF.IXeR
1세대F-84(E/G) 썬더제트R | F-86D 세이버 도그R | F-100(D/F) 슈퍼 세이버R | 헌터 F.51R | 미티어 (F.4/F.8/NF.11)R
2세대F-104G · CF-104G 스타파이터R | F 35 드라켄 (WDNS)R · F 35FD 드라켄
4(.5)세대F-16(A/B)R Block 1/5/10/15F-16(AM/BM) Block 20 MLU 파이팅 팰콘
5세대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B-17G 플라잉 포트리스R
정찰기전술RF 35 드라켄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수송기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H 허큘리스R | C-54(D/G)R | 펨브로크 C.52R | C-47AR
지원기조기경보기E-3ANAEW&CF | {E-7}NAEW&CF
해상초계기챌린저 604
연락기L-4 그래스호퍼육R | 시 오터R | 프락터 Mk.IIIR
비행정PBV-1A 칸소-A · PBY-(5A/6A) 카탈리나R
다목적기KZ X육R | KZ VII 레르케R | KZ IIIR
무인기SUAVRQ-20 푸마 | RQ-11 레이븐
UAVSAGEM 스퍼워육→공
훈련기프롭벨리스 일렉트로 | T-17 서포터 | DHC-1 칩멍크 Mk.20R | AT-16 하버드 IIBR | AS.10 옥스포드R | KZ IIR
제트TF 35 드라켄R | TF-104G · CF-104D 스타파이터R | 헌터 (T.7/T.53)R | TF-100F 슈퍼 세이버R | 미티어 T.7R | T-33A 슈팅스타R
표적예인미티어 TT.20R | 파이어플라이 TT.1R
VIP 탑승기챌린저 604 | 걸프스트림 III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5px-Roundel_Indonesia_Air_Force.svg.png 현대 인도네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인도네시아군 (1946~현재)
Tentara Nasional Indonesia
회전익기
경헬기
AS550 C3 페넥 · AS555 AP 페넥 II | AS350 B3 에쿠루일 | NBo 105CB육·해·공 | SA.316B 알루에트 III | 벨 206R | MD 500CR | Mi-2R | UH-12R | 벨 47(G-3B-1/J2A) 수우R | SM-1R
다목적 헬기
Mi-17V-5 | 벨 412(HP/SP/EP/EPI) | 벨 205A-1 | Mi-4PL육/R | 벨 412EP | {S-70M 블랙 호크} | H225M 카라칼 | NAS332 (F/L1) 슈퍼 퓨마 | NAS330 J 퓨마 | 벨 204R | UH-34(D/G) · S-58T 초크토우R | Mi-4AR
수송헬기Mi-6TR
공격헬기AH-64E 가디언 아파치 | Mi-35P
대잠헬기AS565 MBe 판터 | 와스프 HAS.1해/R
전투기프롭P-51(D/K) 머스탱 | La-11
1세대
CA-27 세이버 Mk.32R | Lim-5P · 아비아 S-104R | MiG-19SR
2세대
MiG-21F-13R
3세대
F-5(E/F) 타이거 IIR
4(.5)세대
{라팔(D/E) Standard F3-R} | {미라주 2000-5(DDA/EDA)} | {IF-X} | F-16(A/B) Block 15 OCU · F-16(C/D) Block 32+ 파이팅 팰콘 | Su-30MK2 | Su-27(SK→SKM)
공격기호크 209 | A-29B 슈퍼 투카노 | A-4E 스카이호크R | SF.260(M/W) 워리어R | OV-10F 브롱코R | A-26B 인베이더R | 아비아 B-33R
폭격기B-25(C/D/J) 미첼R | Tu-2R | Tu-16KS(-1)R | Il-28T· 아비아 B-228해·공/R
정찰기
전술비치크래프트 바론 · 보난자 | 세스나 206R · 406R | 테일러크래프트 오스터R
수송기
경량CN-295 | CN-235(-220) | NC-212(i/-100/-220M)육·해·공 | L-12A 일렉트라 주니어 | 포커 F27-400M 트룹십R | 아비아 14FR | C-60 로드스타R | DHC-5D 버팔로해/R
전술{A400M 아틀라스} |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L-100 & C-130(B/H)허큘리스 | C-47(A/B)R | An-12BR
수상기HU-16A 알바트로스R | PBY-5A 카탈리나R
다목적기BN-2A-27R 아일랜더 | N-219 누르타니오 | 세스나 180R | PA-22-125 트라이 페이서R | DHC-3 오터R | DHC-2 비버R | L-4J 그래스호퍼R
지원기
해상초계기
B737-2X9 서베일러 | CN-235 MPA | NC-212 MPA | 노매드 (N.22/N.24) | 가넷 AS.4해/R
공중급유기
KC-130B 허큘리스
무인기
SUAV
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B | LSU-02
클래스 1 - 소형
CAC 폭스-AT1 | PTDI 우룽 | LSU-03 | RQ-27 스캔이글
UAV
클래스 2 - 전술형
ADS 에어로스타 | 스켈다르 V-200 | IAI 서처 2
UCAV
클래스 3 - MALE급
CH-4B | {앙카-S}
훈련기
프롭KT-1B 웅비 | G 120TP | T-41D 메스칼레로 | 세스나 172S · 182T | PA-28 아처 DX | TB-9 탐피코 | TB-10 토바고 | LT-200R | T-34(A/C) 멘토R | AT-16 하버드 · T-6G 텍산R | BT-13 발리언트R | AS 202 브라보R | PZL-104 빌가 32R | TS-8 BII 비에스R | La-9UTIR | 가넷 T.5해/R
제트T-50i 골든이글 | 호크 109 | TA-4(F/H/J) 스카이호크R | 호크 53R | L-29 델핀R | MiG-21U-400R | MiG-15UTIR | Il-28UR | 뱀파이어 T.55R | T-33A 슈팅스타R
헬기EC120B 콜리브리육·해 | 휴즈 269 | 벨 505 제트레인저 X | 휴즈 300C육·해/R
VIP 탑승기B737-8U3 BBJ2 | B737-(2Q8 · 4Y0 · 4U3 · 5U3 · 8LD) | 다쏘 팰컨8X · 팰컨7X | AS332 L1 | 비치크래프트 프리미어 I | 킹에어 350i | B707-3M1CR | 제트스타R | L-1049(C/H) 슈퍼 컨스텔레이션R | F28-(1000/3000R/4000)R | S-61V-1R | VH-34D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1] 6척은 공동격침[2] 제작 목적 자체가 PBY를 보완한다는 것이었다.[3] 최고속, 항속거리, 탑재량, 상승고도, 기타등등 [4] 후기형에서는 해결된다.[5] 거듭된 교전으로 폭뢰가 단 5발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여서 대부분 함포로 교전하고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5:06:02에 나무위키 PBY 카탈리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