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경별 드라마/시대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배경별 드라마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 사극/드라마 목록
,
,
,
,
,









1. 개요
2. 상고시대
3. 삼국시대
3.1. 고구려
3.2. 백제
3.3. 신라
3.4. 가야
4. 남북국시대
4.1. 발해
4.2. 신라
5. 중세(고려)
6. 근세(조선)
6.1. 조선 전기
6.2. 조선 후기[1]
7. 근대
7.1. 구한말(대한제국)
7.2. 일제강점기
8. 현대(대한민국)
9. 미래
10. 가상 시대
10.1. 가상 조선
10.2. 가상 국가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 드라마 시대극[2]을 배경 시대 순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장르별 및 방영 년도순 정리는 한국 사극/드라마 목록 참고
[1] 임진왜란(1592) 기준.[2] 사극과 시대극은 혼용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는 일정한 시대에 일어난 사건 자체에 흥미를 갖도록 만들어진 작품을 시대극, 실존했던 인물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는 극을 역사극(또는 사극)이라고 하지만, 사극을 넓은 의미로 '현대극'의 반대개념으로 쓰기도 한다.


2. 상고시대[편집]




[ 펼치기 · 접기 ]

단군조선
초대 단군계보 미상제?대 조선후
조선후 ?세
계보 미상초대 왕제2대 왕제3대 왕
조선왕 1세조선왕 2세조선왕 3세
계보 미상제?대 왕말대 왕
부왕준왕
위만조선
초대제2대제3대멸망
위만왕□왕우거왕
'기자'의 재위 및 '기자조선'의 존재는 학계에서 인정되지 아니함.
'한후'는 고조선 군주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음.




연도방송사제목출연
2017KBS1한국사기강수호준왕
이승훈위만왕
최윤석우거왕
[각주]

3. 삼국시대[편집]



3.1. 고구려[편집]






[각주]

3.2. 백제[편집]





연도방송사제목출연
2017KBS1한국사기조지훈온조왕
2010근초고왕윤승원비류왕
한진희계왕
감우성(아역: 전영찬)근초고왕
2017한국사기정승교
2010근초고왕건일근구수왕
2017한국사기이건구
2011~2012광개토태왕박상규진사왕
박정철아신왕
2017한국사기이승찬
강영구개로왕
2013MBC제왕의 딸 수백향정찬동성왕
이재룡무령왕[3]
조현재성왕
2017KBS1한국사기김호중
2005~2006SBS서동요정욱위덕왕
2017KBS1한국사기박병욱
1992~1993삼국기최정훈무왕
2005~2006SBS서동요조현재(아역: 김석)
2011MBC계백최종환
2012~2013KBS1대왕의 꿈박철호
1992~1993KBS1삼국기길용우의자왕
2006~2007SBS연개소문문회원
2011MBC계백조재현(아역: 최원홍, 노영학)
2012~2013KBS1대왕의 꿈이진우
[3] 단, 주인공인 수백향은 가상의 인물이다.


3.3. 신라[편집]





연도방송사제목출연
2010MBC김수로권성덕남해 차차웅
이필모탈해 이사금
2011~2012KBS1광개토태왕조재완실성 마립간
2009MBC선덕여왕이순재진흥왕
2016~2017KBS2화랑박형식
2017KBS1한국사기김윤홍
2021KBS2달이 뜨는 강김승수
2009MBC선덕여왕임호진지왕
2012~2013KBS1대왕의 꿈손효원
1992~1993삼국기박웅진평왕
2005~2006SBS서동요최동준
2009MBC선덕여왕조민기(아역: 강산, 백종민)
2012~2013KBS1대왕의 꿈김하균
1986원효대사서우림선덕여왕
1992~1993삼국기김혜정
2006~2007SBS연개소문배미자
2009MBC선덕여왕이요원(아역: 남지현)
2012~2013KBS1대왕의 꿈박주미/홍은희[4](아역: 선주아)
1992~1993삼국기유루나진덕여왕
2012~2013대왕의 꿈손여은
1992~1993삼국기송영창태종 무열왕
2009MBC선덕여왕유승호(아역: 정윤석)
2011계백이동규
2012~2013KBS1대왕의 꿈최수종
2017한국사기박준혁
[4] 교통사고로 인해 교체


3.4. 가야[편집]


[ 펼치기 · 접기 ]

금관가야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수로왕거등왕마품왕거질미왕이시품왕
제6대제7대제8대제9대제10대
좌지왕취희왕질지왕겸지왕구형왕
봉사손봉사손봉사손봉사손봉사손
김세종김솔지김무력김서현김유신
대가야
초대계보 미상제?대제?대제?대
이진아시왕금림왕기본한기하지왕
계보 미상제9대계보 미상제16대태자
이뇌왕도설지왕월광태자
소가야(족보상 언급)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말로왕대아왕미추왕소간왕아도왕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질노왕거아왕달나왕이형왕
아라가야탁순국탁국
제?대제?대말대제?대말대
가실왕말금한기아리사등기능말다간기함파한기



연도방송사제목출연
2010MBC김수로지성수로왕
[각주]

4. 남북국시대[편집]



4.1. 발해[편집]





연도방송사제목출연
1992~1993KBS1삼국기임선택고왕
2006~2007대조영최수종
[각주]

4.2. 신라[편집]





[각주]

5. 중세(고려)[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태조혜종정종(定宗광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경종성종목종현종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덕종정종(靖宗문종순종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선종헌종숙종예종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인종의종명종신종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희종강종고종원종
제25대제26대제27대제28대
충렬왕충선왕충숙왕충혜왕
제29대제30대제31대제32대
충목왕충정왕공민왕우왕
제33대말대
창왕공양왕



연도방송사제목출연
1996~1998KBS1용의 눈물김경응[5]태조
2000태조 왕건최수종
2002~2003제국의 아침이문수
2009KBS2천추태후조명남[6]
2015MBC빛나거나 미치거나남경읍
2016SBS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조민기
2000KBS1태조 왕건안정훈(아역: 강민규)혜종
2002~2003제국의 아침노영국
2015MBC빛나거나 미치거나?[7]
2016SBS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김산호
2002~2003KBS1제국의 아침최재성정종
2015MBC빛나거나 미치거나류승수
2016SBS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홍종현
2002~2003KBS1제국의 아침김상중광종
2009KBS2천추태후정승우[8]
2015MBC빛나거나 미치거나장혁
2016SBS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이준기
2009KBS2천추태후최철호 (아역: 차웅기)경종
김명수 (아역: 최우혁)성종
이인 (아역: 박지빈)목종
2023KBS1고려거란전쟁백성현
2009KBS2천추태후김지훈 (아역: 최수한, 강수한, 김진우)현종
2023KBS1고려거란전쟁김동준
2003무인시대이성호인종
김규철의종
김병세명종
이우석신종
정태우희종
박병선(아역: 이인)강종
오현철고종
2012MBC무신이승효
강성민(아역: 백승우)원종
2017왕은 사랑한다정보석충렬왕
임시완충선왕
2005직지이정길충숙왕
2012SBS신의오현철충혜왕
2005~2006MBC신돈민병현충목왕
최영주충정왕
2012SBS신의최원홍
1983KBS개국임혁공민왕
2005~2006MBC신돈정보석
2012SBS신의류덕환
2013대풍수류태준
2014KBS1정도전김명수
1983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김영두우왕
1996~1998KBS1용의 눈물권오성
2013SBS대풍수이태리[9]
2014KBS1정도전박진우(아역: 정윤석)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이현배
2021KBS1태종 이방원임지규
1983KBS개국강태호창왕
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전현
1996~1998KBS1용의 눈물윤동원
2014정도전김준성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황재원
2021KBS1태종 이방원기은유
1983KBS개국김진해공양왕
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김웅철
1996~1998KBS1용의 눈물김영선
2013SBS대풍수김병춘
2014KBS1정도전남성진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이도엽
2021KBS1태종 이방원박형준
[5] 특별출연[6] 특별출연[7] 짧게 등장하여 배우를 알 수 없음.[8] 특별출연[9] 방영 당시에는 '이민호'라는 본명으로 활동


6. 근세(조선)[편집]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태조정종태종세종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문종단종세조예종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성종연산군중종인종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명종선조광해군인조
제17대제18대제19대제20대
효종현종숙종경종
제21대제22대제23대제24대
영조정조순조헌종
제25대제26대말대
철종고종순종



-2 [[틀:조선 추존왕 및 추존령 |{{{#ffd400 추존왕 · 추존령}}}]] · [[틀:선원선계|{{{#ffd400 선원선계}}}]] · [[틀:원의 천호|{{{#ffd400 오동천호소 천호}}}]] · [[틀:권지고려국사|{{{#ffd400 권지조선국사}}}]] [[틀:역대 조선 대군주|{{{#ffd400 대군주}}}]] · [[틀:역대 조선 상왕|{{{#ffd400 상왕}}}]] · [[틀:역대 조선 왕태자|{{{#ffd400 왕태자}}}]] · [[틀:역대 조선 왕세자|{{{#ffd400 왕세자}}}]] · [[틀:역대 조선 왕비|{{{#ffd400 왕비}}}]] [[틀:조선 비정통 국왕|{{{#ffd400 비정통 국왕}}}]] · [[틀:역대 조선 국왕 대리청정|{{{#ffd400 대리청정}}}]] · [[틀:역대 조선 분조|{{{#ffd400 분조 지도자}}}]] · [[틀:조선 시기 비왕족 국왕 추존자|{{{#ffd400 비왕족 추존왕}}}]]






6.1. 조선 전기[편집]


연도방송사제목출연
1967TBC이성계김성원태조
1976KBS황희 정승문오장
MBC예성강이대근
1983KBS개국임동진
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 마마김무생
1996~1998KBS1용의 눈물
2005MBC신돈이진우
2008KBS1대왕 세종정두홍
2012SBS신의오재무
2012~2013대풍수지진희
2014KBS1정도전유동근
2014~2015JTBC하녀들이도경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천호진
2016KBS1장영실김기현
2019JTBC나의 나라김영철
2021KBS1태종 이방원
1983KBS개국남성식정종
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 마마이영후
1996~1998KBS1용의 눈물태민영
2008KBS1대왕 세종노영국
2014정도전이태림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서동원
2019JTBC나의 나라김서원
2021KBS1태종 이방원김명수
1973KBS세종대왕남성우태종
1976황희 정승
1978MBC연지정욱
1983KBS개국임혁주
MBC조선왕조 오백년 추동궁마마 / 뿌리깊은 나무이정길
1996~1998KBS1용의 눈물유동근
2008KBS1대왕 세종김영철
2011SBS뿌리깊은 나무백윤식
2012~2013대풍수최태준
2014KBS1정도전안재모
2014~2015JTBC하녀들안내상
2015~2016SBS육룡이 나르샤유아인
2016KBS1장영실김영철
2019JTBC나의 나라장혁
2021SBS조선구마사감우성
2021~2022KBS1태종 이방원주상욱
1980KBS파천무남성우세종
1983MBC조선왕조 오백년 뿌리깊은 나무한인수
1990KBS2파천무유순철
1994한명회김원배
1996~1998KBS1용의 눈물안재모
1998~2000왕과 비송재호
2008대왕 세종김상경(아역: 이현우)
2011SBS뿌리깊은 나무한석규 (아역: 송중기)
JTBC인수대비전무송
2016KBS1장영실김상경
2021SBS조선구마사장동윤
2021~2022KBS1태종 이방원김민기
1988~2000왕과 비전무송문종
1994KBS2한명회송승환
2008KBS1대왕 세종이상엽(아역: 강빛이)
2011KBS2공주의 남자정동환
JTBC인수대비선우재덕
해시의 신루김선호
1980KBS파천무윤유선단종
MBC고운 님 여의옵고손창민
1984~1985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신성원
1990KBS2파천무윤선빈(아역: 장덕수)
1994한명회정태우
2007SBS왕과 나이풍운
2011KBS2공주의 남자노태엽
JTBC인수대비채상우
1974KBS충의백일섭세조
1980파천무김홍기
1984~1985MBC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남성우
1990KBS2파천무유동근
1994한명회서인석
1988~2000KBS1왕과 비임동진
2007KBS2사육신최봉식
SBS왕과 나김병세
2008KBS1대왕 세종서준영(아역: 최민호)
2011KBS2공주의 남자김영철
JTBC인수대비김영호
2016KBS1장영실고영빈
1984~1985MBC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한영수예종
1994KBS2한명회문혁(아역: 변성현)
1998KBS왕과 비이영호(아역: 서상원)
2007SBS왕과 나유민호
2011JTBC인수대비노영학(아역: 양온유, 김준성, 박준목)[10]
1984~1985MBC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길용우성종
1994KBS2한명회박진성
1995장녹수현석
1988~2000KBS1왕과 비이진우(아역: 김민우)
2007SBS왕과 나고주원(아역: 유승호)
2011JTBC인수대비백성현(아역: 이태우, 최원홍)[11]
2017MBC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최무성
KBS27일의 왕비김정학
1984~1985MBC조선왕조 오백년 설중매임영규연산군
1994KBS2한명회이민우
1995장녹수유동근
1996~1997SBS임꺽정유인촌
1988~2000KBS1왕과 비안재모
2007SBS왕과 나정태우(아역: 정윤석)
2011JTBC인수대비진태현(아역: 방태웅, 조은찬, 김진우)[12]
2017MBC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김지석
KBS27일의 왕비이동건
1985MBC조선왕조 오백년 풍란최상훈중종
1995KBS2장녹수박지영
1996조광조이진우
1996~1997SBS임꺽정최상훈
1998홍길동김규철
1988~2000KBS1왕과 비최우혁
2001SBS여인천하최종환
2003MBC대장금임호
2006KBS2황진이박찬환
2007SBS왕과 나노영학
2011JTBC인수대비백승도(아역: 전준혁)
2013KBS2천명최일화
2016MBC옥중화김법래
2017SBS사임당, 빛의 일기최종환
KBS27일의 왕비연우진(아역: 백승환)
2001SBS여인천하권오민인종
2013KBS2천명임슬옹(아역: 원진)
1996~1997SBS임꺽정이효정명종
2001여인천하김광영
2004KBS1불멸의 이순신홍륜의
2016MBC옥중화서하준
JTBC마녀보감이다윗
1985~1986MBC조선왕조 오백년 임진왜란 / 회천문현석선조
1995KBS2서궁김성옥
1999MBC허준박찬환
2000KBS2천둥소리이호재
2003SBS왕의 여자임동진
2004KBS1불멸의 이순신최철호(아역: 곽정욱)
2013MBC구암 허준전노민
불의 여신 정이정보석
2014KBS2왕의 얼굴이성재(아역: 홍태의)
2015KBS1징비록김태우
MBC화정박영규
2016JTBC마녀보감이지훈
KBS1임진왜란 1592김광영
2017tvN명불허전조승연
[10] 각각 4세, 8세, 12세 역[11] 각각 4세, 10세 역[12] 출처


6.2. 조선 후기[13][편집]


연도방송사제목출연
2008SBS일지매김창완인조
2019KBS2조선로코 녹두전
[스포]
인조
2023MBC연인인조
2010KBS추노이인효종(세자)
2013JTBC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김주영효종
2002KBS2장희빈양재성현종
2012MBC마의한상진현종
2013SBS장옥정, 사랑에 살다유아인숙종
2010MBC동이지진희숙종
2007~2008MBC이산이순재영조
이서진정조
2011SBS무사 백동수전국환영조
2014SBS비밀의 문한석규영조
이제훈[14]사도세자
정조
2019SBS해치정일우영조
2021~2022MBC옷소매 붉은 끝동이덕화영조
도상우사도세자
이준호정조
2010KBS2성균관 스캔들조성하정조
2020~2021tvN철인왕후김정현철종
2001~2002KBS2명성황후이진우 (아역: 이인[15])고종
2003MBC다모선우재덕숙종
[13] 임진왜란(1592) 기준.[14] 1인 2역.[15] 본명은 이인이나 드라마 《명성황후》 촬영 시에는 이준이라는 예명을 사용했다.


7. 근대[편집]



7.1. 구한말(대한제국)[편집]


[각주]

7.2. 일제강점기[편집]


연도방송사제목비고
1991MBC여명의 눈동자
2002SBS야인시대1924년~
2006KBS1서울 1945
2007KBS2경성스캔들
2011MBC절정이육사 · 2부작
2012KBS2각시탈
2017tvN시카고 타자기전생
2018SBS사의 찬미김우진, 윤심덕 · 3부작
2022Apple TV+파친코1900년대~1989년
2019MBC이몽1919년[16]
2023파일:넷플릭스 로고.svg도적: 칼의 소리1920년대 간도
2023tvN구미호뎐19381938년
2022MBC내일13회[17]
2023파일:넷플릭스 로고.svg경성크리처 시즌 11945년 봄
[16] 3.1 운동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드라마[17] 위안부 피해자 에피소드


8. 현대(대한민국)[편집]




방영 년도와 시대 배경이 다른 시대극만 기재

연도방송사제목비고
1981~1982MBC제1공화국
2010MBC로드 넘버 원6.25 전쟁
2022내일6회[18]
1989~1990MBC제2공화국
1993MBC제3공화국
1995~1996MBC제4공화국
1998MBC육남매1962년~1964년
2023MBC수사반장: 더 비기닝1963년[19]
1999MBC국희
2002SBS야인시대~1972년[20]
2005MBC제5공화국
2010KBS2제빵왕 김탁구1969년~1989년
미정넷플릭스폭싹 속았수다[21]
2005SBS패션 70's
2010SBS자이언트1970년~1992년
2011~2012MBC빛과 그림자
1995SBS모래시계1976년~1989년
2017KBS2란제리 소녀시대1979년
2021KBS2오월의 청춘1980년[22]
2021~2022JTBC설강화1987년
2021tvN홈타운1987년~1999년
2022JTBC재벌집 막내아들1987년~2022년
2015~2016tvN응답하라 19881988년
2018OCN라이프 온 마스1988년
2020tvN화양연화 - 삶이 꽃이 되는 순간1993년[23]
2013tvN응답하라 19941994년
2012tvN응답하라 19971997년
2013MBC미스코리아1997년[24]
2022tvN스물다섯 스물하나1998년~2021년
SBS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2000년~2007년[25]
[18] 6.25 전쟁 참전 용사 에피소드[19] 1970년대에 방송한 《수사반장》의 프리퀄.[20] 시작은 주인공 김두한이 7살 때인 1924년[21] 50년대생인 주인공들의 일생을 그린다.[22] 5.18 광주 민주화운동[23] 두 주인공의 대학 시절이 비중있게 다뤄진다.[24] 주인공들의 10대 시절 과거 서사는 1987년, 작중 현재 시점은 1997년 IMF 금융위기 무렵을 다룬다.[25] 주인공 송하영의 어린 시절은 1975년


9. 미래[편집]


연도방송사제목비고
2021파일:tvN 로고(2012-2021).svg악마판사2025년
2022파일:넷플릭스 로고.svg종이의 집: 공동경제구역2026년
2022파일:TVING 로고.svg욘더2032년
2021파일:넷플릭스 로고.svg고요의 바다2070년
2023파일:넷플릭스 로고.svg택배기사2071년
시대 미상의 미래 배경
연도방송사제목비고
[각주]

10. 가상 시대[편집]


가상의 시대이므로, 방영 순으로 정렬한다.
(동일한 시대적 배경의 시즌제 드라마는 시즌1을 기준으로 정렬)

고증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퓨전 사극에서 가상 시대 배경으로 많이 설정하는 추세인데, 가상 시대여도 기존의 세트장을 활용할 수 있고 복식·미술 관련 참고 자료, 서사의 모티브로 삼을 수 있는 사료가 많은 조선시대 배경이 많다.

10.1. 가상 조선[편집]


연도방송사제목비고
2012파일:MBC 로고.svg해를 품은 달[26]
2016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구르미 그린 달빛[27]
2017파일:MBC 로고.svg군주 - 가면의 주인[28]
2017파일:SBS 로고.svg엽기적인 그녀[29]
2018파일:TV CHOSUN 로고.svg대군 - 사랑을 그리다[30]
2018파일:tvN 로고(2012-2021).svg백일의 낭군님
2019왕이 된 남자[31]
파일:MBC 로고.svg신입사관 구해령[32]
파일:JTBC 로고.svg조선혼담공작소 꽃파당[33]
파일:TV CHOSUN 로고.svg간택 - 여인들의 전쟁[34]
2019파일:넷플릭스 로고.svg킹덤
2020~2021파일:KBS 2TV 로고.svg암행어사: 조선비밀수사단
2021연모[35]
파일:tvN 로고.svg어사와 조이
파일:KBS 2TV 로고.svg꽃 피면 달 생각하고[36]
2022붉은 단심[37]
파일:tvN 로고.svg조선 정신과 의사 유세풍
슈룹
2022~2023파일:MBC 로고.svg금혼령, 조선 혼인 금지령
2023파일:tvN 로고.svg청춘월담
파일:SBS 로고.svg꽃선비 열애사
파일:MBC 로고.svg조선변호사
[26] 원작이 된 동명의 소설 또한 가상의 조선 배경이다.[27] 효명세자가 살았던 조선시대 말기를 모티브로 한 가상의 역사를 다루었다.[28] 조선팔도의 물을 사유화해 강력한 부와 권력을 얻은 절대 권력 편수회가 움직이는 세상에, 힘없는 왕세자가 백성들을 위해 거대한 막후 조직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이다.[29] 현대가 배경인 원작 영화와는 달리 가상의 조선이 배경인 작품이다.[30] 계유정난 전후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이다[31]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원작이지만 실존인물인 광해군을 다룬 영화와는 달리 모티브만 따온 가상의 인물들이 등장한다.[32] '19세기 조선에 여사(女史) 제도가 있었다면?'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가상의 시대를 다루었다.[33] 철종기를 모티브로 만든 작품이다.[34] 세도정치기가 있었던 헌종-철종기를 모티브로 한 작품이다.[35] 원작 만화에서는 주인공이 예종의 숨겨진 딸이지만, 드라마에서는 가상의 왕 혜종의 딸로 각색되었다.[36] 엄혹한 금주령이 내려졌던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가져온 퓨전 사극이다. 실제 역사에서 금주령이 내려졌던 시기는 영조 때지만 극중에서는 서브 주인공인 왕세자 이표가 가상의 인물이다.[37] 반정으로 왕이 된 선종의 뒤를 이어 조선의 왕이 된 '이태'의 이야기를 다룬 픽션 사극


10.2. 가상 국가[편집]


연도방송사제목비고
2019파일:tvN 로고(2012-2021).svg아스달 연대기상고시대[38]
2021파일:SBS 로고.svg홍천기가상왕조[39]
2022~2023파일:tvN 로고.svg환혼 시리즈가상왕조
2023파일:KBS 2TV 로고.svg환상연가가상왕조
[38] 가상의 땅인 아스의 상고시대가 배경이다.[39] 원작 소설은 조선 세종 시기가 배경이지만, 드라마는 가상의 단왕조 시대로 각색되었다. 드라마에서도 조선 초기의 복식을 그대로 따른다.


1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5:30:52에 나무위키 배경별 드라마/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